[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6624B1 -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624B1
KR101236624B1 KR1020070010805A KR20070010805A KR101236624B1 KR 101236624 B1 KR101236624 B1 KR 101236624B1 KR 1020070010805 A KR1020070010805 A KR 1020070010805A KR 20070010805 A KR20070010805 A KR 20070010805A KR 101236624 B1 KR101236624 B1 KR 10123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ownlink
uplink
map message
allocation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288A (ko
Inventor
김태영
이미현
최호규
조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1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62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MYPI20093025A priority patent/MY149594A/en
Priority to AU2008211887A priority patent/AU2008211887B2/en
Priority to RU2009129536/09A priority patent/RU2408147C1/ru
Priority to BRPI0806841-0A priority patent/BRPI0806841B1/pt
Priority to JP2009548162A priority patent/JP5005042B2/ja
Priority to EP08712283.4A priority patent/EP2119120B1/en
Priority to CN201210065234.5A priority patent/CN102625318B/zh
Priority to PCT/KR2008/000630 priority patent/WO2008094015A1/en
Priority to CA2676582A priority patent/CA2676582C/en
Priority to US12/024,359 priority patent/US8010151B2/en
Priority to CN2008800034693A priority patent/CN101595690B/zh
Publication of KR2008007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288A/ko
Priority to JP2012030423A priority patent/JP533122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을 위한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제1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제1 시스템과 제2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제2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은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된다.
Figure R1020070010805
이종망, 서비스 연동, 제어 신호, 방송 신호

Description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S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새롭게 제안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논리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서 데이터 버스트 할당을 지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서 데이터 버스트 할당을 지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짧은 레이턴시(latency) 지원을 위해 제안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간 서로 다른 크기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망간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은 방송, 멀티미디어 영상,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위주에서 고속 이동 사용자에게는 100Mbps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저속 이동 사용자에게는 1Gbps 이상의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근접한 시스템으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이 있다.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통신 시스템 혹은 와이맥스(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시스템으로도 불리우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과 호환된다.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은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현재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을 발전시킨 와이브로 진화(Wibro Advanced) 통신 시스템이 연구 중에 있다. 상기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은 일 예로 IEEE 802.16m을 기반으로 하며, 시간당 300km까지의 이동성 지원, 가변 대역폭 지원 및 오버헤드(overhead) 최소화 등의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기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던 진화된 기술들을 도입하려 한다. 상기 진화된 기술들로는 다중 안테나 기술, IPv6 기술,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broadcast service) 기술 등이 있다.
상기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할 경우,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이 서로 연동이 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하지만,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서브 채널 구조 혹은 서로 다른 신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상기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이 이종망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과 같은 이종망이 특정 통신 시스템 내에 공존하는 경우,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간 연동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정의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제1 시스템과, 제2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제2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은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이동국에 의해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방송 정보 영역을 통해 수신한 방송 메시지를 복조 및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복조 및 복호된 방송 메시지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복조 및 복호하는 과정과, 할당받은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은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 중 하나에 각각 속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 중 하나에 각각 속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종망간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종망은 일 예로 와이브로(Wibro)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Wibro Evolution) 통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서로 다른 서브 채널 구조 혹은 서로 다른 신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제어 정보를 복조 및 복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간 서비스 연동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상기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과 같은 관계를 가지는 모든 통신 시스템에 본 발명을 균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에서는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과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을 연동하기 위해 정의되어져야 할 프레임(frame)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논리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프레임은 제1 시스템(일 예로 와이브로(WiBro) 통신 시스템 혹은 와이맥스(WiMax) 통신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일 예로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을 주파수 분할 방법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프레임 구조에서 가로축은 시간축으로 심볼 구간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주파수축이다. 