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720B1 -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 Google Patents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5720B1 KR101235720B1 KR1020110122445A KR20110122445A KR101235720B1 KR 101235720 B1 KR101235720 B1 KR 101235720B1 KR 1020110122445 A KR1020110122445 A KR 1020110122445A KR 20110122445 A KR20110122445 A KR 20110122445A KR 101235720 B1 KR101235720 B1 KR 101235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plate
- frame
- protrusion
- plate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기능이 향상되어 전지 모듈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이 결합될 수 있는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power module of the shingles, more specifically,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is improv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solar power of the shingles form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It is about a module.
산업사회의 고도화와 인구의 증가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원은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에너지원이나, 이 에너지원은 한정되어 있어 점차적으로 고갈되어 가고 있으며, 공해로 인하여 지구 온난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대체에너지원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반하여 태양열은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에너지원과는 달리 공해발생이 없는 청정에너지원인 동시에 거의 무제한적으로 공급되고 있어 오래전부터 이러한 태양열에너지를 산업용이나 난방용 또는 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꾸준한 연구와 더불어 제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Due to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much energy is required. The most widely used energy sources are fossil energy sources such as coal and petroleum natural gas, but these energy sources are limited and are gradually being depleted. This is urgent. On the other hand, unlike fossil energy sources such as coal and petroleum natural gas, solar heat is a clean energy source with no pollution, and is supplied almost unlimitedly. In addition to steady research for commercialization is being made.
이러한 현재 대체에너지원으로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장치는 태양열 집열기와 태양광발전 모듈이 활용되고 있다.As a current alternative energy source, a solar collector and a photovoltaic module are utilized as a device using solar energy.
이 중 태양광발전 모듈은 별도의 유지관리가 필요 없이 한 번의 설치만으로 환경오염없이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이다.Among them, the photovoltaic module is a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al energy by absorbing the light energy of solar light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without installing environmental pollution.
그러나, 태양광발전 모듈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에너지중 일부만이 발전에 이용되고, 나머지 에너지는 모두 열로 소모된다. 이때 소모되는 열로 인하여 실리콘 소재 등을 이용하는 태양광발전용 셀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며, 셀 특성상 온도상승에 의해 전기 에너지 전환시 전기 변환효율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However, in the photovoltaic module, only a part of the energy incident from the sun is used for power generation, and all the remaining energy is consumed as heat. At this time, due to the heat consum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olar cell using a silicon material, et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ll, the electrical conversion efficiency is reduced when the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by the temperature rise.
즉, 태양광발전 모듈은 태양에너지를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열은 태양광발전 모듈의 전기생산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방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other words, the photovoltaic module generates hea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solar energy, and heat generated at this time reduces the electrical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photovoltaic modul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hotovoltaic system. In order to improve, it is necessary to perform heat radiation effectively.
또한, 종래의 태양광발전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택의 지붕 위에 태양광모듈을 설치 시 별도의 태양광모듈 지지대인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며, 신축 주택 건축 시에도 지붕자재와 별도로 태양광모듈 지지대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주택구조 및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photovoltaic module, when installing the photovoltaic module on the roof of the house, a structure that is a separate photovoltaic module support should be installed. Since it has to be installed, it damages the housing structure and the urban aesthetics.
또한, 태양광발전 모듈을 지지대인 구조물에 거치하는 경우, 주변의 그림자 또는 낙엽 등으로 인한 음영문제에 의하여, 전지 모듈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hotovoltaic module is mounted on a structure that is a support,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is lowered due to the shadowing problem caused by the surrounding shadow or fallen leaves.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방열기능이 향상되어 전지 모듈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이 결합될 수 있는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view of the above,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is improv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 solar power generation of the shingles form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du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주택의 지붕자재인 슁글 형태의 지붕 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로써, 최적의 발전 효율성, 심미성 및 결합용이성이 확보되는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이다.
