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558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3558B1 KR101233558B1 KR1020117005227A KR20117005227A KR101233558B1 KR 101233558 B1 KR101233558 B1 KR 101233558B1 KR 1020117005227 A KR1020117005227 A KR 1020117005227A KR 20117005227 A KR20117005227 A KR 20117005227A KR 101233558 B1 KR101233558 B1 KR 1012335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door
- brake
- speed
- elev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 정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하고,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이 정지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제동력을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과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강제적으로 정지 가능한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은 소정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계산기 수단을 가지고 있다. As for the elevator device, braking force for the car is generated by the energization stop of the brake device to the brake coil, and generation of the braking force for the car is stopped by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brake coil. The brake control device has a first brak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force for the car and a second brake control means capable of forcibly stopping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brake coil by adjusting the amount of energization to the brake coil. The second brake control means individually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predetermined detecting mean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or is abnormal, a plurality of calculator means for executing control to stop the energization to the brake coil.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력의 제어를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for performing control of a braking force for braking an automobile by a brake control apparatus.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한 때에는, 브레이크의 제동력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고,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종래, 브레이크 동작에 의한 감속 정지시의 엘리베이터 칸에서의 충격을 작게 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값이 되도록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브레이크의 제동력의 제어는,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구동용 전동기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의 출력과 감속 지령값을 비교함으로써 행해진다(특허 문헌 1 참조). In general,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 elevator, the car is braked by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and the car is decelerated and stopped. Conventionally, in order to reduce the impact in the cage | basket | car at the time of the deceleration stop by brake operation, the elevator brake apparatus which controls the braking force of a brake so that the deceleration | deceleration degree of a cage | basket | car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is proposed. Control of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output of the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car driving motor for moving the car with the deceleration command value (see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이상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 정지 제어와, 통상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 정지 제어가 공통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 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가 필요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브레이크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없게 된다는 우려가 있다. 또,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 제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구성이 복잡해져 버린다. However, in the brake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celeration stop control of the car at the time of abnormality and the deceleration stop control of the car in the normal time are performed by a common brake control device, the brake control device is In the case of a failure, there is a fear that the car cannot be forcibly stopped by the brake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requiring the stop of the car. Moreover, although the reliability regarding the stop control of a car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deceleration stop of a car with a some brake control apparatus, a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더욱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stop a car more reliably in the case of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and can suppress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of a brake control apparatus. do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코일을 가지고,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通電) 정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발생하고,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제동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과, 소정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여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연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가지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r and a brake coil which can move inside the hoistway, generates a braking force for braking the car by energizing the brake coil, and generates a braking force by energizing the brake coil. A brake device for stopping generation; And first brak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force by adjusting the amount of energization to the brake coil, and individually determining whether the elevator is abnormal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predetermined detection means, and determining that the elevator is abnormal. A brake control device having a second brake control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arithmetic means for executing control to stop energization of a furnace is provide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더욱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 can be stopped more reliably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and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e control device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계산기 수단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 상태 및 제1 계전기(繼電器) 접점 상태에 대해서, 통상 운전시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 상태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brake control device of FIG. 1.
FIG. 3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of FIG. 2.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first calculator means of FIG.
FIG. 5 is a graph showing temporal changes during normal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speed of the car of FIG. 1, the acceleration of the car, the switch state for adjustment of FIG. 2, and the first relay contact state, respectively.