상기 시간축은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며, 상기 세로축은 서브캐리어(subcarrier) 혹은 서브 채널(subchannel)로 정의된다. 상기 서브 채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간과 주파수에 의해 점유되는 2차원 공간을 '자원'이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브 채널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서브 채널의 구성은 논리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물리적으로 구성된 서브 채널은 인접한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될 수 있고, 논리적으로 구성된 서브 채널은 인접 및 인접하지 않은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채널의 구성 방식은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프리앰블(preamble)(100)과,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을 주파수 분할로 구분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110) 및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110) 및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120)에서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 각각이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 비율은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동국의 수 혹은 다른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시스템 구현 초기에 고정적으로 혹은 시스템 운용 중에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서 데이터 버스트 할당을 지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은 동일한 프리앰블(200)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시스템에 속한 제1 이동국은 상기 프리앰블(200)로 동기를 획득하고,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210)의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230)를 복호하여 서브 채널 구성 방식과 MAP 메시지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 방식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동국은 상기 제1 시스템의 DL-MAP(240)을 복호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250)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제2 이동국 역시 상기 프리앰블(200)을 통해 동기를 획득한 후, FCH(230)의 복호를 통해 제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New DL-MAP/UL-MAP(260)을 복호한다. 상기 제2 이동국은 상기 New DL-MAP(260)의 복호를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자원(270)을 인지하고, UL-MAP(260)을 복호하여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220)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자원(280)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이동국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270)의 데이터 버스트를 복호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280)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서 데이터 버스트 할당을 지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는 시간 분할 다중(TDM:Time Divison Multiplexing)으로 상기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을 위한 자원들이 구분되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는 주파수 분할 다중(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상기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을 위한 자원들이 구분된다. 이와는 달리,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분할 다중으로 상기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을 위한 자원들로 구분되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시간 분할 다중으로 상기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을 위한 자원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이동국은 프리앰블(300)로 동기를 획득한 후,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310)의 FCH(330) 및 제1 시스템의 DL-MAP(340)을 복호하여 상기 제2 시스템의 제어 정보인 New DL-MAP/UL-MAP 영역(350)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New DL-MAP/UL-MAP영역(350)이 미리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이동국은 상기 FCH(330) 및 DL-MAP(340) 메시지의 복호없이도 상기 New DL-MAP/UL-MAP영역(350)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ew DL-MAP/UL-MAP영역(350)이 미리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L-MAP(340) 메시지의 복호 대신에 FCH(330)만을 복호한 후 New DL/UL-MAP 메시지를 복호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국은 상기 New DL-MAP/UL-MAP 영역(350)을 통해 수신하는 New DL-MAP 및 UL-MAP 메시지의 복호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할당된 자원(360)과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할당된 자원(370)을 인지한다. 상기 FCH(330)는 상기 제2 시스템 영역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짧은 레이턴시(latency) 지원을 위해 제안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의 설명에 앞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서는 짧은 레이턴시가 요구된다. 대표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이용하는 VoIP(Voice over IP(Internet Protocol)) 패킷은 짧은 레이턴시를 요구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프레임(400)은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영역(410)과 제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영역(4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도 4a는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제1 시스템 영역(410)은 세개의 할당(assignment)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제2 시스템 영역(420)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체 시간 구간을 세개의 시간 구간영역으로 구분한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할당 영역에서는 제2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버스트 전송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제2 시스템의 피드백 영역의 위치 정보를 지시한다. 한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제2 시스템 영역(420)은 시간 분할된 두개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점유한다.
짧은 레이턴시 지원을 위해서는 다수개의 인터레이스(interlace) 구조로 프레임을 운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인터레이스 구조는 데이터 송신(재송신)과 이에 대한 피드백 수신 혹은 데이터 수신(재수신)과 이에 대한 피드백 송신(재송신)과 같이 서로 엮여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시, 인터레이스 1을 살펴보면 기지국은 송수신기를 통해, 첫번째 할당 영역과 데이터 버스트 영역 1(data burst 1)을 통해 할당 정보 및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피드백 영역을 통해 수신한다.
