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6294B1 - 공유되어 있는 통신망에 대한 충돌 회피 미디어 액세스방법 - Google Patents

공유되어 있는 통신망에 대한 충돌 회피 미디어 액세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294B1
KR101236294B1 KR1020087008201A KR20087008201A KR101236294B1 KR 101236294 B1 KR101236294 B1 KR 101236294B1 KR 1020087008201 A KR1020087008201 A KR 1020087008201A KR 20087008201 A KR20087008201 A KR 20087008201A KR 101236294 B1 KR101236294 B1 KR 101236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network device
sub
network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809A (ko
Inventor
주리 구지케비츠
로날드 브루스 스터런스
이스라엘 리프쉬츠
아하로나 루리
Original Assignee
시그마 디자인스 이스라엘 에스.디.아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마 디자인스 이스라엘 에스.디.아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그마 디자인스 이스라엘 에스.디.아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최소의 송신 버스트 듀레이션보다 더 짧은 듀레이션을 갖고, 통신망 장치에 의한 데이터 송신의 개시를 위한 기회를 나타내는, 서브-버스트 슬롯의 그리드를 스케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망 장치는 서브-버스트 슬롯 스케줄러 및 서브-버스트 슬롯 그리드 얼라이너를 포함한다. 서브-버스트 슬롯 스케줄러는 통신망 장치에게 서브-버스트 슬롯 미디어 액세스 플랜을 공개한다. 서브-버스트 슬롯 그리드 얼라이너는 송신 이벤트에서 서브-버스트 슬롯 그리드를 정렬한다.
Figure R1020087008201
미디어 액세스 플랜, 듀레이션, 서브-버스트 슬롯, 캐리어 센서, 스케줄러

Description

공유되어 있는 통신망에 대한 충돌 회피 미디어 액세스 방법{COLLISION AVOIDANCE MEDIA ACCESS METHOD FOR SHARED NETWORKS}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데이터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미디어 액세스 할당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 통신망이 있으며, 그 중에서 아마도 이더넷(Ethernet)이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일부 데이터 통신망은 자원 예약 방식을 갖추고 있다. 한 가지 이러한 통신망으로는, 가정/소규모 사무실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전화선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된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 Alliance) v3.0이 있다. 2004년 12월 1일자로 출원되어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000,524호는 HomePNA v3.0을 확장하여 전화 회선과 동축 회선의 복합 통신망을 통해 동작하도록 하는 방법을 전반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HPNA v.3 및 다른 이러한 자원 예약 통신망은, 통신망 장치에 대해 매체 자원을 보장하고, 동일 회선을 사용하는 복수의 통신망 장치 간의 충돌을 방지하며,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후술되는 스케줄러를 구비한다. 동축 통신망에서, 보호성 충돌 검출은 통신망 장치의 동적 범위를 제한하여, 통신망의 사이즈에 물리 적인 제한을 줄 것이기 때문에, 동축 통신망에서는 미디어 액세스에 대한 충돌 회피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컴퓨터에 접속된 적어도 2개의 통신망 장치(12, 14)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데이터 통신망(10)이 도시되어 있다. 통신망 장치 12는 다른 항목 중에서 캐리어 센서(20) 및 송수신기(24)를 구비하는 모뎀(16)을 포함한다. 통신망 장치 14는 다른 항목 중에서 캐리어 센서(20), 스케줄러(22) 및 송수신기(24)를 구비하는 모뎀(18)을 포함한다. 스케줄러(22)는 각각의 송신 사이클의 시작점(beginning)에서 통신망(10)을 통해 각각의 장치에 미디어 액세스 플랜(MAP)을 전송한다. 송수신기(24)는 통신망(10)을 통해 데이터 송신을 송신하거나 또는 송신 및 수신한다.
도 2에는 통신망(10)(도 1)의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일례의 타이밍도(4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타이밍도(40)는 특정 시간 및 비중첩 시간에 도래하는 송신 사이클(upcoming transmission cycle)에서 특정 네트워크 장치에 이용 가능하게 되는 미래의 송신 기회(future transmission opportunities, TXOPs)의 구체적인 스케줄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TXOP(44, 48, 50)와 같은 도래하는 송신 사이클에서 각각의 스케줄된 TXOP의 개시 시간 및 길이뿐만 아니라 각각의 TXOP가 할당되는 통신망 장치가 도래하는 송신 사이클을 위한 MAP에서 스케줄러(22)(도 1)에 의해 스케줄된다. 그 후, 송신 사이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P 공개 송신(MAP publication transmission)(30) 동안 통신망(10)(도 1)을 통한 통신망 장치에의 스케줄러(22)에 의한 MAP의 공개로 개시된다. 예컨대, 도 2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OP 44는 첫 번째 TXOP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장치 1이 할당될 것이며, TXOP 48은 두 번째 TXOP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장치 2가 할당될 것이며, TXOP 50은 세 번째 TXOP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장치 3이 할당될 것이다. 타이밍도(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현된 송신 사이클(represented transmission cycle)을 위한 MAP은 또한 스케줄된 등록 TXOP(54)를 포함하며, 이 스케줄된 등록 TXOP(54) 동안에는 새로운 장치가 통신망(10)에 참여하기를 요청할 수도 있다.
MAP 공개 송신(30) 동안의 MAP의 공개 후, 디바이스 송신이 시작할 것이다. 각각의 장치는 MAP에 따라 각각의 장치에 할당되었던 특정 TXOP를 인식하며, TXOP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건너뛴다.
도 2에 도시된 타이밍도(40)에서, 장치 1은 TXOP(44) 동안의 장치 1의 송신 활동을 나타내는 사선 영역(56)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TXOP(44)를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1 및 3이 TXOP(48, 50)를 사용하지 못한다면, 이들 할당된 부분의 대역폭이 낭비된다. 또한, 새로운 장치가 등록을 위해 등록 TXOP(54)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TXOP(54)의 대역폭 또한 낭비된다.
이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MAP은 송신 및 등록을 위해 스케줄된 TXOP가 전체적으로 이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당한 자원을 낭비한다. 최소 시에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을 도모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되도록 요구되는 소정 크기의 TXOP로 인해, 이러한 방법은 불충분한 대역폭 이용 및 높은 장치당의 오버헤드(per device overhead)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이클마다의 소정의 TXOP 크기는 또한 대역폭 변화의 적응(adaptation)이 느리고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송신 버스트 크기에 비해 작은 TXOP는 HOL 블로킹(Head-Of-Line Blocking)을 야기할 수도 있다. 통신망 크기가 증가하여 통신망 용량이 떨어질 때에는 확장성(scalability)에 어려움이 있다. TCP 및 TFTP 등의 양방향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긴 라운드-트립 시간(RTT : round-trip time)으로 인해 낮은 데이터 레이트만이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망 장치로 하여금 공유된 송신 기회(shared TXOPs) 내에서 충돌없는 버스트형 미디어 액세스(collision-free burst-like media access)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감지(carrier-sensing) 및 충돌 회피 기술을 이용하는 미디어 액세스 방법을 확장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HomePNA(Home Phone Network Alliance) v3.0의 미디어 액세스 방법을 확장하기 위해 이용될 것이다. 충돌 검출이 실현 가능한 HomePNA 및 기타 미디어 액세스 방법에 대해, 충돌 회피가 수반하는 다른 이점 때문에 충돌 회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복수의 통신망 장치로 하여금 공유된 송신 기회(shared TXOPs) 내에서 충돌없는 버스트형 미디어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감지 및 충돌 회피 기술을 이용하는 미디어 액세스 방법을 확장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된 크기의 중첩되지 않은 TXOP를, 통신망 장치에 의한 데이터 송신의 개시를 위한 기회를 각각 나타내는 인지 가능할 정도의 더 작은 타임 슬롯의 그리드(grid)로 대체할 것이다. 인지 가능할 정도의 더 작은 타임 슬롯은 서브-버스트 슬롯(sub-burst slot)이 될 것이다. 즉, 각각의 슬롯에 할당된 시간은 최소의 송신 버스트 듀레이션(transmission burst duration)보다 더 짧을 것이다. 서브-버스트 슬롯과 같은 최소 크기의 타임 슬롯에 의해 제공되는 주요 장점은, 통신망 장치가 자신의 할당된 타임 슬롯 송신 기회를 사용하지 못할 때에, 송신할 기회를 큐(queue) 내의 다음 장치에 넘겨주기 전에 최소의 시간이 낭비될 것이라는 점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데이터 통신망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망의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도 3에 도시된 통신망에서 작동되는 일례의 서브-버스트 슬롯 미디어 액세스 플랜(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그룹 스케줄링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일례의 다른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반복형 타입의 그룹 스케줄링 방식 및 순환형 타입의 그룹 스케줄링 방식의 비교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하는 일례의 SBSMAP의 도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SBSMAP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가 나열되어 있는 일례의 그룹_타입(Group_Type) 테이블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명시적 그룹 세퍼레이터(explicit group separator)를 갖는 일례의 다른 SBSMAP의 도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패킷 우선순위-기반 미디어 액세스 기회 할당을 특징으로 하는 일례의 다른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필요-응답 데이터 패킷 우선순위-기반 미디어 액세스 기회 할당을 특징으로 하는 일례의 다른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대역폭 조건-기반 미디어 액세스 기회 할당을 특징으로 하는 일례의 다른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미디어 액세스 기아 방지(media access starvation prevention)를 특징으로 하는 일례의 다른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의해 제공된 것과 같은 대역폭 조건-기반 미디어 액세스 기회 할당 및 도 14의 SBSMAP에 의해 제공된 것과 같은 기아 방지를 특징으로 하는 일례의 다른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미디어 액세스가 개선된 서비스 품질 방식으로 통신망 흐름에 제공 되게 할 수도 있는 일례의 SBSMAP의 도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Next Map 기회의 구현을 특징으로 하는 일례의 다른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복수-점유 유닛(MTU : multi-tenant unit) 또는 복수-거주 유닛(MDU : multi-dwelling unit)에서 구현된 일례의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망 상에서 실행되는 TCP 프로토콜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b는 TCP 프로토콜에 대해 실시된 일례의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실척으로 그려질 필요는 없다. 예컨대,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는 명료하게 보이도록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대응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가 반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 구성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구성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 과정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충돌 회피 데이터 통신망(100)을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통신망(100)은 컴퓨터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통신망 장치(102, 104)를 포함할 것이다. 통신망 장치 102는 모뎀(106)을 포함하며, 모뎀(106)은 종래 기술의 캐리어 센서와 유사할 수도 있는 캐리어 센서(110), 종래 기술의 송수신기와 유사할 수도 있는 송수신기(114), 및 서브-버스트 슬롯(SBS) 그리드 얼라이너(116) 등을 포함할 것이다. 통신망 장치 104는, 캐리어 센서(110), 송수신기(114), SBS 그리드 얼라이너(116) 및 서브-버스트 슬롯 스케줄러(112) 등을 구비하는 모뎀(108)을 포함할 것이다. 서브-버스트 슬롯 스케줄러(112)는 각각의 송신 사이클의 시작점에서 서브-버스트 슬롯을 갖는 미디어 액세스 플랜(SBSMAP)을 생성하여 통신망(100)을 통해 각각의 장치에 전송할 것이다. SBS 그리드 얼라이너(116)는 송신의 발생에 따라 스케줄러(112)에 의해 발표된(advertised) SBSMAP에 따른 서브-버스트 슬롯 그리드를 재편성(realignment)할 것이다.
