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4370B1 -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370B1
KR101234370B1 KR1020100057661A KR20100057661A KR101234370B1 KR 101234370 B1 KR101234370 B1 KR 101234370B1 KR 1020100057661 A KR1020100057661 A KR 1020100057661A KR 20100057661 A KR20100057661 A KR 20100057661A KR 101234370 B1 KR101234370 B1 KR 10123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output
dragged
input
tou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7630A (en
Inventor
조영상
Original Assignee
조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상 filed Critical 조영상
Priority to KR102010005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370B1/en
Publication of KR2011013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6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3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술분야는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출력장치를 드래그 또는 터치하여 한글을 입출력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입력방식에 비하여 클릭 및 드래그를 상대적으로 적게 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양 손가락 특히, 양 손의 엄지 손가락을 교대로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어, 일반적인 쿼티 자판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과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The technical fiel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inputting / outputting Hangul by dragging or touching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user can click and drag relatively less than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and the distance that the finger moves can be reduced, and the user can alternately use both fingers, in particular, the thumb of both hands. You can type, and you'll feel like you're typing using a regular QWERTY keyboard.

Description

한글 입출력 장치{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Hangul I / O Device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술분야는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출력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orean input / output device using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핸드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전자책 등 휴대 단말기의 이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대부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방식을 지원하고 있다.The use of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notebook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P3 players, navigation, and e-books is increasing rapidly. Recently, such mobile terminals mostly support input methods using a touch screen.

이와 같은 최신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방식을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터치스크린을 지원하지 않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채용하고 있는 키패드와 유사한 모양의 가상의 키패드를 터치스크린에 출력한 후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키패드를 누르는 경우 그에 할당된 한글을 입력 받아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the latest portable terminal supports the touch screen type input method, after outputting a virtual keypad similar to the keypad adopted by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support the conventional touch screen, When a user presses the virtual keypad, a user inputs and processes Hangul assigned thereto.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 입출력을 처리한다.As mentioned above, Hangul I / O is processed using the touch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호가 각각 배치된 다수 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드래그 또는 터치되는 경우, 드래그 방향 또는 터치에 따라 미리 할당된 한글이 출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plurality of input areas each having a different symbol disposed, and when any one of the input area is dragged or touched, the Hangul pre-alloca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r touch is output And an input /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unit.

더욱 상세하게, 입출력부는, 제1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ㅘ’이 출력되고, 제1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ㅝ’이 출력되고, 제1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ㅚ’이 출력되고, 제1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ㅟ’이 출력되고, 제1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ㅢ’가 출력된다. More specifically, the input / output unit outputs 'ㅘ'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outputs 'ㅝ'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outputs the first input area. 'ㅚ' is outputted when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ㅟ' is outputted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and 'ㅢ' is outputted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touched.

또한, 제2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ㅏ’이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ㅓ’이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ㅗ’이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ㅜ’이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ㅣ’가 출력된다.In addition, '2'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ㅓ'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If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TT' is outputted, and if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ㅣ' is outputted.

또한, 제3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ㅐ’이 출력되고, 제3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ㅔ’이 출력되고, 제3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ㅙ’이 출력되고, 제3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ㅞ’이 출력되고,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ㅡ’가 출력된다. Also, 'ㅐ'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ㅔ'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In this case, 'ㅙ' is outputted, 'ㅞ' is outputted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and 'ㅡ' is outputted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또한, 제4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ㅑ’이 출력되고, 제4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ㅕ’이 출력되고, 제4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ㅛ’이 출력되고, 제4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ㅠ’이 출력된다.In addition, '4'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ㅕ'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Is output, and 'ㅠ'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더욱 상세하게,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이며, 제3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교하며, 제4 방향은 제3 방향에 반대이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또한, 입력 영역은 제2 입력 영역 또는 제3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제2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ㅑ’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ㅕ’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3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ㅛ’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4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ㅠ’가 출력되며, 제3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9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ㅒ’가 출력되고, 제3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ㅖ’가 출력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put area and the third input area, and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ㅑ' is output, and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n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ㅕ' is output and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After a series of continuous dragg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hird direction, '후' is output, and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and then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ourth direction is output. If 'ㅠ' is output, if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ries of consecutive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ninth direction, 'ㅒ' is output and the third input area is The "ㅖ" is output when after the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a series of continuous dra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different direction.

이 경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제2 방향이며,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제1 방향이며, 제3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제4 방향이며, 제4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제3 방향이다. In this case,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s the second directio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is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hird direction is the fourth direction, and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ourth direction is the third direction.

또한, 입력 영역은 제2 입력 영역 또는 제3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입출력부는 제2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ㅑ’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ㅕ’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ㅛ’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ㅠ’가 출력되며, 제3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ㅒ’가 출력되고, 제3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ㅖ가 출력된다.The input are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put area and the third input area.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 'ㅑ' is output. 'ㅕ'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ㅛ'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Is output, and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ㅠ' is output, and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ㅒ' is output, and '3'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이 경우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이며, 제3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교하며, 제4 방향은 제3 방향에 반대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또한, 제1 내지 제4 입력 영역에 모음 자획 ‘ㅡ’, ‘·’ 및 ‘ㅣ’로 구성된 기호가 배치된다.In addition, symbols consisting of vowel strokes 'ㅡ', '·' and 'ㅣ' are arranged in the first to fourth input regions.

자음과 관련하여, 입력 영역은 제5 입력 영역, 제6 입력 영역, 제7 입력 영역, 제8 입력 영역, 제9 입력 영역, 제10 입력 영역 및 제11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입출력부는 제5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ㄲ’이 출력되고, 제5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ㅋ’이 출력되고, 제5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ㄱ’가 출력되며, 제6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ㅌ’이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ㄷ’이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제5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ㄸ’이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ㄴ’가 출력되며, 제7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ㄹ’가 출력되며 제8 입력 영역이 제6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ㅍ’이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제7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ㅂ’이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제8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ㅃ’이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ㅁ’가 출력되며 제9 입력 영역이 드래그되는 경우, ‘ㅆ’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ㅅ’이 출력되며, 제10 입력 영역이 드래그되는 경우, ‘ㅎ’이 출력되고, 제10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ㅇ’이 출력되며, 제11 입력 영역이 제9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ㅉ’이 출력되고, 제11 입력 영역이 제10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ㅊ’이 출력되고, 제11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ㅈ’이 출력된다.In relation to the consonant,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fth input area, a sixth input area, a seventh input area, an eighth input area, a ninth input area, a tenth input area, and an eleventh input area, The input / output unit outputs 'ㄲ'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outputs 'ㅋ'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outputs 'ㅋ'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touched. 'Is output,' ㅌ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c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and the sixth input area is fifth. When dragging in the direction, 'ㄸ'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touched, 'b' is output; when the s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ㄹ' is output and the eighth input area is directed to the sixth direction. If dragged, the output will be 'ㅂ' is output when the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venth direction, 'ㅃ'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eighth direction, and 'ㅁ'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touched. When the ninth input region is dragged, 'ㅆ' is outputted, and when the ninth input region is touched, 'ㅅ' is outputted. When the tenth input region is dragged, 'ㅎ' is outputted. 10 'ㅇ' is output when the input area is touched, ','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ninth direction, and '.'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enth direction.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ㅈ' is output.

이 경우,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반대되거나 직교하며, 제4 방향은 제3 방향에 반대되거나 직교하며, 제5 방향은, 제4 방향이 제3 방향에 직교하는 경우, 제3 방향에 반대되며, 제4 방향이 제3 방향에 반대되는 경우, 제3 방향에 직교하며, 제7 방향은 제6 방향에 반대되거나 직교하며, 제8 방향은, 제7 방향이 제6 방향에 직교하는 경우, 제6 방향에 반대되며, 제7 방향이 제6 방향에 반대되는 경우, 제6 방향에 직교하며, 제10 방향은 제9 방향에 반대되거나 직교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or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or orthogonal to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if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fourth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the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third direction, the seventh direction is opposite to or perpendicular to the sixth direction, and the eighth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ixth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opposite to the sixth direction, and when the seven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sixth direction, it is orthogonal to the sixth direction, and the tenth direction is opposite or orthogonal to the ninth direction.

또한, 제5 내지 제11 입력 영역에 ‘ㄱ’,’ㄴ’,’ㄹ’,’ㅁ’,’ㅅ’,’ㅇ’ 및 ‘ㅈ’이 각각 배치된다.Also, 'ㄱ', 'ㄴ', 'ㄹ', 'ㅁ', 'ㅅ', 'ㅇ', and 'ㅈ' are disposed in the fifth to eleventh input areas, respectively.

자음 입력과 관련하여 다른 경우 살펴보면, 입력 영역은 제5 입력 영역, 제6 입력 영역, 제7 입력 영역, 제8 입력 영역, 제9 입력 영역 및 제10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입출력부는 제5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ㄲ’이 출력되고, 제5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ㅋ’이 출력되고, 제5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ㄱ’가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ㅌ’이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ㄷ’이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제5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ㄸ’이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ㄴ’가 출력되고 제7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ㄹ’가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제6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ㅍ’이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제7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ㅂ’이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제8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ㅃ’이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ㅁ’가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9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ㅆ’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10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ㅉ’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1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ㅊ’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1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ㅈ’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ㅅ’이 출력되고 제10 입력 영역이 드래그되는 경우, ‘ㅎ’이 출력되고, 제10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ㅇ’이 출력된다.In other cases,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fth input area, a sixth input area, a seventh input area, an eighth input area, a ninth input area, and a tenth input area. If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ㄲ' is output, and if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ㅋ' is output, and if the fifth input area is touched, 'ㄱ' is output. Is output and 'ㅌ'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c'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and the sixth input area is directed to the fifth direction. 'D' is output when dragged, 'b'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touched, 'd' is output when the seventh input area is touched, and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ixth direction Exi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venth direction, 'ㅂ' is output, an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eighth direction, 'ㅃ' is output an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touched, ' When ㅁ 'is output and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ninth direction,' ㅆ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enth direction,' ㅉ 'is output, and the ninth input area is When dragging in the eleventh direction, 'Z'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welfth direction, 'ㅈ'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touched, 'ㅅ' is output and When the ten input area is dragged, 'ㅎ' is output, and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touched, 'ㅇ' is output.