FIG. 6 is a graph showing temporal change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acceleration of the car with respect to the speed of the car of FIG. 1, the acceleration of the car, the switch state for adjustment of FIG. 2, and the first relay contact state,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counterweight; 3)가 현가 수단(4)에 의해 매달려 있다. 현가 수단(4)으로서는, 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이동시키는 권상기(구동장치: 5)와 디플렉션 시브(deflection sheave: 6)가 설치되어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권상기(5)는 모터(7)와, 모터(7)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시브(8)를 가지고 있다. 현가 수단(4)은 구동 시브(8) 및 디플렉션 시브(6)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구동 시브(8)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이동된다. The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칸(2)에 탑재된 도어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를 닫는 도어 닫힘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9)를 여는 도어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The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와,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마련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승강로(1) 내에는 각 승강장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도어 개폐 가능 구간이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승강장 도어와 수평 방향에 대해서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닫힘 위치와 도어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됨으로써,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맞물리면서 승강장 출입구에 대해서 변위된다. 승강장 출입구는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맞물리면서 변위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와 승강장 도어의 맞물림이 불가능하게 된다. The platform of each floor is equipped with a platform entrance and a pair of platform doors which open and close a platform entrance (all are not shown). In the
권상기(5)에는 구동 시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11)가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11)는 구동 시브(8)와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회전체: 12)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동 부재(13)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13)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용수철(가압체)과, 브레이크 용수철의 가압력에 역행하고,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13)를 변위시키는 브레이크 코일을 가지고 있다. The
제동 부재(13)는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있을 때 브레이크 용수철의 가압력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촉한다. 브레이크 디스크(12)의 회전은 제동 부재(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하는 제동력은 브레이크 디스크(12)의 회전이 제동됨으로써 발생한다. 또, 제동 부재(13)는,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이 실행됨으로써, 브레이크 용수철의 가압력에 역행하여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하는 제동력의 발생은 제동 부재(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정지된다. The
모터(7)에는 구동 시브(8)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제1 속도 검출기(검출 수단: 14) 및 제2 속도 검출기(검출 수단: 15)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서는, 예를 들면 엔코더 등을 들 수 있다. The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도어 닫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 닫힘 검출기(검출 수단: 16)가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엘리베이터 칸(2)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검출 수단: 1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승강로(1)의 내벽에 고정된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되고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에만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플레이트 검출 센서를 가지는 검출기가 이용될 수 있다. The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행 제어 장치(18)에 보내진다.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브레이크 장치(11)의 동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보내진다.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운행 제어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킬 때, 모터(7)로의 급전(給電)을 실행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흡인 지령(attracting command) 및 계전기 구동 지령을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출력한다. 또, 운행 제어 장치(18)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되면 흡인 지령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더하여, 운행 제어 장치(18)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구하고,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한 때(즉,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이 되었을 때)에 계전기 구동 지령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출력을 정지한다. When the moving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제1 및 제2 속도 검출기(14, 15), 도어 닫힘 검출기(16),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및 운행 제어 장치(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11)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11)의 브레이크 코일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전자 코일부(20, 21)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용 스위치(22)와,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과,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제1 계전기(24) 및 제2 계전기(25)(복수의 계전기(24, 25))와, 제1 및 제2 계전기(24, 2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을 가지고 있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제1 계전기(24)는 제1 계전기 코일(24a)과 제1 계전기 코일(24a)로의 통전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계전기 접점(24b)을 가지고 있다. 제2 계전기(25)는 제2 계전기 코일(25a)과 제2 계전기 코일(25a)로의 통전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제2 계전기 접점(25b)을 가지고 있다. The
제1 계전기 코일(24a)로의 통전 조정은, 반도체 스위치인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의 개폐 동작(온/오프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제1 계전기 코일(24a) 및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는, 전원(29)과 접지부(그랜드: 30)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 되어 있다. The energization adjustment to the
제2 계전기 코일(25a)로의 통전 조정은, 반도체 스위치인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의 개폐 동작(온/오프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제2 계전기 코일(25a) 및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는, 전원(29)과 접지부(30)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The energization adjustment to the
각 전자 코일부(20, 21)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코일, 조정용 스위치(22),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은, 전원(29)과 접지부(30)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계전기 접점(24b)이 브레이크 코일과 전원(29)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2 계전기 접점(25b) 및 조정용 스위치(22)가 브레이크 코일과 접지부(30)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The brake coil including the
조정용 스위치(22)는 반도체 스위치로 되어 있다. 조정용 스위치(22)에 의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 조정은,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의 모두가 닫혀 있을 때 조정용 스위치(22)의 개폐 동작(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행해진다.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은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은,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림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The
또한, 전원(29)과 조정용 스위치(22)의 사이에는, 방전 다이오드(31)가 접속되어 있다. 방전 다이오드(31)는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조정용 스위치(22)가 열림 동작을 실행한 때에 각 전자 코일부(20, 21)에 발생하는 역기전압(逆起電壓)으로부터 조정용 스위치(22)를 보호한다. 또,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 각각과 브레이크 코일의 사이에는, 직렬로 접속된 방전 다이오드(32) 및 방전 저항(33)이 접속되어 있다. 방전 다이오드(32) 및 방전 저항(33)은,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림 동작을 실행한 때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소비하여,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신속하게 저하시킨다.In addition, a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에는,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 및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신호가 보내진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 및 제1 속도 검출기(14)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이 조정되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이 제어된다. The suction command from the
구체적으로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을 받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제어를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행한다. 즉,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을 받고 있을 때, 제동 부재(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떨어지도록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조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구하고, 구해진 가속도 값과 소정의 임계값 αL(부(nagative)의 값)를 비교하면서,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부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한 때에(즉,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을 때에), 조정용 스위치(22)의 동작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임계값 αL으로 유지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receives the suction command from the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은 제1 계산기 수단(연산 수단: 34), 제2 계산기 수단(연산 수단: 35), 공유 메모리(기억부: 36) 및 고장 검지 수단(37)을 가지고 있다. The second brake control means 26 has a first calculator means (operation means 34), a second calculator means (operation means 35), a shared memory (memory portion 36) and a failure detection means 37.