통신망(100)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예를 들기 위한 것이며, 독립형 장치(stand-alone device)로서 도 3에 예시된 통신망 장치(102, 104)는 독립형 장치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장치 내의 통합 부품으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통신망(100)의 다른 구성에서, 통신망 장치(102, 104) 중의 하나 또는 양자가 개인용 컴퓨터, 셋톱 박스, 텔레비전, PVR 또는 기타 장치에 통합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MAP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SBSMAP은 통신 망(100)을 통한 각각의 장치에의 송신 기회(TXOP)의 스케줄을 기술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MAP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SBSMAP은 특정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을 위해 TXOP의 슈퍼-버스트 크기의 부분(super-burst sized portion)을 독점적으로 예약하지 않을 것이다. 그 보다는, 각각의 스케줄된 서브-버스트 슬롯이, 송신을 개시하는 것과 관련된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을 위해 짧은 듀레이션의 기회를 구성할 것이다.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종래 기술의 MAP의 소정의 슈퍼-버스트 크기의 TXOP보다 길이가 훨씬 더 짧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미디어 액세스를 위한 방법은, 송신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TXOP보다 훨씬 더 적은 양의 낭비된 대역폭을 포함할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서브-버스트 슬롯의 짧은 듀레이션에 의해, 종래 기술보다 적은 대역폭을 낭비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통신망(100)(도 3)의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일례의 타이밍도(200)를 도시하고 있고 있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사이클은 SBSMAP 공개 송신(230) 동안 통신망(100)(도 3)을 통해 SBS 스케줄러(112)에 의해 통신망 장치에 SBSMAP에 공개됨으로써 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서브-버스트 슬롯(SBSn)이 SBAMAP에 따라 공유된 TXOP에 스케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SBSn)은 송신을 개시하기 위해 그 서브-버스트 슬롯에 관련된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에 대한 기회를 나타내줄 것이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SBSMAP에 따라 스케줄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송신 기회 개시 시간의 그리드를 형성할 것이다. 도 4에 도시 된 예에서, 서브-버스트 슬롯(SBS1∼SBS23)은 공유된 TXOP(205)의 시작점에서 초기화된 송신 기회 개시 시간의 그리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 내의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SBSn)은, 서브-버스트 슬롯이 그리드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시퀀스를 점유하는 때에 송신할 관련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을 위한 기회를 예약하는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로서 작용할 것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송신 기회는 SBS1과 관련된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을 위해 예약된다. SBS1과 관련된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은 이 기회에서 송신하거나, 또는 이 기회를 건너뛰도록 동작할 것이다.
통신망 장치가 이 기회에서 송신하도록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는, 통신망 장치는 통신망 장치에 관련된 서브-버스트 슬롯의 시작점에서 송신을 개시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버스트 슬롯의 듀레이션은 8∼32㎲이 될 것이며, 이 기회에 송신을 개시하도록 하기 위한 윈도우는 서브-버스트 슬롯의 첫 번째 2∼4㎲일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듀레이션은 고정된 방식 또는 동적 방식으로 변화될 수도 있는 가변 파라미터가 될 것이다. 예컨대, 서브-버스트 슬롯 듀레이션은 통신망에 참여할 수도 있는 장치의 특성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서브-버스트 슬롯(SBSn)에 의해 제공된 송신 기회가 그 버스-버스트 슬롯에 관련된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에 의해 이용되지 않는 경우, 그리드 시퀀스 내의 다음 서브-버스트 슬롯(SBS(n+1))과 관련된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에, 송신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0"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되는 통신망 장치(DEV-1)에 할당된 제4 송신 기회까지는, 공유된 TXOP(205) 동안 아무런 송신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예시된 예에서 알 수 있다. 통신망 장치(DEV-1)에 대한 송신 활동 다이아그램(transmission activity diagram)(2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망 장치(DEV-1)는 "0"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SBS1, SBS5, SBS9)에 의해 제공된 송신 기회를 건너뛰고, 서브-버스트 슬롯(SBS13) 동안에 최초로 송신한다. 서브-버스트 슬롯(SBS13) 동안, 통신망 장치(DEV-1)는 송신을 개시하며, 그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송신 매체를 점유한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송신을 위해 이용될 때에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서브-버스트 슬롯 동안 통신망 장치에 의해 개시된 송신의 완료를 허용하는 정도로 확장 가능하게 될 것이다. 서브-버스트 슬롯을 확장할 수 있는 길이는 제한될 수도 있고,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공유된 TXOP의 마지막 부분은 송신 동안 서브-버스트 슬롯의 확장에 대한 한계치(limit)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송신은 공유된 TXOP의 길이를 확장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이 사이클의 시작점에서, 통신망(100) 상의 통신망 장치는 송신 기회의 스케줄, 즉 서브-버스트 슬롯의 라인업(lineup)을 상세히 기술하는 SBSMAP을 수신할 것이다. 그 후, 도 4에 도시된 일례의 송신과 같은 송신이 서브-버스트 슬롯(SBS13, SBS17, SBS23) 동안 발생할 것이다. 송신의 완료는 서브-버스트 슬롯(SBS13, SBS17) 동안의 송신을 후속하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인터 프레임 갭(IFG)(202)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송신이 발생할 때, 통신망(100) 상의 각각의 통신망 장치 내의 SBS 그리드 얼라이너(116)(도 3)는, 다음 송신 기회가 스케줄되어 있는 시각을 각각의 통신망 장치가 알 수 있도록 서브-버스트 슬롯 그리드의 타이밍을 재계산할 것이다. 그리드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순서는 발표된 SBSMAP(the advertised SBSMAP) 내의 각각의 통신망 장치에 그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알려져 있지만, 그리드의 타이밍은 발생하는 송신의 듀레이션으로 인해 변경되고, 또한 발생하는 송신의 듀레이션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도 4로부터, "0"으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통신망 장치 DEV-1와 관련되어 있지만, "1"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통신망 장치 DEV-2와 관련되고, "3"으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통신망 장치 DEV-4와 관련된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각각 통신망 장치(DEV-2, DEV-4)에 대한 송신 활동을 나타내는 송신 활동 다이아그램(214, 216)에서 볼 수 있다. "1"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SBS2, SBS6, SBS10, SBS15, SBS19)에 의해 제공된 최초의 5개의 송신 기회를 건너뛴 후, 통신망 장치(DEV-2)는 SBS23 동안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통신망 장치(DEV-4)는 최초의 3개의 송신 기회(SBS4, SBS8, SBS12)를 건너뛰고, 그 후 SBS17 동안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N"으로 표시된 각각의 통신망 장치는 "N-1"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된다. 따라서, "2"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TXOP(205) 동안 전혀 송신하지 못하는 통신망 장치(DEV-3)와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서브-버스트 슬롯이 어떠한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과 관련될 것이고, 특정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된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의 신원(identity)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SBSMAP에 인코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서브-버스트 슬롯은 모듈러 그룹으로 조직화될 수 있으며, 이들 모듈러 그룹 유닛은 하나 이상의 그룹의 그룹 시퀀스로 어셈블(assemble)되고, SBSMAP에 스케줄될 것이다. 그룹은 특정 통신망 장치 또는 데이터 흐름과 각각 관련되는 서브-버스트 슬롯의 특정 시퀀스로 이루어질 것이다. 각각의 그룹은 또한 복수의 그룹 타입 중 특정 타입에 관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그룹 타입은 다양한 경우에서의 스케줄링 프로토콜을 지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송신에 의한 그룹 시퀀스의 인터럽션(interruption)의 경우, SBS 스케줄러(112)(도 3)는 송신 후에 어느 서브-버스트 슬롯이 인터럽트된 그룹의 그룹 타입에 따라 스케줄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TXOP에서의 그룹 또는 그룹의 시퀀스의 반복, 순환 또는 생략을 위한 스케줄링 방식은 그룹 타입에 의해 지시될 것이다.
통신망 장치 및 데이터 흐름 연관 관계에 추가하여, 어느 서브-버스트 슬롯이 어느 타입의 그룹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는 소속 그룹(group affiliation)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SBSMAP에 인코딩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TXOP(205)는 서브-버스트 슬롯 "0, 1, 2, 3"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고정형 타입의 그룹인 그룹 Fx의 연속적인 반복으로 스케줄되며, 여기서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수식 N+1에 따른 통신망 장치와 관련되며, N은 서브-버스트 슬롯의 번호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그룹에 의해 지시되는 스케줄링 방식은, 하나의 송신이 현재 그룹 시퀀스의 연속성(continuity)의 인터럽션을 구성하고, 그 송신 후, 스케줄된 라인업이 그룹 내의 첫 번째 서브-버스트 슬롯으로 시작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도 4에서는, SBS13 동안의 송신이 그룹 Fx의 4번째 반복인 Fx4를 인터럽트할 때에, 그 송신 후, 그룹 Fx의 5번째 반복인, 서브-버스트 슬롯 "0"으로 시작하는 Fx5가 스케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그룹 타입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다른 스케줄링 방식이 도시되어 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타이밍도(200)와 유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일례의 SBSMAP에 대한 일례의 타이밍도(3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도 5 내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5에서, 연속적인 반복이 공유된 TXOP(305)에 스케줄되는 기본 모듈러 그룹 단위 R은 도 4에서의 그룹 Fx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시퀀스에 동일한 서브-버스트 슬롯 "0,1,2,3"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서브-버스트 슬롯이 상이한 그룹 타입에 관련되기 때문에, 그룹 Rx 및 그룹 R은 각각 공유된 TXOP(205, 305)에 상이한 스케줄링 방식을 지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그룹 R의 3개의 스케줄된 라운드(three scheduled round) R1, R2, R3는 송신을 발생하지 않고 건너뛴다. 그룹 R4 내의 "0"으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 SBS13 동안, 통신망 장치(DEV-1)는 송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R과 관련된 스케줄링 프로토콜은, 송신 후에, 그룹 시퀀스가 인터럽트되지 않은 상태를 지속하도록 지시한다. 그러므로, 스케줄된 다음 서브-버스트 슬롯(SBS14)은 "1"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룹 R4의 나머지와 마찬가지로 그룹 R5는 송신에 의해 야기된 "인터럽션"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스케줄된다는 것을 도 5로부터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또 다른 예의 그룹 타입, 즉 반복형 그룹 타입(R0) 및 순환형 그룹 타입(R1)을 예시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순환형 그룹 타입 및 반복형 그룹 타입 양자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그룹 R의 송신후 스케줄링 특성(post-transmission scheduling characteristic)을 공유한다. 즉, 송신 후에, 그룹 시퀀스의 시케줄링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고정형 그룹의 경우와는 달리, 인터럽트 되지 않은 상태를 지속한다. 그러나, 순환형 그룹 및 반복형 그룹은 TXOP 내의 그룹 또는 그룹의 시퀀스의 연속된 스케줄에 대해 상이한 방식을 지시한다.
