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3722B1 - 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722B1
KR101233722B1 KR1020110030506A KR20110030506A KR101233722B1 KR 101233722 B1 KR101233722 B1 KR 101233722B1 KR 1020110030506 A KR1020110030506 A KR 1020110030506A KR 20110030506 A KR20110030506 A KR 20110030506A KR 101233722 B1 KR101233722 B1 KR 101233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buoyancy body
delete delete
frame
buoya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12915A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김영근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2011003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722B1/en
Priority to CN201280017530.6A priority patent/CN103502336B/en
Priority to US14/009,434 priority patent/US20140030457A1/en
Priority to EP12767411.7A priority patent/EP2695908A4/en
Priority to PCT/KR2012/002393 priority patent/WO2012138081A2/en
Priority to JP2014503590A priority patent/JP5727089B2/en
Publication of KR2012011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72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이동체는, 육상 또는 수상에서 이동되는 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는 제1 프레임을 기본 골격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을 제2 프레임이 둘러싸는 중첩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amphibian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cy body which is moved on land or in the water, and the buoyancy body is formed of an overlapping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frame surrounds the first frame with the first frame as the basic frame.

Description

부력체 및 이를 포함한 수륙 양용 이동체{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포 성형을 통해 조성되고, 적층 구조로 제작되며, 중첩 프레임을 구비하여 중량이 가볍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부력체 자체의 특성에 의해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중 조절이 가능한 부력체와 이를 포함한 수륙 양용 이동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rough foam molding, manufactured in a laminated structure, having a superimposed frame, light weight, resistant to external impact, mass production, and can improve the restoring force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oyancy body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t body capable of adjusting its own weight and an amphibious mobile vehicle including the same.

기존 선박과 레저용 보트는 금속, FRP, 목재, 공기 튜브 등의 소재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들 소재는 아주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활용되어 온 소재이긴 하지만, 대부분 전체가 같은 비중으로 제조되어 부력 소재 자체로 복원력을 향상시키거나 자중을 위치별로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대량생산이 어려웠고, 수상 활동을 기본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도 강하지 않다. Existing vessels and leisure boats are made of materials such as metal, FRP, wood, and air tubes. Although these materials have been universally used for a very long time, most of them are manufactured with the same specific gravity, so that the buoyancy material itself cannot improve resilience or adjust its own weight by location. In addition, mass production was difficult, and based on water activities, it is relatively resistant to external shocks.

레저 확대 추세에 부응하여 수상과 육상을 동시에 운행할 수 있는 레저 장비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기존의 부력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수상과 육상으로의 진출입이 자주 발행하고, 수중 암초와 지상의 바위 등에 충돌시 수밀 파괴, 침수, 전복의 우려가 있으며, 수상 또는 육상에서 이동시 불안정성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In response to the trend of leisure expansion, leisure equipment that can operate both water and land at the same time is in the spotlight. However, since most of the existing buoyancy materials are used, entry and exit into the water and land are frequently issued, and when colliding with underwater reefs and rocks on the ground, there is a risk of watertight destruction, flooding and overturn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it.

또한, 기존의 군사용 수륙 양용 이동체도 탄환 등 외부 충격을 감당하기 위하여 철 등을 소재로 하여 강하고 무겁게 제조되었다. 따라서, 하중 극복을 위한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장비의 규모가 매우 클 수밖에 없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military amphibious vehicle was also made strong and heavy made of iron, such as bullets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Therefore, the scale of the equipment was very large to generate the buoyancy to overcome the load.

군사용 보트도 기존의 고무와 공기 소재 대신 가볍고 방탄이 되며 탄성이 강한 소재를 이용한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Military boats are also required to be manufactured using lightweight, bulletproof, and highly elastic materials instead of conventional rubber and air materials.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발포 성형을 통해 조성되고, 적층 구조로 제작되며, 중첩 프레임을 구비하여 중량이 가볍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소재 자체의 특성에 의해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중 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부력체를 제안한다. In order to solve these existing problems, it is formed through foam molding, manufactured in a laminated structure, and has a superimposed frame, which is light in weight, resistant to external impact, can be mass-produced, and resilient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tself. We propose a new buoyant body that can improve the self-weight control.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중량이 가볍고, 부력이 양호하며, 기계적 강도 확보와 함께 대량 생산이 가능한 부력체 및 이를 포함한 수륙 양용 이동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provides a buoyant body having a light weight, good buoyancy, and capable of mass production with securing mechanical strength, and an amphibious mobile body including the same.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부력체는 발포체를 포함한 다수의 프레임이 적층 구조로 중첩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부력체는 발포체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체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고분자량 디올 및 저분자량 디올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체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우레아와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의 접착력 또는 상기 폴리우레아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의 접착력에 따라 상기 발포체의 표면에 대한 상기 코팅층의 접착력이 증강된다.
본 발명의 부력체는 발포체 및 프레임이 적층된 것이다. 상기 발포체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발포체를 관통하거나 상기 발포체에 함몰되는 차축 또는 관통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그물 구조체로서 상기 제1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발포체와 함께 발포 성형됨으로써 상기 발포체의 강성이 증강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발포체는 제1 발포체 및 제2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포체 및 상기 제2 발포체의 경계면에 결합 수단이 개재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접착제, 볼트, 너트, 철제나 합성수지로 된 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이오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발포체와 함께 발포 성형되며, 상기 제1 부재를 1차 골격으로 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중첩되는 제2 부재를 2차 골격으로 하여 상기 발포체가 복합 구조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외부로 돌출시킨 조립 돌기 및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함몰시킨 것으로 상기 조립 돌기가 체결되는 조립 구멍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수상 운행시 상기 관통 실린더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어 부력 및 복원력이 확보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부력체는 발포체 및 관통 실린더가 적층된 것이다. 상기 관통 실린더의 내부에 추진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 실린더의 일부가 개구된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제3 개구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고, 상기 추진 수단에 의하여 물이 상기 제3 개구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수상 추진력이 발생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개구, 상기 제3 개구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는 개폐 가능하며 수상 진입시 상기 제1 개구가 폐쇄되고, 수상 주행시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입수된 물이 상기 추진 수단을 거쳐 상기 제3 개구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수상 추진력이 발생한다.
In one embodiment,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ck of a plurality of frames including a foam in a laminated structure.
In one embodiment,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am and a frame, and the foam is made of polyether-based polyurethane or polyester-based polyurethane.
In one embodiment,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comprises a polyisocyanate, a high molecular weight diol and a low molecular weight diol,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am, the coating layer is made of a polyurea containing an isocyanate and an amine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o the surface of the foam is enhanced according to the adhesion of the polyurea and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or the adhesion of the polyurea and the polyester-based polyurethane.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of foam and frame. The foam is made of polyurethane and the frame compris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e first member comprises an axle or through cylinder penetrating the foam or recessed in the foam, the second member fac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s a mesh of metal or nonmetal,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foamed together with the foam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foam.
In one embodiment, the foam comprises a first foam and a second foam, the coupling means is interposed between the interface of the first foam and the second foam, the coupling means is adhesive, bolts, nuts, steel or synthetic resin At least one of the pins, wherein the adhesive comprises an isocyanate group.
In an embodimen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oam-molded together with the foam, and the first member is the primary skeleton and the second member overlapping the first member is the secondary skeleton. The foam is formed into a composite structure.
In one embodiment, the assembling projections projecting a portion of the frame to the outside and the assembling hole to which the assembly projections are fasten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frame.
In one embodiment, the air is accommodated in the through cylinder during the water operation to ensure buoyancy and restoring force.
In one embodiment,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ion of a foam and a through cylinder. A propulsion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through cylinder, and at least one of a first opening, a second opening, and a third opening in which a part of the through cylinder is opened is provided, and water is moved by the propulsion means in the third open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driving force of the water is generated.
In an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and the third opening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the first opening may be opened and closed, the first opening may be closed upon entering the water phase, and the second opening may be opened during the water driving. The water propulsion force is generated while the water obtained therethrough is discharged toward the third opening via the propulsion means.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 성형을 통해 제조되고,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중첩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중량이 가볍고, 부력이 양호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기계적 강도까지 확보되는 부력체와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이동체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foam molding, made of a laminated structure, made of a superimposed frame structure, light weight, good buoyancy, mass production is possible, with a buoyancy body having a mechanical strength and having it Can make amphibious vehicles.

이를 통해 기존 선박 및 수상레저 장비에 사용되고 있는 금속, FRP, 목재 등의 소재를 활용하는 것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된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 기존 선박 및 수상레저 장비를 구성하는 부력 소재의 비중 조절이 가능하여 소재나 구조 자체로 부력과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중을 조절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This provides a significantly improved manufacturing method than utilizing materials such as metal, FRP, and wood that are used in existing vessels and water leisure equipment,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ecific gravity of buoyancy materials constituting existing vessels and water leisure equipment. The material or structure itself can improve buoyancy and resilience, and can control its own weight.

또한, 본 발명의 부력체를 수상 진출입이 자주 이루어지는 수륙 양용 이동체에 활용하면 수중 암초 및 지상 바위 등 단단한 물체와의 충돌시 수밀 파괴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육상이동을 전제로 한 구조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상 전복의 우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utilizing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mphibious moving body that frequently enters and leaves the water, the risk of watertight destruction when colliding with hard objects such as underwater reefs and ground rocks can be reduced. It can dramatically reduce the risk of water fallover that can occur.

한편, 본 발명의 부력체를 군사용 수륙양용 이동체에 활용할 경우, 방탄 소재를 중첩 프레임으로 인서트하고 발포 성형 및 적층 구조로서 가볍고 탄성이 강한 부력체로 제조된다. 따라서, 기존 군사용 수륙양용 이동체와 달리 가벼우면서도 강하고 방탄 효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in the military amphibious mobile body, the bullet-proof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superimposed frame and is manufactured as a light and strong buoyancy body as the foam molding and the laminated structure. Thus, unlike the existing military amphibious vehicle, it is light and strong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bulletproof effect.

이는 군사용 고무보트에도 해당되는 사항으로, 고무튜브 소재 대신 가볍고 방탄이 되며 탄성이 강한 부력체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고무보트와는 달리 좀 더 안전하게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also applies to military rubber boats, which provide a light, bulletproof and strong elastic buoyancy body instead of rubber tube material, so that unlike military rubber boats, military operations can be performed more safely.

