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3509B1 -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509B1
KR101233509B1 KR1020110003604A KR20110003604A KR101233509B1 KR 101233509 B1 KR101233509 B1 KR 101233509B1 KR 1020110003604 A KR1020110003604 A KR 1020110003604A KR 20110003604 A KR20110003604 A KR 20110003604A KR 101233509 B1 KR101233509 B1 KR 10123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battery
tab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227A (ko
Inventor
안진홍
변정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509B1/ko
Priority to US13/096,956 priority patent/US20120183838A1/en
Publication of KR2012008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5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4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극 탭 또는 버스 바의 두께를 달리하여 제조 비용을 줄이고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 제1 도전성 단자와 제2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1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 도전성 탭;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2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도전성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이 각각 인출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캠코더 등과 같은 휴대용 외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이 갖는 용량의 한계 때문에 여러 개의 배터리 셀을 하나로 묶어서 제조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자동차나 무정전전원장치(UPS) 등과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보다 큰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팩은 복수가 재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택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배터리 팩은 내부에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경우, 일측의 배터리 셀에서 양극과 음극을 모두 인출하여, 외부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배터리 팩 모듈은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경우, 일측의 배터리 팩에서 양극과 음극을 모두 인출하여,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팩 또는 배터리 팩 모듈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충방전시, 양극과 음극이 모두 인출된 쪽의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이 반대편의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들에 비하여 충방전이 빨리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양극과 음극이 모두 인출된 쪽의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이 반대편의 배터리 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열이 많이 일어난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양극과 음극이 모두 인출된 쪽의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은 충방전을 거듭할수록 열화의 정도가 심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은 상호간에 수명의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극 탭 또는 버스 바의 두께를 달리하여 제조 비용을 줄이고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은, 각각 제1 도전성 단자와 제2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1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 도전성 탭;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2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도전성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이 각각 인출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다.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그 상면 또는 하면의 단면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그 상면 또는 하면의 단면이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중 각각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탭의 제1 방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도전성 외부단자; 및 상기 제2 도전성 탭의 제2 방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상기 제1 도전성 외부단자는 제1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성 탭과 상기 제2 도전성 외부단자는 제2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외부단자와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의 이차 전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은, 각각 제1 도전성 외부단자와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팩;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제1 도전성 외부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 도전성 버스 바;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제2 도전성 외부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도전성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가 각각 인출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다.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는 그 상면의 단면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는 그 상면의 단면이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 중 각각의 배터리 팩에 형성된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은, 각각 제1 도전성 단자와 제2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고,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외부단자와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은 제3 방향에서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1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3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 도전성 탭;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2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4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도전성 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각각 인출되는 제3 방향 또는 제4 방향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을 연결하는 전극 탭 또는 버스 바 중 외부기기 방향으로 인출되는 측의 전극 탭 또는 버스 바의 두께를 달리 형성하여, 전극 탭 또는 버스 바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과 전극 탭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과 전극 탭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복수의 배터리 셀(110), 제1 도전성 탭(121), 제2 도전성 탭(122), 배터리 케이스(130),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 제2 도전성 외부 단자(142), 제1 도전성 와이어(151) 및 제2 도전성 와이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제1 도전성 단자(111) 및 제2 도전성 단자(112)를 포함하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각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셀(1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110)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작동전압이 3.6V 이상으로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도 1 및 도 2에서는 10개로 나타냈지만,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제1 배터리 셀 내지 제10 배터리 셀(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110h, 110i, 110j)로 구분하였다.