도 6은 2개의 예의 타이밍도(600, 620)를 도시하고 있다. 타이밍도 600에서는, TXOP(605)에 대한 SBSMAP에 의해 스케줄된 그룹의 스케줄이 그룹 "Fx0, R0, R1"의 초기 모듈러 시퀀스(602)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여기서 그룹 Fx0는 서브-버스트 슬롯 "0,1,2"의 시퀀스를 포함하고, 그룹 R0는 서브-버스트 슬롯 "0,1,2,3"의 시퀀스를 포함하며, 그룹 R1은 서브-버스트 슬롯 "0,1,2,3,4"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초기 모듈러 시퀀스(602)에서의 최종 그룹의 타입은 TXOP의 듀레이션의 잔여분(remainder)에 대해 어느 그룹이 스케줄될지를 결정할 것이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모듈러 시퀀스(602) 내의 최종 그룹은 순환형 타입의 그룹인 R1이다. 따라서, 순환형 그룹 타입과 관련된 TXOP 잔여분 스케줄링 방식으로서, 초기 모듈러 시퀀스(602)에서의 그룹의 시퀀스, 즉 "Fx0,R0,R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OP(605)에서의 REP1에 재차 스케줄(rescheduled)된다.
타이밍도 620에서, 초기 모듈러 시퀀스(622)를 구성하는 그룹은 그룹 "Fx0,R1,R0"이며, 여기서 초기 모듈러 시퀀스 602와 초기 모듈러 시퀀스 622 간의 유일한 차이점은 2개의 시퀀스 내의 그룹 R1 및 R0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시퀀스 간의 차이점은, 초기 모듈러 시퀀스 602 내의 최종 그룹이 순환형 그룹 R1이고, 초기 모듈러 시퀀스 622 내의 최종 그룹이 반복형 그룹 R0라는 점이다. 도 6에는, 반복형 타입의 그룹과 관련될 TXOP 잔여분 스 케줄링 방식이 SBSMAP의 초기 모듈러 시퀀스 내의 최종 그룹의 연속적인 반복이라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서는, 반복형 그룹 R0가 TXOP(625)에 대해 Rep1, Rep2로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그룹 타입 종속 스케줄링 방식 및 프로토콜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스케줄링 방식 및 프로토콜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SBSMAP 내에 통합될 추가의 송신후 스케줄링 프로토콜은, 교번적인 고정형 그룹 타입(alternative fixed group type)과 관련될 교번적인 고정형 방식일 수도 있다. 교번적인 고정형 그룹에 의해 지시된 전송후 스케줄링 프로토콜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고정형 그룹 방식과 유사할 것이다. 그러나, 송신 후, 스케줄될 최초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그룹 내의 최초의 서브-버스트 슬롯이 아닐 수도 있다. 교번적인 고정형 그룹 타입은 송신 후 스케줄될 최초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할당이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그룹 서브-버스트 슬롯을 통해 순환할 것이다.
추가의 TXOP 잔여분 스케줄링 방식은, 예컨대, 시퀀스 내의 최종 그룹이 아닌 초기 모듈러 시퀀스 내의 그룹의 선택이 TXOP의 잔여분에 대해 반복될 수도 있는 교번적인 반복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그룹 타입 "repeated_final_2"은 TXOP의 잔여분에 대한 초기 모듈러 시퀀스 내의 적어도 2개의 그룹의 반복을 지시할 것이다. 그룹 타입 "initial"은, 초기 모듈러 시퀀스 내의 그룹 타입 "initial"과 관련된 그룹이 TXOP 내에 1회만 스케줄되도록 하고, 재차 스케줄링을 지시할 수도 있는 그 그룹에 속하는 다른 스케줄링 방식의 스케줄링 명령을 무시할 것이다.
특정한 효과를 위해 참여 구성원이 선택되고, 특정한 효과를 위해 설계된 방식에서 SBSMAP에 스케줄될 수 있는 모듈러 형성 블록(modular building block)으로서 그룹을 이용하는 SBSMAP의 생성은, 매우 유연하고 고객화할 수 있는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특정한 통신망 장치 및 데이터 흐름에 대한 송신 기회의 할당의 제어에 대한 중요한 대책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스케줄링 방식 및 프로토콜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에 인코딩되고, 도표 형태로 표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의 테이블(3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SBSMAP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파라미터로는 ROW_Number(350), Device_ID(352), Group_Type(354), Flow_ID(356), Length(358) 및 TXOP_Number(360)이 있다. ROW_Number(350)은 SBSMAP 테이블 내의 각각의 행에 할당된 순차적인 일련 번호일 것이다. Device_ID(352)는 특정한 통신망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일 것이다. Group_Type(354)는 특정한 그룹 타입과 관련된 식별 번호일 것이다. Flow_ID(356)는 데이터 흐름과 관련된 식별 번호일 것이다. Length(358)는 TXOP에 할당된 듀레이션이고, TXOP_Number(360)는 각각의 순차적인 TXOP에 할당된 순차적인 일련 번호일 것이다.
암묵적인(implicit) SBSMAP 테이블의 예인 테이블(363)에서, 테이블 내의 각각의 행(365)은 SBSMAP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에 대응할 것이다. 이것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될 명시적인(explicit) SBSMAP 테이블에서의 경우와는 다를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통신망 장치 및 데이터 흐름과 서브-버스트 슬롯의 연관 관계 및 서브-버스트 슬롯의 소속 그룹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SMAP 테이블에 인코딩될 것이다. 특정한 통신망 참여자와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연관 관계는 파라미터 Device_ID(352) 및 Flow_ID(356)에 의해 정의될 것이다. 서브-버스트 슬롯은 이에 의해 특정 통신망 장치, 통신망 장치의 특정 그룹, 특정 데이터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의 그룹, 또는 특정 통신망 장치 또는 통신망 장치의 그룹으로 제한된 특정 데이터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의 그룹과 관련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내부 통신망 제어 및 할당 정의를 위해 임의의 값의 Device_ID(352) 및 Flow_ID(356)가 예약될 것이다. 예컨대, 미등록 장치를 포함한 모든 통신망 장치의 그룹에 대해서는 0의 Device_ID 값이 예약될 것이지만, 특정 통신망 장치 또는 통신망 장치의 그룹에 대해서는 1∼62의 Device_ID 값이 예약될 수도 있다. 임의의 Device_ID 1∼62에 대해, 0의 Flow_ID는 통신망 제어 흐름을 위해 예약되는 한편, Flow_ID 1∼63은 특정 흐름을 위해 예약될 것이다. 63의 Device_ID 값은 할당 정의를 위해 예약될 것이다. 63의 Device_ID와 함께, 특정 Flow_ID 값이 특정 스케줄링 방식을 트리거하기 위해 예약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7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그룹 소속, 즉 어느 서브-버스트 슬롯이 어느 타입의 그룹을 포함하는지는 Group_Type 파라미터(354) 내의 특정 값의 할당치를 통해 SBSMAP에 인코딩될 것이다. 각각의 그룹 타입은 특정 Group_Type 값에 관련될 것이다. 예컨대, Group_Type 값 "4"는 "고정형(fixed)" 그룹 타입과 관련될 것이며, Group_Type 값 "5"는 "순환형(rotated)" 그룹 타입과 관련될 것이며, Group_Type 값 "6"은 "반복형(repeated)" 그룹 타입과 관련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는, 테이블(363)에 의해 정의된 SBSMAP이 2개의 TXOP(T0, T1)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최초의 TXOP(T0)은 고정형 그룹인 하나의 그룹 j가 스케줄링되는 L0의 듀레이션을 갖는다. 그룹 j는 하나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하며, 이 서브-버스트 슬롯이 TXOP(T0) 내의 유일한 서브-버스트 슬롯이기 때문에, 그 듀레이션 또한 L0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테이블(363)에 의해 정의된 SBSMAP 내의 두 번째 TXOP는 길이가 L1인 T1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초기 모듈러 시퀀스(369)는 SBSMAP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듀레이션 L1 동안 스케줄된다. 도 7에는, 모듈러 시퀀스(369)가 2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갖는 순환형 그룹인 그룹 k와, 이에 후속하는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갖는 반복형 그룹인 그룹 l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TXOP(T1) 내의 초기 모듈러 시퀀스(369)의 최초의 스케줄링 후에, 그룹 l은 TXOP 길이 L1의 듀레이션 동안 반복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SBSMAP은 등록 서브-버스트 슬롯(a registration sub-burst slot)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등록 서브-버스트 슬롯 동안에, 새로운 장치가 통신망(100)에 추가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그룹 j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자신의 Device_ID가 0이고, Flow_ID가 63이기 때문에, 등록 서브-버스트 슬롯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0"의 일례의 Device_ID 값은 미등록 장치를 포함한 "모든 장치"를 나타내고, 63의 일례의 Flow_ID 값은 등록 서브-버스트 슬롯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이, 등록 서브-버스트 슬롯에 대한 액세스는 경쟁 기반(contention-based)일 수도 있으며,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더 높은 레벨의 프로토콜이 재시도(retry)를 처리할 것이다.