제1 계산기 수단(34)에는, 제1 속도 검출기(14),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이 보내진다.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속도 검출기(14), 도어 닫힘 검출기(16),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및 운행 제어 장치(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Signals from the
구체적으로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을 때에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 계전기 구동 지령의 수신이 정지되면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한다. 또,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속도 검출기(14),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을 때에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controls the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를 초과하면,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실행한다. 또, 제1 계산기 수단(34)은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의 위치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행한다. The 1st calculator means 34 makes a determination that an elevator is abnormal,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속도 제한값 Vlim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와 임계값 αL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즉, 속도 제한값 Vlim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상일 때에 소정의 설정치 Vmax로 설정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적으면(즉,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감소치로 설정된다.The speed limit value V lim is set by comparing the acceleration and the threshold value αL of the
제2 계산기 수단(35)에는 제2 속도 검출기(15),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이 보내진다. 제2 계산기 수단(35)은 제2 속도 검출기(15), 도어 닫힘 검출기(16),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및 운행 제어 장치(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 계전기 접점(25b)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제2 계산기 수단(35)의 처리는 제1 계산기 수단(34)의 처리와 동일하다. Signals from the
구체적으로는, 제2 계산기 수단(35)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을 때는 제1 계전기 접점(25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하고, 계전기 구동 지령의 수신이 정지되면 제2 계전기 접점(25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한다. 또, 제2 계산기 수단(35)은 제2 속도 검출기(15),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 제2 계산기 수단(35)은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없다고 판정하고 있을 때에 제2 계전기 접점(25b)의 닫힘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면 제2 계전기 접점(25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한다.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calculator means 35 receives the relay drive command from the
제2 계산기 수단(35)은 제2 속도 검출기(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을 초과한 때에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실행한다. 또, 제2 계산기 수단(35)은 도어 닫힘 검출기(16)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의 위치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엘리베이터가 이상이라는 판정을 실행한다. The second calculator means 35 determines that the elevator is abnormal when the speed of the
속도 제한값 Vlim은 제2 속도 검출기(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와 임계값 αL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즉, 속도 제한값 Vlim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상일 때 소정의 설정치 Vmax로 설정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적으면(즉,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감소치로 설정된다.The speed limit value V lim is set by comparing the acceleration and the threshold value αL of the
즉, 제1 계산기 수단(34) 및 제2 계산기 수단(35)은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고,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한다.That is,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and the second calculator means 35 individual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elevat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or is abnormal, control to stop the energization to each of the
공유 메모리(36)에는,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 각각에 있어서의 처리 결과가 기억된다.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은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 각각의 처리 결과를 공유 메모리(36)로부터 개별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처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고장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은 고장의 판정을 실행하였을 때에 고장 신호를 고장 검지 수단(37)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계산기 수단(34, 35)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의 발생이 검지된다. In the shared
고장 검지 수단(37)은 고장 신호를 받음으로써, 제1 계전기 접점(24b) 및 제2 계전기 접점(25b) 각각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 및 제2 계전기용 스위치(28)에 대해서 실행한다. The failure detecting means 37 receives the failure signal, thereby controlling the opening operation of each of the
다음으로,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의 연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의 연산은 소정의 주기마다 행해진다.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흡인 지령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연산 주기마다 판정하고 있다(S1). Next, the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in FIG. 2. The calculation of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is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uction command from the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이 흡인 지령을 받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조정하여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를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실행하고(S2),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의 발생이 정지된다. 이 때,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은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정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receives the suction command,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adjusts the amount of energization to each of the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이 흡인 지령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제1 속도 검출기(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3). When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does not receive the suction command,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determines the acceleration value of the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은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엘리베이터 칸(2)의 급감속을 회피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를 임계값 αL으로 유지하는 제어(감속도 제어)를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실행하고(S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이 때,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은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정된다.