또한 중소형 선박과 레저용 보트에 본 발명의 부력체를 활용하였을 경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소재나 구조 자체의 특성에 의해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중 조절이 가능하여 한층 진보된 선박과 레저용 보트를 제작하여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small and medium-sized vessels and leisure boats, mass production is possible, and the resilience can be improv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or structure itself, and the self-weight can be adjusted to further advanced vessels and leisure boats. You can make a boat and use it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이동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이동체의 복합 구조를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이동체의 제1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성형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체 단면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부의 차축 설치 구조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축의 설치 위치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과 비교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승강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부력체의 각 부분별로 다른 부력을 갖도록 설계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보조 부력체의 추진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부력체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mphibian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structure of the amphibian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rame of the amphibian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form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show the buoyancy body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show an axle mounting structure of the rot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x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atform is mov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FIG. 1.
11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designed to have different buoyancy for each part of the buoyancy body.
It is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propulsion action of an auxiliary buoyancy body.
15 to 19 show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hat are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이동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이동체의 복합 구조를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이동체의 제1 프레임(10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성형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mphibian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structure of the amphibian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rame 101 of the amphibian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form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발포체'는 알루미늄 발포체, 멜라민 수지 발포체, EPP(폴리프로필렌), EPS(스치로폼), EPE(발포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is made of at least one of aluminum foam, melamine resin foam, EPP (polypropylene), EPS (Styrofoam), EPE (foamed polyethylene), polyurethane.

일 실시예로서,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우레탄은 발포 성형이 가능한 소재로, 연질, 반경질, 경질로 구분된다. 정해진 형상을 만들기 위해 금형(200) 모양대로 발포 성형이 가능하며, 가볍고, 경도 또는 강도 조절의 폭이 넓다. 탄성 및 복원력, 내열, 내유, 내마모, 난연 등의 특성 또한 발포 과정에서 첨가제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고, 내부 구조의 셀 형태를 바꿀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As an embodiment, when explaining the polyurethane foam molding as follows. Polyurethane is a material capable of foam molding and is classified into soft, semi-rigid, and hard. In order to make a predetermined shape, foam molding can be performed in the shape of a mold 200, and it is light and has a wide range of hardness or strength adjustment. Properties such as elasticity and resilience, heat resistance, oil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can also be controlled through additives in the foaming proces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ing the cell shape of the internal structure.

부력체(100)의 제조 과정에서 폴리우레탄을 활용하면 가벼우면서도 강한 부력체(100)를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적층 발포를 통하여 비중을 조절하게 되면 수상에서 복원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자중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발포 성형시 강도 강화용 프레임을 중첩구조로 인서트 시키면 부력체(10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polyurethane is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uoyancy body 100, light and strong buoyancy body 100 can be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and if the specific gravity is controlled through lamination and foam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resilience can be adjusted as desired. Self weight can be adjusted. In addition, inserting the frame for strength strengthening in the overlapping structure during foam molding can greatly improve the strength of the buoyancy body (100).

일예로, 일반적인 부력체(100)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홀수선(C0) 아래 부분은 수상에서 선박의 무게중심과 복원력에 영향을 끼치지만, 홀수선(C0) 윗 부분은 선박의 전체 형태를 구성하고, 선박이 기울어졌을 때 복원력 발생과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홀수선(C0) 위쪽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부력체(100)는 선박의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For example, in a vessel including a general buoyancy body 100, the portion below the odd line C0 affects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resilience of the vessel in the water, while the portion above the odd line C0 is the overall shape of the vessel. It is configured to play a role in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resilience and water infiltration when the ship is tilted. That is, the buoyancy body 100 constituting the structure above the odd line C0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ship.

따라서, 선박의 홀수선(C0) 아래 부력체(100)는 수상에서 선박이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는 음성 부력체(100)(비중 1.0 이상)를 활용하고 홀수선(C0) 위쪽을 강도가 확보된 양성 부력체(폴리우레탄의 경우 비중 0.5 이하 )로 구성할 경우 기존의 선박 구조보다 가벼우면서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고, 부력체(100) 자체의 비중 조절을 통한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buoyancy body 100 under the odd line C0 of the ship utilizes the negative buoyancy body 100 (specific gravity 1.0 or more) that the ship can stably operate in the water and secures the strength above the odd line C0. When the positive buoyancy body (polyurethane specific gravity less than 0.5) is configured to be lighter than the existing vessel structure and lower the center of gravi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lience by adjust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uoyancy body 100 itself.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부력체(100)의 일예로 폴리우레탄을 발포 성형을 제안하고 있다. 즉, 비중이 높고 무게가 안정적인 프레임을 중첩 인서트 하여 발포된 하부에, 비중이 낮고 강도가 유지되는 프레임이 중첩 인서트 된 상부를 적층 발포 성형하게 되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foam molding of polyurethane as an example of the buoyancy body 100 that can satisfy such conditions. That is, when the foam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and stable weight is overlapped and inserted into a foamed lower portion, the foamed molding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and strength maintained is laminated and molded into an upper portion where the foam is laminated.

또한 발포 성형을 위해 금형(200) 안에 인서트 되는 프레임과 발포체는 다양하게 중첩된다. 이때 두 개의 다른 특성이나 현상이 포개져 하나의 형태로 유지되며, 포개어진 각각의 특성은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각 변하지 않는다. 중첩의 예를 들면, 발포 성형을 위해 금형(200) 안에 인서트되는 강도 보강용 프레임인 제1 프레임(101)이 발포체로 구성되는 제2 프레임(102)에 겹쳐지거나, 제1 발포체(C1) 및 제2 발포체(C2)가 서로 이어지거나, 제1 프레임(101)의 메쉬 구조 사이사이에 제2 프레임(102)에 해당하는 발포체가 스며들어 경화되거나,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이 각각 고유의 특성을 유지한 상태로 겹쳐진다.In addition, the frame and the foam to be inserted into the mold 200 for foam molding is superimposed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henomena are superimposed and maintained in one form, and each superimposed characteristic does not change even when overlapped. For example of superposition, the first frame 101, which is a frame for strength reinforcement inserted into the mold 200 for foam molding, overlaps the second frame 102 made of foam, or the first foam C1 and The second foam C2 is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foa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ame 102 is infiltrated and cured between the mesh structures of the first frame 101, or the first frame 101 and the second frame ( 102 overlap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its own characteristics.

삭제delete

일 실시예로서, 부력체(100)는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을 중첩시킨 것이고, 제1 프레임(101)은 금속, 합성수지, 카본, 목재, 섬유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프레임(102)은 알루미늄 발포체, 멜라민 수지 발포체, EPP(폴리프로필렌), EPS(스치로폼), EPE(발포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프레임(101)과 함께 발포 성형시킨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101) 또는 제2 프레임(102)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101) 또는 제2 프레임(102)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부재는 상기 발포체를 관통하거나 상기 발포체에 함몰되는 차축(111) 또는 관통 실린더(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그물 구조체(도 2 내지 도 5에 기재)로서 상기 제1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발포체와 함께 발포 성형됨으로써 상기 발포체의 강성이 증강된다.
In one embodiment, the buoyancy body 100 is a superimposed of the first frame 101 and the second frame 102, the first frame 101 is a material of at least one of metal, synthetic resin, carbon, wood, fiber The second frame 102 is made of at least one of aluminum foam, melamine resin foam, EPP (polypropylene), EPS (Styrofoam), EPE (foamed polyethylene), and polyurethane together with the first frame 101. It was foam molding.
In one embodiment, the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101 or a second frame 102, and the first frame 101 or the second frame 102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e first member includes an axle 111 or through cylinder 700 penetrating or recessed into the foam. The second member is a metal or nonmetal mesh structure (described in FIGS. 2 to 5) fac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oamed together with the foam to thereby The rigidity of the foam is enhanced.

수륙 양용 이동체 제작 과정에서도 육상 이동을 전제로 한 부력체(100) 구성의 한계로 인하여 부력체(100) 바닥이 편평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부력체(100) 바닥이 편평하면 육상 이동에는 유리하지만, 물에 잠기면 무게 중심점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수상 안정성이 나빠진다.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 amphibious mobile body, the bottom of the buoyancy body 100 has a flat structure in many case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uoyancy body 100 on the premise of land movement. When the bottom of the buoyancy body 100 is flat, it is advantageous for land movement, but submerged in water deteriorates stability because there is a limit in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따라서, 편평한 바닥 구조에 불구하고 무게 중심점의 위치를 낮추고 수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륙 양용 이동체에서는 부력체(100)의 비중이 홀수선의 하측 부분으로 갈수록 더 커지게 발포 성형한다.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improve the water stability in spite of the flat bottom structure, in the amphibian moving bod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uoyancy body 100 is foamed to increas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odd line.

본 발명은 수륙양용 장갑차 등 군사용 수륙 양용 이동체와 고무보트로 된 상륙정의 개선을 위해서도 아주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y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e landing craft made of military amphibious vehicles and rubber boats, such as amphibious armored vehicle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레저용 수륙 양용 이동체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레저용 수륙양용 이동체는 육상 또는 수상에서 이동 수단, 캠핑 공간, 레저 활동 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수륙 양용 이동체 또는 부력체(100) 내부에서 숙박, 취사는 물론, 화장실 이용, 세면, 목욕이 가능하고, 이는 육상 또는 수상을 불문한다.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mainly for leisure amphibious moving body. 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vehicles, camping spaces, and leisure activities on land or in water. In the amphibian mobile or buoyant body 100, accommodation, cooking, as well as the use of the toilet, washing, bath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land or water.

수륙 양용 이동체는 부력체(100)와, 제1 이동부(110)와, 제2 이동부(120)와, 스크류(16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이동부(110) 및 제2 이동부(120)는 차축(111)에 의하여 구동되는 다수의 휠을 구비하며, 제1 이동부(110) 및 제2 이동부(120)는 육상 또는 늪지대에서 이동 수단이 된다. 도시된 휠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동부(110) 및 제2 이동부(120)는 무한 궤도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스크류(160)는 수상에서 부력체(100)를 이동시키는 수단이 된다. 도어(360)는 부력체(100) 내부로 사용자가 출입하는 통로가 된다.The amphibious moving object includes a buoyancy body 100, a first moving part 110, a second moving part 120, and a screw 160. In an embodiment, the first moving unit 110 and the second moving unit 120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driven by the axle 111, and the first moving unit 110 and the second moving unit 120. ) Is a means of transport on land or in swamps. The first moving part 1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120 may be manufactured in a caterpillar typ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illustrated wheel. Screw 160 is a means for moving the buoyancy body 100 in the water phase. The door 360 serves as a passage for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buoyancy body 100.