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단자(111)는 배터리 셀(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성 단자(111)는 배터리 셀(110) 내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을 띨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단자(112)는 배터리 셀(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단자(112)는 배터리 셀(110) 내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극을 띨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탭(121)은 상기 제1 배터리 셀 내지 제10 배터리 셀(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110h, 110i, 110j) 각각의 제1 도전성 단자들(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111i, 111j)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도전성 탭(121)은 상기 제1 도전성 단자들(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111i, 111j)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전성 탭(121)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탭(121)은 그 상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도전성 탭(121)은 인출되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제1 도전성 탭(121)은 각각의 제1 도전성 단자들(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111i, 111j) 상에 연결된 복수의 탭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각의 제1 도전성 단자들(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111g, 111h, 111i, 111j)을 연결하는 각각의 판상의 도전성 탭들이 적층되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은 상기 제1 배터리 셀 내지 제10 배터리 셀(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110h, 110i, 110j) 각각의 제2 도전성 단자들(112a, 112b, 112c, 112d, 112e, 112f, 112g, 112h, 112i, 112j)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은 제2 도전성 단자들(112a, 112b, 112c, 112d, 112e, 112f, 112g, 112h, 112i, 112j)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은 그 하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은 인출되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은 각각의 제2 도전성 단자들(112a, 112b, 112c, 112d, 112e, 112f, 112g, 112h, 112i, 112j) 상에 연결된 복수의 탭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각의 제2 도전성 단자들(112a, 112b, 112c, 112d, 112e, 112f, 112g, 112h, 112i, 112j)을 연결하는 각각의 판상의 도전성 탭들이 적층되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 도전성 탭(121)과 제2 도전성 탭(122)이 각각 인출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도전성 탭(121)과 제2 도전성 탭(122)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도전성 탭(121)과 제2 도전성 탭(122)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110h, 110i, 110j)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면 또는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110h, 110i, 110j)중 각각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제1 도전성 탭(121)과 제2 도전성 탭(122)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도전성 탭의 두께(S1)와 제2 도전성 탭의 두께(S2)의 총합(S)은 항상 일정하다.
[수학식 1]
S = S1 + S2
상기 배터리 케이스(1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130)는 배터리 셀(110), 제1 도전성 탭(121) 및 제2 도전성 탭(122)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 및 제2 도전성 외부 단자(142)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130)는 절연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130)는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110) 등을 충격 및 먼지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 중 제1 도전성 탭(121)의 인출되는 측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타측의 배터리 셀(110j)과 가까운 배터리 케이스(130)의 일 측면(130a)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는 제1 도전성 탭(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는 다른 배터리 팩 혹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케이스(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외부 단자(142)는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가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130)의 일 측면(130a)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전성 외부 단자(142)는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의 인출되는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외부 단자(142)는 다른 배터리 팩 혹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케이스(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와 제2 도전성 외부 단자(142)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130)의 일 측면(130a)에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배터리 팩(100)을 상부로 쌓아 올리는 배터리 팩 스택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와이어(151)는 상기 제1 도전성 탭(121)의 인출되는 측과 제1 도전성 외부 단자(1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와이어(151)는 상기 제1 도전성 탭(121)의 인출되는 측과 가까운 배터리 케이스(130)의 일 측면(130a)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와이어(151)는 내부에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금속을 포함하고, 그 외부를 절연성 수지로 피복한 도선일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도전성 와이어(152)는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의 인출되는 측과 상기 제2 도전성 외부 단자(1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전성 와이어(152)는 상기 제2 도전성 탭(122)의 인출되는 측과 먼 배터리 케이스(130)의 일 측면(130a)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와이어(152)는 내부에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금속을 포함하고, 그 외부를 절연성 수지로 피복한 도선일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복수의 배터리 셀(210), 제1 도전성 탭(221), 제2 도전성 탭(222), 배터리 케이스(230), 제1 도전성 외부 단자(241), 제2 도전성 외부 단자(242), 제1 도전성 와이어(251) 및 제2 도전성 와이어(2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과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동일한 구성인 복수의 배터리 셀, 배터리 케이스, 제1 도전성 외부 단자, 제2 도전성 외부 단자, 제1 도전성 와이어 및 제2 도전성 와이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도전성 탭(221)은 상기 제1 배터리 셀 내지 제10 배터리 셀(210a, 210b, 210c, 210d, 210e, 210f, 210g, 210h, 210i, 210j) 각각의 제1 도전성 단자들(211a, 211b, 211c, 211d, 211e, 211f, 211g, 211h, 211i, 211j)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도전성 탭(221)은 상기 제1 도전성 단자들(211a, 211b, 211c, 211d, 211e, 211f, 211g, 211h, 211i, 211j)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성 탭(221)은 그 상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도전성 탭(221)은 인출되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탭(222)은 상기 제1 배터리 셀 내지 제10 배터리 셀(210a, 210b, 210c, 210d, 210e, 210f, 210g, 210h, 210i, 210j) 각각의 제2 도전성 단자들(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 212h, 212i, 212j)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도전성 탭(222)은 제2 도전성 단자들(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 212h, 212i, 212j)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도전성 탭(222)은 그 하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도전성 탭(222)은 인출되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210a, 210b, 210c, 210d, 210e, 210f, 210g, 210h, 210i, 210j)중 각각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제1 도전성 탭(221)과 제2 도전성 탭(222)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도전성 탭의 두께(S1')와 제2 도전성 탭의 두께(S2')의 총합(S')은 항상 일정하다.