통신망 대역폭 오버헤드는, 길이가 긴 등록 TXOP를, 예컨대 서브-버스트 슬롯과 같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대역폭의 최소치를 점유할 더 짧은 등록 타임-슬롯으로 대체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그룹 타입이 나열될 일례의 Group_Type 테이블(370)을 도시하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Group_Type 테이블(370)에는, 추가의 기술 파라미터(descriptive parameter)가 Group_Type 값(354)과 함께 나열되어 있다. 테이블(3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Group_Type 값에 대하여 테이블(370)에 제공된 파라미터는 TX 폴리시(TX_Policy)(372), 그룹 방식(Group_Scheme)(374) 및 설명(Description)(376)이다.
도 8로부터, 그룹 타입 "0"의 TX 폴리시(policy)는 "스테이트(state)"인 한편, 그룹 타입 "4", "5" 및 "6"의 TX 폴리시는 "에지(edge)"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테이트" TX 폴리시는, 이 TX 폴리시를 갖는 송신 기회가, TXOP 동안의 어느 때에도 그 TXOP와 관련된 통신망 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이 발생할 수도 있는 종 래 기술의 TXOP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에지" TX 폴리시는 이 TX 폴리시를 갖는 송신 기회가,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된 통신망 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이 서브-버스트 슬롯의 초기의 수 ㎲ 동안에 발생해야 하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서브-버스트 슬롯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룹 타입 "0"의 설명에 포함된 "충돌 검출(CD : Collision Detection) 방법"이라는 표현과, 그룹 타입 "4", "5" 및 "6"의 설명에 포함된 "서브-버스트(SB) 슬롯 방법"이라는 표현은, 각각 "0"의 Group_Type과 관련된 송신 기회가 종래 기술의 TXOP이고, 그룹 타입 "4", "5" 및 "6"과 관련된 송신 기회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서브-버스트 슬롯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그룹 타입 "0"은, 이 그룹 타입과 종래 기술의 연관 관계 및 테이블(370)과 본 발명, 즉 서브-버스트 슬롯의 그룹을 포함하는 SBSMAP의 연관 관계 때문에,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370)에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SBSMAP이,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TXOP와 함께, 종래 기술의 TXOP를 포함할 것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그룹 타입 "0"는 테이블(370)에 포함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을 정의하는 명시적 SBSMAP 테이블(470)을 나타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례의 명시적 SBSMAP 테이블(470)에서, 각각의 행은 스케줄된 서브-버스트 슬롯에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룹 내의 모든 서브-버스트 슬롯의 듀레이션을 합한 것보다 짧게 될 수 있는 그 그룹에 할당된 듀레이션을 정의하기 위해, 그룹의 최종 그룹 멤버에 속하는 행의 다음에, 명시적 그룹 세퍼레이터(explicit group seperator)로서 동작하는 추가의 행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더 짧은 듀레이션은 그룹의 멤버 전부에 대해서가 아니라 그룹의 멤버의 일부에 대해 서브-버스트 슬롯을 스케줄링하기에 충분하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명시적 그룹 세러페이터에 의해 그룹에 할당된 듀레이션은 그룹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전부의 듀레이션을 합한 것보다 더 길게 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63의 Device_ID 값 및 63의 Flow_ID 값은 행 462, 473, 474 및 475을 명시적 그룹 세퍼레이터 행으로서 식별한다. 따라서, 테이블(4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j는 그 그룹 멤버 서브-버스트 슬롯 듀레이션의 전부의 디폴트 누적 듀레이션이 아닌 D0의 대역폭 듀레이션이 명시적으로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TXOP(T1)에서, 그룹 k의 최초의 스케줄링인 k1는 D1의 대역폭 듀레이션으로 명시적으로 할당되며, 그룹 m은 D2의 대역폭 듀레이션이 명시적으로 할당되며, 그룹 k의 두 번째 스케줄링인 k2는 D3의 대역폭 듀레이션이 명시적으로 할당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의 타이밍도(650)를 예시하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의 다이아그램 Dj, Dk 및 Dm은 그룹 j, k 및 m과의 서브-버스트 슬롯 소속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일례의 타이밍도(650)는 도 9의 SBSMAP(470)에 스케줄된 2개의 TXOP(T0, T1)의 각각의 2회의 반복을 나타내며, 타이밍도(650)에 도시된 4개의 TXOP는 T01, T11, T02 및 T12이다.
각각 T01 및 T02에 스케줄되는 타이밍도(650)의 j-T01 및 j-T02 에 도시된 그룹 j의 2개의 스케줄링에서, 그룹 j의 스케줄링에 할당된 듀레이션 D0이 그룹 j의 4개의 그룹 멤버 중 3개의 스케줄링을 허용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이밍도(6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1" 및 "2"로 표시된 그룹 j 내의 최초의 3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그에 따라 그룹 j의 최초의 스케줄링 j-T01에서 스케줄링된다. 그룹 j의 두 번째 스케줄링 j-T02에서, 4번째 및 최종 그룹 멤버가 그룹 j 내의 "3"으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된다면, j-T01에서의 스케줄링이 종료되는 지점에서 스케줄링 시퀀스가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라운드의 시퀀스가 완료되었을 때, j-T02에 스케줄된 최초의 서브-버스트 슬롯 후에, j-T02 내의 두 번째 서브-버스트 슬롯 위치에의 서브-버스트 슬롯 "0"의 스케줄링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시퀀스가 재개된다. 최초 멤버에서부터 최종 멤버까지의 그룹 멤버의 시퀀스를 거쳐 다시 최초의 그룹 멤버로 복귀하여 다시 시작되는,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순환적 처리가 다이아그램 Dj에 예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j-T01 및 j-T02에서 그룹 j에 대해 스케줄된 서브-버스트 슬롯의 전체 시퀀스는 "0,1,2,3,0,1"인 것으로 나타내져 있다.
테이블(470)(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OP(T1)에서 그룹 k의 제1 및 제2 스케줄링에 각각 할당된 듀레이션 D1 및 D3와, 그룹 m의 스케줄링에 대해 할당된 듀레이션 D2에 대하여, 도 10에서의 대응하는 타이밍도(650)로부터, 듀레이션 D1 및 D3는 각각 그룹 k의 5개의 그룹 멤버 중에서 3개의 스케줄링을 허용하기에 충분하고, 듀레이션 D2는 그룹 m의 6개의 그룹 멤버 중에서 4개의 스케줄링을 허용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룹 j와 마찬가지로 그룹 k 및 m의 멤버의 순서대로 순환하는 스케줄링이 각각 다이아그램 Dk 및 Dm에 도시되어 있다. 다이아그램 Dk에서는, k1-T11, k2-T11, k1-T12, 및 k2-T12에서의 그룹 k에 대해 스케줄된 서브-버스트 슬롯의 전체적인 시퀀스가 "0,1,2,3,4,0,1,2,3,4,0,1"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이아그램 Dm에서는, m-T11 및 m-T12에서 그룹 m에 대해 스케줄된 서브-버스트 슬롯의 전체 시퀀스가 "0,1,2,3,4,5,0,1"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이밍도(650)에서 동일한 번호에 의해 식별된 상이한 그룹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 즉 그룹 j와 m에서 "2"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동일한 통신망 참여자와 관련되지 않을 것이다. 타이밍도(650)에서 서브-버스트 슬롯을 식별하는 숫자가 그룹 시퀀스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안에는, 서브-버스트 슬롯이 관련되지 않은 통신망 참여자는 대응하는 SBSMAP 테이블(470)(도 9)에 나열된 바와 같이 그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된 Device_ID 및 Flow_ID 값들에 관련된 통신망 참여자가 된다. 예컨대, 그룹 m에 "1"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그룹 시퀀스에서 2번째 서브-버스트 슬롯이며, "0"으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의 뒤와 "2"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의 앞에 위치한다. 도 9의 SBSMAP 테이블(470)에서, 그룹 m에서의 제2 서브-버스트 슬롯은 테이블(470) 내의 행(13)과 관 련된 서브-버스트 슬롯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그룹 m에서 "1"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된 통신망 참여자는, 테이블(470)의 행(13)에 나열된 바와 같이 Device_ID "1" 및 Flow_ID "1"과 관련된 통신망 참여자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타이밍도(700)가 도시되어 있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어 액세스는 장치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우선순위에 따라 통신망 장치에 할당될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미디어 액세스 기회에 대해서는 높은 우선순위 송신이 제공될 것이며, 다른 미디어 액세스 기회에 대해서는 후속하여 낮은 우선순위 송신이 제공될 것이다. 어떠한 개수의 우선순위 레벨도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8개의 IEEE 802.1P 우선순위 레벨은, 예컨대 높음(H), 중간(M) 및 낮음(L)을 포함하는 3개의 레벨과 같이 8개의 미디어 액세스 우선순위보다 훨씬 작게 맵핑될 것이다. 이러한 8개의 우선순위 레벨 또는 또 다른 그룹의 우선순위 레벨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에 따라 상이한 그룹의 우선순위 레벨로 맵핑될 것이다.
도 11로부터, 서브-버스트 슬롯 "0,1,2,3"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그룹의 연속적인 반복이 공유된 TXOP(705)에 스케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OP(705) 내에 스케줄된 각각의 그룹은, 그룹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 기회 동안 이 레벨과 동등하거나 초과하는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만을 가능하게 하는 우선순위 레벨과 관련된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된 그룹 H1, H2, H3 및 H4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 기회는 높은 우선순위 레벨 H와 관련되며, 높은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스케줄된 그룹 M1 및 M2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기회는 중간 우선순위 레벨 M과 관련되고, 중간 우선순위 또는 높은 우선순위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스케줄된 그룹 L1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 기회는 낮은 우선순위 레벨 L과 관련되며, 어떠한 우선순위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BSMAP에 스케줄된 우선순위 소속 그룹의 순서는 높은 우선순위에서 낮은 우선순위로 내려간다. 도 11에는, TXOP(705)에 스케줄된 최초의 3개의 그룹이, 높은 우선순위 그룹 H1, 중간 우선순위 그룹 M1, 및 낮은 우선순위 그룹 L1의 순서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그룹 중의 하나가 스케줄된 후, 즉 그룹 L1의 스케줄링 후, 스케줄링 시퀀스는 그룹의 시퀀스에서의 최초의 그룹, 즉 높은 우선순위 그룹 H에 복귀하며, 그룹 H2는 네 번째 스케줄된 그룹의 위치에서 스케줄되는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SBSMAP 내의 그룹의 시퀀스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 그룹이 앞에 위치함으로써, 송신 후에 송신할 기회를 그룹의 시퀀스에서 최초의 그룹에 돌려주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전송후 스케줄링 방식에 의해, 더 높은 우선순위 그룹에 대해 정량적으로 바람직한 스케줄링 상태를 보장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H2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 "0" 동안의 송신 후, 중간 우선순위 그룹이 아닌 높은 우선 순위 그룹 H3가 스케줄된다. 그룹 H3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 "0" 동안의 송신 후에, 중간 우선순위 그룹이 아닌 높은 우선순위 그룹 H4가 스케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SMAP 내의 그룹의 시퀀스에서 높은 우선순위 그룹을 앞에 위치시키는 것은, 낮은 우선순위 그룹 대신에 높은 우선순위 그룹의 반복적인 스케줄링의 결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디어 액세스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더욱 효율적인 우선순위 기반 방식(priority-based scheme)에 따라 할당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이후에 참조할 도 12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타이밍도(7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케줄러(112)(도 3)는, 송신할 그 우선순위 레벨의 데이터 패킷을 갖고 있다는 것을 스케줄러(112)에게 알려주는 통신망 장치에 특정의 우선순위 레벨과 관련된 서브-버스트 슬롯을 스케줄할 것이다. 특정 우선순위 필요성을 스케줄러(112)에게 알려주지 못하는 통신망 장치는 스케줄러(112)에 의해 낮은 우선순위 서브-버스트 슬롯이 디폴트로 할당될 것이다. 그러므로, 미디어 액세스 기회는 그들이 요구되는 곳에의 할당을 위해 더욱 정확하게 예약될 것이고, 그들이 요구되지 않는 곳에서 낭비되지 않을 것이다.