부력체(100)는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경량화를 도모하고 수상 안정성 및 부력을 높이기 위하여 복합 구조로 형성된다. 즉, 기본 골격이 되는 제1 프레임(101)과, 여기에 추가되는 제2 프레임(102)으로 이루어진다.The buoyancy body 100 is formed in a complex structure to reduce the weight for smooth movement and to increase the water stability and buoyancy. That is, it consists of the 1st frame 101 which becomes a basic frame | skeleton, and the 2nd frame 102 added here.

도 2를 참조하면, 금속, 합성수지, 카본, 목재, 섬유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된 제1 프레임(101)을 금형(200)에 먼저 투입하고, 금형(200)에 폴리우레탄을 액체 상태에서 투입하고 경화시키면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이 복합 구조로 중첩된 부력체(100)를 제작할 수 있다. 강성 보강용의 제1 프레임(101)과 부력 보강용의 제2 프레임(102)이 중첩된 부력체(100)는 뛰어난 기계적 강도는 물론, 부력 증가,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선박과 레저용 보트, 군사용 보트와 수륙 양용 이동체에 매우 유용한 부력체(100)로 활용할 수가 있다. Referring to FIG. 2, a first frame 101 made of at least one of metal, synthetic resin, carbon, wood, and fiber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mold 200, and polyurethane is introduced into the mold 200 in a liquid state. When hardened and hardened, the buoyancy body 100 in which the first frame 101 and the second frame 102 overlap in a composite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The buoyancy body 100 in which the first frame 101 for rigidity reinforcement and the second frame 102 for buoyancy reinforcement are superimposed can simultaneously achiev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increase buoyancy, and reduce weight. Such a structure can be mass-produced, and thus can be utilized as a buoyancy body 100 which is very useful for existing ships, leisure boats, military boats and amphibious moving bodies.

삭제delete

폴리우레탄은 우레탄 결합에 의하여 중합된 우레탄 중합체이다. 우레탄 결합(Urethane Bond)은 활성 수산기 (-OH)를 갖고 있는 알콜과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갖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가 부가중합 반응 (Addition Polycmrization Reaction)에 의해 반응열을 발생시키면서 형성된다.Polyurethanes are urethane polymers polymerized by urethane bonds. Urethane bonds are formed by the heat of reaction between an alcohol having an active hydroxyl group (-OH) and an isocyanate having an isocyanate group (-N = C = O) by an addition polycmrization reaction.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 Group)를 가지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류와 1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갖는 알콜류를 다관능기 (Polyfunctional)라고 한다. 관능기가 적정조건 하에서 고온의 열을 발산시키면서, (-NHCOO-)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질을 생성하면 우레탄 결합(Uolyurethanc)이라고 하고, 1000이상의 분자가 결합된 것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이라고 한다.Isocyanates having at least one isocyanate group (NCO Group) and alcohols having at least one hydroxyl group (-OH) are referred to as polyfunctional groups. When functional groups give off high-temperature heat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and produce a compound having a structure of (-NHCOO-), it is called urethane bond (Uolyurethanc), and more than 1000 molecules are bonded to polyurethane (polyurethane).

폴리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계와 폴리에테르계로 구분된다.Polyurethane is divided into polyester type and polyether type.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는 프로필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을 아디프산과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로 만들고, 양단에 OH기를 가진 분자량 3,000까지의 것을 나프탈렌-1, 5-디이소시안산으로 우레탄화시킴과 동시에 고분자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는 연질 경질의 차이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보다 저발포성 재질이므로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에 비하여 경질이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는 인장력과 경도 등 높은 기계적 강도를 요하는 제품에 주로 쓰인다. Polyester-based polyurethane is made of polyester by reacting propylene glycol and ethylene glycol with adipic acid, and urethane is made of naphthalene-1 and 5-diisocyanic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3,000 with OH groups at both ends and polymer. . The polyester-based polyurethane produced by this method is harder than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because it is a slightly foamable material than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although it differs slightl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soft hardness. Therefore, polyester-based polyurethane is mainly used for products requiring high mechanical strength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일 실시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은 본 발명의 부력체(100)에서 비중이 높고 고강성을 요하는 홀수선(C0)의 하측 부분의 발포체로 활용된다.In one embodiment, the polyester-based polyurethane is used as the foam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dd line (C0) that has a high specific gravity and high rigidity in the buoyancy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반면에,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는 고발포성 재질로서, 발포가 많이 형성되어 경량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경량이면서 가공 성형성이 우수하므로 홀수선(C0) 상측 부분의 발포체로 활용된다. On the other hand, polyether-based polyurethane is a high-foaming material, the foam is formed a lot to produce a lightweight product, and because it is lightweight and excellent process formability is utilized as the foam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dd line (C0).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는 주원료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고분자량 디올 및 저분자량 디올로부터 제조되며, 주로 고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소프트 세그먼트 및 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저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하드 세그먼트(hardsegment)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는 고무 탄성을 나타낸다.Polyether-based polyurethanes are prepared from polyisocyanates, high molecular weight diols and low molecular weight diols as main raw materials, and are block copolymers having soft segments consisting mainly of high molecular weight diols and hard segments consisting mainly of polyisocyanates and low molecular weight diols. . Due to this structure, polyether-based polyurethanes exhibit rubber elasticity.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의 화학 조성, 중합체 블록의 길이 및 이차 및 삼차 구조는 주로 사용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고분자량 디올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최종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생성물의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s, the length of the polymer blocks and the secondary and tertiary structures mainly depend on the type of polyisocyanate and high molecular weight diols used an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al polyether-based polyurethane product. .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의 고발포성에 주목하여 경량화 및 부력 증가와 같은 장점을 극대화하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의 단점 특히, 인장 강도를 개선하려는 대책으로서, 강성이 강한 재질의 제1 프레임(101)을 1차 구조로 삼고 여기에 발포성이 좋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을 2차 구조로 중첩시켜 복합 구조로 된 부력체(100)를 성형하였다. 이와 같은 다중 중첩 구조에 의하여 부력체(100)의 무게를 줄이며 강성을 증가시킨다.As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high foaming properties of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to maximize the advantages, such as light weight and increased buoyancy, the disadvantage of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particularly as a measure to improve the tensile strength, strong rigidity A buoyant body 100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was formed by using a first frame 101 made of a material as a primary structure, and superposing a polyether-based polyurethane having good foamability therein into a secondary structure. By this multiple overlapping structure, the weight of the buoyancy body 100 is reduced and rigidity is increased.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의 저발포성 및 고비중성과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의 고발포성 및 저비중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을 물에 잠기는 부분인 제1 발포체(C1) 성형에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을 저비중 및 고부력을 요하는 제2 발포체(C2) 성형에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발포성 재질의 결합을 통하여 부력체(100)의 적층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bine the low foaming and high specific gravity of the polyester-based polyurethane with the high foaming and low specific gravity of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polyester-based polyurethane is used to form the first foam (C1) which is submerged in water, and the relatively low specific gravity polyether-based polyurethane is a second foam (C2) requiring low specific gravity and high buoyancy. By using the molding,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buoyancy body 100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foam materials.

한편,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을 금형(200)에 주입하여 금속, 합성수지, 카본, 목재, 섬유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강성 보강용의 제1 프레임(101)과 함께 부력체(100)의 복합 구조를 완성한다. 더불어 부력체(1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폴리우레탄의 표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ed with a polyester-based polyurethane or a polyether-based polyurethane in the mold 200 together with the first frame 101 for rigid reinforcement containing at least one of metal, synthetic resin, carbon, wood, fiber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buoyancy body 100 is completed. In addition, 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100 to reinforce the surface strength of the polyurethane.

금형(200)안에 폴리우레탄을 투입하는 방법의 일예로 저압 발포기를 사용한다. 저압 발포기의 경우, 2가지(POL+ISO) 성분을 각각의 탱크에 저장하고 3~5 bar의 저압으로 이송한 후 챔버 안에서 6,000~8,000 rpm의 모터에 의해 믹서를 회전시켜 기계적으로 이들 성분을 혼합하며, 챔버와 믹서 사이의 잔량을 세척한다.A low pressure foaming machine is used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injecting polyurethane into the mold 200. In the case of low pressure foamers, two (POL + ISO) components are stored in each tank and transferred to a low pressure of 3 to 5 bar, and then mechanically controlled by rotating the mixer with a motor of 6,000 to 8,000 rpm in the chamber. Mix and wash remaining amount between chamber and mixer.

부력체(100)는 발포체를 포함한 다수의 프레임이 적층된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은 강도 보강을 위한 제1 프레임(101) 및 상기 제1 프레임(101)에 발포 성형되는 제2 프레임(10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01)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참조 부호 I 영역)에 대하여 금형(200)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프레임(102)을 주입 경화한 다음, 제2 영역(참조 부호 Ⅱ영역)으로 상기 금형(200)을 이동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제1 프레임(101)의 일부에 상기 제2 프레임(102)을 주입 경화한다. 이에 따라 각 영역에 대하여 단계별로 발포 성형을 완료할 수 있다. The buoyancy bod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including foams are stacked, and the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101 for strength reinforcement and a second frame 102 foamed on the first frame 101. Include. Inject-hardening the second frame 102 using the mold 200 with respect to the first region (reference region I)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first frame 101, and then, the second region (reference region II). The mold 200 is moved to harden the second frame 102 to a part of the first frame 101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Accordingly, the foam molding can be completed step by step for each region.

단계별 발포 성형이 가능한 것은 경화된 폴리우레탄 발포물에 추가로 발포를 하였을 경우 그 접착력이 매우 강한 특징 때문이다. 각기 다른 비중의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도 접착력은 매우 양호하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의 특성을 활용하여 부력체(100)의 상하는 물론 내외에 있어서 비중 조절이 가능해진다.The step-wise foaming is possible because of its strong adhesive strength when foamed in addition to the cured polyurethane foam. The adhesion is very good even for polyurethanes of different specific gravity.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urethan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uoyancy body 100 can be adjusted, as well as inside and outside.