이 경우,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반대되거나 직교하며, 제4 방향은 제3 방향에 반대되거나 직교하며, 제5 방향은, 제4 방향이 제3 방향에 직교하는 경우, 제3 방향에 반대되며, 제4 방향이 제3 방향에 반대되는 경우, 제3 방향에 직교하며, 제7 방향은 제6 방향에 반대되거나 직교하며, 제8 방향은, 제7 방향이 제6 방향에 직교하는 경우, 제6 방향에 반대되며, 제7 방향이 제6 방향에 반대되는 경우, 제6 방향에 직교하며, 제10 방향, 제11 방향 및 제12 방향은 제9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각90도, 180도, 270도 차이가 나거나 또는, 제10 방향, 제12 방향 및 제11 방향은 제9 방향으로부터 제9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각 90도, 180도, 270도 차이가 나거나 또는, 제11 방향, 제10 방향 및 제12 방향은 제9 방향으로부터 제9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각 90도, 180도, 270도 차이가 나거나 또는, 제11 방향, 제12 방향 및 제10 방향은 제9 방향으로부터 제9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각 90도, 180도, 270도 차이가 나거나 또는, 제12 방향, 제10 방향 및 제11 방향은 제9 방향으로부터 제9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각 90도, 180도, 270도 차이가 나거나, 또는, 제12 방향, 제11 방향 및 제10 방향은 제9 방향으로부터 제9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각 90도, 180도, 270도 차이가 난다.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or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or orthogonal to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if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fourth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the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third direction, the seventh direction is opposite to or perpendicular to the sixth direction, and the eighth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ixth direction. When the six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sixth direction, the sixth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ixth direction, and the tenth, eleventh, and twelfth directions are each 90 degrees clockwise from the ninth direction. , 180 degrees, 270 degrees or 90 degrees, 180 degrees, 270 degrees, respectively, in the tenth, twelfth, and eleventh directions from the ninth direction to the ninth direction, respectively, or Directions, the tenth direction and the twelfth direction, respectively, are 90 degrees clockwise from the ninth direction from the ninth direction. Degrees, 180 degrees, 270 degrees or 90 degrees, 180 degrees, 270 degrees, respectively, in the eleventh, twelfth, and tenth directions, clockwise from the ninth direction to the ninth direction, respectively, or The twelfth, tenth, and eleventh directions differ from each other by 90 degrees, 180 degrees, and 270 degrees clockwise from the ninth direction to the ninth direction, or the twelfth, eleventh, and tenth directions include 90 degrees, 180 degrees, and 270 degrees difference from a 9th direction clockwise from a 9th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이 경우 제5 내지 제10 입력 영역에 ‘ㄱ’,’ㄴ’,’ㄹ’,’ㅁ’,’ㅅ’ 및 ’ㅇ’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Figure 112010039051003-pat00001
In this case, 'B', 'B', 'ㄹ', 'ㅁ', 'ㅅ' and 'ㅇ' may be disposed in the fifth to tenth input regions, respectively.
Figure 112010039051003-pat00001

또한, 본 발명인 입출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입력 영역이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가 시작되는 위치를 둘러싸는 소정 크기의 가상 중심 영역 및 상기 가상 중심 영역의 둘레에 가상 제1 내지 제4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가상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드래그가 끝나는 경우, 미리 할당된 기호가 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input regions, and when the input region is dragged, the virtual first to virtual circumferences of the virtual center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urrounding the position where the drag is started and the virtual center region. The fourth region may be disposed, and when the drag ends in any one of the virtual first to fourth regions, 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input / output unit to output a pre-assigned symbol and a controller to control the input / output unit.

또한, 본 발명인 입출력 장치는 중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4 주변 영역으로 구획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주변 영역 중 어느 하나까지 드래그되는 경우, 미리 할당된 기호가 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area partitioned into a central area and first to fourth peripheral areas surrounding the central area, wherein the input area is any of the first to fourth peripheral areas in the central area. When dragged up to one, it may include an input /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re-assigned symbo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unit.

또한, 본 발명인 입출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입력 영역이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가 시작되는 위치를 둘러싸는 소정 크기의 가상 중심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드래그가 상기 가상 중심 영역을 벗어나는 순간에 드래그가 위치한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가상 제1 영역 및 가상 제2 영역이 배치되며, 상기 드래그가 가상 제1 영역 및 가상 제2 영역을 지난 후 끝나는 경우, 미리 할당된 기호가 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input regions, and when the input region is dragged, a virtual center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urrounding a position at which the drag is started is disposed, and the drag is connected to the virtual center region. A virtual first region and a virtual second region are disposed based on a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point where the drag is located at the moment of departure, and when the drag ends after the virtual first region and the virtual second region, a pre-assigned symbol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input and output unit and the input and output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이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입력방식에 비하여 클릭 및 드래그를 상대적으로 적게 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putting Hangul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relatively reduce the click and drag compared to the existing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tance the finger moves.

또한, 사용자는 양 손가락 특히, 양 손의 엄지 손가락을 교대로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어, 일반적인 쿼티 자판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과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alternately input by using both fingers, in particular, the thumb of both hands, so that the user may feel comfortable using an ordinary QWERTY keyboard.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에 지지하고 그 손으로 입력을 할 수 있어 다른 손을 쓰기 불편한 장애우나 다른 손을 쓰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upported by one hand and input by the hand, Hangul input can be performed even in a handicapped person or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write the other hand.

또한,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이 채용되는 단말기의 경우 멀티터치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는 발명이 적용 가능한 범위가 넓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erminal adopting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which does not need to provide a multi-touch is applicable to a wid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이 입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반대 방향 또는 직교 방향의 드래그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screen of a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input of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screen of the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ouch screen of a Hangul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ag range in an opposite direction or an orthogon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현재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천지인 방식 자판이나 나랏글 방식 자판의 경우, 물리적인 버튼 기반의 한글 입력 시스템으로 12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여러 번의 클릭이 반드시 수반한다. In the case of the existing Cheonji keyboard or Naragle keyboard, which is currently used in general portable terminal devices, a physical button-based Hangul input system is composed of 12 buttons, and a number of clicks are necessarily accompanied to input Hangul.

또한, 삼성전자가 천지인 자판을 터치스크린 용으로 확장한 방식인 모아키 자판은 자음을 드래그 하거나 클릭하는 경우 드래그 되거나 클릭된 키 주변에 천지인 키가 출력되고, 다시 사용자가 천지인(“ㅣ”, “· ”,”ㅡ”)키를 통해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아키 자판의 경우 천지인 기반의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복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도 여전히 기존의 천지인 자판과 마찬가지로 여러 번의 키 입력을 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Moaki keyboard, which is a method in which the electronic keyboard is expanded for the touch screen, is used when the consonants are dragged or clicked, and the keys are displayed around the dragged or clicked keys. ”,” ㅡ ”) key to input the vowel. However, in the case of the Moakey keyboard, since the Cheonjiin-based method is used,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consonants, it is still necessary to input several times as in the existing Cheonjiin keyboard.

방식system 한글Hangul 키입력순Key input order 입력 회수Input count 두벌식 한글
자판
Dubal Korean
Keyboard
날마다everyday ㄴ ㅏ ㄹ ㅁ ㅏ ㄷ ㅏㄴ ㅏ ㄹ ㅁ ㅏ ㅏ ㅏ 77
번창함Flourish ㅂ ㅓ ㄴ ㅊ ㅏ ㅇ ㅎ ㅏ ㅁㅂ ㄴ ㄴ ㅇ ㅇ ㅎ ㅁ 99 홍길동Hong Gil Dong ㅎ ㅗ ㅇ ㄱ ㅣ ㄹ ㄷ ㅗ ㅇㅎ ㅗ ㅇ ㄱ ㅣ ㄹ ㄷ ㅗ ㅇ 99 외래어Foreign ㅇ ㅗ ㅣ ㄹ ㅐ ㅇ ㅓㅇ ㅗ ㅣ ㄹ ㅐ ㅇ ㅓ 77 활쏘기Archery ㅎ ㅗ ㅏ ㄹ shift ㅅ ㅗ ㄱ ㅣㅎ ㅗ ㅏ ㄹ shift ㅅ ㅗ ㄱ ㅣ 99 합계Sum 15자15 characters 4141 천지인Heaven and earth 날마다everyday 441255612512441255612512 1212 번창함Flourish 6621448812770012666214488127700126 1717 홍길동Hong Gil Dong 0023774155523700237741555237 1414 외래어Foreign 7723155121772177231551217721 1414 활쏘기Archery 002312557772341002312557772341 1515 합계Sum 15자15 characters 7272 나랏글Naragle 날마다everyday 234532*3234532 * 3 88 번창함Flourish 5*3327**388*355 * 3327 ** 388 * 35 1414 홍길동Hong Gil Dong 8*381942*688 * 381942 * 68 1111 외래어Foreign 869439833869439833 99 활쏘기Archery 8*6347#6198 * 6347 # 619 1010 합계Sum 15자15 characters 5252

또한, 모아키 자판이 채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일반적으로 작음에도 불구하고, 모아키 자판은 한 행에 5개의 버튼을 배치하여 자판의 각 버튼의 크기가 매우 작을 수 밖에 없다. 게다가, 각 버튼을 클릭 시 그 버튼의 주변에 더 작은 크기의 모음버튼(쿼티 자판의 버튼과 크기가 비슷)이 생성되며, 특히 복모음을 입력할 경우, 작은 모음 버튼을 여러 번 클릭하여야 한다. 이 결과 사용자가 오타를 입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또한, 모아키 자판은 한 행에 5개의 키를 배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글 이외의 특수문자나 숫자들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판을 특수키로 변경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employing a Moaki keyboard is generally small, the Moaki keyboard has five buttons in a row, so the size of each button of the keyboard is very small. In addition, clicking each button creates a smaller vowel button (similar to the button on the QWERTY keyboard) around it, especially if you enter a double vowel. As a result, the user is more likely to enter a typo. In addition, even though 5 keys are arranged on one line, the moaki keyboard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keyboard to a special key in order to input non-Korean special characters or numbers. There is this.

