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472B1 -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 Google Patents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3472B1 KR101233472B1 KR1020107023471A KR20107023471A KR101233472B1 KR 101233472 B1 KR101233472 B1 KR 101233472B1 KR 1020107023471 A KR1020107023471 A KR 1020107023471A KR 20107023471 A KR20107023471 A KR 20107023471A KR 101233472 B1 KR101233472 B1 KR 101233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wing
- notch
- pressure surface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12 per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크로스 플로우 팬은, 판형상의 날개(42)에 의해 구성된 날개차를 구비하고 있다. 날개(42)는, 이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가 내측 가장자리(42d) 보다도 날개차(41)의 회전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이 날개(42)의 양측면 중 날개(42)의 회전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측면은, 압력면(42p)을 구성하고, 이 회전방향의 뒤쪽에 위치하는 측면은, 부압면을 구성하고 있다.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에, 복수의 절결(42b)이 날개차의 회전축선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2개의 절결(42b)의 사이에 기본형상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42b)의 저부(42y) 근방의 날개 두께 L2가, 이 절결(42b)에 인접하는 기본형상부(42c)의 날개 두께보다도 작다.The cross flow fan is provided with the vane comprised by the plate-shaped vanes 42. As shown in FIG. The blade | wing 42 is inclined so that the outer edge 42a of this blade | wing 42 may be located ahead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lade wheel 41 rather than the inner edge 42d. The side surface located in front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lade | wing 42 among the both side surfaces of this blade | wing 42 comprises the pressure surface 42p, and the side surface located in the back of this rotational direction comprises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At the outer edge 42a of the blade 42, a plurality of cutouts 42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vane, and a basic portion 42c is provided between two adjacent cutouts 42b. Formed. The blade thickness L2 near the bottom part 42y of the notch 42b is smaller than the blade thickness of the basic shape part 42c adjacent to this notch 42b.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크로스 플로우 팬 및 이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flow fan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이용되는 송풍기로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이 알려져 있다. 도 22는, 크로스 플로우 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104)은, 횡류 송풍기(관류 송풍기)로서, 다수의 날개(날개)(142)에 의해 구성된 날개차(14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날개(142)는, 그 외측 가장자리가 내측 가장자리 보다도 날개차(141)의 회전 방향 Z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이른바 전진날개이다. 날개차(141)가 진동 모터에 의해 회전 방향 Z1으로 회전됨으로써, 공기 조화기 내의 실내 유닛(1)에 있어서 냉각 혹은 가열된 공기류 X(즉, 조화 공기류)가 날개차(141)의 회전축선 Z에 수직인 면에 있어서, 횡단하도록 날개차(141)를 빠져 나가, 실내로 내뿜어진다. As a blower used for the indoor unit of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 cross flow fan is known. 22 shows an example of a crossflow fan. As shown in FIG. 22, the
이러한 크로스 플로우 팬의 날개차에 있어서, 공기가 날개차를 형성하는 날개를 통과할 때에 소음이 발생한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날개의 연부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복수의 절결이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23 및 도 24는, 이러한 크로스 플로우 팬에 있어서의 날개차의 날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날개(242)의 외측 가장자리(242a)에는, 복수의 절결(242b)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절결(242b)의 사이에는, 기본 형상부(24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절결(242b)의 저부(242y)는, 날개(242)의 양측면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결(242b)의 저부(242y) 근방의 날개 두께 L6이, 기본 형상부(242c)의 날개 두께 L5와 같다. 이상과 같이, 날개(242)에 복수의 절결(242b)이 형성됨으로써, 크로스 플로우 팬(204)의 취출(吹出) 영역(M)에서 발생하는 후류와(도시하지 않음)가 저감되고, 즉, 날개(242)에 대해 간단한 형상의 변경을 행함으로써 크로스 플로우 팬(204)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In the vanes of such a cross flow fan, noise is generated when air passes through the vanes forming the vane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is nois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 cross flow fan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edge of the blade has been proposed (see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날개의 가장자리부에 절결이 형성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날개차(241)의 회전에 대한 공기 저항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242)의 외측 가장자리(242a)에 절결(242b)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날개차(241)가 회전하면, 날개(242)의 양측면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242b)의 저부(242y)에 공기류 X가 충돌한다. 이 때문에, 외측 가장자리(242a)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교해서, 크로스 플로우 팬(204)의 흡입 영역(N)에 있어서, 공기류 X의 충돌에 의해 날개차(241)의 회전에 대한 공기 저항이 커진다. 그 결과, 크로스 플로우 팬(204)에 의한 송풍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 크로스 플로우 팬(20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증대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As described in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크로스 플로우 팬 및 이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n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crossflow fan which can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crossflow fan, and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i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하면, 날개차의 회전축선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판형상의 날개에 의해 구성된 날개차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는 그 외측 가장자리가 내측 가장자리 보다도 상기 날개차의 회전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날개의 양측면 중 상기 날개차의 회전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측면은 압력면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 방향의 뒤쪽에 위치하는 측면은 부압면을 구성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 및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복수의 절결이 상기 날개차의 회전축선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절결의 사이에 기본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이 절결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도 작은 크로스 플로우 팬이 제공된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probl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position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vanes and a plurality of plate-shaped wing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late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axis And a vane configured by the vanes, wherein the vanes are inclined such that their outer edges ar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vane's rotational direction rather than the inner edges, and the side surfaces located in front of the vanes' rotational direction am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vane In the cross flow fan which comprises a pressure surface and the side located in the back of the said rotation direction comprises a negative pressure surface, in the at least one of the inner side edge and the outer edge of the said blade, the several not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said blade wheel. In addition to being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basic shape between the two adjacent cutouts, Group cutouts wing thickness of the bottom vicinity of the wing section than the thickness of said basic shape is also provided with a small cross-flow fan adjacent gyeole.