부력체(100)의 성형시, 부력체(100)의 폭이나 길이가 길어지면 하나의 금형(200)으로 한번에 성형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완성된 제1 프레임(101)을 안착시켜 놓은 다음, 부력체(100)보다 작은 사이즈의 금형(200)을 준비하고 참조 부호 I 영역에 대하여 복합 구조 성형 작업을 완료한 후 동일 작업을 참조 부호 Ⅱ, Ⅲ, Ⅳ 영역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뱃치 프로세싱(batch processing)하면 부력체(100) 사이즈의 복합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molded, if the width or length of the buoyancy body 100 is long,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mold with one mold 200 at a tim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the completed first frame 101 is seated, and then a mold 200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buoyancy body 100 is prepared and the same work is completed after completing the composite structure forming work for the region I.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buoyancy body 100 size by batch processing for the region II, III, and IV.

즉, 참조 부호 I 영역('제1 영역'이라고도 함)에 금형(200)을 준비하고, 폴리우레탄을 주입하여 경화시킨 다음, 참조 부호 Ⅱ 영역('제2 영역'이라고도 함)으로 금형(200)을 이동시키고 폴리우레탄을 재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일련의 뱃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부력체(100) 사이즈의 복합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That is, the mold 200 is prepared in the region I (also referred to as 'first region'), injected with polyurethane, and cured, and then the mold 200 is referred to as region II (also referred to as 'second reg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buoyancy body 100 composite structure by repeatedly performing a series of batch operations to move the) and to re-inject the polyurethane to cure.

다른 실시예로서, 생산 시간 단축을 위하여 금형(200)을 제1 금형(200a)부터 제4 금형(200d)까지 여러 벌 준비하고 여기에 동시에 폴리우레탄을 주입 경화하여 참조 부호 I, Ⅱ, Ⅲ, Ⅳ 모든 영역에 대하여 동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shorten the production time, a plurality of molds 200 may be prepared from the first mold 200a to the fourth mold 200d, and the polyurethanes may be injected and cured at the same time to refer to I, II, III, and the like. IV You can work on all areas simultaneously.

일 실시예로서 부력체(100)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원천적으로 가수분해가 발생한다. 즉, 물분자가 반응물의 하나로 작용하는 복분해 반응이 일어나면 폴리우레탄 발포면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발포시 첨가물을 추가하여 폴리우레탄의 셀 구조를 변화시켜 가수분해를 방지할 수 있지만, 좀 더 안전하고 충격에 강한 부력체(100) 제조를 위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100. Polyurethanes inherently undergo hydrolysis. That is, when a metathesis reaction in which water molecules act as one of the reactants occurs, the polyurethane foam surface may be damaged. When foaming, an additive may be added to change the cell structure of the polyurethane to prevent hydrolysis, but 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to manufacture the buoyancy body 100 that is more secure and resistant to impact.

부력체(100)의 표면 코팅의 일 실시예로 폴리우레아를 코팅제로 제안한다. 폴리우레아는 반응성이 빠른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으로 구성된 2액형 도료로, 경화 후 우수한 물성과 내구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경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시공성이 탁월하며, 스프레이 분무에 의한 코팅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력체(100)의 경사면, 수직면 등에도 후막의 도장 형성이 가능하다.As an example of the surface coating of the buoyancy body 100, polyurea is proposed as a coating agent. Polyurea is a two-component paint composed of highly reactive isocyanates and amines. After curing, polyurea is able to form coatings with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It is very fast in curing,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can be coated by spray spraying.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thick film on the inclined surface, the vertical surface, or the like of the buoyancy body 100.

폴리우레아는 인장 강도와 내열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부력체(100)에 코팅 처리를 하면 폴리우레탄이 갖는 약점인 표면 훼손 문제를 완벽하게 보완할 수가 있다. 특히, 레저용 수륙양용 이동체에 활용하였을 경우 가벼우면서도 강도와 탄성이 매우 양호하고, 적정한 두께(0.5mm 이상)로 코팅시 장애물과 충돌하여도 부력체(100)를 매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또한 군사용 보트나 군사용 수륙 양용 이동체에 활용하였을 때 코팅층의 두께를 높이면 방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은 제2 프레임(102)을 구성하는 발포체 표면에 행해진다. Polyurea is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so that coating the buoyancy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surface damage, which is a weak point of polyurethane. In particular, when used in the leisure amphibious mobile body is light, but the strength and elasticity is very goo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buoyancy body 100 very securely even when colliding with obstacles during coating with a suitable thickness (0.5mm or more). In addition, when used in military boats or military amphibious vehicles, it is possible to obtain a bulletproof effect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This coating is carried out on the foam surface constituting the second frame 102.

한편, 일 실시예로서, 부력체(100)의 재질 특성을 확장한 적극적인 경량화 및 부력 증가 대책으로서 부력체(100)의 하부에 밸러스트부(300)를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the ballast portion 30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100 as an active weight reduction and buoyancy increase measures to exp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buoyancy body 100.

도 5는 밸러스트부(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ballast portion 300.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Fig.

이에 따르면, 부력체(100)의 하부에 부력체(100)와 별개의 공간으로 된 밸러스트부(300)를 형성하여 부력 균형 조절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the ballast portion 300 formed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buoyancy body 1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100 can be used to adjust the buoyancy balanc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부력체(100)의 좌우 균형이나 앞뒤 균형을 맞추기 용이한 구조가 나타난다. 즉, 밸러스트부(300) 내부 공간에 밸러스트부 격벽(303)을 형성하여 각 구획별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 동력의 공급 없이도 자연력에 의한 부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밸러스트부 커버(302)의 하부에 물이 유입되는 주수구(304)를 형성하고 밸러스트부(300) 상부에 밸러스트부(300)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에어 벤트 구멍(305)을 설치한다.5 and 6, there is show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balance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buoyancy body 100 and the front and rear. That is, by forming the ballast partition wall 303 in the space inside the ballast portion 300 to adjust the buoyancy for each section.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ort 30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ast portion cover 302 to allow buoyancy control by natural force without supplying external power, and the ballast portion 300 inside the ballast portion 300. Install an air vent hole 305 for bleeding air.

밸러스트부(300) 및 밸러스트부 커버(302)가 물속에 잠수된 경우, 에어 벤트 구멍(305)을 개방하면 주수구(304)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밸러스트부 격벽(303) 중 어느 장소에 물이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부력체(100)의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부력 균형이 조절된다.When the ballast part 300 and the ballast part cover 302 are submerged in the water, when the air vent hole 305 is opened, water flows in through the water inlet 304 and water in any place of the ballast part partition wall 303. The buoyancy 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uoyancy body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inflow.

예를 들어 참조 부호 A 영역의 에어 벤트 구멍(305)을 개방하고 참조 부호 A' 영역의 에어 벤트 구멍(305)을 폐쇄하면 참조 부호 A 영역의 주수구(304)로만 물이 유입되므로 부력체(100)는 참조 부호 A 방향으로 부력을 상실한다.For example, if the air vent hole 305 of the region A is closed and the air vent hole 305 of the region A 'is closed, water flows only into the main hole 304 of the region A'. 100) loses buoyancy in the direction of reference A.

마찬가지로 참조 부호 A 및 A'영역의 에어 벤트 구멍(305)을 개방하고, 참조 부호 C 및 C' 영역의 에어 벤트 구멍(305)을 폐쇄하면 참조 부호 A 및 A' 영역의 주수구(304)로만 물이 유입되므로 부력체(100)는 참조 부호 A 및 A' 방향으로 부력을 상실한다.Similarly, opening the air vent holes 305 in the regions A and A 'and closing the air vent holes 305 in the regions C and C' only leads to the main pit 304 in the regions A and A '. Since water is introduced, the buoyancy body 100 loses buoyancy in directions A and A '.

이는 부력체(100)가 육상에서 수상으로 진입할 때에는 부력체(100)로 작용하고, 수상에서는 부력체(100)의 무게 중심을 잡고 부력체(100)의 평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This acts as a buoyancy body 100 when the buoyancy body 100 enters the water phase from the land, and in the water surface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ancy body 100 to balance the buoyancy body 100.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차축의 설치 위치에 관한 실시예이다. 차축(111)이 부력체(100)를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부력체(100) 외부에 차축(111)이 배치될 수 있다.7 to 9 are embodiment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x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xle 111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buoyancy body 100 or the axle 111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uoyancy body 100.

삭제delete

이를 참조하면, 부력체(100) 외부에 차축(111)이 설치되고, 차축(111)은 차축 지지대(119) 사이에 개재된 체인이나 타이밍 벨트(118)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축(111)과 부력체(100)의 분리가 매우 용이하여 차축(111)이 부력체(100)를 관통한 경우의 고장 수리보다 훨씬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고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부력체(100)의 수밀 파괴를 완벽하게 차단 할 수 있어 안전성과 효율성에서 큰 강점이 있다. Referring to this, the axle 111 is installed outside the buoyancy body 100, and the axle 111 receives the driving force by a chain or timing belt 118 interposed between the axle supports 119. In such an embodiment, the separation of the axle 111 and the buoyancy body 100 is very easy, so that the axle 111 can be repaired more easily than the failure repair in the case where the axle 111 penetrates the buoyancy body 100, and parts can be replaced. There is an advantage, it can completely block the watertight destruction of the buoyancy body 100 has a great strength in safety and efficiency.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축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밸러스트부(300)에 연결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수밀 확보를 위한 시일부(130)를 활용한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axle may b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the ballast portion 300 shown in Figs. At this time, the sealing unit 130 for securing the watertight is used.

도 10은 도 1과 비교되는 것으로서 승강대(500)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승강대(500)가 부력체(100)에 밀착되는 위치로 하강된 상태이고 도 10은 승강대(500)가 부력체(100)와 이격된 위치로 승강된 상태이다. 도 1의 상태에서는 승강대(500)의 상측에 사용자가 승차하거나 낚시 등의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고, 도 10의 상태에서는 승강대(500)의 하측 및 부력체(10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사용자가 승차하거나 수상 또는 육상에서 캠핑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latform 500 is moved as compared with FIG. 1. 1 is a state in which the platform 500 is lowered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buoyancy body 100 and FIG. 10 is a state in which the platform 500 is elevat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uoyancy body 100. In the state of FIG. 1, the user may ride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form 500 or enjoy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In the state of FIG. 10, the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form 500 and the buoyancy body 100. It can be used by the user to ride or to use as a camping space in the water or on land.