통신망 장치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 패킷 우선순위에 따라 서브-버스트 슬롯 송신 기회를 할당하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러(112)(도 3)는 각 각의 장치에 의해 요청된 우선순위 레벨과 동일하거나 낮은 우선순위와 관련된 모든 그룹 내의 각각의 장치에 대해 서브-버스트 슬롯 송신 기회를 할당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서브-버스트 슬롯 "0" 및 "1"과 관련된 통신망 장치는 그들이 송신할 높은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갖고 있다는 것을 스케줄러(112)에게 통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0" 및 "1"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모든 우선순위의 그룹, 즉 "H", "H,M" 및 "H,M,L"으로 스케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브-버스트 슬롯 "2"와 관련된 통신망 장치가 송신할 중간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갖고 있다는 것을 스케줄러(112)에 통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중간 및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그룹, 즉 "H,M" 및 "H,M,L"으로 스케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브-버스트 슬롯 "3" 및 "4"와 관련된 통신망 장치와 같이 송신할 중간 또는 높은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갖고 있다는 것을 스케줄러(112)에게 통보하지 않은 통신망 장치는,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우선순위 그룹 "H,M,L"만으로 스케줄된다.
이러한 더욱 효율적인 우선순위 기반 방식에서는, 서브-버스트 슬롯 기회는 송신할 더 높은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갖지 못하는 장치에 대해 더 높은 우선순위의 기회가 낭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로부터, 그룹의 멤버의 수량(quantity)이 그룹의 우선순위의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는 능률적인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여기서 최고 우선순위 그룹 "H"는 2개의 멤버를 갖고, 다음으로 높은 우선순위 그룹 "H,M"은 3개의 멤버를 가지며, 최저의 우선순위 그룹 "H,M,L"은 5개의 멤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높은 우선순위 그룹은, SBSMAP 내의 그룹의 시퀀스에서 높은 우선순위 그룹을 앞에 위치시키는 것과, 송신 후 그룹의 시퀀스에서 최초의 그룹으로 복귀하는 송신후 방식에 의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정량적으로 바람직한 스케줄링을 얻을 것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도 12 내의 SBSMAP 내의 그룹의 초기 순서는, 도 12에서의 TXOP(755)에 그 순서의 그룹 H1, M1 및 L1의 스케줄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고 우선순위 그룹에서 최저 우선순위 그룹으로의 내림 차순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그룹의 시퀀스에서 최초의 그룹, 즉 최고 우선순위 그룹의 스케줄링으로부터 송신후 복귀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그룹 H2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 "0" 동안의 송신 후, 중간 우선순위 그룹이 아닌 높은 우선순위 그룹 H3가 스케줄된다. 도 11에서와 같이, 그 결과, 낮은 우선순위 그룹 대신에 더 높은 우선순위 그룹의 스케줄링이 반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 기회는 그룹 멤버에게 균등하게 할당되지 않고, 그룹의 멤버와 관련된 통신망 참여자의 대역폭 조건에 따라 할당될 것이다. 본 방법에서, 서브-버스트 슬롯 그리드 스케줄러(112)(도 3)는 각각의 참여자의 대역폭 조건에 비례하는 수량의 서브-버스트 슬롯 기회를 각각의 참여자에게 할당할 것이다.
그룹 내의 통신망 참여자에 대한 송신 기회의 불균등한 할당의 예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일례의 타이밍도(800)에 도시되어 있다. 타이밍도(800)에는 일련의 그룹 g가 스케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그룹 g는 서브-버스트 슬롯 "0,1,2,3,4,5"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각각 통신 참여자 1(DEV-1), 2(DEV-2) 및 3(DEV-3)에 대응하는 행 810, 812 및 8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그룹 g에 대해, 서브-버스트 슬롯 "0", "2" 및 "4"는 통신망 참여자 1과 관련되고, 서브-버스트 슬롯 "1" 및 "3"은 통신망 참여자 2와 관련되며, 서브-버스트 슬롯 "5"는 통신망 참여자 3과 관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통신망 참여자 대신에 특정 통신망 참여자에 대하여, 그들의 필요량에 따라 통신망 참여자에 의해 요청된 대역폭의 양의 변화를 고려하여, 송신 기회의 할당을 위한 차등(preference)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룹 g의 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 참여자 1, 2 및 3에 의해 요청된 대역폭의 비율은 각각 3:2:1인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통신망 참여자 1은 송신 기회의 절반이 할당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통신망 장치 2는 송신 기회의 2/6가 할당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통신망 장치 3은 송신 기회의 1/6이 할당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은 "기아 방지(starvation prevention)"를 위한 메카니즘을 포함할 것이다. 통신망 참여자는 예컨대 그들이 통신망 기회의 할당에 대하여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그룹에 속하여 있는 경우에는 송신 기회가 부족할 것이며, 송신 기회의 할당에 대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다른 그룹은 이러한 기회가 풍족하고, 공동의 TXOP를 전반적으로 독점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고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기아 방지 메카니즘은, 불리한 그룹에게 가끔 송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통신망 참여자의 기아를 방지할 것이다. 이러한 "와일드 카드" 송신 기회는, 불리한 그룹 내의 참여자가 라운드 로빈을 통해 송신 기회를 받을 수 있도록 불리한 그룹에 걸쳐 순환될 것이다.
도 14에서의 일례의 타이밍도(830)에는, 그룹 j 및 k가 타이밍도(830)와 관련된 SBSMAP에 따라 TXOP(835)에서 스케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룹 j가 TXOP(835)에서 5회 스케줄되고 있고, 그룹 k가 단지 2회 스케줄되고 있기 때문에, 그룹 k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 "0", "1", "2" 및 "3"과 관련된 통신망 참여자는, 그룹 j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 "0" 및 '1"과 관련된 통신망 참여자에 비해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이밍도(830)에서, 이러한 불균등의 원인은, SBSMAP에서 그룹 k에 비해 그룹 j가 앞에 있고, 각각의 송신 후에, 스케줄링이 SBSMAP 내의 그룹 "j,k"의 시퀀스에서의 최초의 그룹인 그룹 j로 개시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룹 j2에서의 송신 후, 그룹 j3가 스케줄되고, 그룹 j3에서의 송신 후, 그룹 j4가 스케줄되며, 그룹 j4에서의 송신 후, 그룹 j5가 스케줄되는 타이밍도(830)에서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룹 k에서의 서브-버스트 슬롯 "0", "1", "2" 및 "3"과 관련된 통신망 참여자는 그룹 j에 의한 TXOP(835)의 근접 독점으로 인해 송신 기회가 부족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송신 기회의 불균등한 배분의 대책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 내의 스케줄러(112)(도 3)에 의해 Next_Group 기회가 스케줄될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 Next_Group 기회 "N"은 그룹 j 시퀀스 "0,1" 이후에 그룹 j에 스케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룹 k에 속하는 다이아그램(8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xt_Group 기회는 그룹 k 내의 큐(queue)에서의 다음 참여자에 할당되는 추가의 서브-버스트 슬롯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그룹 k 서브-버스트 슬롯 송신 기회가 반복하는 연속 시퀀스 "0,1,2,3,0,1,2,3,0,1"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는 다이아그램(839)에 예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제6, 제7 및 제8 서브-버스트 슬롯 송신 기회는 그룹 j에 의해 그룹 k에 기부된 Next_Group 기회이다. 이에 의해, 그룹 k는 Next_Group 기회 방식을 통해 그룹 j에 의해 그룹 k에 증여된 송신 기회 때문에 송신 기회의 결여가 감소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참조되는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Next_Group 기회의 더욱 정밀한 구현이 송신 기회의 불균등한 분배를 정정하기 위한 대책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망 참여자 간의 송신 기회의 분배를 계산에 의해 정정하여, SBSMAP에서 스케줄된 최초의 그룹 내의 참여자가 그들이 요구하는 대역폭을 보장받게 될 뿐만 아니라, 후속 그룹 내의 참여자 또한 그들이 요구하는 대역폭을 보장받게 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폭 B의 양은 SBSMAP 내의 스케줄된 첫 번째 그룹에 할당될 것이다. 일례의 타이밍도(850)에서, 대역폭 B의 양은 SBSMAP 내의 최초 스케줄된 그룹인 그룹 j0에 할당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그룹 j 내에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역폭 B는 1/4씩 분할되어,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에 대역폭 B의 1/4이 할당될 것이다. 그룹 j0 내의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 "0", "1" 및 "2"와 관련된 각각의 통신망 흐름은 이에 의해 B/4의 최소 대역폭이 보장될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j 내의 4번째 서브-버스트 슬롯은 Next_Group 기회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Next_Group 기회 N0는, 하나 이상의 그룹 j0 송신 기회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적어도 대역폭 B의 1/4 또는 그룹 j0 서브-버스트 슬롯의 듀레이션 동안 이용되지 않은 잔여 대역폭의 거의 전부가 그룹 k0에 기증될 것이다.