이 구성에 의하면,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 및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복수의 절결이 상기 날개차의 회전축선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절결의 사이에 기본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 작기 때문에, 공기류가 절입부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소정간격」은, 일정한 간격이어도 되고, 혹은, 날개의 긴 방향의 위치에 의해 간격을 바꾼 것이어도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cutou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t least one of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the van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vane, and a basic shape portion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cutouts. Therefore, the noise can be effectively reduc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since the wing thickness near the bottom of a notch is smaller than the wing thickness of a base-shaped part, the collision loss at the time of inflow of airflow into a cutout part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increase of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crossflow fan can be suppressed. In the above,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a constant interval, or the interval may be changed by the position of the bla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면 및 상기 부압면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날개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상기 절결에 대응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이 절결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 작아지고, 상기 날개에 있어서 상기 홈에 대응하는 부분의 날개 두께는, 상기 절결의 저부로부터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blade, and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blade are formed on either one of the pressure surface and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cutout, respectively. The wing thickness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notch is smaller than the wing thickness of the basic shape portion adjacent to the notch, and the wing thickness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n the wing is the inner edge of the wing from the bottom of the notch. It is preferable to gradually increase as it faces.
이 구성에 의하면, 날개에 있어서 홈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의 저부로부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그 날개 두께가 날개 두께부터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개의 압력면 또는 부압면에 있어서 홈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절결의 저부는, 홈의 표면에 의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 플로우 팬의 흡입측에 있어서 날개차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날개의 외주측으로부터 절결에 유입하는 공기류가 압력면 또는 부압면을 따라 날개차 내에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날개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류가 절결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에 절결이 형성되는 것에 기인해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art corresponding to a groove | channel in a blade | wing is formed so that the blade thickness may become large gradually from blade | wing thickness as it goes to the inner edge of a blade | wing from the bottom of a notch. Therefore, the part located inward of the groove and the bottom of the notch in the pressure surface or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are smoothly connected by the surface of the groove. Accordingly,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notc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lade on the suction side of the cross flow fan can smoothly flow into the vane along the pressure or negative pressure surface. Therefore, the collision loss at the time of inflow of airflow from the outside of a blade | wing can be reduced. As a result, an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that drives the cross flow fa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due to the formation of cutouts in the blades.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면 및 상기 부압면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날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상기 절결에 대응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이 절결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 작아지고, 상기 날개에 있어서 상기 홈에 대응하는 부분의 날개 두께는, 상기 절결의 저부로부터 상기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notch is formed in the inner edge of the said wing, and the some groove | channel which extends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said wing in either one of the said pressure surface and the said negative pressure surface respectively responds to the said notch, respectively. By being formed, the wing thickness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part of the said notch becomes smaller than the wing thickness of the said basic-shape part adjacent to this notch, and the wing thickness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aid groove | channel in the said wing | blade is made from the bottom of the said notch of the said wing | blad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that gradually grows toward the outer edge.
이 구성에 의하면, 날개에 있어서 홈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의 저부로부터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그 날개 두께가 날개 두께부터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개의 압력면 또는 부압면에 있어서 홈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절결의 저부는, 홈의 표면에 의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날개의 내측으로부터 절결에 유입하는 공기류가 압력면 또는 부압면을 따라 날개차 내부터 원활하게 유출할 수 있다. 따라서, 날개의 내측으로부터 공기류가 절결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에 절결이 형성되는 것에 기인해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 및 내측 가장자리의 쌍방에 있어서, 절결 및 절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경우에는,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 및 내측 가장자리의 한쪽에만 절결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서, 소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하면서 충돌 손실을 저감 시킬 수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또한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art corresponding to a groove | channel in a blade | wing is formed so that the blade thickness may gradually become large from blade | wing thickness as it goes to the outer edge of a blade | wing from the bottom of a notch. Therefore, the part located outside the groove and the bottom of the notch in the pressure surface or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are smoothly connected by the surface of the groove. Therefore, the air flow which flows into the notch from the inside of a blade | wing can flow out smoothly from the inside of vane along a pressure surface or a negative pressure surface. Therefore, the collision loss at the time of inflow of airflow from the inside of a blade | wing can be reduced. As a result, an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that drives the cross flow fa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due to the formation of cutouts in the blades. In addition, when grooves corresponding to cutouts and cutouts are formed at both the outer edge and the inner edge of the blade, the noise is more effectivel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utout is provided only at one of the outer edge and the inner edge of the blade. The collision loss can be reduced while reducing, and the increase of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crossflow fan can also be suppress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날개의 부압면 및 압력면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이고, 상기 홈은,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고, 상기 홈으로부터 이 홈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를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notch is V-shaped from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and the pressure surface of the said blade | wing, and the said groove gradually becomes shallow as it goes to both sides from the center part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thickness is continuously formed as the main shape portion adjacent to the groove is changed.