Specifically, th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ingle-shaped roof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that is a roofing material of a house, and is a shingle-type photovoltaic module that ensures optimum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esthetics, and ease of bonding.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 모듈; 및 상기 전지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attery module for absorbing solar energy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electricity; And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하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돤 제2 하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1 하판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1 상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2 하판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상판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includes a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is a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wherein the upper plate includes a first upper plat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to partially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A portion of the lower plate may protru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and may include a second upper plat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폭과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have the same width and length.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하판 돌출부의 상면에는 제1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판 돌출부의 상면에는 제2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upling hole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and a second coupling hole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결합홀은 2 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wo rows.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하판 돌출부의 상면 및 제1 상판 돌출부의 하면에는 배선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ir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protrus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상판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홀에 상응하는 제1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판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결합홀에 상응하는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protrusion,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plate protrusion. It may be form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판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1 통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v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는 지지대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2 통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기구와 제2 통기구는 연통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vent is in communication May b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지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ink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battery module and the fram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판은 메쉬형태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ink may be in the form of a mesh.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 외판부와 상기 알루미늄 외판부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저융점금속 내판부을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외판부가 저융점금속 내판부를 둘러쌀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ink may include an aluminum outer shell portion and a low melting point metal inner plate portion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aluminum outer shell portion, and the aluminum outer shell portion may surround the low melting point metal inner plate por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판의 하면에는 방열핀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radiation fi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본 발명에 의한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지붕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어 그 설치가 용이하고,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이 결합되더라고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 모듈 각각에 의하여 음영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Shingle-type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tegrally on the roof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is easy to install, even if the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are combined can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angle. Shading by each of the photovoltaic modules can exhibit an effect tha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전지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주변으로 방열함으로써, 전지 모듈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열 발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건물에 필요한 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태양광발전 모듈의 효율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방열되는 열을 집열하도록 하여 난방 등의 열원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태양광발전 모듈과 태양열 집열기와 같이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는 것과는 달리 복합적으로 이용되어 단위면적당 더 많은 에너지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므로 태양에너지 이용 효율이 높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ngles-type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heat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to the surrounding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nd recovering heat generated from the solar power module. They may also provide the heat needed for the building. In other words, it prevents the efficiency of the photovoltaic module from being deteriorated and at the same time collects heat that is radiated to be used as a heat source such as heating. More energy per area can be produced at the same time, resulting in high solar energy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그 결합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며,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이 결합하더라도, 전기 배선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ngle-type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mbine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the combination can be easily changed to the form desired by the user,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are combined Even if it is, the effect which can arrange | position an electrical wiring easily can be exhibited.
도 1은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결합도.
도 3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열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방열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결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측면 결합을 도시하는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전면 결합을 도시하는 입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view of a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heat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ide coupling of the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front coupling of the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도 1은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결합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후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upling diagram of a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the shingled solar cel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ar view of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 모듈(10) 및 상기 전지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101)를 갖는 프레임(1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은 상판(110)과 하판(1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지 모듈(10)과 상기 프레임(100) 사이에는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방열판(20)이 개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Preferably, the
전지 모듈(10)은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전지로서, 단결정 Si 태양전지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을 이루는 상판(110)과 하판(1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나, 상판에 대하여 하판이 측방향 및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적층됨으로써, 다수의 프레임(100)이 별도의 결합장치 없이 그 자체로 결합이 가능하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구체적으로, 상기 하판(120)은 상기 상판(110)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폭 방향(도 2 에서 좌우 방향)으로 즉 도 2에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하판 돌출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110)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도 2 에서 전후 방향)으로 즉 도 2 에서는 전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돤 제2 하판 돌출부(125)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상판(110)은 상기 하판(120)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폭 방향으로 즉 도 2에서는 왼쪽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1 하판 돌출부(121)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1 상판 돌출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120)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즉 도 2 에서는 뒷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2 하판 돌출부(125)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상판 돌출부(1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10)과 상기 하판(120)은 폭과 길이가 동일하며, 상기 제1 하판 돌출부(121), 제2 하판 돌출부(125), 제1 상판 돌출부(111), 제2 상판 돌출부(115)는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외형이 사각형인 판재를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 후에 결합시킬 경우, 돌출되는 돌출부이다.