[수학식 2]
S' = S1' + S2'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배터리 셀을 하나씩 거칠 때마다 도전성 탭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도전성 탭의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도전성 탭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배터리 팩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300)은 복수의 배터리 팩(310),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 제1 도전성 버스 바(331) 및 제2 도전성 버스 바(33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310)을 형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제1 도전성 와이어 및 제2 도전성 와이어에 대하여,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는 배터리 팩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 팩(310)은 복수의 배터리 셀(미도시), 배터리 케이스(311),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 제1 도전성 와이어(미도시), 제2 도전성 와이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310)은 도 7에서 6개로 나타냈지만,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310)은 제1 내지 제6 배터리 팩(310a, 310b, 310c, 310d, 310e, 310f)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제1 내지 제6 배터리 팩(310a, 310b, 310c, 310d, 310e, 310f)은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 및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는 절연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는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 등을 충격 및 먼지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는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셀의 도전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는 다른 배터리 팩 혹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는 내부의 도전성 단자와 도전성 와이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2)는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셀의 도전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는 다른 배터리 팩 혹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케이스(31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는 내부의 도전성 단자와 도전성 와이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는 제1 내지 제6 배터리 팩(310a, 310b, 310c, 310d, 310e, 310f)의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a, 321b, 321c, 321d, 321e, 321f)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의 일단에는 제1 도선(11)을 통하여, 외부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는 그 상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는 인출되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는 각각의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a, 321b, 321c, 321d, 321e, 321f) 상에 연결된 복수의 버스 바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각의 제1 도전성 외부 단자(321a, 321b, 321c, 321d, 321e, 321f)를 연결하는 각각의 판상의 도전성 버스 바들이 적층되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버스 바(332)는 제1 내지 제6 배터리 팩(310a, 310b, 310c, 310d, 310e, 310f)의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a, 322b, 322c, 322d, 322e, 322f)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도전성 버스 바(332)의 일단에는 제2 도선(12)을 통하여, 외부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버스 바(332)는 그 상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도전성 버스 바(332)는 인출되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제2 도전성 버스 바(332)는 각각의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a, 322b, 322c, 322d, 322e, 322f) 상에 연결된 복수의 버스 바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각의 제2 도전성 외부 단자(322a, 322b, 322c, 322d, 322e, 322f)를 연결하는 각각의 판상의 도전성 버스 바들이 적층되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332)가 각각 인출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332)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332)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310a, 310b, 310c, 310d, 310e, 310f)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3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332)가 형성되는 위치에 관하여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310a, 310b, 310c, 310d, 310e, 310f)중 각각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제1 도전성 버스 바(3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332)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의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W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W2)의 총합(W)은 항상 일정하다.