이 구성에 의하면, 절결은 날개의 부압면 및 압력면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이기 때문에, 그 절결이 구형(矩形)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교해서, 날개의 압력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절결에 대응하는 홈은,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고, 상기 홈으로부터 이 홈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를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개가 긴 방향에 있어서, 절결에 대응하는 홈과 이 홈에 인접하는 기본 형상부의 경계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홈과 기본 형상부의 경계부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서, 공기류를 어지럽히지 않게 할 수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notch is V-shaped from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and the pressure surface of a blade | wing,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notch is formed in a spherical form, the pressure area of a blade | wing can be ensured. Moreover, the groove | channel corresponding to a notch becomes shallow gradually gradually toward the both sides from the center 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ormed so that the blade thickness may change continuously as it goes to the said basic shape part adjacent to this groove | channel from the said groove | channel. .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step is not formed in the boundary part of the groove | channel corresponding to a notch and the basic shape part adjacent to this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lade | wing, and a step is formed in the boundary part of a groove | channel and the basic shape part, The airflow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and the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that drives the crossflow fan can be further suppress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은 기본 형상인 상태이고, 상기 홈은, 상기 부압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pressure surface is a state of basic shape, and the said groove | channel is formed in the said negative pressure surface.
이 구성에 의하면, 압력면이 기본 형상인 상태이고, 절결에 대응하는 홈이 부압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면에 절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서, 공기류에게 주는 압력을 크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pressure surface is a basic shape and the groove | channel corresponding to a notch is formed i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groove | channel corresponding to a notch is formed in a pressure surface, the pressure given to airflow Can be increas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부압면에는, 이 부압면의 근방에 형성된 기류의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킴으로써 상기 날개에 유입하는 상기 기류가 이 날개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turbulent boundary layer for suppressing the separation of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blade from the blade by transitioning the boundary layer of the air flow formed near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from laminar flow to turbulent flow o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It is preferable that a control structure is formed.
이 구성에 의하면, 날개의 부압면에는, 기류의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킴으로써 날개에 유입하는 기류가 이 날개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예를 들면, 딤플, 홈, 조면 등)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의 부압면에 있어서의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계층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의 감속이 경감되어, 날개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날개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날개의 가장자리부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이차원성이 무너진 흐름(즉, 삼차원성이 있는 흐름)의 기체가 날개에 유입하기 때문에,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딤플이나 불규칙한 조면 등의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설치됨으로써, 날개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교해서,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for example, dimples, grooves, and rough surfaces) is provided o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to prevent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blad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lade by changing the boundary layer of the air flow from the laminar flow to the turbulent flow. Etc.), the boundary layer o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can be transferred from laminar flow to turbulent flow. Therefore, the deceleration of the flow of air in the boundary layer is reduced, and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blade can be prevented from peeling from the blade. In particular, when cutouts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blades, the gas of the two-dimensional flows (that is, the flows with the three-dimensionality) flows into the blades, so that turbulences such as dimples and irregular roughness whose cross-sectional shape changes. By providing a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peeling of the flow of the air which flows into a blade | wing can be suppressed effectively. As a result, the pressure resistance which acts on a blade | wing can be made small, and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crossflow fan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not provid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는, 상기 절결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기본 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urbulence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said basic shape part formed between the said notches.
이 구성에 의하면,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는 절결의 사이에 형성된 기본 형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절결에 대응하는 홈에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로서 딤플이나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원하는 깊이를 가지는 딤플이나 홈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홈에 비교해서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가 크기 때문에,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로서의 딤플이나 홈의 깊이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turbulence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basic shape part formed between notches,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dimples or grooves are formed as a turbulence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n the groove | channel corresponding to a notch, It is easy to form dimples or grooves having a desired depth. That is, since the wing | blade thickness of a basic shape part is large compared with a groove | channel, the depth of the dimple and groove | channel as a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can be easily ensur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는 딤플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urbulence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a dimple.
이 구성에 의하면,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키는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는 딤플이기 때문에,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홈인 경우에 비해서, 날개에 유입하는 기체의 박리 억제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즉,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딤플이면,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킴과 더불어, 딤플 내에 이차적인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경계층 저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날개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날개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for transitioning the boundary layer from laminar flow to turbulent flow is a dimple,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suppresses the peeling of the gas flowing into the blad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groove is formed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flows. The effect can be made high. That is, if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a dimple, the shear layer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boundary layer can be reduced by transitioning the boundary layer from laminar flow to turbulent flow and generating a secondary flow in the dimple. Therefore, the flow of the air which flows into a blade | wing can be suppressed more from peeling from a blade | wing.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딤플은, 상기 날개의 부압면에 있어서 이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상기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dimple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direction through which a gas flows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edge of this wing | blade i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said wing, The depth of the said some dimples is the outer edge of the said wing | blade. It is preferred to become shallow as it faces from the inner edge.
이 구성에 의하면,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그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딤플 중,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은, 외측 가장자리의 근처에 형성된 딤플에 비해, 작은 깊이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딤플의 깊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경계층의 발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작은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 내에 있어서의 이차적인 공기의 흐름에 의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같은 경우에 비교해,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 중, 일부만이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그들 딤플의 모두가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depth of the some dimpl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edge of a blade | wing becomes shallow as it goes to the inner edge, dimples formed apart from the outer edge of a blade | wing of a plurality of dimples are near the outer edge. Compared to the dimples formed in the, it has a small depth. By varying the depths of the plurality of dimple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oss due to the flow of secondary air in the dimples formed away from the outer edges, wher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evelopment of the boundary layer is small.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veral dimples have the same depth,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crossflow fan can be reduced. In ad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dimple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edge,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a part thereof becomes shallow as it faces the inner edge from the outer edge may be adopted, and the constitution in which all of these dimples become shallow as the inner edge is directed from the outer edge thereof. You may employ | adopt.