Preferably, the
이하에서는, 프레임(100)들이 서로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판(110)과 하판(120)의 구성에 의하여, 별개의 구성요소 없이, 다수의 프레임(100)이 위아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결합은 결합홀과 결합돌기에 의한 끼워맞춤 방식으로 수행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판 돌출부(121)의 상면에는 제1 결합홀(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판 돌출부(125)의 상면에는 제2 결합홀(126)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is performed in a fitting manner by a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protrusion. Specifically, a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홀(122)은 제1 하판 돌출부(121)의 상면에 2 열로 형성되어 있고, 각 열단 3 개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프레임(100)은 총 6 개의 제1 결합홀(122)을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upling holes 122 are form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또한, 제 2 결합홀(126)은 제2 하판 돌출부(125)의 상면에 1 열로 3 개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ree second coupling holes 126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상기 제1 결합홀(122) 및 제2 결합홀(126)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관련하여, 상판(110)의 하면에는 제1 결합홀(122) 및 제2 결합홀(126)에 상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In relation to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구체적으로, 상판(110) 중 상기 제1 결합홀(122)이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인 제1 상판 돌출부(111)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홀(122)에 상응하는 제1 결합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110) 중 상기 제2 결합홀(126)이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2 상판 돌출부(115)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결합홀(126)에 상응하는 제2 결합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제1 결합 돌기(112)는 상기 제1 결합홀(122)과 상응하게 2 열로 형성되어 있고, 각 열단 3 개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프레임(100)은 총 6 개의 제1 결합 돌기(112)을 갖는다.The
또한, 상기 제2 결합 돌기(116)는 상기 제2 결합홀(126)에 상응하게 1 열로 3 개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판 돌출부(121)의 상면에는 배선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배선홈(123)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돌출부(121)의 양단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a
또한, 상기 제1 상판 돌출부(111)의 하면에는 배선홈(113)이 형성되어 있고, 배선홈(113)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상판 돌출부(111)의 양단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판(120)의 전면 및 후면에는에는 제1 통기구(127)가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Preferably, the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수용부(101)에는 지지대(13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30)는 중앙에 관통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제2 통기구(13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대(130)에 위치하는 제2 통기구(131)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 통기구(127)과 연통되게 되고, 제1 통기구(127)와 제2 통기구(131)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전지 모듈(10)에서 발생한 열을 공기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의 유로를 외부에 연결하여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다시 재사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지 모듈(10)과 상기 프레임(100) 사이에는 방열판(20)을 더 포함함으로써, 전지 모듈(10)의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전지 모듈(10)이 태양광발전을 하는 경우 전지 모듈(10)의 내외부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심한 경우는 전체 태양광 설비 중에 열로 인한 고장율이 50%정도 됨을 고려시, 상기 방열판(20)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by further including a
이러한 방열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매쉬 형태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혹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20)은 알루미늄 외판부(22)와 저융점금속 내판부(21)을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외판부(22)가 저융점금속 내판부(21)를 둘러싸는 구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에는 일직선상의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이와 같이 방열판의 구조를 이중으로 형성하되, 내부에 알루미늄 외판부(22)보다 융점이 낮은 Hg, Na, Pb, Bi, 또는 Sn 으로 구성된 저융점금속 내판부(21)를 형성하고, 외부에 알루미늄 외판부(22)를 형성하여 알루미늄 외판부(22)는 열을 외부로 잘 방출하게 하며, 내부의 저융점금속 내판부(21)는 열을 받아 상변태를 하면서 액체로 바뀌어 열을 흡수하도록 하여 온도의 상승을 막을 수 있다. 즉, 저융점금속의 융점 이상으로 전지 모듈(10)의 온도가 올라가면 내부의 저융점금속이 상변태를 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열전도가 높은 외부의 알루미늄 외판부는 계속 열을 방출하면서 흡수된 열을 방출하여 방열효율을 높이되 일정 온도 이상으로 램프의 열이 올라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heat sink is doubled, but the low melting point metal
도 9는 본 발명의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 다수(200, 300, 400)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태양광발전 모듈로서 다양한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 모듈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9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또한, 결합된 각각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태양광발전 모듈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통기구(127) 및 제2 통기구(131)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는 다수개의 태양광발전 모듈이 결합하더라도 중간에 끊어짐이 없이 연장되어, 효율적인 열배출 혹은 열회수가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combined photovoltaic modules is coupled to adjacent photovoltaic modul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coupling can be maintained firmly, and the
도 10은 도 9에서 A 로 지시한 부분의 결합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A 로 지시한 부분을 후면측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제2 태양광발전 모듈(300)의 제1 하판 돌출부(121)가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의 제1 상판 돌출부(111)에 결합함을 도시한다.FIG. 10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A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in order to further illustrate the coupling of the portion indicated by A in FIG. Specifically, FIG. 10 shows that the first
구체적으로, 제2 태양광발전 모듈(300)의 제1 하판 돌출부(121)의 상면에는 2 열로 다수개의 제1 결합홀(122)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게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의 제1 상판 돌출부(111)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홀(122)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제1 결합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어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122 are form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이러한 배치에서, 제2 태양광발전 모듈(300)을 하측에 위치시키고,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을 상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제1 결합홀(122)와 제1 결합 돌기(122)의 위치를 정렬시킨 후,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2 태양광발전 모듈(300)에 끼움으로써,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과 제2 태양광발전 모듈(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In this arrangement, the second
한편, 도 11은 도 9에서 B 로 지시한 부분의 결합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의 제2 하판 돌출부(125)가 제3 태양광발전 모듈(400)의 제2 상판 돌출부(115)에 결합함을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shows in more detail the combination of parts indicated by B in FIG. Specifically, FIG. 11 shows that the second
구체적으로,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의 제2 하판 돌출부(125)의 상면에는 제2 결합홀(126)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게 제3 태양광발전 모듈(400)의 제2 상판 돌출부(115)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결합홀(126)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제2 결합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어 있다.Specifically, a