[수학식 3]
W = W1 + W2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400)은 복수의 배터리 팩(410), 제1 도전성 외부 단자(421), 제2 도전성 외부 단자(422), 제1 도전성 버스 바(431), 및 제2 도전성 버스 바(43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400)과 도 4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300)의 동일한 구성인 복수의 배터리 팩, 제1 도전성 외부 단자 및 제2 도전성 외부 단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431)는 제1 내지 제6 배터리 팩(410a, 410b, 410c, 410d, 410e, 410f)의 제1 도전성 외부 단자(421a, 421b, 421c, 421d, 421e, 421f)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431)의 일단에는 제1 도선(11)을 통하여, 외부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431)는 그 상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431)는 인출되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버스 바(432)는 제1 내지 제6 배터리 팩(410a, 410b, 410c, 410d, 410e, 410f)의 제2 도전성 외부 단자(422a, 422b, 422c, 422d, 422e, 422f)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도전성 버스 바(432)의 일단에는 제2 도선(12)을 통하여, 외부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버스 바(432)는 그 상면의 단면이 인출되는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도전성 버스 바(432)는 인출되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4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432)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410a, 410b, 410c, 410d, 410e, 410f)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4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432)가 형성되는 위치에 관하여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410a, 410b, 410c, 410d, 410e, 410f)중 각각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제1 도전성 버스 바(43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432)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아래의 수학식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W1')와 제2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W2')의 총합(W')은 항상 일정하다.
[수학식 1]
W' = W1' + W2'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모듈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배터리 팩을 하나씩 거칠 때마다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버스 바의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버스 바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배터리 팩 모듈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배터리 팩 110, 210: 배터리 셀
121, 131: 제1 도전성 탭 122, 132: 제2 도전성 탭
130, 230: 배터리 케이스 141, 241: 제1 도전성 외부 단자
142, 242: 제2 도전성 외부 단자 151, 251: 제1 도전성 와이어
152, 252: 제2 도전성 와이어 310, 410: 복수의 배터리 팩
321, 421: 제1 도전성 외부 단자 322, 422: 제2 도전성 외부 단자
331, 431: 제1 도전성 버스 바 332, 432: 제2 도전성 버스 바

Claims (17)

  1. 각각 제1 도전성 단자와 제2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1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 도전성 탭;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2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도전성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이 각각 인출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도전성 탭의 제1 방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도전성 외부단자; 및
    상기 제2 도전성 탭의 제2 방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그 상면 또는 하면의 단면이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그 상면 또는 하면의 단면이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중 각각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상기 제1 도전성 외부단자는 제1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성 탭과 상기 제2 도전성 외부단자는 제2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외부단자와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의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각각 제1 도전성 외부단자와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포함하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팩;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제1 도전성 외부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 도전성 버스 바;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제2 도전성 외부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도전성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가 각각 인출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배터리 팩은,
    각각 제1 도전성 단자와 제2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고,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외부단자와 제2 도전성 외부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는 그 상면의 단면이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는 그 상면의 단면이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모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 중 각각의 배터리 팩에 형성된 제1 도전성 버스 바와 제2 도전성 버스 바의 두께의 합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모듈.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은 제3 방향에서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1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3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 도전성 탭;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제2 도전성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4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2 도전성 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성 탭과 제2 도전성 탭은 각각 인출되는 제3 방향 또는 제4 방향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모듈.
KR1020110003604A 2011-01-13 2011-01-13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 Active KR10123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04A KR101233509B1 (ko) 2011-01-13 2011-01-13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
US13/096,956 US20120183838A1 (en) 2011-01-13 2011-04-28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04A KR101233509B1 (ko) 2011-01-13 2011-01-13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27A KR20120082227A (ko) 2012-07-23
KR101233509B1 true KR101233509B1 (ko) 2013-02-14

Family

ID=4649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604A Active KR101233509B1 (ko) 2011-01-13 2011-01-13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83838A1 (ko)