또, 상기 딤플은, 상기 날개의 부압면에 있어서 이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Moreover, the said dimple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direction which a gas flows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edge of this wing | blade i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said wing, The depth of the said some dimples faces an outer edge from the inner edge of the said wing | blad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that becomes shallower.
이 구성에 의하면,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그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딤플 중,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은, 내측 가장자리의 근처에 형성된 딤플에 비해, 작은 깊이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딤플의 깊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경계층의 발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작은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 내에 있어서의 이차적인 공기의 흐름에 의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같은 경우에 비교해,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설치된 복수의 딤플 중, 일부만이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그들 딤플의 모두가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depth of the some dimpl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edge of a blade | wing becomes shallow as it goes to the outer edge, the dimple formed apart from the inner edge of a blade | wing of the plurality of dimples is near the inner edge. Compared to the dimples formed in the, it has a small depth. By varying the depths of the plurality of dimple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oss due to the flow of secondary air in the dimples formed away from the inner edge wher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evelopment of the boundary layer is small.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veral dimples have the same depth,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crossflow fan can be reduced. Moreover, the structure which becomes shallow as a part only moves toward an outer edge from an inner edge among the some dimple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n inner edge may be employ | adopted, and the structure which becomes shallow as all of these dimples toward an outer edge from an inner edge You may employ | adopt.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의 구성을 가지는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가 제공된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crossflow fan which has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 및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복수의 절결이 상기 날개차의 회전축선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절결의 사이에 기본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 작기 때문에, 공기류가 절입부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utou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t least one of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the van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xis of rotation of the vanes, and a basic shape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cutouts. Therefore, the noise can be effectively reduc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since the wing thickness near the bottom of a notch is smaller than the wing thickness of a base-shaped part, the collision loss at the time of inflow of airflow into a cutout part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increase of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crossflow fan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a), (b)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성하는 날개차의 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절결이 형성된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a)는 도 4의 5a-5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 (b)는 도 4의 5b-5b를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6-6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절입부로의 공기류의 유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이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9 (a),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성하는 날개차의 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절결이 형성된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a)는 도 10의 11a-11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b)는 도 10의 11b-11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12-12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절입부로의 공기류의 유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a), (b)는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성하는 날개차의 날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절결이 형성된 날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16-16선을 따른 단면도.
도 17 (a),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성하는 날개차의 날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이 변형예에 따른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19-19선을 따른 단면도.
도 20은 이 변형예에 따른 날개의 부압면에 형성된 딤플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이 변형예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2는 종래의 크로스 플로우 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 (a), (b)는 종래의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성하는 날개차의 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종래의 절결이 형성된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 (a)는 도 24의 25a-25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5 (b)는 도 24의 25b-25b선을 따른 단면도.
도 26은 종래의 크로스 플로우 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chematic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crossflow fan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b)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blade | wing of the vane which comprises the crossflow fan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with a notch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5a-5a line | wire of FIG. 4, FIG. 5 (b)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5b-5b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flow of airflow into the cutout por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8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9 (a), (b)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blade | wing of the vane which comprises the crossflow fan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with a notch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1a-11a line of FIG. 10, and FIG. 11 (b)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1b-11b line of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12-12 line of FIG. 10;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flow of airflow into the cutout por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4 (a) and 14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vanes of the vanes that constitute the crossflow fan;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lade in which the notches are formed;
FIG. 16 i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line 16-16 of FIG. 15;
17A and 1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other modifications of the vanes of the vanes constituting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ng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FIG. 19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19-19 of FIG. 18;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dimples formed o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21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2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ross flow fan.