도 15에서의 다이아그램(860)은 대역폭 B의 1/4만이 그룹 k0에 대한 Next_Group 기회 N0에 의해 보장되는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를 예시하고 있다. 그룹 k0 내의 5개의 참여자는, 대역폭 B/4가 다시 5등분으로 추가로 분할되어, 각각 B/20의 최소 대역폭이 보장된다. SBSMAP의 초기 모듈러 시퀀스(852)의 2개의 반복 Rep0 및 Rep1이, "순환"되는 그룹 k0의 그룹 타입에 따라 TXOP(855)에 스케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로부터, 초기 모듈러 시퀀스(852)의 추가의 반복이 순환형 그룹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TXOP 잔여분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TXOP(855)의 잔여 듀레이션에 대해 스케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 참조되는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 방식으로 통신망 흐름에 대해 미디어 액세스가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 방식에 따라, 통신망 서비스는 보장된 대역폭의 레벨을 변화시키기 위해 스케줄러(112)(도 3)와 협의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의 구성에 대한 도표인 테이블(905)을 도시하고 있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망 참여와 같은 서비스는 Device_ID(352) 및 Flow_ID(356)에 의해 각각 제공된 한 쌍의 고유한 값과 관련될 것이다. 이 정의에 따라, 도 18에서, 서브-버스트 슬롯 "1", "8" 및 "12"가 1의 Device_ID 값과 1의 Flow_ID 값을 갖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서브-버스트 슬롯 "2", "4", "6", "9" 및 "13"이 2의 Device_ID 값과 1의 Flow_ID 값을 갖는 상이한 서비스와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evice_ID 및 Flow_ID 파라미터에 대해 한 쌍의 동일한 값을 갖는 것으로서 SBSMAP(905)에 나열된 서브-버스트 슬롯은 마찬가지로 그 쌍의 값으로 식별되는 서비스와 관련될 것이다.
SBSMAP 테이블(905)에 나타나 있는 17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이 SBSMAP 테이블(905)에 의해 정의된 SBSMAP에 그룹화된 그룹들은 또한 테이블 데이터로 인코딩된다. 점선 9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j는 순환형 그룹을 나타낼 수도 있는 값인 5의 Group_Type 값을 갖는 최초 3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한다. 점선 91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k는 반복형 그룹을 나타낼 수도 있는 값인 6의 Group_Type 값을 갖는 다음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점 선 916은 그룹 l이 5의 Group_Type 값을 갖는 다음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며, 그룹 m은 6의 Group_Type 값을 갖는 다음 6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으로 TXOP T0에 할당된 그룹 시퀀스를 마감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SBSMAP 내의 그룹의 시퀀스에서의 최종 그룹의 그룹 타입만이 그 그룹의 시퀀스가 할당되는 TXOP의 잔여분에 대한 그룹 스케줄링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도 있는, 도 16에서의 테이블(905)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SBSMAP에서, SBSMAP 테이블 내의 각각의 행에 할당된 그룹 타입 값은 시퀀스 내의 그룹을 서술하기 위한 세퍼레이터로서 작용할 것이며, 이러한 그룹 타입 값은 시퀀스 내의 최종 그룹을 제외하고는 SBSMAP 내의 스케줄링 프로토콜을 지시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그룹 j, k 및 l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에 할당된 "5" 및 "6"의 교번하는 그룹 타입 값은 그룹 스케줄링 프로토콜이 아니라 각각의 그룹과 소속된 서브-버스트 슬롯을 식별하도록 작용한다. 즉, 하나의 그룹 타입 값에 할당되는 테이블 내의 최초의 3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여기에서는 그룹 j인 하나의 그룹에 소속되며, 상이한 그룹 타입 값에 할당되는 다음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여기서는 그룹 k인 또 다른 그룹에 소속되며, 이하 동일한 양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최종 그룹인 그룹 m의 그룹 타입만이 공유 TXOP 내의 그룹 스케줄링 프로토콜을 지시한다.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각각의 통신망 서비스는 대역폭, 레이턴시 및 지터 등의 미디어 액세스 파라미터에 관해 스케줄러와의 협의를 행할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 스케줄러는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스케줄러의 능력에 따라 보장된 레벨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요청에 동의할 것이다. 서비스 요청을 충족하기 위한 스케줄러의 능력은 요청 시의 통신망에 대한 수요에 좌우될 것이다. 통신망 서비스는 스케줄러가 이들 서비스에게 최소의, 평균의, 최대의 또는 최상의 성과의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요청할 것이다.
최소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에 대한 서비스 요청은, 통신망 서비스에 의한 최소 레벨의 요청이, 그 서비스가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이 레벨의 대역폭을 요구한다는 것을 나타낼 것이기 때문에, 스케줄러(112)(도 3)에 의한 스케줄링을 위해 최고의 우선순위가 주어지는 대역폭 조건 요청(bandwidth requirement request)이 될 것이다. 서비스가 이러한 최소 대역폭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송신을 수행하지 못할 것이다. 평균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에 대한 서비스 요청은, 스케줄러에 의한 스케줄링을 위해 다음으로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지는 대역폭 조건이 될 것이며, 그 다음에는 최대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을 위한 서비스 요청이 뒤따르고, 그 다음에는 최상의 성과의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을 위한 서비스 요청이 뒤따른다.
전술한 대역폭 할당 계층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 방식에 따라 스케줄된 TXOP 내의 최초의 그룹은 최소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을 요청하는 서비스, 즉 최고 품질의 서비스를 위한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TXOP 내의 두 번째 그룹은 평균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을 요청하는 서비스, 즉 다음으로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위한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할 것이며, TXOP 내의 세 번째 그룹은 최대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을 요청하는 서비스, 즉 3번째로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위한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할 것이며, TXOP 내의 마지막 그룹은 최상의 성과의 레벨의 보장된 대역폭을 요청하는 서비스, 즉 최저 품질의 서비스를 위한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도 16에서, 그룹 j 내의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된 각각의 서비스가 최소 대역폭 레벨을 보장하는 송신 기회를 요청하여 스케줄러로부터 수신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으로부터, 그룹 j 내의 3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그룹에 대한 60 Mbps의 이용 가능성에 의해, 그룹 j 서브-버스트 슬롯의 각각에서 각각의 서비스에 할당된 대역폭은 20 Mbps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으로부터, 통신망 서비스에 상이한 레벨의 대역폭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 방식에서 Next_Group 기회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보장된 대역폭 방식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에서는,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이 보장된 양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의 보장된 양의 대역폭을 다음 그룹에 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 방식에서 Next_Group 기회가 이용될 수 있다. 수혜자인 다음 그룹 내의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결과적으로 이전된 대역폭의 일부분이 보장될 것이다. 이전된 대역폭의 일부분은 이전된 대역폭의 양을 다음 그룹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수로 분할한 것이 될 것이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 가능한 60 Mbps을 그룹 j 내의 3개 의 서브-버스트 슬롯 간에 분할하면, 20 Mbps의 최고 우선순위 보장된 최소 대역폭이 그룹 j 내의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에 제공되며, 각각의 서브-버스트 슬롯 중의 하나가 Next_Group 기회(918)가 된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Next_Group 기회는 그들에게 할당된 각각 63의 Device_ID 값과 0의 Flow_ID 값에 의해 식별될 것이다. Next_Group 기회는 대각 사선 및 도면 부호 918, 920, 922 및 924에 의해 테이블(905)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Next_Group 기회(918)는 적어도 이러한 20 Mbps를 전달하며, 그룹 j에서 이용되지 않은 대역폭의 전부를 그룹 k에게 전달한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SBSMAP 내의 두 번째 그룹인 그룹 k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의 각각과 관련된 통신망 서비스의 각각이 평균 대역폭 레벨을 보장하는 송신 기회를 요청하여 스케줄러(112)로부터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보장된 평균 대역폭 레벨은, 그룹 j에 의해 그룹 k에 전달된 20 Mbps를 그룹 k 내의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에 의해 분할한 것과 동일한 5 Mbps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SBSMAP 내의 세 번째 그룹 l에 대해,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보장된 최대 대역폭 레벨은, 그룹 k 내의 Next_Group 기회(920, 922)에 의해 그룹 l에 전달된 10 Mbps를 그룹 l 내의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에 의해 분할한 것과 동일한 2.5 Mbps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고 도 16을 참조하여 예시되어 있는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 방식은, 스케줄러(112)(도 3)로 하여금 임의의 소정 시간에 통신망의 한계에 놓여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 그 네트워크 서비스에 상이한 레벨의 대 역폭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Next_Group 기회의 구현을 통해, 하나의 그룹에서 미사용된 잔여 대역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후속 그룹에 전달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대역폭의 매우 효율적인 이용이 달성될 것이다. 그러므로, 통신망 참여자가 사용하기 위해 준비할 대역폭이 전혀 낭비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사용은 최소의 MAP의 주기적인 사용에 의해 더욱 향상될 것이다. 최소의 MAP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에 포함될 Next MAP 기회 서브-버스트 슬롯 동안의 송신 사이클로 제공될 것이다.
길이가 긴 송신 사이클이 통신망을 통한 MAP 발표(advertisement)를 위한 대역폭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등의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에 대해 특정한 장점을 제공할 것이기는 하지만, 길이가 긴 인터럽트되지 않은 송신 사이클의 단점은 여전할 것이다. 통신망은, 특정 미디어 액세스 플랜에 전념하는 동안에는, 통신망 상의 긴급 상황에 반응할 수 없다.
예컨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 서비스가 보장된 대역폭을 위해 스케줄러(112)(도 3)와 협의하는 동안에는 시간 및 대역폭이 낭비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SBSMAP 내에 스케줄된 Next MAP 기회 서브-버스트 슬롯은, 스케줄러로 하여금 현재의 MAP을 신속하게 인터럽트하고 다음 MAP으로 이전하도록 하는 기회의 창(window)을 구성할 것이다. 이 특징은 원래의 MAP이 그 과정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낭비될 시간 및 대역폭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 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Next MAP 기회의 구현예가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7a에 도시된 일례의 SBSMAP에 대한 일례의 타이밍도(950)에서는, 각각 3개와 4개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갖는 그룹 j와 k가 TXOP(955)의 듀레이션에 걸쳐 스케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룹 j는 문자 "N" 및 사선으로 나타내진 Next_Group 기회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하며, 그룹 k는 원으로 둘러싸인 기호 "M"에 의해 나타내진 Next_Map 기회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한다. 도 17a로부터, Next_Group 기회(960) 동안, 그룹 j는 화살표 965에 의해 나타내진 바와 같이 그룹 k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 "0"과 관련된 참여자인 다음 그룹에서의 큐 내의 첫 번째 참여자에 송신 기회를 넘겨준다. 도 17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서브-버스트 슬롯 동안에는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다.