즉, 도 1과 같이 승강대(500)를 접은 상태보다 도 10과 같이 승강대(5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수륙 양용 이동체를 캠핑카로 활용할 때 운용 공간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레저 활용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승강대(500)의 승강을 위하여 높이 조절 수단(510)이 마련된다.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platform 500 is raised as shown in FIG. 10 rather than the platform 500 folded as shown in FIG. 1, when the amphibious vehicle is used as a camper, the operating space is increased and the leisure utilization of the user is increased. . Height adjusting means 510 is provided for elevating the platform 500.

높이 조절 수단(510)의 예를 들면 승강대(500)와 부력체(100)를 연결하되 승강대(50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신축되고 승강대(5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또는 자바라 형상으로 접철되는 자바라 접철물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adjusting means 51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500 and the buoyancy body 100, and is stretched to enable the lifting of the lifting table 500 in a hydraulic cylinder or bellows shape that can support the load of the lifting table 500. A bellows bellfold that is folded.

또한, 승강대(500) 상승시 접혔던 승강대(500)가 펼쳐질 때 외부공간을 차단할 막을 필요로 한다. 즉, 승강대(500)가 펼쳐질 경우 부력체(100)와 승강대와의 사이를 이어주는 차단막이 필요하며, 차단막으로 차단된 승강대 내의 부력체(100) 공간을 별도의 사용자 활동공간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atform 500 that is folded when the platform 500 is raised, it needs to block the external space. That is, when the platform 500 is unfolded, a barrier that connects the buoyancy body 100 and the platform is required, and the buoyancy body 100 space in the platform blocked by the barrier can be used as a separate user activity space.

이때 활용되는 차단막으로서, 자바라 형상으로 접철되는 자바라 접철물이 활용될 수 있다. 자바라 접철물이 마련되면 승강대가 접혔을 때 접철 특성을 통하여, 부력체(100)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차단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At this time, as the barrier film utilized, the bellows folds folded in a bellows shape may be utilized. When the bellows folds are provided, when the platform is folded, the barrier layer may be effectively utilized so that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1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도 11 내지 도 13은 부력체(100)의 각 부분별로 다른 부력을 갖도록 설계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홀수선(C0)을 기준으로 부력체(100)를 홀수선(C0)의 제2 발포체(C2)와 홀수선(C0)의 제1 발포체(C1)로 나눌 수 있다. 이때, 물에 잠기는 부분인 제1 발포체(C1)의 비중을 더 크게 하면 부력체(100)의 무게 중심점이 낮아지고 전복 가능성이 낮아져 수상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를 위하여 제2 발포체(C2)에 포함되는 제2 프레임(102)보다 제1 발포체(C1)에 포함되는 제2 프레임(102)의 발포성을 더 작게 하여 제1 발포체(C1)의 비중이 제2 발포체(C2)보다 더 커지도록 한다.11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designed to have different buoyancy for each part of the buoyancy body 100. First, referring to FIG. 11, the buoyancy body 100 may be divided into the second foam C2 of the odd line C0 and the first foam C1 of the odd line C0 based on the odd line C0. . At this time, i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foam (C1), which is submerged in water, the greater the specific gravity center of the buoyancy body 100 is lowered and the possibility of overturning lower the water phase stability is improved. To this end, the foamability of the second frame 102 included in the first foam C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frame 102 included in the second foam C2 so tha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foam C1 is second. To be larger than foam (C2).

수륙양용 이동체의 특성상 바닥이 평형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할 때가 있다. 이때, 수상에서 무게중심과 복원력 확보에 구조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여기서, 부력체(100)의 소재로 양성 부력체를 활용하게 되면 수상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부력체(100) 발포 성형시 인서트 되는 제1 프레임(101)과 발포체의 밀도를 조정한다. 그 결과, 홀수선(C0) 아래쪽의 비중이 적어도 물의 비중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수상 안정성을 도모한다.Due to the nature of the amphibian,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have a flat bottom structure. At this time, there is a structural difficulty in secur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resilience in the water. Here, when the positive buoyancy body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buoyancy body 100, it is difficult to secure safety in the wat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ensity of the first frame 101 and the foam to be inserted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molded is adjusted. As a result, the specific gravity below odd-numbered line C0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more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t least, and water phase stability is aimed at.

제2 발포체(C2)를 비중을 낮은 양성 부력체로 구성하는 이유로는, 홀수선(C0) 위쪽의 부력체(100)는 부력체(100)가 수상에서 정상 운항중일 경우 운항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에 기인한다. 홀수선(C0) 위쪽의 부력체(100)는 부력체(100)가 기울어졌을 때 복원력을 확보하거나, 파도 등으로 인하여 부력체(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강도 보장을 전제로, 수면 위로 노출되는 제2 발포체(C2)의 비중은 낮을수록 좋다.The reason why the second foam C2 is composed of a positive buoyancy body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is that the buoyancy body 100 above the odd line C0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operating normally in the water. Due to the point. The buoyancy body 100 above the odd line C0 has a function of securing a restoring force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tilted 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uoyancy body 100 due to waves or the like. Therefore, the lowe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cond foam (C2) exposed over the water surface, on the premise of ensuring the strength, the better.

이에 따르면, 비중이 낮은 제2 발포체(C2)는 부력체(100)가 수상 운항 중일 경우에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고, 부력체(100)가 가지고 있는 양성 부력을 통하여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2 발포체(C2)는 그 부피를 상당히 크게 하여도 수상운항시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며 복원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부력체(100)는 무게가 가벼워 수륙 양용 이동체가 효율적으로 육상 이동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is, the second foam C2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may lower the center of gravity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in water operation, and may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through the positiv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100. In this case, even if the volume of the second foam (C2)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cond foam (C2) does not affect the water operation and can reinforce the restoring force significantly. The buoyancy body 100 produced in this way is light in weight to allow the amphibious mobile body to move efficiently on land.

여기서, 제1 발포체(C1) 및 제2 발포체(C2)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기가 주입된 고무보트 제조에도 활용될 수 있다. 공기가 주입된 고무보트의 형태대로 중첩 적층 성형 발포가 이루어졌을 때 공기가 주입된 고무보트가 갖는 여러 가지 약점을 보완할 수가 있다. 즉, 보트의 바닥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부수적인 장치로서 제1 발포체(C1)의 고강도 재질 및 구조를 이용하며, 경도가 확보된 성형 발포를 통하여 해결할 수가 있다. Here, the first foam (C1) and the second foam (C2) may be utilized in the manufacture of rubber boats in which air is generally used. When the overlap laminated foaming is performed in the form of air-injected rubber boats, various weak points of the air-injected rubber boats can be compensated for. That is, the high strength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first foam (C1) is used as a secondary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bottom of the boat, it can be solved through the molded foam secured hardness.

또한, 고무보트의 외피 파손시 따른 공기압 약화로 발생하는 위험성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2 발포체(C2)를 들 수 있다. 제2 발포체(C2)가 고무 보트 형태대로 성형되면 그 안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심지어 공기 주입이 없이도 고무 보터의 양성 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외피 손상에 따른 수상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군사용 고무보트에 적용할 경우 매우 안전한 군사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oam (C2) may be mentioned as a means for blocking the source of the risk caused by the weakening of the air pressure caused by the breakage of the outer shell of the rubber boat. When the second foam (C2) is molded in the form of a rubber bo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positive buoyancy of the rubber boat without injecting air or even injecting air therein,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water damage due to conventional skin damage. When applied to military rubber boats, very safe military operations can be carried out.

한편, 본 발명의 부력체(100)를 군사용으로 사용할 경우 제1 프레임(101)을 방탄 소재로 구성하거나 추가적인 방탄 소재를 제2 프레임(102)에 추가하여 인서트하면, 총탄이나 파편이 부력체(10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군사용으로 방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방탄용 부력체(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술한 부력체(100) 제조방법에서 제1 프레임(101) 인서트 방식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된다.Meanwhile, when the buoyancy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military purposes, when the first frame 101 is formed of a bulletproof material or an additional bulletproof material is added to the second frame 102, the bullet or debris is buoyant ( 100) I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and bulletproof performance can be secured for military us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lletproof buoyancy body 100 is perform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insert method of the first frame 101 in the above-described buoyancy body 100 manufacturing method.

또한, 제2 발포체(C2)의 제2 프레임(102)과 제1 발포체(C1)의 제2 프레임(102)이 서로 다른 발포성을 갖도록 성형하려면 제2 발포체(C2) 및 제1 발포체(C1)를 따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ld the second frame 102 of the second foam C2 and the second frame 102 of the first foam C1 to have different foaming properties, the second foam C2 and the first foam C1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mold separately.

이들의 단단한 결합을 위하여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발포체(C2) 및 제1 발포체(C1) 중 어느 하나의 제1 프레임(101)을 외부로 돌출시켜 조립 돌기(101a)를 형성하고 제2 발포체(C2) 및 제1 발포체(C1) 중 나머지 하나의 제1 프레임(101)의 일부를 함몰시켜 조립 돌기(101a)가 끼워지는 조립 구멍(101b)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프레임(101)의 조립 돌기는 일부 또는 전부의 부분에서 변형하여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for the firm coupling thereof, the first frame 101 of any one of the second foam C2 and the first foam C1 is protruded to form an assembly protrusion 101a and the seco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assembling hole 101b into which the assembling protrusion 101a is fitt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first frame 101 of the other one of the foam C2 and the first foam C1. At this time,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first frame 101 may be provided by deforming in part or all.

조립 돌기(101a) 및 조립 구멍(101b)은 강도가 약한 제2 프레임(102)의 일부를 변형시키는 것보다, 금속, 합성수지, 카본, 목재, 섬유질 등의 재질로 된 제1 프레임(101)의 구조를 부분 변경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ssembling protrusion 101a and the assembling hole 101b are formed of a metal, synthetic resin, carbon, wood, fiber, or the like of the first frame 101 rather than deforming a part of the second frame 102 having weak strength. It is preferable to provide by changing a structure partially.

한편, 제1 프레임(101)에 조립 돌기(101a) 및 조립 구멍(101b)을 형성하는 것과 별개로, 제2 프레임(102)에 요철을 형성하고 제2 프레임(102)의 단계별 발포 성형시 상기 요철 부분에서 접합이 이루어지게 하면 제2 프레임(102)의 다단계 성형시 접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part from forming the assembling protrusion 101a and the assembling hole 101b in the first frame 101, the unevenness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102, and the above-mentioned foam molding in the step-by-step of the second frame 102 is performed. When the bonding is performed in the uneven portion, the bonding property in the multi-step molding of the second frame 102 may be improved.