KR (1) KR101233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553A1 (ko) * 2017-10-16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0237B4 (de) * 2011-12-05 2021-09-02 Audi Ag Verbindungselement zum elektrischen Verbinden von parallel geschalteten Batteriezellen, Batter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indungselements
CN104854726B (zh) 2012-10-16 2018-09-21 安布里公司 电化学储能装置和外壳
US11721841B2 (en) 2012-10-18 2023-08-08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520618B2 (en) 2013-02-12 2016-12-13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735450B2 (en) 2012-10-18 2017-08-15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387497B2 (en) 2012-10-18 2022-07-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541451B2 (en) 2012-10-18 2020-01-21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312522B2 (en) 2012-10-18 2016-04-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211641B2 (en) 2012-10-18 2021-12-28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TWI488352B (zh) * 2012-11-30 2015-06-11 原瑞電池科技股份有限公司 鋰電池模組
TWI492441B (zh) * 2012-11-30 2015-07-11 Uer Technology Corp 電流匯流構造
US10270139B1 (en) 2013-03-14 2019-04-23 Ambr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ycling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502737B2 (en) 2013-05-23 2016-11-22 Ambri Inc. Voltage-enhanced energy storage devices
WO2015042295A1 (en) * 2013-09-18 2015-03-26 Ambri Inc. Unified structural and electrical interconnections for high temperature batteries
US12347832B2 (en) 2013-09-18 2025-07-01 Ambri, LL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JP6685898B2 (ja) 2013-10-16 2020-04-22 アンブ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温反応性材料デバイスのためのシール
US12142735B1 (en) 2013-11-01 2024-11-12 Ambri, Inc. Thermal management of liquid metal batteries
US10181800B1 (en) 2015-03-02 2019-01-15 Ambri Inc. Power conversion systems for energy storage devices
WO2016141354A2 (en) 2015-03-05 2016-09-09 Ambri Inc. Ceramic materials and seals for high temperature reactive material devices
US9893385B1 (en) 2015-04-23 2018-02-13 Ambri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s for energy storage devices
JP2016213026A (ja) * 2015-05-07 2016-12-15 エネルギー コントロール リミテッドEnergy Control Limited 二本の導電プレートにより複数の二次電池が並列接続されて構成される組み立て電池の構造
KR102087746B1 (ko) * 2015-10-01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시스템
KR102087747B1 (ko) * 2015-10-01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시스템
US11929466B2 (en) 2016-09-07 2024-03-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601016B2 (en) 2016-10-14 2020-03-24 Tiveni Mergeco, Inc. Center contact plate configured to establish electrical bonds to different groups of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KR102260830B1 (ko) * 2016-11-08 2021-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EP3607603A4 (en) 2017-04-07 2021-01-13 Ambri Inc. MOLTEN SALT BATTERY WITH SOLID METAL CATHODE
JP6844458B2 (ja) * 2017-07-12 2021-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AU2019405440A1 (en) 2018-12-17 2021-08-12 Ambri, LLC High temperature energy storage systems and methods
KR102547068B1 (ko) * 2020-06-15 2023-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과,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DE102023129045A1 (de) * 2023-10-23 2025-04-24 Elringklinger Ag Zellkontaktierungssystem für ein elektrochemisches Modul und elektrochemisches Modul einer elektrochemischen 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4771A (ja) 1996-08-23 1998-03-06 Honda Motor Co Ltd 蓄電式電源装置
JP2006270043A (ja) 2005-02-22 2006-10-05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001A (ja) * 2006-01-18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応用機器
KR100908568B1 (ko) * 2006-10-23 2009-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 분배형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20100047682A1 (en) * 2007-03-01 2010-02-25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attery system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4771A (ja) 1996-08-23 1998-03-06 Honda Motor Co Ltd 蓄電式電源装置
JP2006270043A (ja) 2005-02-22 2006-10-05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553A1 (ko) * 2017-10-16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450930B2 (en) 2017-10-16 2022-09-2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27A (ko) 2012-07-23
US20120183838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509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모듈
JP7049542B2 (ja) バスバーを備え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US10847773B2 (en) Battery pack
CN102379058B (zh) 电压感测部件和采用该电压感测部件的电池模块
US9136512B2 (en) Battery pack having parallel connector
US12261326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battery pack
CN103608946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件
US739360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US20240266680A1 (en) Battery pack including connection plate
US8609276B2 (en) Battery pack
EP2317585B1 (en) Battery pack
CN102804447B (zh) 包括结构新颖的感测构件的电池模块
US20180205053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20100227215A1 (en) Rechargeable battery
EP2328201A1 (en) Battery Pack
KR101984314B1 (ko) 이차전지
US20220037707A1 (en) Battery Pack and Holder
US8715851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stack
JP2015185295A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50137840A (ko)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336746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EP4050722A1 (en) Battery pack having connection plates,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CN113767513B (zh) 包括连接板的电池组、电子装置以及车辆
US20230352763A1 (en) Air cooling type battery module having separate cooling structure for battery cell
EP3951804B1 (en) Ffc cab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