일반적으로 한글은 영어와 달리 한 음절이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되며, 통상 초성은 자음, 중성은 단모음 또는 복모음인 모음, 종성은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한 음절을 만들기 위해서 양 손의 손가락을 교대로 사용하여 한 번의 키 클릭을 통해 초성인 자음, 중성인 모음 및 종성인 자음을 입력할 때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In general, unlike English, one syllable is composed of a consonant, a consonant, and a consonant. Usually, the consonant is composed of a consonant, a consonant with a single vowel or a double vowel, and a consonant. Therefore, when a user inputs first consonant, neutral vowel, and final consonant through one key click by using fingers of both hands alternately to make one syllable, the user generally feels comfortable.

예를 들어 일반사용자는 왼손으로 초성인 자음을, 오른손으로 중성인 모음을, 다시 왼손으로 종성인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 인체공학적, 언어학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러한 원리는 일반적인 두벌식이나 세벌식 한글 자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for general users to enter a consonant consonant with his left hand, a vowel consonant with his right hand, and a consonant consonant with his left hand. You can check it.

두벌식 자판의 경우 자음과 모음을 양 쪽으로 분리 배치하여 자연스럽게 초성, 중성, 종성이 타이핑하는 경우 양 손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해 두었다. 그리고, 세벌식 자판의 경우 역시 자판의 오른쪽에 초성, 가운데에 중성, 왼쪽에 종성으로 자주 이용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배치하여, 두벌식보다 더욱 리듬감 있게 타이핑을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wo-bulb keyboards, consonants and vowels were separated on both sides so that both hands could be used alternately when typing in primary, neutral, and final species natural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ree-bulb keyboards, the consonants or vowels that are frequently used as initials, middle, and left-ends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can be placed more rhythmically than the two-bulb type.

그러나 천지인 기반의 모아키 자판의 경우 일반적으로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을 누른 후 상기 눌려진 키 주변에 모음 자획에 해당하는 천지인(ㅣ,· ,ㅡ) 키가 출력되는 방식이므로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양 손의 손가락을 교대로 이용해서 키를 입력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복모음의 경우 별도로 다시 모음입력을 위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해야 하므로, 키입력에 방법에 대한 학습성이 매우 떨어진다.However, in the case of Cheonjiin-based Moaki keyboard, the Cheonjiin (ㅣ, ·, ㅡ) key corresponding to the vowel stroke is output after pressing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t is very inconvenient to enter keys using the fingers of hands alternately. In addition, since the double vowels must be clicked or dragged again to input the vowels separately, the method for key input is very inferior.

예를 들어, “왜사냐”와 같은 단어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왜”를 입력하기 위하여 “ㅇ”버튼을 상방향으로 드레그하여 “오”를 입력한다. “ㅇ”버튼 주위에 천지인 버튼이 생성되며,”ㅣ” 버튼에서 “· ”버튼으로 드레그 후 다시 “ㅣ” 버튼으로 드레그하여 “왜”를 입력한다. “사”를 입력하기 위하여 ”ㅅ”버튼을 우방향으로 드레그한다. 마지막으로 “냐”를 입력하기 위하여 “ㄴ”버튼을 우방향으로 드레그한 후 “· ”버튼을 클릭한다.For example, to enter a word like "why?" To enter “Why”, drag the “o” button upward and enter “O”. A button is created around the “ㅇ” button. Drag the “ㅣ” button from the “ㅣ” button and drag the “ㅣ” button again to enter “Why”. Drag the “” button to the right to enter “4”. Finally, drag the “b” button to the right to enter “Ya” and then click the “·” button.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양 손의 손가락을 교대로 이용하여 키를 입력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인 두벌식 자판이나 세벌식 자판에서와 같이 양 손가락을 교대로 이용하여 입력할 수 없으므로 키입력시 어색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As a result, since the user cannot input keys by using the fingers of both hands alternately, the user cannot input the keys by using both fingers alternately as in a general double-type keyboard or a three-type keyboard, and thus feels awkward when the keys are input.

이러한 현상은 전자책과 같이 휴대전화나 MP3 플레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서 더욱 비효율적이게 된다. 모아키 방식은 자음키만을 터치스크린 상에 보여주는바, 터치스크린 상에 모음키를 배치할 여지가 없다. This phenomenon becomes more inefficient in devices with relatively large touch screens, such as e-books compared to mobile phones or MP3 players. In the Moa key method, only the consonant key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re is no room for placing the vowel keys on the touch screen.

또한, 천지인, 나랏글 및 모아키 등은 모두 작은 키패드나 작은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사용되는 것을 염두해 둔 방식으로 전자책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서 한글 등 문자 입력을 위해 천지인, 나랏글 또는 모아키를 사용하는 것은 기존의 쿼터 자판에 비해 키입력 속도를 현저히 낮춘다. 양 엄지만을 이용해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불편한 배열을 지니고 있다. In addition, Cheonjiin, Naraggle, and Moaki are all used in a small keypad or a small touchscreen screen. Using MoaKey significantly reduces keystroke speed compared to conventional quarter keyboards. It has an inconvenient arrangement for entering consonants or vowels using only two thumbs.

2009년 특허청이 주관한 IP 대학 공모전에서 올해의 IP 상을 수상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스크린용 입력 역시 상대적으로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커야 하며, 반드시 한 손으로 본 입력방식이 적용된 기기를 지지하고 다른 손으로 입력을 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한 손만을 가지고는 글자를 입력하거나 두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버스 등 흔들리는 공간에서 한 손은 안전바와 같은 지지대를 잡고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이동 중에 한 손은 가방 등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처럼 생활 속에서 한 손만을 가지고 글자를 입력하는 것이나 두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보편적임에도 불구하고, 본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반드시 두 손을 이용하여 한 손은 단말기를 지지하고 다른 한 손은 입력해야 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최대의 장점이 이동성을 깎아 내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The multi-touch based touch screen input, which won IP of the Year at the IP University Competition hosted by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n 2009, must also have a relatively large touch screen. There is a limit to input. That i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input letters using only one hand or to input using only two thumbs. In general, people who use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hold a support such as a safety bar in one of the shaking spaces such as a bus, use one hand to input text, or one hand while holding a bag, etc. If you type is unusual. In this way, although it is common to input letters using only one hand or to use only two thumbs in life, when applying this method, one hand must support the terminal and the other hand must use the other hand. There is a fatal downside to typing. As a result,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 factor that reduces the mobility.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멀티터치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제조단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멀티터치를 지원하지 않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방식은 멀티터치 방식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바, 멀터티치가 지원되지 않는 단말기에서는 본 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dopting a touch screen to which a multi-touch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us it is common to adopt a touch screen that does not support multi-touch. This method must be accompanied by a multi-touch metho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ent method cannot be used in a terminal that does not support multi-touch.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 휴대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을 채용함에도 입력방식은 여전히 구형 키패드 방식과 동일한 키스트로크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장치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adopts a touch screen, the input method is still adopting the same keystroke method as the old keypad method, and thus does not take advantage of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글 입출력 장치를 소개한다.Introduces Hangul I / O device to solve this problem.

도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출력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1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여기서, 한글 입출력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이다. 단말기는 휴대 전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전자사전, 전자수첩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의 표면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되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 센서가 배치된다. 터치센서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손가락 대용의 포인팅 장치의 접촉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터치 센서, 접촉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등의 접촉식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광학센서, 광선차단, 전기장, 열 감지, 소리감지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 터치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터치센서가 하나 이상 포함된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지칭할 수 있다.Here, the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100 is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 electronic dictionary, an electronic organiz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rface of th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screen such as an LCD, and a touch sensor is disposed on the display screen. The touch sensor may be contact or contactless.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a pressure touch sensor that senses a press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act of a finger or a pointing device instead of a finger, and a capacitive touch sensor that senses the capacitanc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act. In addition, it may be a non-contact touch sensor using a camera, an optical sensor, light blocking, an electric field, heat sensing, sound sen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when a touch pad including at least one touch sensor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a display unit such as a display panel,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장치(100)는 종래의 터치 방식이 아닌 드래그 방식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한글 입력 시 입출력부(120)에 해당하는 터치 스크린이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고, 제어부(110)는 감지된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된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 한다. 이하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putting a character in a drag method rather than a conventional touch method. To this end,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 output unit 120 detects a drag operation when the Korean input is input, and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o output an assigned character according to the detected drag opera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100 using the dra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1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입출력부(12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입출력부(120)는 터치나 드래그 등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122)에 해당하는 터치센서 및 글자 등을 출력하는 스크린 자체인 출력부(124)인 디스플레이부를 하나의 장치에 모두 포함하고 있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하나의 입출력부(120)로 상정할 수 있으나, 상기 입출력부(120)를 입력부 및 출력부로 별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1,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d an input / output unit 120. In general, the input / output unit 120 includes a display unit, which is an output unit 124 which is a screen itself that outputs a touch sensor an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unit 122 that receives an input such as a touch or a drag, in one device. Like the touch screen, it can be assumed as one input / output unit 120, but the input / output unit 120 can be separately configured as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이와 같이, 입출력부(120) 또는 제어부(110)의 구성요소들을 실제 응용에서 구현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에 메모리를 포함시켜 구현할 수 있다.As such, when implementing the components of the input / output unit 120 or the control unit 110 in an actual appl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ar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is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Can be configur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memory.