한편, 제1 발포체(C1)에 철제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핀을 추가하고, 제1 발포체(C1)의 핀이 제2 발포체(C2) 성형 발포시 제2 발포체(C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 제1 발포체(C1)와 제2 발포체(C2)의 결합성을 보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 pin made of iron or synthetic resin is added to the first foam (C1), so that the pin of the first foam (C1) can be combined with the second foam (C2) when forming foam of the second foam (C2), The binding property of the first foam C1 and the second foam C2 may be reinforced.

또한, 이미 경화가 완료된 제1 발포체(C1)와 제2 발포체(C2)를 서로 이어 붙여 적층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이때, 제1 발포체(C1)와 제2 발포체(C2)의 경계면에는 접착제 또는 결합 수단을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oam C1 and the second foam C2, which have already been cure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laminated structure. In this case, an adhesive or a bonding means may be added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foam C1 and the second foam C2.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이 가지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포함한 접착제를 활용한다. 이소시아네이트기(-NCO) 성분을 포함한 접착제와 폴리우레탄 발포체와의 접착성은 매우 양호하며, 타 재질과의 접착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utilizes an adhesive including an isocyanate group (-NCO) possessed by polyurethane. Adhesiveness between the adhesive including the isocyanate group (-NCO) component and the polyurethane foam is very good, and adhesion with other materials is possible.

일 실시예로서, 결합 수단은 제1 발포체(C1)와 제2 발포체(C2)의 발포 성형시 금형(200)에 인서트되어 액상의 폴리우레탄의 경화와 함께 고정되거나, 경화 완료된 제1 발포체(C1) 및 제2 발포체(C2)의 경계면에 체결되어 결합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볼트, 너트, 핀 등이 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join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mold 200 during the foam molding of the first foam C1 and the second foam C2 and fixed together with the curing of the liquid polyurethane, or the hardened first foam C1. ) And the second foam (C2) is coupled to provide a bonding force. For example, bolts, nuts, pins, and the like.

도 13은 부력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다른 비중을 갖도록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수륙 양용 이동체의 추진력을 발생하는 엔진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610)이 부력체(100)의 후방부(C33)에 장착되는 경우, 부력체(100)의 후방부(C33)가 전방부(C11)에 비하여 더 무겁다. 이때 부력체(100)의 수상 안정성을 위하여 전방부(C11) 및 후방부(C33)가 동일한 깊이만큼 물에 잠기도록 하려면 부력체(100)의 후방부(C33)가 전방부(C11)에 비하여 더 작은 비중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1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ecific gravit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uoyancy body 100 is different. For example, when a driving source 610 including an engine or a motor generating a propulsion force of an amphibious moving body is mounted to the rear portion C33 of the buoyancy body 100, the rear portion C33 of the buoyancy body 100 is It is heavier than the front portion C11.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front portion C11 and the rear portion C33 to be immersed in water by the same depth for the waterborne stability of the buoyancy body 100, the rear portion C33 of the buoyancy body 100 is compared with the front portion C11. It is desirable to have a smaller specific gravity.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중 분포가 집중되는 후방부(C33)의 비중이 가장 작고 하중 분포가 점차 감소되는 중앙부(C22) 및 전방부(C11)로 갈수록 비중이 점차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후방부(C33)를 이루는 제2 프레임(102)의 발포성이 제일 크고, 중앙부(C22)를 이루는 제2 프레임(102)의 발포성은 그보다 작으며, 전방부(C11)를 이루는 제2 프레임(102)의 발포성이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중 분포가 집중되는 후방부(C33)의 성형 발포시 다른 부분보다 두텁게 성형하여 부력체(100)의 평형을 조정할 수가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01)도 하중 분포의 조정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rear portion C33 where the load distribution is concentrated is the smallest and the specific gravity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central portion C22 and the front portion C11 where the load distribution gradually decreases. According to this, the foamability of the second frame 102 forming the rear portion C33 is the largest, the foamability of the second frame 102 forming the central portion C22 is smaller than that, and the second frame 102 forming the front portion C11. It is preferable that the foamability of the frame 102 is the smalle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quilibrium of the buoyancy body 100 by molding thicker than other parts during molding foaming of the rear portion C33 in which the load distribution is concentrated. In this case, the first frame 101 may also be used for adjusting the load distribution.

한편, 보조 부력체(400)는 부력체(100)에 부착되어 부력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수륙 양용 이동체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다. 파도가 이는 바다에서 부력체(100)가 운행될 때 매우 크게 흔들리고, 큰 파도에는 전복의 위험도 예상되므로, 아암과 연결된 보조 부력체(400)가 부력체(100)의 양옆으로 펼쳐지면 안전한 수상 운항을 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is attached to the buoyancy body 100 serves to increase the buoyancy. This is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amphibious vehicles.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operated in the sea where the waves are waved, and the wave is expected to be overturned in the big wave,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connected to the arm is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buoyancy body 100 so that it is safe to operate in water. You can do

보조 부력체(400)의 일 실시예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 및 후방이 막혀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막힌 원통 형상도 가능하다. 또 다른 일례로, 도 5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밸러스트부(300)의 원리를 적용하여 활용할 수가 있다. 공기와 물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부력체(100)의 하중에 따른 부력체(100)의 평형과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is also possible in the form of a closed cylinder with the front and rear blocked and empty inside, as shown in Figures 1 and 10. As another example, the principle of the ballast unit 300 shown in Figs. 5 to 7 can be applied by utilizing. Properly utilizing air and water can maintain the balance and stability of the buoyancy body 100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buoyancy body (100).

보조 부력체(400)는 아암(490)에 의하여 부력체(100)와 연결되며 아암(490)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육상에서 이동할 때는 보조 부력체(400)가 주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측으로 도피되며 수상에 떠있을 때는 부력 증강을 위하여 보조 부력체(40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물에 잠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아암(490)은 유압 장치와 연결된다.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100 by the arm 490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rm 490. When moving on land,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is moved upwar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unning, and when floating in the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moves downward to be submerged in water to enhance buoyancy. Arm 490 is connected to a hydraulic device for this purpose.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와 같이 보조 부력체(400)의 일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추진 수단(4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보조 부력체(400)의 전방에 형성된 흡수구(410)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보조 부력체(400)의 내부에 마련된 추진 수단(420)에 의하여 물이 출수구(430) 쪽으로 강하게 배출되며, 이에 따라 보조 부력체(400)에 의한 추진력이 발생한다. 추진 수단(420)은 회전하는 스크류 또는 워터 제트가 될 수 있다. 보조 부력체(400)의 기본 골격이 되는 부력체(100)를 양성 부력체로 하여 추진력과 함께 부력 발생 기능을 수행한다.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 14, a part of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may be opened and a propelling means 420 may be provided therein. Accordingly,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absorption port 410 formed in front of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and water is strongly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port 430 by the propulsion means 420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Therefore,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is generated. The propulsion means 420 may be a rotating screw or a water jet. The buoyancy body 100, which is a basic skeleton of the auxiliary buoyancy body 400, is used as a positive buoyancy body to perform a buoyancy generating function together with a driving force.

한편, 도 15에서는 부력체(100)에 관통 실린더(700)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절단선 A-A'에 관한 단면도이다. 제1 발포체(C1)에 형성되거나, 제1 발포체(C1) 및 제2 발포체(C2)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 실린더(700)는 부력체(100)가 수상 진입시 부력을 증가시켜 안정적인 수상 진입을 가능하게 하고, 수상 운행시 부력체(100)가 기울어졌을 때 복원력을 증가시켜 안정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Meanwhile, FIG. 15 illustrates forming the through cylinder 700 in the buoyancy body 100.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ut line A-A 'of FIG. 15. The through cylinder 700 formed in the first foam C1 or formed between the first foam C1 and the second foam C2 allows the buoyancy body 100 to increase buoyancy when entering the water phase, thereby allowing stable water entry. And,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tilted during the water operation to increase the resilience to enable a stable operation.

도 15 및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도시된 부력체(100)는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을 포함한 다수의 프레임이 중첩되고 단계별 성형 발포 또는 표면 코팅을 통한 적층 구조로서, 강성 보강을 위해 인서트된 제1 프레임(101)에 발포체인 제2 프레임(102)이 중첩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5 and FIG. 16, the buoyancy body 100 shown is a laminated structure through a plurality of frames including the first frame 101 and the second frame 102 and overlapped by step forming foam or surface coating. The second frame 102, which is a foam,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frame 101 inserted for rigid reinforcement.

이때,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은 부분적으로 비중이 다른 재질로 인서트 하거나 발포 성형한 적층 구조로 구성되어 차별화된 영역을 형성한다. 차별화된 영역이란, 예를 들어 제1 발포체(C1)로 성형된 홀수선(C0)을 기준으로 물에 잠기는 부분과 제1 발포체(C1)보다 가벼운 비중을 갖는 제2 발포체(C2)로 성형된 홀수선(C0)의 상측을 말한다.At this time, the first frame 101 and the second frame 102 is formed of a laminated structure that is partially inserted or foam molded of a material having a different specific gravity to form a differentiated region. The differentiated region is, for example, formed of a second submerged body C2 having a portion submerged in water based on the odd line C0 formed of the first foam C1 and a specific gravity lighter than that of the first foam C1. It means the upper side of the odd line C0.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관통 실린더는 제2 발포체(C2) 영역이 수상 진입시 제1 발포체(C1) 영역의 무게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제2 발포체(C2)가 물에 잠기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 즉, 관통 실린더는 육상 운전에서는 특별한 기능이 부여되지 않지만, 부력체(100)의 수상 진입시 부력 향상 작용을 한다.The through cylinders illustrated in FIGS. 15 and 16 may prevent the second foam C2 from submerging in water due to the weight or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first foam C1 region when the second foam C2 region enters the water phase. That is, the through-cylinder is not given a special function in the land driving, but the buoyancy enhancement function when entering the water phase of the buoyancy body 100.

도 15에 도시된 관통 실린더(700)는 최상의 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의 유입이 없도록 양쪽이 막힌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100)의 제조 과정에서 별개의 부품으로 된 관통 실린더(700)를 인서트 시킨 후 적층 발포 성형하는 방법을 통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The through cylinder 700 illustrated in FIG. 15 may have a shape in which both sides of the through cylinder 700 are blocked so that water does not flow in order to secure the best buoyancy.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uoyancy body 100 can be easily formed by inserting the through-cylinder 700 made of a separate component and then lamination foam molding.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관통 실린더(700)는 부력체(100)의 수상 주행시 전복 위험성을 줄이고 수상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고, 육상 주행시 부력체(100)의 하중을 줄여 주행 저항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Therefore, the through-cylinder 700 shown in FIG. 15 functions to reduce the risk of overturning during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100 and to enhance water stability, and to reduce the running resistance by reducing the load of the buoyancy body 100 when driving on land. It works.