23 (a) and 23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nes of vanes constituting a conventional cross flow fan;
24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ng in which a conventional notch is formed.
(A)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25a-25a line of FIG. 24, and FIG. 25 (b)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25b-25b line of FIG.
Fig. 2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ross flow fan.
(제1의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Fig.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FIGS. 1-8.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벽걸이형의 실내 유닛(1)을 구비하고 있고, 이 실내 유닛(1)은, 본체 케이싱(2), 본체 케이싱(2)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3), 및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비하고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4)은, 판형상의 날개(날개)(42)를 가지는 날개차(41)를 구비하고 있고, 이 날개차(41)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공기를 그 흡입 영역(N)로부터 취출 영역(M)으로 압송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ir conditione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wall-mounted
본체 케이싱(2)의 상면 및 전면(도면에서는 왼쪽면)에는, 공기 흡입구(21)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 케이싱(2)의 하면에는, 공기 취출구(22)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취출구(22)에는, 이 공기 취출구(22)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직 날개(23) 및 수평 날개(24)가 설치되어 있다. The
본체 케이싱(2)의 내측에 있어서 크로스 플로우 팬(4)의 취출 영역(M)의 근방에는, 가이드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25)는, 크로스 플로우 팬(4)에 의해 내뿜어지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공기 취출구(22)에는, 역류 방지용 설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역류 방지용 설부(26)는, 취출 영역(M)과 흡입 영역(N)을 구분함으로써, 내뿜어지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한다. In the inner side of the
열교환기(3)는, 공기 흡입구(21)와 날개차(41)의 사이에 위치하고, 전면 열교환부(3a)와 배면 열교환부(3b)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 열교환부(3a)는, 본체 케이싱(2) 내에 있어서 그 전면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배면 열교환부(3b)는, 전면 열교환부(3a)의 상단에 연속해 설치되고, 본체 케이싱(2) 내에 있어서 그 배면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The
상술한 구성에 의해, 크로스 플로우 팬(4)의 날개차(41)가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면, 실내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21)로부터 본체 케이싱(2)의 내부에 흡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열교환기(3)을 통과함으로써 냉각 혹은 가열된 후에, 크로스 플로우 팬(4)을 빠져 나가 공기 취출구(22)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에 의해, 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송풍된다.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4)의 날개차(41)는, 다수의 판형상의 날개(42)와, 이러한 날개(42)를 지지해, 날개차(41)의 회전축선 A1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원형상의 지지판(43)과, 전동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축선 A1을 따라 연장되는 입력축(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판(43)은, 날개차(41)의 회전축선 A1, 즉 날개(42)의 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날개(42)는, 지지판(43)의 외주연부(43a)에 고정되어, 회전축선 A1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지지판(4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이하,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해서 날개(42)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는, 이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가 내측 가장자리(42d) 보다도 날개차(41)의 회전 방향 Z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익각을 가지고 경사지고 있고, 이른바 전진날개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양측면 중, 회전 방향 Z1의 앞쪽에 위치하는 측면은, 압력면(42p)을 구성하고, 회전 방향 Z1의 뒤쪽에 위치하는 측면은, 부압면(42q)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날개(42)는, 이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가 내측 가장자리(42d)보다도 날개차(41)의 회전 방향 Z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lade |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에는, 복수의 절결(42b)이 날개차(41)의 회전축선 A1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42b)은, 날개(42)의 부압면(42q) 및 압력면(42p)으로부터 보아 V자 모양을 이루듯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절결(42b)의 사이에는, 날개(42)의 만곡한 기본 형상을 가지는 기본 형상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인접하는 2개의 절결(42b)의 간격은,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선 A1에 있어서의 날개(42)의 단부(6a)는, 지지판(43)의 근방이기 때문에, 회전축선 A1에 있어서의 날개(42)의 중앙부(6b)보다도, 그 단부(6a)를 흐르는 공기류 X의 유속이 늦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42)의 단부(6a)에 있어서의 절결(42b)의 간격은, 날개(42)의 중앙부(6b)에 있어서의 절결(42b)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날개(42)의 단부(6a)의 압력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pace | interval of two
절결(42b)은, 모두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회전축선 A1에 있어서의 위치에 의해 다른 크기로 계지(係止)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축선 A1에 있어서의 날개(42)의 단부(6a)의 절결(42b)은, 회전축선 A1에 있어서의 날개(42)의 중앙부(6b)의 절결(42b)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날개(42)의 단부(6a)의 압력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에 절결(42b)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절결(42b) 사이에 복수의 기본 형상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크로스 플로우 팬(4)의 취출 영역(M)에서 발생하는 후류와(도시하지 않음)를 저감 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4, the
절결(42b)이 날개(42)의 부압면(42q) 및 압력면(42p)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을 이루듯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절결(42b)이 구형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교해, 날개(42)의 압력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Since the
도 5 (a)는, 도 4의 5a-5a선을 따른 날개(42)의 단면도이며, 도 5 (b)는, 도 4의 5b-5b선을 따른 날개(42)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선을 따른 날개(42)의 단면도이다. 도 5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절결(42b)의 저부(42y)의 폭, 즉 저부(42y)근방의 날개 두께 L2는, 이 절결(42b)에 인접해 설치된 기본 형상부(42c)의 날개 두께 L1보다도, 작게(즉, 얇게) 형성되어 있다. (A) is sectional drawing of the blade |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면(42p)은 기본 형상인 상태로,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는, 이 날개(4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42t)이 절결(42b)에 대응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압면(42q)에 홈(42t)이 형성됨으로써, 날개(4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절결(42b)의 저부(42y)근방의 날개 두께 L2가, 이 절결(42b)에 인접하는 기본 형상부(42c)의 날개 두께 L1보다도 작아진다. 이에 의해, 날개(42)의 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날개 두께 L이 변화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to 6,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절결(42b)의 저부(42y)근방의 날개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류 X가 외측 가장자리(42a)에 설치된 절결(42b)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By this structure, the blade thickness of the vicinity of the bottom part 42y of the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42b)의 저부(42y)로부터 날개(42)의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그 날개 두께가 날개 두께 L부터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홈(42t)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절결(42b)의 저부(42y)는, 홈(42t)의 표면에 의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3 and 5,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42t)은, 날개(42)의 긴 방향, 즉 홈(42t)의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 L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날개(42)의 긴 방향, 즉 날개차(41)의 회전축선 A1에 있어서, 홈(42t)과 이 홈(42t)에 인접하는 기본 형상부(42c)의 경계부(42e)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홈(42t)으로부터 이 홈(42t)에 인접하는 기본 형상부(42c)로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 L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4)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1)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에 절결(42b)을 형성하고, 절결(42b)의 저부(42y)근방의 날개 두께 L2를 기본 형상부(42c)의 날개 두께 L1보다도 작게 형성하도록 했다. 그 때문에, 크로스 플로우 팬(42b)의 흡입 영역(N)에 있어서, 공기류 X가 날개차(41)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날개(42)의 외측으로부터 절결(42b)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종래의 전동 모터의 출력에 비교해서 저감할 수 있고, 절결이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팬(4)과 종래의 크로스 플로우 팬(204)에 대한 풍량-모터 출력 특성선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실선은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4)에 대한 풍량-모터 출력 특성을 나타내고, 일점쇄선은 종래의 크로스 플로우 팬(204)에 대한 풍량-모터 출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횡축은 풍량을 나타내고 있고, 횡축의 1 눈금이 0.5 m3/min이다. 도 8의 종축은 모터 입력을 나타내고 있고, 종축의 1 눈금이 5W이다. (1) The