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보다도 큰 경우,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은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조정용 스위치(22)의 오프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실행하고(S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다음으로,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에 있어서의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은 소정의 주기마다 행해진다. 또한, 제2 계산기 수단(35)의 연산도 제1 계산기 수단(34)의 연산과 동일하다. Next, the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in the second brake control means 26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in FIG. 2. The calculation of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is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The calculation of the second calculator means 35 is also the same as the calculation of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인지 여부를 연산 주기 마다 판정하고 있다(S11).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를 0으로 리셋트 함과 아울러, 속도 제한값 Vlim를 소정의 설정치 Vmax로 함으로써, 변수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S12). 이 후, 제1 계산기 수단(34)은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peed of the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온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When the relay drive command is received,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executes the control for performing the closing operation (on operation) of the
계전기 구동 지령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오프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When the relay drive command is not received,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executes the control for executing the opening operation (off operation) of the
한편,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0 이 아닌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도어 열림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6).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열림 상태에서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When the
엘리베이터 칸 도어(10)가 도어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절대값이 속도 제한값 Vlim 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17). When the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절대값이 속도 제한값 Vlim 이상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5),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절대값이 속도 제한값 Vlim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가 0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8).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타이머의 시간 t가 0 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19). 이 결과,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도 큰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하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를 (t+1)로 한 후(S20),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When the time t of the timer is 0,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determines whether the acceleration of the
한편, 타이머의 시간 t가 0 이 아닌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tmax 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21).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me t of the timer is not 0,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determines that the time t of the timer is set in advance of the set time t max.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larger than S21 (S21).
타이머의 시간 t가 설정 시간 tmax 이하인 경우에는, 제1 계산기 수단(34)은 타이머의 시간 t를 (t+1)로 한 후(S20),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When the time t of the tim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ime t max , the first calculator means 34 sets the timer time t to (t + 1) (S20), and then controls to execut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타이머의 시간 t가 설정 시간 tmax 보다도 큰 경우에는, 속도 제한값 Vlim을 (Vlim-V1)로 한 후(S22),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를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실행하고(S14), 당해 주기의 연산을 종료한다. 또한, V1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이다. 따라서 속도 제한값 Vlim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Timer time t is set time t max When the speed limit value V lim is set to (V lim -V1) (S22), the control for execut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의 통상 운전시의 시간적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에 대해서, 통상 운전시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이상으로 유지되기(즉, 엘리베이터 칸(2)의 급감속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 때문에(도 5(b)),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가 조정용 스위치(22)에 대해서 행해진다. 이 때에는, 조정용 스위치(22)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이 조정된다. Next, the time change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of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또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 조정을 위해서 실제로는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이 반복되지만, 도 5(c)에서는 조정용 스위치(22)의 온/오프 동작이 생략되어 있다. 또,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max 보다도 낮은 값으로 유지되기 때문에(도 5(a)), 제1 계전기 접점(24b)의 닫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가 제1 계전기용 스위치(27)에 대해서 행해진다. In addition, althoug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2)이 급감속된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의 시간적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 도 2의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 및 제1 계전기 접점(24b)의 상태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시간적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Next, the time of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시각 t1에서 발생하면,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흡인 지령의 출력과 모터(7)로의 급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및 가속도가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3)의 불균형에 의해서 일단 상승한다(도 6(a) 및 도 6(b)). 