도 17은 관통 실린더(700)의 양측을 개방하고 관통 실린더(700)의 내부에 추진 수단(420)을 구비하여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절단선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FIG. 1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both sides of the through cylinder 700 are opened and a propulsion means 420 is provided in the through cylinder 700 to obtain propulsion force in water.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17.

도 17 및 도 18을 함께 참조하면, 발포체의 내부에 관통 실린더(700)가 형성되고, 관통 실린더(700)의 내부에 스크류나 워터 제트와 같은 추진 수단(420)이 마련된다. 한편, 관통 실린더(700)의 일부를 개구시켜 제1 개구(710), 제2 개구(720), 제3 개구(730) 중 적어도 하나를 마련한다. 제1 개구(710)는 개폐 가능하다. 17 and 18 together, a through cylinder 700 is formed inside the foam, and a propulsion means 420 such as a screw or a water jet is provided inside the through cylinder 700. A part of the through cylinder 700 is open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710, the second opening 720, and the third opening 730. The first opening 710 can be opened and closed.

수상 주행시 개방 위치에 있는 제1 개구(71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추진 수단(420)에 의하여 제3 개구(730)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부력체(100)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육상 주행시 관통 실린더(700) 내부에 수용된 물은 부력체(100)의 무게를 증가시켜 육상 주행성을 떨어뜨린다. 육상 주행시 관통 실린더(70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제1 개구(710), 제2 개구(720), 제3 개구(7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부력체(100)의 무게 증가 요인이 제거된다.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710 in the open position during the water driving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third opening 730 by the propulsion means 420 to obtain the driving force of the buoyancy body 100. The water contained in the through-cylinder 700 during the land running increases the weight of the buoyancy body 100, thereby reducing the land running performance. During land runn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through cylinder 7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710, the second opening 720, and the third opening 730. The weight increase factor is eliminated.

육상 주행시 제1 개구(710), 제2 개구(720), 제3 개구(730)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 실린더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부력체(100)의 하중 증가를 방지한다. 관통 실린더 내부의 물이 전부 배출되면, 제1 개구(710), 제2 개구(720), 제3 개구(730)의 개폐 여부는 육상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710, the second opening 720, and the third opening 730 is opened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through cylin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buoyancy body 100 during land driving. . When all the water in the through cylinder is discharged, whether the first opening 710, the second opening 720, and the third opening 730 is opened or closed does not affect the running of the land.

수상 진입시 제1 개구(710)는 폐쇄되고, 관통 실린더 중에서 제1 개구(710) 및 제2 개구(720) 사이에 걸치는 부분은 빈 공간이 되어 수상 진입하는 부력체(100)의 부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부력체(100)의 앞부분이 물에 잠겨 수상 안정성을 저해하는 현상(노우즈 다운)이 방지된다. 부력체(100)가 어느 정도 수상에 진입되면, 제2 개구(720)를 통하여 입수된 물이 추진 수단(420)을 거쳐 제3 개구(730)로 배출되면서 추진력을 얻는다.The first opening 710 is closed when entering the water phase, and the portion of the through cylinder that extends between the first opening 710 and the second opening 720 becomes an empty space to increase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100 entering the water phase. . Therefore, the phenomenon that the front part of the buoyancy body 100 is immersed in water and inhibits the water phase stability (nose down) is prevented. When the buoyancy body 100 enters the water phase to some extent, the water obtain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720 is discharged to the third opening 730 through the propulsion means 420 to obtain a driving force.

부력체(100)가 육상에 올라가면 제1 개구(710), 제2 개구(720), 제3 개구(7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관통 실린더 내부의 물이 관통 실린더 외부로 배출되며, 부력체(100)의 하중을 줄인다.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raised on land, the water inside the through cylind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cylind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710, the second opening 720, and the third opening 730. Reduce the load of 100).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관통 실린더는 수륙 양용 이동체의 수상 동력 추진방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육상 운행 중에 추진 수단(420)은 전혀 필요가 없는 장치로, 육상 이동에 많은 장애를 준다. 추진 수단(420)이 부력체(100) 하부에 설치되면 육상 이동시 등판능력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고, 파손될 우려가 상존한다. The through cylinders shown in FIGS. 17 and 18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water power propulsion method of the amphibian. The propulsion means 420 is a device which is not necessary at all during the land operation, and impedes many obstacles to land movement. If the propulsion means 420 is installed below the buoyancy body 100, there is a fear that the climbing capacity is greatly reduced and damaged when moving on land.

추진 수단(420)이 부력체(100) 외부에 장착되었을 때에도 육상 주행시 파손은 물론 인명 상해의 위험이 있다. 도 17과 도 18로 도시된 관통 실린더의 추진 수단은 이러한 우려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부력체(100)의 양쪽에 설치되어 부력체(100)의 수상 조향 장치로도 활용할 수가 있어 부력체(100)에 별도의 방향 전환 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Even when the propulsion means 420 is mounted outside the buoyancy body 100, there is a risk of personal injury as well as damage during running on land. The propulsion means of the through cylinder shown in FIGS. 17 and 18 is designed to overcome these concerns, and can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uoyancy body 100 to be used as a waterborne steering device of the buoyancy body 100, thus providing a buoyancy bod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direction change key to the 100.

또한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관통 실린더는 부력체(100)의 수상 진입 이후 제2 개구 또는 제3 개구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유입된 물로 인하여 부력체(100)의 무게 중심을 안정화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부력체(100)가 기울어졌을 때 도 17과 도 18로 도시된 관통 실린더는 순간적으로 부력체(100)의 무게 중심에 관여하여 복원력 증가와 안정성에 도움을 주고 부력체(100)의 평형에 기여한다. In addition, the through cylinder illustrated in FIGS. 17 and 18 also serves to stabiliz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ancy body 100 due to water naturally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or the third opening after the buoyancy body 100 enters the water phase. do. That is, when the buoyancy body 100 is tilted, the through cylinder shown in FIGS. 17 and 18 instantaneously participates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ancy body 100 to help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and stability and to balance the buoyancy body 100. Contribute to.

물론, 육상 주행시 관통 실린더(70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제2 개구(720) 또는 제3 개구(7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부력체(100)의 무게 증가 요인이 제거된다. Of cours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through cylinder 7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720 or the third opening 730 during the land running, thereby removing the weight increase factor of the buoyancy body (100).

한편, 도 19는 금속, 합성수지, 카본, 목재, 섬유질, FRP, 공기 튜브 등의 일반 소재로 부력체(100)의 하측 부분에 해당하는 제1 부분(810)을 만들고, 상기 제1 부분(810)에 알루미늄 발포체, 멜라민 수지 발포체, EPP(폴리프로필렌), EPS(스치로폼), EPE(발포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2 부분(820)을 연결한 구조의 부력체(100)를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9 is made of a general material such as metal, synthetic resin, carbon, wood, fiber, FRP, air tube, etc. to make a first portion 8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100, the first portion 810 ) Buoyant body 1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portion 820 made of at least one of aluminum foam, melamine resin foam, EPP (polypropylene), EPS (styrofoam), EPE (foamed polyethylene), and polyurethane is connected. ).

이에 따르면, 육상 주행시의 장애물 충돌 대응, 수밀 파괴 방지, 암초 충돌에 대응 등 고강도 확보를 위하여 부력체(100)의 하측 부분에는 발포체를 쓰지 않고 강도 보강에 모든 관심을 두어 제1 부분(810)을 형성한다. 무게 중심점을 낮추고, 전복 위험성을 줄이며, 수상 안정성을 강화하고, 부력체(100)의 전체 하중을 줄이며, 부력 증강 등 고부력 확보를 위하여 부력체(100)의 상측 부분에는 발포체를 사용하여 제2 부분(820)을 형성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high strength such as coping with obstacle collision, preventing watertight destruction, and coping with reef when driving on land, the first part 810 is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buoyancy body 100 without any foam and focusing on the strength reinforcement. Form.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100 by using a foam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reduce the risk of overturning, enhance water stability, reduce the overall load of the buoyancy body 100, high buoyancy, such as buoyancy enhancement 820 is formed.

만약, 부력체(100)의 하측에 고부력이 필요하고 상측에 고강도가 필요한 특별한 경우는 제2 부분(820)으로 부력체(100)의 하측을 형성하고, 제1 부분(810)으로 부력체(100)의 상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If a special case requiring high buoyancy on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ody 100 and high strength is required on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ody 100 is formed by the second portion 820, and the buoyancy body (the first portion 810) is used. The upper side of 100 may be formed.

제1 부분(810) 및 제2 부분(820)의 경계에는 연결면(830)이 위치하며, 연결면(830)에서 제1 부분(810) 및 제2 부분(820)이 단단히 결합된다. 제1 부분(810)의 위에 금형(도 2의 200)을 설치하고 제2 부분(820)을 발포 성형할 때 연결면(830)에 위치한 액상의 발포체가 경화되면서 발생하는 결합력, 또는 연결면(830)에 개재되는 별도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합력은 연결면(830)에서 제1 부분(810) 및 제2 부분(820)을 단단히 결합시킨다.The connection surface 830 is position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second portion 820, and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second portion 820 are firmly coupled to the connection surface 830. Coupling force or connection surface generated when the mold (200 of FIG. 2) is installed on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foamed liquid in the connection surface 830 is cured when the second portion 820 is foamed. The coupling force generated by the separate coupling means interposed in 830 tightly couples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second portion 820 on the connection surface 830.

이러한 결합 수단으로 다음의 실시예를 들 수 있다. The following example is mentioned as such a coupling means.

이오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며 연결면(83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하여 연결면(830)의 결합력을 확보한다. 이소시아네이트기(-NCO) 성분은 폴리우레탄에 포함된 작용기이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한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접착성을 매우 양호하게 한다. It comprises an isocyanate group and applies an adhesive to the connecting surface 830 and secures the bonding force of the connecting surface 830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he isocyanate group (-NCO) component is a functional group included in the polyurethane, and the adhesive including the isocyanate group makes the adhesive of the polyurethane foam very good.