(2)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42b)의 저부(42y)로부터 날개(42)의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그 날개 두께가 날개 두께 L부터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홈(42t)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절결(42b)의 저부(42y)는, 홈(42t)의 표면에 의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날개(42)의 외측으로부터 절결(42b)에 유입하는 공기류 X가 부압면(42q)을 따라 날개차(41) 내로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날개(42)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류 X가 절결(42b)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42)에 절결이 형성되는 것에 기인해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2) The portion of the
(3) 홈(42t)은, 날개(42)의 긴 방향, 즉 날개차(41)의 회전축선에 있어서의 이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 L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개(42)의 긴 방향에 있어서, 홈(42t)의 경계부(42e)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날개 두께 L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홈(42t)과 기본 형상부(42c)의 경계부(42e)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 날개(42)의 외측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류 X를 흩뜨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3) The
(4) 압력면(42p)이 기본 형상인 상태이고, 홈(42t)이 부압면(42q)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면(42p)에 절결(42b)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 공기류 X에게 주는 압력을 크게 할 수 있다. (4) When the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는, 상기 (1)∼(4)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1)∼(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the
(제2의 실시형태)(2nd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이나 크로스 플로우 팬의 구성 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whol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a crossflow fan, etc.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내측 가장자리(42d)에는, 복수의 절결(42b)이 날개차(41)의 회전축선 A1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42b)은, 날개(42)의 부압면(42q) 및 압력면(42p)으로부터 보아 V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절결(42b)의 사이에는, 날개(42)가 만곡한 기본 형상을 가지는 기본 형상부(42c)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 and 10, a plurality of
기본 형상부(42c)는, 절결이 형성되지 않고 , 절입되어 있지 않은 비절입부이다. 인접하는 2개의 절결(42b)의 간격은,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The
이상과 같이 하여,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내측 가장자리(42d)에 절결(42b)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절결(42b) 사이에 복수의 기본 형상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크로스 플로우 팬(4)의 흡입 영역(N)에서 발생하는 후류와(도시하지 않음)를 저감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13, the
절결(42b)이 날개(42)의 부압면(42q) 및 압력면(42p)으로부터 보아 V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절결(42b)이 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교해, 날개(42)의 압력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Since the
도 11 (a)는, 도 10의 11a-11a선을 따른 날개(42)의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의 11b-11b선을 따른 날개(42)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12-12선을 따른 날개(42)의 단면도이다. 도 11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절결(42b)의 저부(42z)의 날개 두께 L4는, 이 절결(42b)에 인접하여 형성된 기본 형상부(42c)의 날개 두께 L3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FIG. 11: (a) is sectional drawing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면(42p)은 기본 형상인 상태이고,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는, 이 날개(4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42t)이 절결(42b)에 대응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압면(42q)에 홈(42t)이 형성됨으로써, 날개(4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절결(42b)의 저부(42z)의 날개 두께 L4가, 이 절결(42b)에 인접하는 기본 형상부(42c)의 날개 두께 L3보다 작아진다. 이에 의해, 날개(42)의 긴 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날개 두께 L이 변화하고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9-12,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절결(42b)의 저부(42z)의 날개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류 X가 내측 가장자리(42d)에 형성된 절결(42b)으로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By this structure, the blade thickness of the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42b)의 저부(42z)로부터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를 향함에 따라, 그 날개 두께가 날개 두께 L4부터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홈(42t)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절결(42b)의 저부(42z)는, 홈(42t)의 표면에 의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9 and 11,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42t)은, 날개(42)의 긴 방향, 즉 날개차(41)의 회전축선에 있어서의 이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 L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개(42)의 긴 방향에 있어서, 홈(42t)의 경계부(42e)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날개 두께 L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Also in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1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the groove |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4)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5) 절결(42b)의 저부(42y)의 날개 두께 L4를 기본 형상부(42c)의 날개 두께 L3보다 작게 형성하도록 했다. 그 때문에, 내주로부터 날개차(41)에 유출하는 공기류 X가 절결(42b)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종래의 전동 모터의 출력에 비교해, 저감할 수 있고, 절결이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5) The blade | wing thickness L4 of the bottom part 42y of the
(6)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42b)의 저부(42z)로부터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를 향함에 따라, 그 날개 두께가 날개 두께 L로부터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홈(42t)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절결(42b)의 저부(42z)는, 홈(42t)의 표면에 의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날개(42)의 내측으로부터 절결(42b)으로 유입하는 공기류 X가 부압면(42q)을 따라 날개차(41) 밖으로 순조롭게 유출할 수 있다. 따라서, 날개(42)의 내측으로부터 공기류 X가 절결(42b)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42)에 절결이 형성되는 것에 기인해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6) The portion of the
(7) 홈(42t)은, 날개(42)의 긴 방향, 즉 날개차(41)의 회전축선에 있어서의 이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 L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개(42)의 긴 방향에 있어서, 홈(42t)의 경계부(42e)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날개 두께 L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홈(42t)의 경계부(42e)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 날개(42)의 내측으로부터 유출하는 공기류 X를 흩뜨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7) The