Next_Map 기회 서브-버스트 슬롯(962) 동안, 스케줄러(112)는, 현재의 TXOP(955)를 인터럽트하여, 다음 MAP 내에 스케줄된 최초의 그룹으로 새로운 TXOP를 시작하기 위해, 기회를 가질 것이다. 도 17a에서, 스케줄러(112)는 TXOP를 인터럽트하고 다음 MAP을 송신하기 위해 Next_Map 기회(962)를 넘겨준다. 유사하게, 송신 기회가 화살표 966에 의해 나타내진 바와 같은 Next_Group 기회 동안 그룹 j에서 그룹 k로 이전되는 때에 발생하는 Next_Map 기회(964) 동안, 스케줄러(112)는 기회에 대해 동작하지 못한다.
타이밍도(950)가 도 17a에 도시되어 있는 SBSMAP과 동일한 SBSMAP의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또 다른 예의 타이밍도(950')를 도시하고 있는 도 17b를 참조 하여 설명한다. 타이밍도(950')로부터, 스케줄러(112)는 TXOP T0 내의 최초의 Next_Map 기회(962)를 역시 건너뛰지만, 두 번째 Next_Map 기회(964)에 대해서는 동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7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XOP T0는, 스케줄러(112)가 다음 맵의 송신을 개시하는 도면 부호 968로 나타낸 바와 같은 이 지점에서 인터럽트된다. 따라서, 이 송신에 후속하는 IFG 이후에, TXOP T1이 도면 부호 969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시된다.
복수-점유 유닛(MTU : multi-tenant unit) 또는 복수-거주 유닛(MDU : multi-dwelling unit) 내에 구현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MxU(MDU 또는 MTU)에서, 마스터 장치는 마스터 장치와 이들 유닛의 각각의 엔드포인트(EP) 간에 동작하는 캐리어 감지에 의해 이들 유닛 내의 엔드포인트의 전부와 통신할 수 있다. MxU에서, 각각의 유닛은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를 가질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각각의 장치, 즉 마스터와 각각의 엔드포인트는 미디어 액세스를 보장하기 위해 별도의 TXOP를 갖는다. 이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미디어 액세스 플랜을 발표하기 위해 마스터에 대해 미디어 액세스가 보장되며, 데이터 송신을 위해 엔드포인트에 대해 미디어 액세스가 보장된다.
유닛당 단지 하나의 엔드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유닛을 위한 MxU가 요구되고, 유닛당 둘 이상의 엔드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매우 많은 수의 엔드포인트를 위한 MuX가 요구되는, 종래 기술의 복수의 개별 TXOP는, 큰 오버헤드 및 상당한 대역폭 낭비를 갖는 비효율적인 통신망의 결과로 나타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uX 내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활용하는 더욱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고, 마스터와 모든 엔드포인트 간에 캐리어 감지가 존재하는 MuX에서 작동되는, SBSMAP에 대한 일례의 송신 사이클에 대한 타이밍도의 일례인 타이밍도(9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망 장치의 전부가 단일의 공유된 TXOP T0에 참여할 것이다.
마스터와 모든 엔드포인트 간에는 캐리어 감지가 존재하지만, 엔드포인트의 전부 간에 캐리어 감지가 존재하지는 못하는 MxU에서, 캐리어 감지가 존재하는 엔드포인트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공유된 TXOP에 참여할 것이다. 타이밍도(98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유된 TXOP(T1, T2, T3)의 각각은 캐리어 감지가 존재하는 엔드포인트의 그룹에 대해 작용할 것이다.
서브-버스트 슬롯을 갖는 공유 TXOP는 TCP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통신망에서 구현되어, 이하에서 참조되는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대해 더욱 효율적인 대역폭 이용을 발생할 것이다. TCP 프로토콜은 타이밍도(99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TCP DATA)에 후속하여 송신 확인응답(TAP ACK)이 이루어지는 양방향 프로토콜이다. 각각의 방향은, 각각 통신망 장치 DEV-1에 의한 TCP 데이터 송신과, 통신망 장치 DEV-2에 의한 TCP 확인응답을 보여주고 있는 다이아그램(991, 99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신의 전용 TXOP를 갖는다.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이 확인응답될 때까지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가 존재할 것이다. 데이터 패킷은, 송신이 확인응답되지 않아 패킷이 다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저장될 것이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P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통신망은 TCP 윈도우(991)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버퍼의 한계로 인해 낮은 효율의 처리량을 가질 것이다. 제한된 TCP 윈도우(991)의 결과로, 대역폭 부분(WD1, WD2)가 낭비될 것이며, 그 결과 라운드-트립(round-trip) 시간(RTT)을 길게 할 것이다. 또한, 도 19a로부터, 최소의 TCP ACK 트래픽이 ACK 스트림을 위해 할당된 대역폭을 충분히 이용하지 않아, 추가의 낭비된 대역폭 부분(WA1, WA2)을 초래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낭비된 대역폭의 양의 관점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TCP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통신망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을 갖는 공유 TXOP(995)의 구현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 Dev-1가 SBSMAP 내의 "1"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과 관련될 것이고, TCP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들 서브-버스트 슬롯을 이용할 것이다. 확인응답 트래픽을 위해, 제2 장치 Dev-2가 SBSMAP 내의 "2"로 표시된 서브-버스트 슬롯을 활용할 것이다. 도 19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브-버스트 슬롯 송신 기회의 구현을 통해, TCP 데이터 송신은, 대역폭의 낭비 없이, 타이밍도(997)에서 송신 듀레이션 LD1, LD2 및 LD3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요구된 정확한 양의 시간 동안 송신 매체를 점유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확인응답 듀레이션 LA1, LA2 및 LA3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TCP 확인응답 송신은, 대역폭의 낭비 없이, 요구된 정확한 양의 시간 동안 송신 매체를 점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TCP 데이터 및 확인응답 송신이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필요한 만큼 공유 TXOP 내의 TXOP 기회를 점유할 것이다. 총 라운드-트립 시간(RTT) 또한 최소가 될 것이며, 공유된 매체가 아닌 장치의 실제 RTT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되어 작동되는 SBSMAP은 서브-버스트 슬롯을 포함할 수도 있는 임의의 수의 TXOP를 포함할 것이다. 서브-버스트 슬롯은 데이터 흐름 우선순위, 장치 우선순위 또는 서비스 품질(QoS) 조건 등의 다양한 파라미터에 따라 그룹화될 것이다. 그룹 내의 서브-버스트 슬롯은 어떠한 알고리즘에 따라 순서가 정해질 것이며, TXOP 내의 그룹 또한 어떠한 알고리즘에 따라 순서가 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을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다수의 수정, 대체, 변경 및 등가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변경들은 모두 본 발명의 실질적인 기술 사상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7)

  1.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으로서,
    개시 슬롯의 큐를 포함하는 미디어 액세스 플랜(Media Access Plan, MAP)을 스케줄링하여 송신 개시 그리드(grid)를 복수의, 상기 큐를 수신하는 통신망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개시 슬롯은 상기 수신하는 통신망 참여자 중 하나에 할당된 송신 개시 기회(transmission initiation opportunity)를 나타내고,
    각각의 상기 개시 슬롯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의 버스트 듀레이션(minimal burst duration)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수용하도록 확장 가능한,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데이터 송신에 후속하여 상기 그리드의 타이밍을 재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공유된 송신 기회(TXOP) 내의 상기 개시 슬롯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된 TXOP의 시작점(beginning)에서 시작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의 버스트 듀레이션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에 충분한,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의 버스트 듀레이션의 길이는 가변적인,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개시 슬롯의 각각을 복수의 상기 통신망 참여자 중의 하나 이상과 관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개시 슬롯을 모듈러 그룹(modular group)으로 조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각각에 복수의 그룹 타입 중의 하나를 관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 및 상기 모듈러 그룹의 시퀀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초기 모듈러 그룹 시퀀스(initial modular group sequence)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모듈러 그룹 시퀀스 내의 최종 스케줄된 그룹의 그룹 타입은, 상기 초기 모듈러 그룹 시퀀스 다음에 스케줄된 그룹의 후속 시퀀스를 결정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각각에 우선순위 레벨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통신망 참여자에게 상이한 수량의 상기 개시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수량은 상기 통신망 참여자의 대역폭 요청에 비례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하나 이상에 대해 스케줄링될 상기 개시 슬롯의 수량을 정의하기 위해, 특정한 개수의 개시 슬롯을 갖는 상기 모듈러 그룹의 하나 이상에 명시적 그룹 세퍼레이터(explicit group separator)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시 슬롯의 수량은 상기 특정한 개수와는 상이한,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하나 이상에서, 후속의 상기 모듈러 그룹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다음 그룹 기회 개시 슬롯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개시 슬롯에 대역폭의 양을 균등하게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상기 개시 슬롯에 대역폭의 양을 균등하게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시 슬롯의 하나 이상이 상기 다음 그룹 기회 개시 슬롯 중의 하나인,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 중의 하나 이상에서, 상기 스케줄을 인터럽트하기 위한 다음 맵 기회 개시 슬롯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0. 복수의 통신망 장치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는 복수의 개시 슬롯을 가지는 큐를 포함하는 MAP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통신망과 관련된 상기 개시 슬롯 중 하나 동안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송신을 계속하는 송신기; 및
    상기 MAP에 후속하고, 상기 큐가 상기 통신망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완료 및 다른 데이터 송신의 완료로부터 계속하도록 조정하는 그리드 얼라이너(grid aligner)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개시 슬롯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의 버스트 듀레이션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수용하도록 확장 가능한,
    통신망 장치.