도 4b는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레이스 1에서 이동국은 송수신기를 통해, (L-1)번째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L-1)번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한다. 이후, 상기 이동국은 다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긍정 응답(ACK) 혹은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규격에서 정의된 일부 사용 서브 채널(Partial Usage of Subchannels) 구조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6개의 서브 채널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3개의 서브 채널들은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 3개의 서브 채널들은 제2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시스템 운용 중에 상기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서브 채널들의 수가 가변될 수도 있다. 즉, 제2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국의 수가 많아지면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브 채널들을 상기 제2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에 할당된 6개의 서브 채널들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할당된 서브 채널의 지정은 FCH 내의 사용 서브 채널 비트맵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는 DL-MAP 메시지 및 UL-MAP 메시지내의 비트맵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서브 채널을 지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시스템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650)의 지시는 DL-MAP 영역(640)을 통해 이루어지고, 제2 시스템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670)의 지시는 New DL/UL-MAP 영역(660)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6에서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주파수 대역만을 사용하여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 지시 및 데이터 버스트 할당이 수행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국은 FCH에서 설정된 사용 서브 채널 비트맵이 예컨대 '110000'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이 아닌 일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간 서로 다른 크기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시스템은 일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제2 시스템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시스템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 3으로 운용할 수 있고, 제2 시스템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 1로 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제2 시스템에 속한 이동국이 새로운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국은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동기를 획득하고 8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4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제1 시스템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내에 존재하는 FCH를 복호하고 8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6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FCH에 포함된 정 보 혹은 FCH 복호 이후 복호한 DL-MAP을 통해 제2 시스템의 방송 정보 영역, 즉 DL-MAP 및 UL-MAP을 인지하고 8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8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2 시스템의 DL-MAP 및 UL-MAP을 복호하고 8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0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DL-MAP 혹은 UL-MAP에서 지시하고 있는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기존의 통신 시스템과 진화된 통신 시스템간에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Claims (25)

  1.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제1 시스템과,
    제2 이동국을 서비스하는 제2 시스템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은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은,
    상기 제1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 내의 제1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1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복조 및 복호하여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에 할당된 자신의 데이터 버스트를 복조 및 복호하며, 상기 제1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을 인지하고,
    상기 제2 이동국은,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 내의 제2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2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복조 및 복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은 와이브로(Wibro) 통신 시스템 및 모바일 와이맥스(WiMAX)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시스템은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국은,
    상기 제2 하향링크 MAP 메시지를 복조 및 복호하여,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에서 할당받은 데이터 버스트를 복조 및 복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국은,
    상기 제2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복조 및 복호하여,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상기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에서 할당받은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인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시스템.
  7.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이동국에 의해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방송 정보 영역을 통해 수신한 방송 메시지를 복조 및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복조 및 복호된 방송 메시지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복조 및 복호하는 과정과,
    할당받은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은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은 와이브로(Wibro) 통신 시스템 및 모바일 와이맥스(WiMAX)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시스템은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해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는,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해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상기 이동국에게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MAP 메시지는,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해 상기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상기 이동국에게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4.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 중 하나에 각각 속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에 속한 제1 이동국을 위해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 및 상기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1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제2 이동국을 위해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 및 상기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하는 제2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2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은 와이브로(Wibro) 통신 시스템 및 모바일 와이맥스(WiMAX)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시스템은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트 송수신 방법.