이러한 배치에서,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을 하측에 위치시키고, 제3 태양광발전 모듈(400)을 상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제2 결합홀(126)과 제2 결합 돌기(116)의 위치를 정렬시킨 후, 제3 태양광발전 모듈(4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에 끼움으로써, 제1 태양광발전 모듈(200)과 제3 태양광발전 모듈(400)을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arrangement, the firs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지붕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어 그 설치가 용이하고,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이 결합되더라고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 모듈 각각에 의하여 음영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tegrally on the roof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installation angle can be easily changed even though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are comb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hading caused by each of the photovoltaic modul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전지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주변으로 방열함으로써, 전지 모듈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열 발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건물에 필요한 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태양광발전 모듈의 효율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방열되는 열을 집열하도록 하여 난방 등의 열원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태양광발전 모듈과 태양열 집열기와 같이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는 것과는 달리 복합적으로 이용되어 단위면적당 더 많은 에너지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므로 태양에너지 이용 효율이 높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ngles-type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heat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to the surrounding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nd recovering heat generated from the solar power module. They may also provide the heat needed for the building. In other words, it prevents the efficiency of the photovoltaic module from being deteriorated and at the same time collects heat that is radiated to be used as a heat source such as heating. More energy per area can be produced at the same time, resulting in high solar energy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슁글 형태의 태양광발전 모듈은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그 결합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며, 다수의 태양광발전 모듈이 결합하더라도, 전기 배선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ngle-type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mbine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the combination can be easily changed to the form desired by the user,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are combined Even if it is, the effect which can arrange | position an electrical wiring easily can be exhibit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You must see.
10 : 전지 모듈 20 : 방열판
100 : 프레임 110 : 상판
111 : 제1 상판 돌출부 115 : 제2 상판 돌출부
120 : 하판 121 : 제1 하판 돌출부
125 : 제2 하판 돌출부 130 : 지지대 10: battery module 20: heat sink
100: frame 110: top plate
111: first top plate protrusion 115: second top plate protrusion
120: lower plate 121: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125: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130: support
Claims (13)
상기 전지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하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돤 제2 하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1 하판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1 상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2 하판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상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판 돌출부의 상면 및 제1 상판 돌출부의 하면에는 배선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A battery module that absorbs solar energy and converts the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electricity; And
It includes a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The frame includes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The lower plate includes a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The lower plate includes a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lower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The upper plate may include a first upper plat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by protruding a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includes a second upper plat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by protruding a portion in a leng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And a wiring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protrusion.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폭과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a photovolta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width and length.
상기 제1 하판 돌출부의 상면에는 제1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판 돌출부의 상면에는 제2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upling hol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Photovolta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상기 제1 결합홀은 2 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upling hole is a solar pow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wo rows
상기 제1 상판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홀에 상응하는 제1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판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결합홀에 상응하는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protrusion,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plate protrusion.
상기 전지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하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돤 제2 하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1 하판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1 상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제2 하판 돌출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상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1 통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A battery module that absorbs solar energy and converts the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electricity; And
It includes a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The frame includes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The lower plate includes a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The lower plate includes a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lower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The upper plate may include a first upper plat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lower plate protrusion by protruding a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includes a second upper plat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econd lower plate protrusion by protruding a portion in a leng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v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photovoltaic module.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는 지지대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2 통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기구와 제2 통기구는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The support has a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has a second vent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vent and the second vent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전지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A battery module that absorbs solar energy and converts the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electricity; And
It includes a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The frame includes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 photovoltaic module further comprising a heat sink between the battery module and the frame.