입출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나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자음 입력 영역 및 모음 입력 영역을 포함한다. 복수의 자음 입력 영역 및 모음 입력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된다.The input / output unit 120 is a means for receiving Korean input by a touch or drag method from a us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areas and a vowel input area. The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regions and the vowel input regions are assigned at least one consonant and the vowels.

또한, 입출력부(120)는 복수의 자음 입력 영역 및 모음 입력 영역에서 터치 또는 일정한 방향의 드래그를 감지한다. 입출력부(120)는 드래그가 시작되는 위치 및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10)로 송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unit 120 detects a touch or a dra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areas and the vowel input areas. The input / output unit 120 may detect a position and a direction at which the drag starts, and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10.

또한, 입출력부(120)는 제어부(110)로 송출된 정보에 의해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출력하도록 신호를 제어부(110)로부터 받으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를 터치스크린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 output unit 12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10 to output a combination of consonants or vowels by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10, the input / output unit 120 outputs a corresponding character to the display unit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touch screen. .

이처럼 입출력부(120)의 입력부(122) 역할을 하는 터치패드와 입출력부의 출력부(124)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 형태의 입출력부(120)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입출력부(120)가 터치 스크린이라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본 발명이 작용되는 단말기의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가 터치 혹은 드래그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 및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touch pad serving as the input unit 122 of the input / output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serving as the output unit 124 of the input / output unit 120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the input / output unit 120 having a touch screen form. If the input / output unit 120 is a touch screen, the input /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 touch panel, a touch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a bus inside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touch panel keeps an eye on the contact result and sends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panel controlle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he touch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can know whether there is a touch or drag input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urse, two or more display units may exi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제어부(110)는 입출력부(120)의 각 동작을 포함하여 통산적으로 본 발명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글 입력을 위해, 입출력부(120)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또는 드래그 되었는지에 따라 해당하는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 입출력부(120)를 통해 감지된 드래그나 터치 동작에 할당된 문자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를 입출력부(120)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는 당업자가 당연히 예견할 수 있는 구성 중 하나로 제어부(110)에 포함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pera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each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unit 120. For Hangul input,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 or vowel according to which area from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 output unit 120 is touched or dragged. In more detail,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drag or touch operation sensed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20 is extracted from the memory, and the extracted character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20.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by being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0 as one of the configurations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oresee.

메모리는 제어부(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램, 롬,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등 당업자가 예견할 수 있는 일반적인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이다.The memory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10, or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The memory is at least one of general memories that can be predi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RAM, a ROM,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nd the like.

이상 구성요소 관점에서 본 발명을 살펴보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the above components.

이하 실시 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 예1]Example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입출력부(120) 중 하나인 터치 스크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는 복수 개의 자음 입력 영역들, 복수 개의 모음 입력 영역들을 포함한다.2 illustrates a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00 which is one of the input / output units 120 to input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regions and a plurality of vowel input regions.

복수 개의 자음 입력 영역들은 ‘ㄱ’,’ㄴ’,’ㄹ’,’ㅁ’,’ㅅ’,’ㅇ’,’ㅈ’이 각각 배치되는 제1 자음 입력 영역 내지 제7 자음 입력 영역(232, 234, 236, 238, 240,242, 244)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consonant input regions may include a first consonant input region to a seventh consonant input region 232 in which 'b', 'b', 'ㄹ', 'ㅁ', 'ㅅ', 'ㅇ', and 'ㅈ' are arranged. , 234, 236, 238, 240,242, 244).

복수 개의 모음 입력 영역들은 ‘ㅡ ㅣ’,’ㅣ· ’,’ㅡ ㅣㅣ’,’· · ’이 각각 배치되는 제1 모음 입력 영역 내지 제4 모음 입력 영역(212, 214, 216, 218)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vowel input areas may include the first to fourth vowel input areas 212, 214, 216, and 218 in which 'ㅡ ㅣ', 'ㅣ ·', 'ㅡ ㅣ ㅣ', '··' are respectively disposed. It includes.

사용자는 제1 모음 입력 영역 내지 제4 모음 입력 영역(212, 214, 216, 218)에 각각 배치된 기호를 통해 상기 기호와 유사한 모양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음 입력 영역 내지 제4 모음 입력 영역(212, 214, 216, 218)에 배치된 기호는 ‘ㅡ ㅣ’,’ㅣ· ’,’ㅡ ㅣㅣ’,’· ·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모음 입력 영역으로부터 터치나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모음들을 포괄하여 표상하는 기호가 배치될수록 좋다.The user may intuitively infer that a vowel having a shape similar to the symbol may be input through the symbols disposed in the first to fourth vowel input regions 212, 214, 216, and 218, respectively. Also, the symbols arranged in the first to fourth vowel input areas 212, 214, 216, and 218 are limited to 'ㅡ', 'ㅣ ·', 'ㅡ' ㅣ ',' ·· ' The symbols representing the vowels that can be input by touch or drag from each vowel input area are arranged better.

입출력부(120)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200)의 일부인 표시 영역(250)에 제1 내지 제7 자음 입력 영역(232, 234, 236, 238, 240,242, 244) 및 제1 내지 4 모음 입력 영역(212, 214, 216, 218)의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의 조합에 의해 입력되는 한글이 표시된다.First to seventh consonant input areas 232, 234, 236, 238, 240, 242, and 244 and first to fourth vowel input areas on the display area 250 that is a part of the touch screen 200 corresponding to the input / output unit 120. The Hangul input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touch or drag operation of (212, 214, 216, 218) is displayed.

도 3 내지 도 18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18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Hangul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e는 ‘ㅘ’,’ㅝ’,’ㅚ’,’ㅟ’,’ㅢ’가 입력되는 일 예를 설명한다.3A to 3E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ㅘ', 'ㅝ', 'ㅚ', 'ㅟ' and 'ㅢ' are input.

도 3a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모음 입력 영역 중 ‘ㅡ ㅣ’이 배치된 제1 모음 입력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의 표시 영역에 ‘ㅢ’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3A, when the first vowel input area in which 'ㅡ ㅣ' is arranged is touched among the vowel input areas of the touch screen, 'ㅢ'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도 3b와 같이, 제1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ㅘ’가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3c와 같이, 제1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ㅝ’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3d와 같이 제1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ㅚ’가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3e와 같이, 하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ㅟ’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As shown in FIG. 3B, when dragging from the first vowel input area to the right, 'ㅘ'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3C, when dragging to the left from the first vowel input area, 'ㅝ'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3D,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first vowel input area, '도'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nd when dragging downward, as shown in FIG. 3E, 'ㅟ'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ㅏ’,’ㅓ’,’ㅗ’,’ㅜ’가 입력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explain another example where ‘ㅏ’, ’ㅓ’, ’ㅗ’, ’ㅜ’ are entered.

도 4a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모음 입력 영역 중 ‘ㅣ· ’이 배치된 제2 모음 입력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의 표시 영역에 ‘ㅣ’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4A, when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n which the 'ㅣ ·' is arranged is touched among the vowel input areas of the touch screen, 'ㅣ'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도 4b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ㅏ’가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ㅓ’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4d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ㅗ’가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4e와 같이, 하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ㅜ’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As shown in FIG. 4B, when dragging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to the right, 'ㅏ'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4C, when dragging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to the left, 'ㅓ'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4D,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ㅗ'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nd as shown in FIG. 4E, 'ㅜ'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ㅐ’,’ㅔ’,’ㅙ’,’ㅞ’가 입력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explain another example where ‘ㅐ’, ’ㅔ’, ’ㅙ’, ’ㅞ’ are entered.

도 5a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모음 입력 영역 중 ‘ㅡ ㅣㅣ’이 배치된 제3 모음 입력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의 표시 영역에 ‘ㅡ’가 표시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A, when the third vowel input area in which ㅡ ㅡ ㅣ ㅣ is arranged is touched among the vowel input areas of the touch screen, “ㅡ”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도 5b와 같이, 제3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ㅐ’가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5c와 같이, 제3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ㅔ’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5d와 같이, 제3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ㅙ’가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5e와 같이 하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ㅞ’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As shown in FIG. 5B, when dragging to the right from the third vowel input area, 'ㅐ'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5C, when dragging to the left in the third vowel input area, 'ㅔ'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5D,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third vowel input area, 'ㅙ'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nd when dragging downward as shown in FIG. 5E, 'ㅞ'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ㅑ’,’ㅕ’,’ㅛ’,’ㅠ’가 입력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explain another example where ‘ㅑ’, ’ㅕ’, ’ㅛ’, ’ㅠ’ are entered.

도 6a와 같이, 제4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ㅑ’가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제4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ㅕ’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6c와 같이, 제4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ㅛ’가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6d 같이, 하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ㅠ’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As shown in FIG. 6A, when dragging to the right from the fourth vowel input area, 'ㅑ'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6B, when dragging to the left in the fourth vowel input area, 'ㅕ'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6C,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fourth vowel input area, 'ㅛ'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nd when dragging downward, 'ㅠ'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한편, 본 발명에서는,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을 구분하여 기술한다.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의 구분은 터치의 연속 시간 또는 터치 면적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터치의 연속 시간 또는 터치 면적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면, 터치로 판단하고, 제1 기준치 이상이면 드래그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are described separately. The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may be divided into a continuous time or a touch area of the touch. This division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continuous time or touch area of the touch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it as a touch, and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it as a drag.

다음으로 ‘ㅑ’,’ㅕ’,’ㅛ’,’ㅠ’가 입력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explain another example where ‘ㅑ’, ’ㅕ’, ’ㅛ’, ’ㅠ’ are entered.