  18.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에 속한 제1 이동국을 위해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 및 상기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1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제2 이동국을 위해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 및 상기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하는 제2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2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은 와이브로(Wibro) 통신 시스템 및 모바일 와이맥스(WiMAX)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시스템은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제1 및 제2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종망의 서비스 연동에 따라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으로 분할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스템 중 하나에 각각 속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으로 시간 분할 구분되고, 상기 상향링크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과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은 주파수 분할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1 시스템에 속한 제1 이동국을 위해 상기 제1 하향링크 할당 영역 및 상기 제1 상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1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에 속한 제2 이동국을 위해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 및 상기 제2 상향링크 할당 영역 내에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를 지시하는 제2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제2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은 와이브로(Wibro) 통신 시스템 및 모바일 와이맥스(WiMAX)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시스템은 와이브로 진화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할당 영역은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하향링크 MAP 메시지 및 상향링크 MAP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위치 내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KR1020070010805A 2007-02-01 2007-02-01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Active KR10123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805A KR101236624B1 (ko) 2007-02-01 2007-02-01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US12/024,359 US8010151B2 (en) 2007-02-01 2008-02-01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RU2009129536/09A RU2408147C1 (ru) 2007-02-01 2008-02-01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услуги между неоднородными системами связи
BRPI0806841-0A BRPI0806841B1 (pt) 2007-02-01 2008-02-01 método para interfuncionamento de serviço entre sistemas de comunicação heterogêneos
JP2009548162A JP5005042B2 (ja) 2007-02-01 2008-02-01 異種通信システム間のサービスインターワーキ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08712283.4A EP2119120B1 (en) 2007-02-01 2008-02-01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MYPI20093025A MY149594A (en) 2007-02-01 2008-02-01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PCT/KR2008/000630 WO2008094015A1 (en) 2007-02-01 2008-02-01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CA2676582A CA2676582C (en) 2007-02-01 2008-02-01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AU2008211887A AU2008211887B2 (en) 2007-02-01 2008-02-01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CN2008800034693A CN101595690B (zh) 2007-02-01 2008-02-01 用于异构通信系统之间的业务互配的系统和方法
CN201210065234.5A CN102625318B (zh) 2007-02-01 2008-02-01 用于异构通信系统之间的业务互配的方法和装置
JP2012030423A JP5331220B2 (ja) 2007-02-01 2012-02-15 異種通信システム間のサービスインターワーキ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805A KR101236624B1 (ko) 2007-02-01 2007-02-01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288A KR20080072288A (ko) 2008-08-06
KR101236624B1 true KR101236624B1 (ko) 2013-02-22

Family

ID=3967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805A Active KR101236624B1 (ko) 2007-02-01 2007-02-01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10151B2 (ko)
EP (1) EP2119120B1 (ko)
JP (2) JP5005042B2 (ko)
KR (1) KR101236624B1 (ko)
CN (2) CN102625318B (ko)
AU (1) AU2008211887B2 (ko)
BR (1) BRPI0806841B1 (ko)
CA (1) CA2676582C (ko)
MY (1) MY149594A (ko)
RU (1) RU2408147C1 (ko)
WO (1) WO2008094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889A (ko) * 2007-03-09 2008-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87486B1 (ko) * 2007-03-14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모드 지원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WO2009014401A2 (en) 2007-07-26 2009-0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uperframe structure
US20090129332A1 (en) * 2007-11-20 2009-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77697B2 (en) 2007-12-06 2013-07-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lacing wireless communication frames
KR101422852B1 (ko) * 2008-02-26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할당방법
CN101933310B (zh) * 2008-03-07 2013-03-1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与兼容第一协议和第二协议的bs交互工作的ms及其方法
JP5366951B2 (ja) * 2008-08-07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周波数帯域割当方法及び送信装置
WO2010019009A2 (en) * 2008-08-13 2010-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and base station and terminal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JP5108683B2 (ja) * 2008-08-26 2012-12-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の通信スロット割当方法、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端末
KR101514071B1 (ko) * 2008-09-05 201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과 장치 및 그 시스템
US8391882B2 (en) * 2008-10-22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spectrum shared by WAN and femto cells
JP5131227B2 (ja) * 2009-03-03 2013-01-3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8326309B2 (en) * 2009-03-06 2012-12-0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Resource allocation in co-existence mode
WO2010106725A1 (ja) * 2009-03-16 2010-09-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送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方法
US9106378B2 (en) * 2009-06-10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ownlink information
WO2010150952A1 (en) * 2009-06-23 2010-12-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emtocell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44037B2 (en) * 2009-08-11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by puncturing transmission of interfering cells
US8724563B2 (en) 2009-08-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detecting system information blocks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9277566B2 (en) 2009-09-14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Cross-subframe control channel design
US8942192B2 (en) 2009-09-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frame interlac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271167B2 (en) 2010-04-13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radio link failure with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and cancellation
US9392608B2 (en) 2010-04-1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 for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US9125072B2 (en) 2010-04-13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Heterogeneous network (HetNet) user equipment (UE)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s