또는, 제1 부분(810) 및 제2 부분(820)을 연결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면(830)을 고정한다. 또는, 연결면(830)에 철제나 합성수지로 된 핀을 배치하고, 핀의 단부가 제1 부분(810) 및 제2 부분(820)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연결면(830)의 체결력을 확보한다.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surface 830 is fixed by using a bolt or a nut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second portion 820. Alternatively, a pin made of iron or synthetic resin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surface 830, and the end of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second portion 820, respectively, to secure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on surface 830. .

또는, 제1 부분(810)의 일부를 돌출시켜 돌출부(850)를 형성하고, 돌출부(850)를 제2 부분(820)에 매립 고정하여 연결면(830)의 결합력을 확보한다. 또는, 제1 부분(810)의 단부 및 제2 부분(820)의 단부에 요철(840)을 굴곡지게 형성한다. 요철(840)은 접합면의 면적을 확장시키며 이에 따라 연결면(830)의 결합력이 강화된다.Alternatively, the protrusion 850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protrusion 850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portion 820 to secur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nection surface 830. Alternatively, the concave-convex 84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810 and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820. Concave-convex 840 expands the area of the joint surface, thereby strengthening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nection surface 830.

도 19의 구조에 따르면, 부력체(100) 하측의 강도 강화 및 상측의 부력 강화 등 부력체(100)가 요구하는 특정 성능을 각 부분별로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합성수지, 카본, 목재, 섬유질, FRP, 공기 튜브 등의 재질로 된 기존의 선체를 부력체(100)의 제1 부분(810)으로 그대로 활용하고, 여기에 제2 부분(820)을 발포 성형하여 본 발명의 부력체(100)를 완성할 수 있다. 폐선 재활용, 부력체 생산 원가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수명이 다한 발포체를 제1 부분(810)에서 떼어내고 제2 부분(820)을 새로 교체할 때 제1 부분(810)은 그대로 이용하고 제2 부분(820)을 신규로 발포 성형하거나, 미리 경화된 기성품 형태의 제2 부분(820)을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제1 부분(810)에 체결하면 부력체(100)가 완성되므로 부력체(100)의 유지 보수 작업이 원활해진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FIG. 19, the specific performance required by the buoyancy body 100, such as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ody 100 and strengthening the buoyancy of the upper side, may be concentrated for each part. In addition, an existing hull made of metal, synthetic resin, carbon, wood, fiber, FRP, air tube, or the like may be utilized as the first part 810 of the buoyancy body 100, and the second part 820 is used here. By foam molding, the buoyancy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It also helps to recycle waste ships and reduce the cost of producing buoyant bodies. 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end-of-life foam from the first part 810 and replacing the second part 820 with a new one, the first part 810 is used as it is and the second part 820 is newly foamed, When the pre-cured ready-made second portion 820 is fastened to the first portion 810 by using a coupling means, the buoyancy body 100 is completed,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the buoyancy body 100 is smooth.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부력체 101...제1 프레임
101a...조립 돌기 101b... 조립 구멍
102...제2 프레임 110...제1 이동부
111...차축 118...체인 또는 타이밍 벨트
119...차축 지지대 120...제2 이동부
130...시일부 160...스크류
200...금형 200a...제1 금형
200b...제2 금형 200c...제3 금형
200d...제4 금형 300...밸러스트부
302...밸러스트부 커버 303...밸러스트부 격벽
304...주수구 305...에어 벤트 구멍
360...도어 400...보조 부력체
410...흡수구 420...추진 수단
430...출수구 490...아암
500...승강대 510...높이 조절 수단
610...구동원 700...관통 실린더
710...제1 개구 720...제2 개구
730...제3 개구 810...제1 부분
820...제2 부분 830...연결면
840...요철 850...돌출부
C0...홀수선 C1...제1 발포체
C2...제2 발포체 C11...전방부
C22...중앙부 C33...후방부
100 ... buoyancy 101 ... 1st frame
101a ... assembling projection 101b ... assembly hole
102 second frame 110 first moving part
111.Axle 118 ... Chain or Timing Belt
119 axle support 120 ...
130 ... sealing 160 ... screw
200 ... mold 200a ... 1st mold
200b ... second mold 200c ... third mold
200d ... 4th mold 300 ... ballast part
302 ... ballast cover 303 ... ballast bulkhead
304 ... Inlet 305 ... Air vent hole
360 ... door 400 ... secondary buoyancy body
410 Intake 420 Propulsion means
430 ... outlet 490 ... arm
500 platform 510 height adjustment means
610 ... Drive 700 ... Through cylinder
710 ... first opening 720 ... second opening
730 ... third opening 810 ... first part
820 ... Second part 830 ... Connecting surface
840 Unevenness 850 Projection
C0 ... odd line C1 ... first foam
C2 ... 2nd foam C11 ... front
C22 ... Center C33 ... Rear

Claims (2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발포체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체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고분자량 디올 및 저분자량 디올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체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우레아와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의 접착력 또는 상기 폴리우레아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의 접착력에 따라 상기 발포체의 표면에 대한 상기 코팅층의 접착력이 증강되는 부력체.
Including foam and frame,
The foam is made of a polyether polyurethane or a polyester polyurethane,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includes polyisocyanate, high molecular weight diol and low molecular weight diol,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am,
The coating layer is made of a polyurea containing an isocyanate and an amine,
A buoyant body of which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o the surface of the foam is enhanced according to the adhesion of the polyurea and the polyether-based polyurethane or the adhesion of the polyurea and the polyester-based polyurethane.
발포체 및 프레임이 적층되고,
상기 발포체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발포체를 관통하거나 상기 발포체에 함몰되는 차축 또는 상기 발포체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그물 구조체로서 상기 제1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발포체와 함께 발포 성형됨으로써 상기 발포체의 강성이 증강되는 부력체.
Foam and frame are laminated,
The foam is made of polyurethane,
The frame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e first member includes an axle penetrating the foam or recessed in the foam or a through cylinder formed inside the foam,
The second member fac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s a mesh of metal or nonmetal,
A buoyancy body in which the rigidity of the foam is enhanced by foam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gether with the foam.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제1 발포체 및 제2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포체 및 상기 제2 발포체의 경계면에 결합 수단이 개재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접착제, 볼트, 너트, 철제나 합성수지로 된 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이오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부력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foam comprises a first foam and a second foam,
A coupling means is interpos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foam and the second foam,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adhesive, a bolt, a nut, a pin made of iron or synthetic resin,
The adhesive buoyancy body comprising an isocyanate group.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발포체와 함께 발포 성형되며,
상기 제1 부재를 1차 골격으로 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중첩되는 제2 부재를 2차 골격으로 하여 상기 발포체가 복합 구조로 형성되는 부력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frame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oam molded together with the foam,
A buoyant body in which the foam is formed in a composite structure using the first member as the primary skeleton and the second member overlapping the first member as the secondary skele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30506A 2011-04-04 2011-04-04 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7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06A KR101233722B1 (en) 2011-04-04 2011-04-04 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280017530.6A CN103502336B (en) 2011-04-04 2012-03-30 Froth pulp, floating structure and building materials thereof
US14/009,434 US20140030457A1 (en) 2011-04-04 2012-03-30 Molded foam product, buoyant material and construction material including same
EP12767411.7A EP2695908A4 (en) 2011-04-04 2012-03-30 Molded foam product, and buoyant material and construction material including same
PCT/KR2012/002393 WO2012138081A2 (en) 2011-04-04 2012-03-30 Molded foam product, and buoyant material and construction material including same
JP2014503590A JP5727089B2 (en) 2011-04-04 2012-03-30 Foam molded body, buoyancy material includ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06A KR101233722B1 (en) 2011-04-04 2011-04-04 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15A KR20120112915A (en) 2012-10-12
KR101233722B1 true KR101233722B1 (en) 2013-03-11

Family

ID=4728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5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722B1 (en) 2011-04-04 2011-04-04 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7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335B1 (en) * 2018-10-24 2020-04-06 (주)지엠아이그룹 An Amphibious Bus Being Capable of Driving Safely on Water
KR102517929B1 (en) * 2022-11-23 2023-04-05 (주)지엠아이그룹 Amphibious bus with improved buoyancy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8814A (en) * 1975-11-17 1978-10-10 Gerald Herbert Holtom Manufacture of boat hulls and other hollow articles
JPH09286394A (en) * 1996-04-23 1997-11-04 Ishigaki:Kk Jet water suction in water jet propulsion ship
KR100243423B1 (en) * 1997-03-24 2000-03-15 김종천 A floating structure on the water
KR20050072045A (en) * 2004-01-05 2005-07-08 이가은 A commercial bicy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8814A (en) * 1975-11-17 1978-10-10 Gerald Herbert Holtom Manufacture of boat hulls and other hollow articles
JPH09286394A (en) * 1996-04-23 1997-11-04 Ishigaki:Kk Jet water suction in water jet propulsion ship
KR100243423B1 (en) * 1997-03-24 2000-03-15 김종천 A floating structure on the water
KR20050072045A (en) * 2004-01-05 2005-07-08 이가은 A commercial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15A (en)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089B2 (en) Foam molded body, buoyancy material includ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AU701906B1 (en) Foam collar and boat incorporating same
CN1213852C (en) Composite steel structural plastic sandwich plate systems
US3531809A (en) Plastic boat construction
WO2010107766A1 (en) Reinforced foam vehicle chassis
EP2847070B1 (en) Fender, maritime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US3596622A (en) Light-weight wreck-resistant vehicle
US20150225976A1 (en) Escape and survival pod
JP6265481B2 (en) Ship
US6860221B1 (en) Tubular boat having modular construction
JP2011245945A (en) Fender, and ship provided with the same
CN106585873A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anti-sinking fiber reinforced plastic ship
KR101233722B1 (en) Buoyancy structure and amphibious leisur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47616B1 (en) Foam products, buoyanc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aterial having the same
US3634898A (en) Plastic boat construction
KR20190098890A (en) Vessel enhancing structure and material of hull
CN113525587A (en) Air boa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40066618A (en) Buoyance member with polyurea layer
CN206087223U (en) Boat of charging
KR102394705B1 (en) ship having continuous self-buoyancy dual structure deck
CN215752874U (en) Air boat
RU2835496C1 (en) Inflatable motor boat
KR102596536B1 (en) Modular pontoon boat through R-HDPE rotational molding and splicing process application
RU2260515C1 (en) Amphibian
CN2306948Y (en) Sinking-proof floating structure o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