도 7a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모음 입력 영역 중 ‘ㅣ· ’이 배치된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시작한 후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인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ㅑ’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도 7b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를 시작한 후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인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ㅕ’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As shown in FIG. 7A, when dragging starts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n which 'ㅣ ·' is disposed among the vowel input areas of the touch screen to the right and then changes direction and drags to the left in the opposite direction, 'ㅑ'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o. As shown in FIG. 7B, when the drag is started to the left in the second vowel input area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and dragged to the r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ㅕ'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같은 방식으로 도 7c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를 시작한 후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인 하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ㅛ’가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7d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하방으로 드래그를 시작한 후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인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ㅠ’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In the same manner as in FIG. 7C, when the drag is started upward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and dragged down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ㅛ'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nd as shown in FIG. 7D, the second vowel input When dragging downward from the area and then changing direction and dragging up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ㅠ'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또한, 도 8a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한 후 제2 모음 입력 영역을 클릭하는 경우 표시영역에 ‘ㅑ’을 표시하며, 도 8b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한 후 제2 모음 입력 영역을 클릭하는 경우 표시영역에 ‘ㅕ’을 표시한다. 도 8c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를 한 후 제2 모음 입력 영역을 클릭하는 경우 표시영역에 ‘ㅛ’을 표시하고, 도 8d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하방으로 드래그를 한 후 제2 모음 입력 영역을 클릭하는 경우 표시영역에 ‘ㅠ’을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rags the second vowel input area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8A and then clicks the second vowel input area, 'ㅑ'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as shown in FIG. When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s clicked after dragging, 'ㅕ'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as shown in FIG. 8C, when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s clicked, 'ㅛ'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as shown in FIG. 8D, dragged downward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f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s clicked on, 'ㅠ'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이처럼 제2 모음 입력 영역을 통하여‘ㅑ’,’ㅕ’,’ㅛ’,’ㅠ’을 입력하는바 제4 모음 입력 영역을 별로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입출력부인 터치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제4 모음 입력 영역을 입출력부에서 제거할 수 있다.In this way, 'ㅑ', 'ㅕ', ',', 'ㅠ' are input through the second vowel input area, and thus the fourth vowel input area does not need to be used separately. 4 The collection input area can be removed from the input / output unit.

다음으로 ‘ㅒ’,’ㅖ’가 입력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entering ‘ㅒ’, ’ㅖ’ is described.

도 10a와 같이, 제3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시작한 후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인 왼쪽으로 드래그를 하는 경우 ‘ㅒ’가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10b와 같이 제3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를 시작한 후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인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하는 경우 ‘ㅖ’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As shown in FIG. 10A, when dragging to the right in the third vowel input area and then changing the direction to drag to the left in the opposite direction, 'ㅒ'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as shown in FIG. If you start dragging and then change the direction and drag to the right, the opposite direction, 'ㅖ'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또한,도 10c와 같이, 제3 모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한 후 제3 모음 입력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ㅒ’가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10d와 같이, 제3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한 후 제3 모음 입력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ㅖ’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C, when dragging to the right in the third vowel input area and then touching the third vowel input area, 'ㅒ'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nd as shown in FIG. When the third vowel input area is touched after dragging, 'ㅖ'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이처럼 단모음은 물론 복모음까지도 모음 입력 영역을 단 1회 터치 또는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As such, the vowel input area can be input by only touching or dragging the vowel input area once.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1 to 17 are diagrams referred to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자음 입력 영역 내지 제7 자음 입력 영역이 클릭됨에 따라 표시영역에 ‘ㄱ’, ‘ㄴ’, ‘ㄹ’, ‘ㅁ’, ‘ㅅ’, ‘ㅇ’, ‘ㅈ’이 표시된다.As the first to seventh consonant input areas are clicked, 'ㄱ', 'ㄴ', 'ㄹ', 'ㅁ', 'ㅅ', 'ㅇ', and 'ㅈ'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ㄲ’,’ㅋ’가 입력되는 일 예를 살펴본다.Next, look at an example where ‘되는’, ’ㅋ’ is input.

도 11a와 같이, 제1 자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ㅋ’이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11b와 같이 제1 자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ㄲ’가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11A, when dragging to the right from the first consonant input area, 'ㅋ'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n addition, when dragging to the left from the first consonant input area as shown in FIG. 11B, 'ㄲ'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ㄷ’,’ㅌ’,’ㄸ’이 입력되는 다른 예를 살펴본다.Next, let's look at another example of entering ‘ㄷ’, ’ㅌ’, ’ㄸ’.

도 12a와 같이 제2 자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ㅌ’이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12b와 같이 제2 자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ㄸ’이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12c와 같이 제2 자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ㄷ’이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When dragging to the right from the second consonant input area as shown in FIG. 12A, 'ㅌ'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when dragging to the left side from the second consonant input area as shown in FIG. 12B, 'ㄸ'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12C,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second consonant input area, 'c'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ㅂ’,’ㅍ’,’ㅃ’이 입력되는 다른 예를 살펴본다.Next, let's look at another example of entering ‘ㅂ’, ’示’ and ‘ㅃ’.

도 13a와 같이 제4 자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ㅍ’이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13b는 제4 자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ㅃ’이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13c는 제4 자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ㅂ’이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When dragging to the right from the fourth consonant input area as shown in FIG. 13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in FIG. 13B, when dragging to the left from the fourth consonant input area,' ㅃ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13C,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fourth consonant input area, 'ㅂ'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ㅆ’이 입력되는 다른 예를 살펴본다.Next, let's look at another example where ‘ㅆ’ is entered.

도 14와 같이 제5 자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ㅆ’이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When dragging to the left from the fifth consonant input area as shown in FIG. 14, 'ㅆ'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ㅎ’이 입력되는 다른 예를 살펴본다.Next, let's look at another example where ‘ㅎ’ is entered.

도 15와 같이 제6 자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ㅎ’이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15, when dragging upward from the sixth consonant input area, 'ㅎ'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다음으로 ‘ㅊ’, ’ㅉ’이 입력되는 다른 예를 살펴본다.Next, let's look at another example of entering ‘ㅊ’ and ‘ㅉ’.

도 16a와 같이 제7 자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ㅊ’이 표시영역에 표시되며, 도 16b와 같이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ㅉ’이 표시영역에 표시된다.
When dragging to the right from the seventh consonant input area as shown in FIG. 16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when dragging to the left as shown in FIG. 16B,' ㅉ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ㄲ’, ‘ㄸ’, ‘ㅃ’, ‘ㅆ’, ‘ㅉ’과 같은 쌍자음인 된소리를 입력하기 제1, 2, 4, 5, 7 자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도록 설정하여 된소리 입력에 대해 방향의 통일감을 주고 있으나, 반드시 왼쪽 방향에 구속될 필요는 없다.Inputting consonant sounds such as 'ㄲ', 'ㄸ', 'ㅃ', 'ㅆ', 'ㅉ' Input 1, 2, 4, 5, 7 Consonants input by setting to drag left in the consonant input area Gives a sense of unity in the direction, but need not necessarily be constrained to the left.

마찬가지로 ‘ㅋ’, ‘ㅌ’, ‘ㅍ’, ‘ㅊ’과 같이 거센소리를 입력하기 위해 제1, 2, 4, 7 자음 입력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도록 설정하여 거센소리 입력에 대해 방향의 통일감을 주고 있으나, 반드시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것에 구속될 필요는 없다. Similarly, the unity of the direction for the rough sound input is set by dragging to the right in the 1st, 2nd, 4th, 7th consonant input area to input the rough sound such as 'ㅋ', 'ㅌ', 'ㄷ', 'ㅊ'. But not necessarily constrained by dragging to the right.

앞서 살펴본 ‘ㄲ’, ‘ㄸ’, ‘ㅃ’, ‘ㅆ’, ‘ㅉ’을 각각 입력하기 위해 드래그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 ‘ㅋ’, ‘ㅌ’, ‘ㅍ’, ‘ㅊ’을 입력하기 위한 드래그 방향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Enter 'ㅋ', 'ㅌ', 'ㅍ' or 'ㅊ'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dragging direction for entering 'ㄲ', 'ㄸ', 'ㅃ', 'ㅆ' and 'ㅉ' Each drag direction can be assigned.

또한, ‘ㄲ’, ‘ㄸ’, ‘ㅃ’, ‘ㅆ’, ‘ㅉ’의 입력을 위한 드래그 방향이 반드시 같은 필요가 없고 서로 상이해도 되며, 또한, ‘ㅋ’, ‘ㅌ’, ‘ㅍ’, ‘ㅊ’ 입력을 위한 드래그 방향 역시 반드시 같은 필요가 없고 각각 상이해도 된다.In addition, the drag directions for input of 'ㄲ', 'ㄸ', 'ㅃ', 'ㅆ' and 'ㅉ'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an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so, 'ㅋ', 'ㅌ', ' The drag directions for the ',' and 'type' input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but may be different.

예를 들어 ‘외래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6 자음 입력 영역을 클릭한 후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으로 드래그하여 ‘외’를 입력하고, 제3 자음 입력 영역 클릭한 후 제3 모음 입력 영역 드래그하여‘래’를 입력하고, 제6 자음 입력 영역 클릭한 후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여 ‘ㅓ’를 입력하여, 표시영역에 표시한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word 'foreign language', the user clicks on the sixth consonant input area and drags upward from the second vowel input area to input 'other', and then clicks the third consonant input area. Drag the third vowel input area to input 'Ra', click the sixth consonant input area, drag to the left in the second vowel input area, and input 'ㅓ' to display on the display area.