US9226288B2 (en) 2010-04-13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 in a heterogeneous network
KR101636398B1 (ko) * 2010-05-17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할당 지시 장치 및 방법
US8521109B2 (en) 2010-07-29 2013-08-2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information provid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er
US8712353B2 (en) 2010-07-29 2014-04-2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information provid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er
US8886190B2 (en) 2010-10-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ells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US8638131B2 (en) 2011-02-23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feedback-controlled output driver with minimum slew rate variation from process, temperature and supp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469A1 (en) 2002-04-17 2005-11-17 Shaily Verm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s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for wlan/telecommunications system interworking
US20060092872A1 (en) 2004-11-04 2006-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heterogeneous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29075A1 (en) 2005-04-09 2006-10-12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andover of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133673A1 (ru) 1983-03-25 1985-01-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8145 Шумоподавитель
WO2002091683A1 (en) * 2001-05-08 2002-11-14 Sony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st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7050414B2 (en) * 2001-06-22 2006-05-2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all over a packet-based transport network
US6976263B2 (en) * 2001-11-19 2005-12-13 Lsi Logic Corporation Mechanism for encoding and decoding upgradeable RPC/XDR structures
JP4009641B2 (ja) * 2002-11-20 2007-11-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112397B2 (ja) * 2003-02-14 2008-07-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変調回路
JP4118699B2 (ja) * 2003-02-17 2008-07-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7461248B2 (en) * 2004-01-23 2008-12-02 Nokia Corporatio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059491B1 (ko) * 2004-10-09 2011-08-26 지티이 코포레이션 Ofdm과 ofdma 공존 시스템의 주파수 스펙트럼대역폭의 할당 방법
US7596120B2 (en) * 2004-12-07 2009-09-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handoff method thereof
CA2602243C (en) * 2005-03-30 2014-1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llocating uplink reg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4531614B2 (ja) * 2005-04-01 2010-08-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060246903A1 (en) * 2005-04-29 2006-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oice data handoff between cellular network and WiBro/WLAN network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US20070230391A1 (en) * 2005-05-12 2007-10-04 Ofer Harpak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Over Terrestrial and Satellite Links
CN100579000C (zh) * 2005-06-07 2010-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时频资源的复用方法
KR100860752B1 (ko) * 2005-06-23 2008-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US7551641B2 (en) * 2005-07-26 2009-06-2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f wireless network access
KR100701038B1 (ko) * 2005-12-02 2007-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네트워크간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서비스품질의 지원을 위한 버티컬 핸드오프 방법
WO2007078663A2 (en) * 2005-12-16 2007-07-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obility middleware architecture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apparatus
US20080056210A1 (en) * 2006-06-14 2008-03-0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oving Networks Information Ser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469A1 (en) 2002-04-17 2005-11-17 Shaily Verm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s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for wlan/telecommunications system interworking
US20060092872A1 (en) 2004-11-04 2006-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heterogeneous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29075A1 (en) 2005-04-09 2006-10-12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andover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25318B (zh) 2014-10-15
BRPI0806841B1 (pt) 2020-10-13
US20080186939A1 (en) 2008-08-07
CA2676582C (en) 2013-04-23
MY149594A (en) 2013-09-13
JP5005042B2 (ja) 2012-08-22
CN101595690B (zh) 2013-06-05
BRPI0806841A2 (pt) 2014-06-03
RU2408147C1 (ru) 2010-12-27
KR20080072288A (ko) 2008-08-06
EP2119120A1 (en) 2009-11-18
CA2676582A1 (en) 2008-08-07
AU2008211887B2 (en) 2011-02-24
JP2012120246A (ja) 2012-06-21
EP2119120A4 (en) 2012-07-18
WO2008094015A1 (en) 2008-08-07
CN101595690A (zh) 2009-12-02
JP5331220B2 (ja) 2013-10-30
CN102625318A (zh) 2012-08-01
EP2119120B1 (en) 2018-10-24
US8010151B2 (en) 2011-08-30
JP2010517461A (ja) 2010-05-20
AU2008211887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24B1 (ko)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CN101627564B (zh) 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公共控制信息的方法和系统
KR10077086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114124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16402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非对称载波聚合的装置和方法
US20100008332A1 (en) Method for half-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CN101558671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帧结构
KR20080035867A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US117657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latency services via a logica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0541381A (ja) 周波数分割複信システムにおける半二重および全二重加入者局オペレ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
US82184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ircuit mode resource alloc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system
WO2008078968A1 (en) Method for supporting short latenc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KR20080078194A (ko) 이종망간 다중화 운영 방법
KR20180049771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지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4977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지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