이 후, 조정용 스위치(22)가 열림 동작되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가 급감속되고,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시각 t2 에서 임계값 αL보다도 작아진다. If an abnormality in the elevator occurs at time t1, the output of the suction command from the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보다 작아지면,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제어에 의해 조정용 스위치(22)의 개폐 동작이 반복되고(도 6(c)),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가 임계값 αL 으로 유지된다(도 6(b)). 이 때, 시각 t2로부터의 시간이 설정 시간 tmax를 경과하면, 속도 제한값 Vlim의 값이 설정치 Vmax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 이하로 유지되어, 엘리베이터 칸(2)이 시각 t3에서 충분히 저속이 되면, 조정용 스위치(22)의 개폐 반복 동작이 정지되고, 조정용 스위치(22)의 상태가 열린 상태(오프 상태)로 유지된다(도 6(c)).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이 후, 엘리베이터 칸(2)이 시각 t4에서 완전하게 정지하면,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의 계전기 구동 지령의 출력이 정지된다(도 6(d)). 따라서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 각각이 열림 동작된다. After that, when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을 초과한 경우에는, 운행 제어 장치(18)로부터의 계전기 구동 지령의 출력 유무에 관계없이, 제1 및 제2 계전기 접점(24b, 2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제어에 의해 열림 동작된다. 따라서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되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한다. When the speed of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량을 제어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과,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여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한 때에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계산기 수단(34, 35)을 포함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26)이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각 계산기 수단(34, 35)에서 개별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각 계산기 수단(34, 35)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23)이 고장난 경우더라도, 나머지의 정상적인 계산기 수단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2)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 제어의 신뢰성의 향상을 위해서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구성에 대한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each electronic nose when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23 which controls the amount of energization to each
또, 각 계산기 수단(34, 35)은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가 임계값 αL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속도 제한값 Vlim을 작성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제한값 Vlim을 초과하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낮은 단계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이상을 판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Moreover, each calculator means 34 and 35 produces | generates the speed limit value Vlim which falls with time as the de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또, 각 계산기 수단(34, 35)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10)의 위치가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각 전자 코일부(20, 21)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나 가속도가 이상이 아닌 경우더라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판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calculator means 34, 35 determines that the cage | basket |
또한, 상기 예에서는, 각 계산기 수단(34, 35)의 개수가 2개로 되어 있지만, 계산기 수단의 개수를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number of the calculator means 34 and 35 is two, but the number of the calculator means may be three or more.
14: 제1 속도 검출기
15: 제2 속도 검출기
16: 도어 닫힘 검출기
17: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18: 운행 제어 장치
23: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
34: 제1 계산기 수단
35: 제2 계산기 수단
37: 고장 검지 수단14: first speed detector
15: second speed detector
16: door closed detector
17: car position detector
18: driving control device
23: first brake control means
34: first calculator means
35: second calculator means
37: fault detection means
Claims (3)
브레이크 코일을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 정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상기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동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과, 소정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복수의 연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가지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cars movable within the hoistway;
A brake device having a brake coil, generating a braking force for braking the car by energizing the brake coil and stopping the generation of the braking force by energizing the brake coil; And
The first brake control means for executing the control of the braking force by adjusting the amount of energization to the brake coil and the abnormality of the elevator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detection means are individually determined to determine that the elevator is abnormal. And a brake control device having a second brake control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calculation means for executing control to stop the energization of the brake coil when it is made.
상기 검출 수단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가 포함되어 있고,
각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속도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저하하는 속도 제한값을 작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속도 제한값을 초과하면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means includes a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car,
Each said calculating means produces | generates the speed limit value which falls with time, when the deceleration of the car calculated | required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said speed detecto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the speed of the car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stop the energization to the brake coil when the speed limit value is exceeded.