방식system 한글Hangul 키입력순Key input order 입력 회수Input count 두벌식 한글자판Dubol type Hangul keyboard 날마다everyday ㄴ ㅏ ㄹ ㅁ ㅏ ㄷ ㅏㄴ ㅏ ㄹ ㅁ ㅏ ㅏ ㅏ 77 번창함Flourish ㅂ ㅓ ㄴ ㅊ ㅏ ㅇ ㅎ ㅏ ㅁㅂ ㄴ ㄴ ㅇ ㅇ ㅎ ㅁ 99 홍길동Hong Gil Dong ㅎ ㅗ ㅇ ㄱ ㅣ ㄹ ㄷ ㅗ ㅇㅎ ㅗ ㅇ ㄱ ㅣ ㄹ ㄷ ㅗ ㅇ 99 외래어Foreign ㅇ ㅗ ㅣ ㄹ ㅐ ㅇ ㅓㅇ ㅗ ㅣ ㄹ ㅐ ㅇ ㅓ 77 활쏘기Archery ㅎ ㅗ ㅏ ㄹ shift ㅅ ㅗ ㄱ ㅣㅎ ㅗ ㅏ ㄹ shift ㅅ ㅗ ㄱ ㅣ 99 합계Sum 15자15 characters 4141 천지인Heaven and earth 날마다everyday 441255612512441255612512 1212 번창함Flourish 6621448812770012666214488127700126 1717 홍길동Hong Gil Dong 0023774155523700237741555237 1414 외래어Foreign 7723155121772177231551217721 1414 활쏘기Archery 002312557772341002312557772341 1515 합계Sum 15자15 characters 7272 나랏글Naragle 날마다everyday 234532*3234532 * 3 88 번창함Flourish 5*3327**388*355 * 3327 ** 388 * 35 1414 홍길동Hong Gil Dong 8*381942*688 * 381942 * 68 1111 외래어Foreign 869439833869439833 99 활쏘기Archery 8*6347#6198 * 6347 # 619 1010 합계Sum 15자15 characters 5252 본 발명Invention 날마다everyday 제2자음입력영역터치,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3자음입력영역터치,제4자음입력영역터치,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2자음입력영역드래그,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Second consonant input area touch, second vowel input area drag, third consonant input area touch, fourth consonant input area touch, second vowel input area drag, second consonant input area drag, second vowel input area drag 99 번창함Flourish 제4자음입력역역드래그,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2자음입력영역터치,제7자음입력영역드래그,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6자음입력영역터치,제6자음입력영역드래그,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4자음입력영역클릭Fourth consonant input area drag, second vowel input area drag, second consonant input area touch, seventh consonant input area drag, second vowel input area drag Sixth consonant input area touch, sixth consonant input area drag, second Drag vowel input area, click the fourth consonant input area 99 홍길동Hong Gil Dong 제6자음입력영역드래그,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6자음입력영역클릭,제1자음입력영역클릭,제2모음입력영역클릭,제3자음입력영역클릭,제2자음입력영역드래그,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6자음입력영역클릭6th consonant input area drag, 2nd vowel input area drag, 6th consonant input area click, 1st consonant input area click, 2nd vowel input area click, 3rd consonant input area click, 2nd consonant input area drag, 1st 2 Drag vowel input area, click 6th consonant input area 99 외래어Foreign 제6자음입력영역터치,제1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3자음입력영역터치,제3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6자음입력영역터치,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6th consonant input area touch, 1st vowel input area drag, 3rd consonant input area touch, 3rd vowel input area drag, 6th consonant input area touch, 2nd vowel input area drag 66 활쏘기Archery 제6자음입력영역드래그,제1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3자음입력영역클릭,제5자음입력영역드래그,제2모음입력영역드래그,제1자음입력영역클릭,제2모음입력영역클릭Drag the 6th consonant input area, Drag the first vowel input area, Click the third consonant input area, Drag the fifth consonant input area, Drag the second vowel input area, Click the first consonant input area, Click the second vowel input area 77 합계Sum 4040

이처럼, 기존의 천지인이나 나랏글의 한글 입력 방식은 물론 두벌식 자판의 한글 입력 방식보다 한글 입력 효율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Korean input efficiency is improved as compared to the Korean input method of the existing Cheonjiin or Naratgle as well as the Korean input method of the two-bulk keyboard.

또한, 두벌식 자판의 한글 입력 방식을 제외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쓰이고 있는 천지인 등 키 하나에 두 개 이상의 자음이나 모음을 할당하고, 상기 키가 클릭되는 경우 한글을 입력하는 기존의 한글 입력 방식에서 ‘감마’와 같은 문자를 입력할 때 일반적인 키 입력은 ‘4126612’로서 ‘가바’의 키 입력 ‘4126612’와 같으므로 두 문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4126’, 문자 구분, ‘612’의 순으로 입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문자 구분 기호는 일정시간 무 입력이나 커서이동이다. 결과적으로 문자를 구분하기 위해 일정시간 반드시 입력을 하지 않거나 별도의 키를 눌러서 키를 이동시켜야 하는 비효율이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existing Korean input method of assigning two or more consonants or vowels to a single key, such as Cheonjiin, which is used i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pt for the Korean input method of a two-bulk type keyboard, When entering a character such as 'Gamma', the general key input is '4126612', which is the same as 'Gabba' key input '4126612', so you need to enter '4126', character separation, and '612' to distinguish the two characters. do. Generally, character delimiter is no input or cursor movement for some time. As a result, there is an inefficiency that a key must not be input for a certain time or a key must be moved to separate characters.

그러나 본 발명은 자음 및 모음 입력 영역에서의 각각의 클릭이나 드래그에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할당하였는바, 천지인 입력 방식과 같은 일정시간 무 입력이나 커서이동을 해야 필요가 없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consonant or vowel is assigned to each click or drag in the consonant and vowel input areas, there is no need to input or move the cursor for a certain time such as the celestial input method.

[실시 예2][Example 2]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으로서, 자음 입력 영역과 모음 입력 영역을 분리하여 단말기의 양쪽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8 is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onsonant input area and a vowel input area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placed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도 18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전자책과 같이 상대적으로 터치스크린이 큰 단말기를 사용자가 양 손으로 단말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양 손의 손가락을 교대로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in the present embodiment, a user may input a Hangul by using fingers of both hands alternately while the user supports the terminal with both hands, such as an e-book.

[실시 예3][Example 3]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으로서, 자음 또는 모음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자음 입력 영역과 모음 입력 영역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FIG. 19 is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other Hangul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rrangement of a consonant input area and a vowel inpu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of consonants or vowels.

이와 같이 빈번히 사용되는 자음 입력 영역들을 입출력부의 가장 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키를 입력할 수 있으며, 드래그 시 손가락 이동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By arranging frequently used consonant input regions at the edges of the input / output unit, the user can input keys more conveniently and minimize the length of finger movement when dragging.

[실시 예4]Example 4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으로서, 자음 입력 영역과 모음 입력 영역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FIG. 20 is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llustrates arrangement of a consonant input area and a vowel input area.

[실시 예5][Example 5]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으로서, 숫자 및 기타 기호 더 입출력 하기 위한 것이다.FIG. 21 is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numbers and other symbols. FIG.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기존에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별로의 숫자 입력을 위한 키전환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이, 간단히 자음 입력 영역을 드래그 함으로써,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등 기타 기호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y input a number by simply dragging the consonant input area without pressing a key switch button for inputting a number separately in order to input a number. Also, other symbols such as '$', '%', ';', '^', '=', '*', '.', '(', ')', '!', '?' You can enter

[실시 예6][Example 6]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으로서, 자음 입력 영역에서 드래그 방향에 따른 입출력 되는 글자를 실시 예1과 달리한 것이다.FIG. 22 is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etters inputted and output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in the consonant input area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입출력부인 터치스크린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 자음 입력 영역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를 시도할 경우, 공간이 충분치 않아 사용자는 드래그를 제대로 할 수 없다. 그러나 도 22과 같이 터치스크린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 자음 입력 영역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상방 향 드래그에 자음을 출력하도록 할당하고, 후차적으로 좌향 드래그 및 우량 드래그시 동일한 자음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When dragging to the left in the consonant input area disposed at the edge of the touch screen as an input / output unit, the user cannot drag properly because there is not enough space. However, in relation to the consonant input area disposed at the edge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22, the consonants are first outputted to the upward drag and the same consonants are output to the left and the right drag. The same problem can be solved.

[실시 예7][Example 7]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으로서, 9개의 자모음 입력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도 24와 같이, 제4 자음 입력 영역에서 상하좌우 방향의 드래그에 각각 “ㅆ”,”ㅉ”, “ㅈ”, “ㅊ”을 할당하여, 실시 예1에서의 제6 자음 입력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FIG. 23 is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llustrates nine consonant input regions. As shown in FIG. 24,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ourth consonant input region are illustrated. The sixth consonant input region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removed by assigning “ㅆ”, “ㅉ”, “ㅈ”, and “ㅊ” to each drag.

또한, 제4 모음 입력 영역에서의 드래그에 따른 “ㅑ”, “ㅕ”, “ㅛ”, “ㅠ”의 출력은 제2 모음 입력 영역에서의 드래그를 통해 출력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는바, 제4 모음 입력 영역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of "ㅑ", "ㅕ", "ㅛ", "ㅠ" according to the drag in the fourth vowel input region can be replaced by outputting by dragging in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You can also remove the vowel entry area.

결과적으로, 3 곱하기 3 매트릭스 형태로 전부 9개의 자음 입력 영역과 모음 입력 영역을 사용하므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단말기에서 본 형태의 한글입출력 장치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실시 예는 기존의 한글 입력 장치 보다 자모음 입력 영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 오타를 입력할 가능성이 낮아 진다.
As a result, since all nine consonant input areas and vowel input areas are used in the form of 3 times 3 matrix, the utilization of the Korean input / output device of this type is high in a terminal having a small display uni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the consonant input area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device,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yping a typo.