  21.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으로서,
    통신망 참여자에게, 상기 통신망 참여자가 요청한 대역폭의 양에 비례하여 늘일 수 있는(stretchable) 송신 개시 기회(TXIOP)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TXIOP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의 버스트 듀레이션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수용하도록 확장 가능한,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그룹의 상기 송신 개시 기회 간에 대역폭의 양을 균등하게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내의 상기 기회 중의 하나 이상이 다음 그룹 기회인,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HPNA 통신망인,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4. 복수의 통신망 장치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는 복수의 개시 슬롯을 가지는 큐를 포함하는 MAP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MAP에 후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개시 슬롯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의 버스트 듀레이션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수용하도록 확장 가능하고,
    상기 MAP에 후속하는 단계는,
    상기 개시 슬롯과 관련되는 상기 데이터 송신에 대해 리스닝(listening)하는 단계;
    할당된 상기 개시 슬롯 동안 상기 데이터 송신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종료로부터 계속하도록 상기 MAP의 상기 큐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망 장치와 관련되는 개시 슬롯 동안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송신을 계속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송신의 완료로부터 계속하도록 상기 큐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개시 슬롯의 시작점에서 상기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은 처음 2 내지 4 μs의 타임 슬롯 내에 있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타입의 각각은 고정형(fixed), 순환형(rotated) 및 반복형(repeated) 중의 하나 이상인,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2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타입의 각각은, 송신 후에 어느 개시 슬롯이 스케줄링 되었는지 지시하는 송신후 스케줄링 프로토콜(post-transmission scheduling protocol)과 관련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타입의 각각은, 그룹의 스케줄된 시퀀스를 지시하는 그룹 스케줄링 프로토콜(group scheduling protocol)과 관련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스케줄된 시퀀스에 할당된 시간의 듀레이션은, 상기 모듈러 그룹 내의 상기 개시 슬롯의 듀레이션의 합계보다 긴,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MAP의 엔트리(entry)에 대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통신망 참여자 중의 하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 번호;
    상기 그룹 타입 중의 하나와 관련되는 그룹 타입 번호;
    데이터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 흐름 식별 번호;
    각각의 순차적인 송신 기회(TXOP)에 할달된 TXOP_번호; 및
    상기 TXOP의 길이를 나타내는 TXOP 길이
    를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슬롯 중의 하나 이상은 등록 타임 슬롯(a registration time slot)인,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그룹의 각각은 우선순위 레벨과 관련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특정한 개수의 개시 슬롯을 갖는 상기 모듈러 그룹의 하나 이상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에 대해 스케줄링될 상기 개시 슬롯의 상이한 개수를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하나 이상 내에 다음 그룹 기회 개시 슬롯(next group opportunity initiation slot)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모듈러 그룹의 하나 이상 내에 다음 맵 기회 개시 슬롯(next map opportunity initiation slot)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장치를 위한 방법.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087008201A 2005-09-06 2006-08-10 공유되어 있는 통신망에 대한 충돌 회피 미디어 액세스방법 KR101236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18,708 2005-09-06
US11/218,708 US9413550B2 (en) 2005-09-06 2005-09-06 Collision avoidance media access method for shared networks
PCT/IL2006/000929 WO2007029229A2 (en) 2005-09-06 2006-08-10 Collision avoidance media access method for shared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809A KR20080068809A (ko) 2008-07-24
KR101236294B1 true KR101236294B1 (ko) 2013-02-22

Family

ID=3783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201A KR101236294B1 (ko) 2005-09-06 2006-08-10 공유되어 있는 통신망에 대한 충돌 회피 미디어 액세스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13550B2 (ko)
EP (1) EP1922843B1 (ko)
KR (1) KR101236294B1 (ko)
CN (1) CN101292468B (ko)
ES (1) ES2530783T3 (ko)
IL (1) IL177415A (ko)
WO (1) WO20070292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8757B1 (en) 2001-02-20 2007-11-20 At&T Corporation Enhanced channel access mechanisms for an HPNA network
US7545796B2 (en) * 2006-03-15 2009-06-09 Coppergate Communications Ltd. Shared medium CA/CSMA robustness
KR101272965B1 (ko) * 2006-08-11 2013-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에서 멀티 채널을 이용한 전력 절약 방법 및장치
US8638726B2 (en) * 2006-11-08 2014-01-28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predefined reference map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7742495B2 (en) 2006-11-20 2010-06-22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packets over a network of communication channels
US7729321B2 (en) * 2007-02-21 2010-06-0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Nearly collision-free channel access system and method
US8385272B2 (en) * 2007-10-24 2013-02-26 Hitachi, Ltd. System and method for burst channel access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8559365B2 (en) 2007-10-30 2013-10-15 Coppergate Communications Ltd. After transmission return signal
US8155107B2 (en) * 2007-10-30 2012-04-10 Sigma Designs Israel S.D.I Ltd. Current position transmission in a shared robust scheme
US9112717B2 (en) 2008-07-31 2015-08-18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oCA power management strategy
JP5537022B2 (ja) 2008-12-18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9325618B1 (en) 2008-12-31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anagement of shared transmission opportunities
US8553547B2 (en) 2009-03-30 2013-10-08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ansmitting packets over a network of communication channels
GB2470190B (en) * 2009-05-11 2011-07-13 Nexeon Ltd A binder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ells
KR101208275B1 (ko) * 2009-11-13 2012-1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KR101108957B1 (ko) * 2009-11-16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그룹 자원 할당 방법
US9385782B1 (en) 2010-01-08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 nodes
US9480000B2 (en) * 2012-04-17 2016-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WO2015143668A1 (en) * 2014-03-27 2015-10-0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transmission opportunit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289824B1 (en) * 2015-05-01 2020-07-08 NXP USA, Inc. Transmission opportunity ownership transfer and extens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4426A1 (en) * 2003-03-17 2004-09-23 Harry Tan Quality packet radio service for a general packet radio system
US6891810B2 (en) * 2001-01-19 2005-05-10 Raze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ing multiple modulation formats in TDD frames according to subscriber service typ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734A (en) * 1993-01-29 1994-12-06 Digital Ocean, Inc.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
US5553095A (en) 1993-04-28 1996-09-03 Allen-Bradley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different classes of data during different time intervals
JP2804258B2 (ja) * 1995-12-12 199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通信装置
US6484027B1 (en) * 1998-06-15 2002-11-19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Enhanced wireless handset, including direct handset-to-handset communication mode
US6996088B1 (en) * 1998-09-18 2006-02-07 Harris Corporation Distributed trunking mechanism for VHF networking
AU3892200A (en) 1999-03-19 2000-10-09 Broadcom Corporation Home phone line network architecture
US6654957B1 (en) * 1999-10-26 2003-11-25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Real time device polling for multiplexed transmission
US7050458B1 (en) * 1999-10-28 2006-05-23 Tioga Technologies Ltd. Efficient framing for ADSL transceivers
KR20010056722A (ko) * 1999-12-16 2001-07-04 서평원 이동 교환 시스템에서 데이터 호에 대한 프레임 릴레이채널 할당 방법
WO2001056182A1 (en) * 2000-01-31 2001-08-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ome networking over phone lines
US7046678B2 (en) * 2000-02-18 2006-05-16 At & T Corp. Channel efficiency based packet scheduling for interactive data in cellular networks
US7110380B2 (en) * 2001-02-07 2006-09-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bandwidth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03036837A1 (fr) 2001-10-19 2003-05-01 Linkair Communications, Inc. Procédé de transfert en synchronisation en cdma
JP3916953B2 (ja) * 2001-12-28 2007-05-23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可変時分割多重伝送システム
US7684380B2 (en) * 2002-01-22 2010-03-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synchronous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7724764B2 (en) * 2002-04-23 2010-05-25 Coppergate Communications Ltd. Adaptive synchronous media access protocol for shared media networks
US6999433B2 (en) * 2002-10-17 2006-02-14 Coppergate Communication Ltd. Method of reducing near-end crosstalk in an MxU networking architecture
US20080008202A1 (en) * 2002-10-31 2008-01-10 Terrell William C Router with routing processors and methods for virtualization
US20040117076A1 (en) * 2002-12-02 2004-06-17 Canac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locomotives using a TDMA communication protocol
EP1622794A1 (en) * 2003-05-06 2006-02-08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Timeslot sharing over different cycles in tdma bus
JP4391316B2 (ja) * 2003-07-31 2009-12-2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レスlan用のメディア・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装置
US8315271B2 (en) * 2004-03-26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ho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554966B2 (en) * 2004-05-25 2009-06-3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for combining multiple frames of data into a single medium access
US8401018B2 (en) * 2004-06-02 2013-03-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US7822060B2 (en) * 2004-07-14 2010-10-26 Coppergate Communications Ltd. Maximal resource utilization in networks
US7545796B2 (en) * 2006-03-15 2009-06-09 Coppergate Communications Ltd. Shared medium CA/CSMA robust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1810B2 (en) * 2001-01-19 2005-05-10 Raze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ing multiple modulation formats in TDD frames according to subscriber service type
US20040184426A1 (en) * 2003-03-17 2004-09-23 Harry Tan Quality packet radio service for a general packet radi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30783T3 (es) 2015-03-05
EP1922843B1 (en) 2014-12-03
KR20080068809A (ko) 2008-07-24
WO2007029229A2 (en) 2007-03-15
EP1922843A2 (en) 2008-05-21
US20070064720A1 (en) 2007-03-22
CN101292468A (zh) 2008-10-22
US9413550B2 (en) 2016-08-09
IL177415A0 (en) 2006-12-10
CN101292468B (zh) 2013-05-22
EP1922843A4 (en) 2012-01-04
WO2007029229A3 (en) 2007-10-18
IL177415A (en) 201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294B1 (ko) 공유되어 있는 통신망에 대한 충돌 회피 미디어 액세스방법
US7684333B1 (en) Reliable quality of service (QoS) provisioning using adaptive class-based contention periods
US10715461B2 (en) Network control to improve bandwidth utilization and parameterized quality of service
US5615212A (en) Method, device and router for providing a contention-based reservation mechanism within a mini-slotted dynamic entry polling slot supporting multiple service classes
US20040156367A1 (en) Hierarchically distributed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767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Guaranteed Delay Jitter Bound When Scheduling Bandwidth Grants For Voice Calls Via A Cable Network
US201002355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applications
JP2015057886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予約要求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117068B2 (en) Multi-acked multicast protocol
US20040165562A1 (en) Local area network resource manager
US7817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the scheduling of real time protocol (RTP) packets
US7822060B2 (en) Maximal resource utilization in networks
US201100472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s
EP29977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terministic quality of service for communication devices
WO2005062560A1 (en) Preventative congestion control for application support
WO2017189971A1 (en) Scheduling prioritized traffic in a scrambled coded multiple access (scma) system
JP6152425B2 (ja) リアルタイムメッセージの送信方法およびリアルタイム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
EP0850518A1 (en) Device, rout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ybrid multiple access protocol for users with multiple priorities
CN104244433B (zh) 时延容忍的服务质量保证的多址接入方法、装置和系统
JPH1141269A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
De Rango et al. QoS-CROMA: An on-demand time-slotted MAC protocol with QoS support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WO202401380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CN113455046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分配资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