상기 검출 수단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닫는 도어 닫힘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위치 검출기와,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맞물릴 수 있는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가 포함되어 있고,
각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위치가 상기 도어 닫힘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상기 브레이크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means includes a door door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a car door is located at a door closed position for closing a car door, a doo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entrance, and a door door in which the door can be engaged. A car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ar exists in a section is included,
Each said calculation means is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car door position detector and the car position detector, and the ca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ar door is out of the door closed posi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exist outside the section, control to stop the energization of the brake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8/072162 WO2010064320A1 (en) | 2008-12-05 | 2008-12-05 | Elevato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6645A KR20110036645A (en) | 2011-04-07 |
KR101233558B1 true KR101233558B1 (en) | 2013-02-14 |
Family
ID=4223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52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558B1 (en) | 2008-12-05 | 2008-12-05 | Elevator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364947B1 (en) |
JP (1) | JP5653758B2 (en) |
KR (1) | KR101233558B1 (en) |
CN (1) | CN102177083B (en) |
WO (1) | WO201006432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230B1 (en) * | 2008-12-12 | 2013-01-09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safety circuit device |
CN103803366B (en) | 2013-12-19 | 2016-04-27 |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 A kind of elevator internal contracting brake torque measuring method |
ES2763933T3 (en) * | 2016-08-02 | 2020-06-01 | Kone Corp | Procedure, elevator control unit, and elevator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a leveling speed limit of an elevator car |
CN109292556B (en) * | 2018-12-11 | 2021-05-25 |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levator brake, band-type brake power supply and storage medium |
US11767194B2 (en) * | 2019-01-28 | 2023-09-26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car and door motion monitoring |
JP7280709B2 (en) * | 2019-02-20 | 2023-05-2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WO2021002107A1 (en) * | 2019-07-02 | 2021-01-0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9733A (en) | 1997-11-07 | 1999-05-25 | Hitachi Ltd | Elevator door control |
WO2007099633A1 (en) * | 2006-03-02 | 2007-09-07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WO2007108068A1 (en) | 2006-03-17 | 2007-09-27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WO2008136114A1 (en) * | 2007-04-26 | 2008-11-1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72369A (en) | 1983-03-16 | 1984-09-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Controller for floor reaching of winding drum type elevator |
JPH07157211A (en) | 1993-12-03 | 1995-06-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Brake device for elevator |
KR100973880B1 (en) * | 2006-08-03 | 2010-08-03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device |
EP2147883B1 (en) | 2007-05-24 | 2017-11-2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apparatus |
CN101687610B (en) * | 2007-06-14 | 2012-07-04 | 三菱电机株式会社 | Elevator |
WO2009008058A1 (en) * | 2007-07-10 | 2009-01-15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
-
2008
- 2008-12-05 CN CN200880131508.8A patent/CN102177083B/en active Active
- 2008-12-05 WO PCT/JP2008/072162 patent/WO201006432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2-05 EP EP08878580.3A patent/EP2364947B1/en active Active
- 2008-12-05 KR KR1020117005227A patent/KR1012335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2-05 JP JP2010541179A patent/JP565375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9733A (en) | 1997-11-07 | 1999-05-25 | Hitachi Ltd | Elevator door control |
WO2007099633A1 (en) * | 2006-03-02 | 2007-09-07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WO2007108068A1 (en) | 2006-03-17 | 2007-09-27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WO2008136114A1 (en) * | 2007-04-26 | 2008-11-1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364947B1 (en) | 2016-08-24 |
CN102177083B (en) | 2016-03-02 |
EP2364947A4 (en) | 2014-05-28 |
EP2364947A1 (en) | 2011-09-14 |
WO2010064320A1 (en) | 2010-06-10 |
JP5653758B2 (en) | 2015-01-14 |
KR20110036645A (en) | 2011-04-07 |
JPWO2010064320A1 (en) | 2012-05-10 |
CN102177083A (en) | 201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3558B1 (en) | Elevator device | |
KR101748475B1 (en) | Multi-car elevator | |
US8177035B2 (en) | Elevator system which controls a value of overspeed | |
JP5214239B2 (en) | Elevator equipment | |
EP1980519B1 (en) | Door device for elevator | |
KR102361312B1 (en) |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 |
KR101130926B1 (en) | Brake device for elevator | |
US12280984B2 (en) | Elevator system | |
KR20120023105A (en) | Elevator device | |
JPWO2009078088A1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1121343B1 (en) | Elevator apparatus | |
JP6351853B2 (en) | Hydraulic elevator safety device and hydraulic elevator door opening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 |
KR20150127663A (en) |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 |
JP2635257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KR20090014190A (en) | Elevator counterweight | |
KR20120014003A (en) | Control device of elevator | |
WO2005105648A1 (en) | Elevator apparatus | |
WO2009153882A1 (en) | Elevator device | |
JP6801683B2 (en) | Double deck elevator | |
JP2006096510A (en) | Elevator device | |
KR100902452B1 (en) | Elevator device | |
KR100891234B1 (en) | Elevator device | |
JPH05213555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KR20080110689A (en) | Elevator device | |
JP2008179425A (en) | Control device for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3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