본 명세서에서 드래그의 방향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제1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과 같은 식으로 기재하고 있다. 문언상 해석할 때 제2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것은 정확하게 제1 방향과 180도 차이가 나도록 드래그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것은 정확하게 제1 방향과 90도 차이 나도록 드래그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반대 방향 또는 직교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명세서 내의 기재를 간략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반대 방향 또는 직교 방향의 범위는 실제로 사용자가 드래그 방향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simply express the direction of drag,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re described. In the literary interpretation, dragging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interpreted as dragging to be exactly 180 degree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dragging in the third direction may be interpreted as dragging 90 degrees precisely from the first direction. However, the use of the term opposite or orthogonal in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range in the opposite or orthogonal direction may actually be included in the drag direction by the user.

예를 들어, 도 24에 보는 것과 같이 문언상 제1 모음 입력 영역에서 상방 드래그(2401)와 직교 하는 방향의 드래그(2453)는 하나라고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손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는 오차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상방 드래그(2401)와 직교하는 방향의 드래그란 정확하게 직교하는 방향의 드래그(2453)뿐 아니라 드래그(2451)와 같이 가상의 영역 중 일 영역(2480)에 쪽에서 드래그가 종료되는 드래그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4, in the first vowel input area, in the language, the drag 2453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ward drag 2401 may be referred to as one, but in general, the drag direction of a user who uses a hand or the like. There must be an error. As a result, the dra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ward drag 2401 includes not only the drag 2453 in the precisely orthogonal direction but also the drag in which the drag ends on one side 2480 of the virtual area, such as the drag 2451. It is.

마찬가지로, 반대 방향의 드래그도 같은 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Similarly, dragg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way.

도 25는 실제 드래그를 통해 자모음이 출력되는 예를 설명한 것이다. 2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onsonant is output through actual dragging.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모음 입력 영역(2510)이 터치되는 순간, 터치 위치를 중심으로 가상의 중심 영역(2531) 및 가상의 중심 영역을 둘러 싸고 있는 가상 영역들(2533,2535,2537,2539)이 생성된다. 그리고 제1 모음 입력 영역(2510)에서 일 방향으로 드래그(2551) 되어 가상의 중심 영역(2531)을 지나 주변의 제1 가상 영역(2533)에서 드래그가 끝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2551)가 끝나는 위치로 드래그의 방향을 판단하며, 상기 방향을 통해 미리 할당된 자음이나 모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As shown in FIG. 25, at the moment when the first vowel input area 2510 is touched, the virtual center area 2251 and the virtual areas 2533, 2535, and 2537 surrounding the virtual center area around the touch position. 2539). When the drag ends 2551 in the first vowel input area 2510 in one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virtual center area 2531, the drag ends in the peripheral first virtual area 2533. I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drag to the end position, and controls to output a consonant or a vowel pre-allocated through the direction.

즉,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로 드래그의 방향을 판단하는바 제어부는 앞서 살핀 드래그(2551)과 마찬가지로 주변의 제1 가상영역(2533)에서 끝나는 드래그들(2551,2553,2555)을 모두 왼쪽 수평 방향의 드래그로 인식한다.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drag is determined to the end position of the drag bar. Like the salpin drag 2551, the controller controls all the drags 2551, 2553, and 2555 ending in the first virtual area 2533 in the left horizontal direction. Recognize it by dragging.

또한, 주변의 제1 가상 영역(2533)을 거쳐 주변의 제2 가상 영역(2535)에서 드래그(2571)가 끝나는 경우는 상방향 드래그(2573)와 동일한 방향의 드래그로 인식한다.
In addition, when the drag 2571 ends in the peripheral second virtual area 2535 via the surrounding first virtual area 2533, it is recognized as a dra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ward drag 2573.

도 26는 실제 드래그를 통해 자모음이 출력되는 다른 예를 설명한 것이다.26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a consonant is output through actual dragging.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모음 입력 영역(2610)이 터치되는 순간, 터치 위치를 중심으로 가상의 중심 영역(2631) 및 가상의 중심 영역을 둘러 싸고 있는 가상 영역들(2633, 2635, 2637 ,2639)이 생성된다. 그리고 제2 모음 입력 영역(2610)에서 일 방향으로 드래그(2651) 되어 가상의 중심 영역(2631)을 벗어나는 순간의 지점을 지나는 선(2671)을 중심으로 가상의 제1 영역(2671) 및 제2 영역(2673)이 재할당된다. 결과적으로 드래그(2651)가 제1 영역(2691)에서 시작되어 제2 영역(2693)을 지나 다시 제1 영역(2691)에서 종료되는 경우, 미리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을 출력한다.As shown in FIG. 26, at the moment when the second vowel input area 2610 is touched, virtual areas 2633, 2635, and 2637 surrounding the virtual center area 2263 and the virtual center area around the touch position. 2639). The virtual first area 2671 and the second are centered on a line 2671 passing through a point at which the second vowel input area 2610 is dragged 2651 in one direction to leave the virtual center area 2651. Region 2673 is reallocated. As a result, when the drag 2601 starts in the first area 2691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area 2693 and ends again in the first area 2691, a pre-assigned consonant or vowel is output.

Claims (17)

삭제delete 서로 다른 기호가 각각 배치된 다수 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드래그 또는 터치되는 경우, 드래그 방향 또는 터치에 따라 미리 할당된 한글이 출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제1 입력 영역, 제2 입력 영역, 제3 입력 영역 및 제4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ㅘ’이 출력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ㅝ’이 출력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ㅚ’이 출력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ㅟ’이 출력되며,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ㅏ’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ㅓ’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ㅗ’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ㅜ’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ㅑ’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ㅕ’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ㅛ’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ㅠ’가 출력되며,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ㅐ’이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ㅔ’이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ㅙ’이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ㅞ’이 출력되며,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ㅒ’가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ㅖ가 출력되며,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ㅑ’이 출력되고,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ㅕ’이 출력되고,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ㅛ’이 출력되고,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ㅠ’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An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regions each having a different symbol disposed thereon, and when one of the input regions is dragged or touched, a predetermined Hangul is output according to a dragging direction or a touch;
In the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unit,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input area, a second input area, a third input area, and a fourth input area.
The input /
'ㅘ'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ㅝ'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ㅚ'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a third direction,
'ㅟ'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ㅏ'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ㅓ'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ㅗ'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TT'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ㅑ' is output.
'ㅕ'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ㅛ'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ㅠ'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ㅐ'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ㅔ'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ㅙ' is output.
'ㅞ'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ㅒ'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ㅖ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ㅑ'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ㅕ'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ㅛ' is output.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ㅠ'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ㅢ’가 출력되며,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ㅣ’가 출력되며,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ㅡ’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touched, 'ㅢ' is output.
'ㅣ'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ㅡ'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이며,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며,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3 방향에 반대 방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서로 다른 기호가 각각 배치된 다수 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드래그 또는 터치되는 경우, 드래그 방향 또는 터치에 따라 미리 할당된 한글이 출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제1 입력 영역, 제2 입력 영역, 제3 입력 영역 및 제4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ㅘ’이 출력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ㅝ’이 출력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ㅚ’이 출력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ㅟ’이 출력되며,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ㅏ’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ㅓ’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ㅗ’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상기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ㅜ’이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ㅑ’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ㅕ’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3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ㅛ’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4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ㅠ’가 출력되며,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ㅐ’이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ㅔ’이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ㅙ’이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ㅞ’이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ㅒ’가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되는 경우 ‘ㅖ’가 출력되며,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ㅑ’이 출력되고,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ㅕ’이 출력되고,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ㅛ’이 출력되고,
상기 제4 입력 영역이 상기 제4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ㅠ’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An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regions each having a different symbol disposed thereon, and when one of the input regions is dragged or touched, a predetermined Hangul is output according to a dragging direction or a touch;
In the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unit,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input area, a second input area, a third input area, and a fourth input area.
The input /
'ㅘ'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ㅝ'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ㅚ'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a third direction,
'ㅟ' is output when the first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ㅏ'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ㅓ'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ㅗ'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TT'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ㅑ' is outputted.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ㅕ' is outputted.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a third direction and then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hird direction, 'ㅛ' is outputted.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and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ourth direction, 'ㅠ' is outputted.
'ㅐ'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ㅔ'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ㅙ' is output.
'ㅞ'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ㅒ'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ries of continuous drags are mad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ㅖ' is output.
'ㅑ'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ㅕ'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ㅛ' is output.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ㅠ' is output when the four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이며,
상기 제3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상기 제4 방향이며,
상기 제4 방향과 상이한 방향은 상기 제3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s the second directio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direction is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hird direction is the fourth direction,
The Hangul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ourth direction is the third direction.