상기 방열판은 메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of claim 10,
The heat sink is a solar pow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form.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 외판부와 상기 알루미늄 외판부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저융점금속 내판부을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외판부가 저융점금속 내판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of claim 10,
The heat sink includes an aluminum outer shell portion and a low melting metal inner plate portion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aluminum outer shell portion, wherein the aluminum outer shell portion surrounds the low melting metal inner plate portion.
상기 방열판의 하면에는 방열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2,
The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radiation fi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2445A KR101235720B1 (en) | 2011-11-22 | 2011-11-22 |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2445A KR101235720B1 (en) | 2011-11-22 | 2011-11-22 |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5720B1 true KR101235720B1 (en) | 2013-02-21 |
Family
ID=4789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24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5720B1 (en) | 2011-11-22 | 2011-11-22 |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572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042B1 (en) * | 2014-06-27 | 2014-11-17 | 에디슨솔라이텍(주) | Roof tile type photovoltaic module with power optimizer |
KR20220033767A (en) * | 2020-09-10 | 2022-03-17 | 주식회사 자연숲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ouble wall pipe having expans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82953A (en) * | 1983-06-24 | 1986-04-15 | Kyocera Corporation | Solar cell module |
JP2009523204A (en) * | 2006-01-12 | 2009-06-18 | エムエスアール イノベ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 Photovoltaic solar roof tile assembly system |
-
2011
- 2011-11-22 KR KR1020110122445A patent/KR1012357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82953A (en) * | 1983-06-24 | 1986-04-15 | Kyocera Corporation | Solar cell module |
JP2009523204A (en) * | 2006-01-12 | 2009-06-18 | エムエスアール イノベ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 Photovoltaic solar roof tile assembly system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042B1 (en) * | 2014-06-27 | 2014-11-17 | 에디슨솔라이텍(주) | Roof tile type photovoltaic module with power optimizer |
WO2015199308A1 (en) * | 2014-06-27 | 2015-12-30 | 에디슨솔라이텍(주) | Roof-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having devices for enhancing and optimizing photovoltaic efficiency |
EP3151422A4 (en) * | 2014-06-27 | 2017-06-28 | Edisun Solitec Co., Ltd. | Roof-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having devices for enhancing and optimizing photovoltaic efficiency |
US10033327B2 (en) | 2014-06-27 | 2018-07-24 | Edisun Solitec Co., Ltd. | Roof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with 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d optimizing photovoltaic efficiency |
KR20220033767A (en) * | 2020-09-10 | 2022-03-17 | 주식회사 자연숲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ouble wall pipe having expansion |
KR102513922B1 (en) * | 2020-09-10 | 2023-03-27 | 주식회사 자연숲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ouble wall pipe having expans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46281B2 (en) | Photovoltaic module with cool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oling device | |
KR100999955B1 (en) | Air-collecting Solar Power Generator | |
KR102142401B1 (en) | Solar panel integrated exterior material | |
CN104350608B (en) | There is the concentrating solar battery module panel of rigidity and possess its concentrating solar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 |
KR100996242B1 (en) | Solar ac power generation device | |
KR100922887B1 (en) | Photo Concentrated Solar Cell Module | |
KR102096986B1 (en) | Building Integrated PV Thermal hybrid module | |
CN216794887U (en) | Solar power generation element array | |
KR101235720B1 (en) |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 |
KR101557965B1 (en) | The solar module | |
KR101194183B1 (en) | Photovoltaic device with improved condensing performance | |
KR101211947B1 (en) | Electro-generation system with function for heating of water using solar cell and thermo-electric device | |
JP2004317117A (en) | Solar heat collector with solar power generation function | |
CN105210195A (en) | Solar cell assembly and high concentration solar cell module including same | |
KR101506705B1 (en) | inverter integrated sollar cell pannel | |
KR20090118133A (en) | Photovoltaic device with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 |
US20250150030A1 (en) | Hybrid solar panel | |
KR102825015B1 (en) | Combined power generator using solar heat and solar light | |
KR101295389B1 (en) | Roof solar battery module embedded type roof panel | |
JP3968422B2 (en) | Solar hybrid module | |
US20240162847A1 (en) | Hybrid solar panel | |
KR101251392B1 (en) | Solar cell module and solar powered street lamp having thereof | |
KR20110038923A (en) |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ing same | |
KR100999851B1 (en) | Open High Concentration Solar Unit | |
KR20240084771A (en) | Uint-block type photovoltaic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8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