(8) 압력면(42p)이 기본 형상인 상태이고, 부압면(42q)에 홈(42t)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면(42p)에 절결(42b)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 공기류 X에게 주는 압력을 크게 할 수 있다. (8) When the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는, 상기 (5)∼(8)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5)∼(8)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해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를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design changes based on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and does not exclude them from the scope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you may change the said embodiment as follows.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 및 내측 가장자리(42d) 중 어느 한쪽에, 절결(4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 및 내측 가장자리(42d)의 쌍방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절결(42b)이,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 및 내측 가장자리(42d)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크로스 플로우 팬(4)의 흡입 영역(N)에 있어서 날개(42)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류 X가 절결(42b)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 함과 더불어, 크로스 플로우 팬(4)의 취출 영역(M)에서 날개(42)의 내측으로부터 공기류 X가 절결(42b)에 유입할 때의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절결(42b)이 외측 가장자리(42a) 및 내측 가장자리(42d) 중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해, 소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하면서 충돌 손실을 저감할 수가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4)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In the said 1st and 2nd embodiment, the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력면(42p)이 기본 형상인 상태이고, 부압면(42q)에 있어서 절결(42b)에 대응하는 홈(42t)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압력면(42p)에 있어서 절결(42b)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날개 두께 L2(L4)가 날개 두께 L1(L3)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1)∼(3) 또는 (5)∼(7)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each said embodiment, the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절결(42b)은 V자 모양이며,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 L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가장자리(42a)에 있어서 날개(42)의 부압면(42q) 및 압력면(42p)로부터 보아 구형의 절결(42b)이 형성되고, 이 절결(42b)에 대응해 날개(4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홈(42t)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 15의 5a-5a선 및 5b-5b선을 따른 단면도는, 각각, 도 5 (a), 도 5 (b)와 같다. 도 16은, 도 15의 16-16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 경우,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홈(42t)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 L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42t)과 이 홈(42t)에 인접하는 기본 형상부(42c)의 경계부(42e)에 있어서, 단차(42f)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상기 (1) 및 (2), 또는 (5) 및 (6)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날개(42)의 내측 가장자리(42d)에 있어서 부압면(42q) 및 압력면(42p)으로부터 보아 구형의 절결(42b)이 형성되어도 된다.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42)에 있어서 홈(42t)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42b)의 저부(42y)로부터 날개(42)의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그 날개 두께가 날개 두께 L부터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절결(42b)의 저부(42y)근방의 날개 두께 L2 또는 L4가, 기본 형상부(42c)의 가장자리의 날개 두께 L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효과 (1) 또는 (5)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술과 같이, 날개(42)의 내측 및 외측의 양 가장자리부의 쌍방에 절결(42b)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날개(42)의 내측 및 외측의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부에, 절결(42b)이 형성되고, 절결(42b)의 저부 근방(42y)의 날개 두께가, 기본 형상부(42c)의 가장자리부의 날개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In each said embodimen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groove |
날개(42)에 유입하는 공기류의 경계층이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날개(42)의 측면에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는, 그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키는 구조(딤플, 홈, 조면 등)이다.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를 형성한 경우에는, 날개(42)에 작용하는 압력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교해,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가 절입되어 날개(42)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이차원성이 무너진 흐름(즉, 삼차원성이 있는 흐름)의 기체가 날개차(41)(환언하면, 날개(42))에 유입하기 때문에, 회전축선 A1 및 회전축선 A1에 직교하는 방향(즉,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딤플이나 불규칙한 조면 등의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날개(42)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order to suppress the boundary layer of the airflow which flows into the blade |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이 부압면(42q)의 근방에 형성된 공기류의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키는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로서 딤플(42h)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딤플(42h)은, 소정의 깊이를 가짐과 더불어 구면형상의 저면을 가지고 있다. 딤플(42h)은,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그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방에,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은, 회전축선 A1에 대략 수직인 방향이다. 딤플(42h)의 깊이를 확보한다 는 관점으로부터, 딤플(42h)은, 절결(42b) 사이에 형성된 기본 형상부(42c)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and FIG. 18,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which causes the boundary layer of the air flow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도 19는, 도 18의 19-19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딤플(42h)이 복수 형성된 경우,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42j)은, 이 딤플(42j)보다도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처에 형성된 딤플(42i)에 비교해, 작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42h)의 깊이가,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의 5b-5b선을 따른 단면도는, 도 5 (b)와 같다. 날개(42)에 있어서 딤플(42h)이 형성된 부분의 날개 두께 L은, 기본 형상부(42c)의 외측 가장자리(42a)의 날개 두께 L1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 여기서 말하는 「딤플의 깊이」는, 그 딤플의 최대의 깊이이다.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19-19 line in FIG. 18. As illustrated in FIG. 19, when a plurality of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선 A1(즉, 날개(42)의 긴 방향)에 늘어선 딤플(42h)이 3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중 2열의 딤플(42h)을 같은 깊이로 구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딤플(42h) 중,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세번째 열의 딤플(42j)의 깊이를, 이보다도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처에 형성된 2열의 딤플(42i, 42k)의 깊이보다도 작게 하고, 2열의 딤플(42i, 42k)이 같은 깊이가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즉,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42h) 중, 일부만이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이들 딤플(42h) 모두가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번째 열의 딤플(42i)과 세번째 열의 딤플(42j)의 사이에 설치된 2열째의 딤플(42k)을, 2열의 딤플(42i, 42j)에 비해 회전축선 A1에 있어서 반피치 어긋내 형성해도 된다. As shown in FIG. 18, when three rows of
이상과 같이 딤플(42h)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42)의 부압면(42q)의 근방에 있어서의 공기류의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계층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의 감속이 경감되고, 도 20의 공기류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차(41)(환언하면, 날개(42))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날개(42)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42)에 작용하는 압력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도 21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딤플(42h)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실선으로 나타낸다)에 비교해,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0에 있어서, 파선은 딤플(42h)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도 8과 동일한 풍량-모터 출력 특성선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이점쇄선은 딤플(42h)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우 팬(4)에 대한 풍량-모터 출력 특성을 나타내고, 실선은 제1 실시형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4)에 대한 풍량-모터 출력 특성을 나타내며, 일점쇄선은 종래의 크로스 플로우 팬(204)에 대한 풍량-모터 출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Since the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딤플(42h)인 경우는,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된 홈인 경우에 비해, 날개(42)에 유입하는 기체의 박리 억제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즉,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딤플(42h)이면,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킴과 더불어, 딤플(42h) 내에 이차적인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경계층 저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날개(42)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날개(42)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the