서로 다른 기호가 각각 배치된 다수 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드래그 또는 터치되는 경우, 드래그 방향 또는 터치에 따라 미리 할당된 한글이 출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제2 입력 영역 또는 제3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ㅑ’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ㅕ’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ㅛ’가 출력되고,
제2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ㅠ’가 출력되며,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ㅒ’가 출력되고,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상기 제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ㅖ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An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regions each having a different symbol disposed thereon, and when one of the input regions is dragged or touched, a predetermined Hangul is output according to a dragging direction or a touch;
In the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unit,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cond input area and a third input area, and the input / output uni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ㅑ' is output.
'ㅕ'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ㅛ'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ㅠ' is output when the secon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secon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ㅒ'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ㅖ is output when the third input area is touched after the third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이며,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며,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3 방향에 반대 방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입력 영역에 모음 자획인‘ㅡ’, ‘· ’ 및 ‘ㅣ’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기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ymbol composed of at least one of '-', '·', and 'ㅣ' which are vowel marks in the first to fourth input region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제5 입력 영역, 제6 입력 영역, 제7 입력 영역, 제8 입력 영역, 제9 입력 영역, 제10 입력 영역 및 제11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제5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ㄲ’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ㅋ’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ㄱ’가 출력되며,
제6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ㄷ’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ㅌ’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제5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ㄸ’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ㄴ’가 출력되며,
제7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ㄹ’가 출력되며
제8 입력 영역이 제6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ㅍ’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제7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ㅂ’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제8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ㅃ’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ㅁ’가 출력되며
제9 입력 영역이 방향에 관계없이 드래그되는 경우, ‘ㅆ’이 출력되고,
상기 제9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ㅅ’이 출력되며,
제10 입력 영역이 방향에 관계없이 드래그되는 경우, ‘ㅎ’이 출력되고,
상기 제10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ㅇ’이 출력되며,
제11 입력 영역이 제9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ㅉ’이 출력되고,
상기 제11 입력 영역이 제10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ㅊ’이 출력되고,
상기 제11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ㅈ’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fth input area, a sixth input area, a seventh input area, an eighth input area, a ninth input area, a tenth input area, and an eleventh input area,
The input and output unit
'ㄲ'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ㅋ'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touched, 'ㄱ' is output.
'C'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ㅌ'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ㄸ'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fth direction,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touched, 'b' is outputted.
When the s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ㄹ'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ixth direction, 'p' is output, an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venth direction, 'ㅂ' is outputte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eighth direction, 'ㅃ'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touched, 'ㅁ'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ㅆ'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touched, 'ㅅ' is output.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dragg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ㅎ' is output.
'ㅇ' is output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touched.
'ㅉ'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ninth direction,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enth direction, 'ㅊ' is output.
The Korean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ㅈ'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touche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내지 제11 입력 영역에 ‘ㄱ’,’ㄴ’,’ㄹ’,’ㅁ’,’ㅅ’,’ㅇ’ 및 ‘ㅈ’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 'b', 'ㄹ', 'ㅁ', 'ㅅ', 'ㅇ' and 'ㅈ'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fth to eleventh input area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제5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ㄲ’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ㅋ’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ㄱ’가 출력되고
제6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ㅌ’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ㄷ’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제5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ㄸ’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ㄴ’가 출력되고
제7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ㄹ’가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제6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ㅍ’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제7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ㅂ’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제8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ㅃ’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ㅁ’가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9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ㅆ’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10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ㅉ’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1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ㅊ’이 출력되고,
제9 입력 영역이 제1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ㅈ’이 출력되고,
상기 제9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ㅅ’이 출력되고
제10 입력 영역이 방향에 관계없이 드래그되는 경우, ‘ㅎ’이 출력되고,
상기 제10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ㅇ’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and output unit
'ㄲ'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ㅋ'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touched, 'ㄱ' is output.
'ㅌ'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c'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ㄸ'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fth direction,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touched, 'b' is output.
When the s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ㄹ'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ixth direction, 'p' is output, an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venth direction, 'ㅂ' is outputte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eighth direction, 'ㅃ'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touched, 'ㅁ' is outputted.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ninth direction, 'ㅆ'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enth direction, 'ㅉ'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eleventh direction, 'ㅊ'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welfth direction, 'ㅈ'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touched, 'ㅅ' is output.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dragg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ㅎ' is output.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h'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touche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내지 제10 입력 영역에 ‘ㄱ’,’ㄴ’,’ㄹ’,’ㅁ’,’ㅅ’ 및 ’ㅇ’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 'b', 'ㄹ', 'ㅁ', 'ㅅ' and 'ㅇ' are arranged in the fifth to tenth input area, respectivel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제5 입력 영역, 제6 입력 영역, 제7 입력 영역, 제8 입력 영역, 제9 입력 영역, 제10 입력 영역, 제11 입력 영역, 제12 입력 영역기 및 제13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제5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ㄲ’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ㅋ’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ㄱ’가 출력되며,
제6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ㅌ’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제5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ㄸ’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ㄷ’가 출력되며,
제7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ㄹ’가 출력되며
제8 입력 영역이 제6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ㅃ’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제8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ㅍ’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ㅂ’가 출력되며
제9 입력 영역이 방향에 관계없이 드래그되는 경우, ‘ㅆ’이 출력되고,
상기 제9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ㅅ’이 출력되며,
제10 입력 영역이 방향에 관계없이 드래그되는 경우, ‘ㅎ’이 출력되고,
상기 제10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ㅇ’이 출력되며,
제11 입력 영역이 제9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ㅉ’이 출력되고,
상기 제11 입력 영역이 제10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ㅊ’이 출력되고,
상기 제11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ㅈ’이 출력되고,
상기 제1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ㄴ’이 출력되고,
상기 제13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area may include a fifth input area, a sixth input area, a seventh input area, an eighth input area, a ninth input area, a tenth input area, an eleventh input area, a twelfth input area group, and a thirteenth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The input and output unit
'ㄲ'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ㅋ'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touched, 'ㄱ' is output.
'ㅌ'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ㄸ'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fth direction,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touched, 'ㄷ' is output.
When the s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ㄹ' is output.
'ㅃ'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ixth direction, and 'p'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eighth direction,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touched, 'ㅂ'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ㅆ'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touched, 'ㅅ' is output.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dragg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ㅎ' is output.
'ㅇ' is output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touched.
'ㅉ'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ninth direction,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enth direction, 'ㅊ'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ㅈ' is output.
When the twelfth input area is touched, 'b' is outputted.
Hange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ㅁ' is output when the thirteenth input area is touched.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내지 제13 입력 영역에 ‘ㄱ’,’ㄷ’,’ㄹ’,’ㅂ’,’ㅅ’, ’ㅇ’, ‘ㅈ’, ㄴ’및 ‘ㅁ’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c', 'r', 'ㅂ', 'ㅅ', 'ㅇ', 'ㅈ', b 'and' ㅁ 'are disposed in the fifth to thirteenth input areas, respectively. Hangul I / O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제5 입력 영역, 제6 입력 영역, 제7 입력 영역, 제8 입력 영역, 제9 입력 영역, 제10 입력 영역, 제11 입력 영역 및 제12 입력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제5 입력 영역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ㄲ’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ㅋ’이 출력되고,
상기 제5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ㄱ’가 출력되며,
제6 입력 영역이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ㄷ’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제4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ㅌ’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제5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ㄸ’이 출력되고,
상기 제6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ㄴ’가 출력되며,
제7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ㄹ’가 출력되며
제8 입력 영역이 제6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ㅍ’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제7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ㅂ’이 출력되고,
제8 입력 영역이 제8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ㅃ’이 출력되고,
상기 제8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ㅁ’가 출력되며
제9 입력 영역이 방향에 관계없이 드래그되는 경우, ‘ㅆ’이 출력되고,
상기 제9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ㅅ’이 출력되며,
제10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ㅇ’이 출력되며,
상기 제11 입력 영역이 제9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ㅉ’이 출력되고,
상기 제11 입력 영역이 제10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ㅊ’이 출력되고,
상기 제11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ㅈ’이 출력되며,
제12 입력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ㅎ’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fth input area, a sixth input area, a seventh input area, an eighth input area, a ninth input area, a tenth input area, an eleventh input area, and a twelfth input area. ,
The input and output unit
'ㄲ'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ㅋ' is output.
When the fifth input area is touched, 'ㄱ' is output.
'C'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ㅌ'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ourth direction,
'ㄸ' is output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fifth direction,
When the sixth input area is touched, 'b' is outputted.
When the s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ㄹ'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ixth direction, 'p' is output, an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seventh direction, 'ㅂ' is outputted.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eighth direction, 'ㅃ' is output.
When the eighth input area is touched, 'ㅁ'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dragg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ㅆ' is output.
When the ninth input area is touched, 'ㅅ' is output.
When the tenth input area is touched, 'ㅇ' is output.
'ㅉ'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ninth direction,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dragged in the tenth direction, 'ㅊ' is output.
When the eleventh input area is touched, 'ㅈ' is output.
Hangul input an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ㅎ' is output when the twelfth input area is touched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내지 제12 입력 영역에 ‘ㄱ’,’ㄴ’,’ㄹ’,’ㅁ’,’ㅅ’,’ㅇ’,‘ㅈ’및 ‘ㅎ’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Hangul input and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b', 'b', 'ㄹ', 'ㅁ', 'ㅅ', 'ㅇ', 'ㅈ' and 'ㅎ' are arranged in the fifth to twelfth input areas, respectively. Device


KR1020100057661A 2010-06-17 2010-06-17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Active KR101234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61A KR101234370B1 (en) 2010-06-17 2010-06-17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61A KR101234370B1 (en) 2010-06-17 2010-06-17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30A KR20110137630A (en) 2011-12-23
KR101234370B1 true KR101234370B1 (en) 2013-02-18

Family

ID=4550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661A Active KR101234370B1 (en) 2010-06-17 2010-06-17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3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721B1 (en) * 2012-02-12 2012-08-09 차영훈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its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31B1 (en) 2008-05-06 2009-12-03 노승영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100019288A (en) * 2008-08-08 2010-02-18 조근우 Text inputing method on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31B1 (en) 2008-05-06 2009-12-03 노승영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100019288A (en) * 2008-08-08 2010-02-18 조근우 Text inputing method on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30A (en)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162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9141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KR1016367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88566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deletion
US20140078065A1 (en) Predictive Keyboard With Suppressed Keys
EP1933225A2 (en) Using sequential taps to enter text
US9164592B2 (en) Keypad
WO2012039915A1 (en) Multiple touchpoints for efficient text input
WO2015106016A1 (en) Determining input associated with one-to-many key mappings
JP6057441B2 (en) Portable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JP4462120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234370B1 (en) Hangul input and output apparatus
JP4614505B2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WO2011085553A1 (en) Virtual keyboard
JP2015043560A (en) Software keyboard program,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WO2012116497A1 (en)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in pinyin mode
KR20090009184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20200150779A1 (en) Keyboard
US20120120012A1 (en) Method for inputting digital characters
KR1016528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text using a Picker in touch environment
KR101657553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key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JP3766695B6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WO2009072852A2 (en) Keypa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6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1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