특히 본 발명의 날개(42)에는, 절결(42b)이 소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결(4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교해, 딤플(42h)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의 박리 저감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절결(4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날개의 가장자리부는 직선 형상이 되어 공기 흐름의 이차원성이 강하기 때문에, 절결(4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날개에 딤플(42h)을 형성한 경우에는, 충분한 박리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날개(42)의 가장자리부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날개차(41)에 유입하려고 하는 공기가 절결(42b)에 유입하기 쉬워져, 공기 흐름의 이차원성이 무너지기 쉽다. 따라서, 절결(4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날개에 딤플(42h)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차원성이 무너진 공기 흐름이 날개(42)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plurality of
딤플(42h)은 절결(42b) 사이에 형성된 기본 형상부(42c)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결(42b)에 대응하는 홈(42t)에 딤플(42h)을 형성한 경우에 비교해, 원하는 깊이를 가지는 딤플(42h)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홈(42t)에 비교해 기본 형상부(42c)의 날개 두께 L이 크기 때문에, 딤플(42h)의 깊이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Since the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42h)의 깊이가,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기 때문에, 날개(42)의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42j)은, 딤플(42j)보다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처에 형성된 딤플(42i)에 비교해, 작은 깊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딤플(42h)의 깊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경계층의 발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작은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42j) 내에 있어서, 이차적인 공기의 흐름에 의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딤플(42j)은,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처에 형성된 딤플(42i)에 비해, 경계층의 발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작기 때문에, 복수의 딤플(42h)에 의한 공기의 박리를 억제하는 효과는 유지된다. 따라서, 복수의 딤플(42h)의 깊이가 같은 경우에 비교해,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의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Since the depths of the plurality of
딤플(42h)은,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42h)의 깊이가,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금형을 이용해,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른 딤플(42h)(즉, 딤플 42i, 42j, 42k)를 복수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날개(42)는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금형을 이용해 복수의 날개(4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날개(42)를 형성한 후에 금형을 떼어낼 때에, 딤플(42h)을 형성하기 위해서 금형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날개(42)에 간섭함으로써, 날개(42)로부터 금형을 떼어내기 어려울 우려가 있다. 그래서,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42j)이,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처에 형성된 딤플(42i)에 비교해, 작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멀어진 딤플(42j)을 형성하기 위해서 금형에 설치된 돌기가, 금형을 떼어낼 때에 날개(42)에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날개(42)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 있고, 금형을 이용해, 날개(42)의 부압면(42q)에 있어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딤플(42h)을 복수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Since the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42)에 딤플(42h)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했는데,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날개(42) 중 어느 한쪽에 딤플(42h)을 형성해도 된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날개(42)의 부압면(42q)에, 내측 가장자리(42d)의 근방에 있어서,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로서의 딤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날개(42)의 내측 및 외측의 양 가장자리부인 쌍방의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딤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In the vicinity of the
또한, 내측 가장자리(42d)의 근방에 있어서, 날개(42)의 부압면(42q)에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딤플이 복수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내측 가장자리(42d)로부터 외측 가장자리(42a)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측 가장자리(42d)의 근방에 복수 형성된 딤플에 있어서, 내측 가장자리(42d)로부터 떨어져 형성된 딤플은,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처에 형성된 딤플에 비교해, 작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날개(42)의 내측 및 외측의 양 가장자리부인 쌍방의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딤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측 가장자리(42a)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의 깊이는, 외측 가장자리(42a)로부터 내측 가장자리(42d)를 향함에 따라 얕아져, 내측 가장자리(42d)의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의 깊이는, 내측 가장자리(42d)로부터 외측 가장자리(42a)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vicinity of the
Claims (11)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 및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 쪽에, 복수의 절결이 상기 날개차의 회전축선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절결의 사이에 기본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이 절결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And a v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positioned on a rotation axis of the vane and a plurality of plate-shaped vane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late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axis, wherein the vane has an outer edge thereof. The side surface which is inclined to b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vane from the inner edge, and the side surface which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vane am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vane constitutes the pressure surface, and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tational direction In the crossflow fan constituting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A plurality of cutou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vane at least on one of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of the wing, and a basic shape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cutouts. A cross flow fan, wherein a wing thickness near the bottom is smaller than a wing thickness of the basic shape portion adjacent to the cutout.
상기 절결은, 상기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면 및 상기 부압면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날개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상기 절결에 대응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이 절결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 작아지고,
상기 날개에 있어서 상기 홈에 대응하는 부분의 날개 두께는, 상기 절결의 저부로부터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tch is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blade, and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blade are formed on either of the pressure surface and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in correspondence to the notch, so that the bottom of the notch is formed. The wing thickness in the vicinity becomes smaller than the wing thickness of the said basic shape part adjacent to this notch,
Wing thickness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aid groove | channel in the said wing becomes large gradually as it goes to the inner edge of the said wing from the bottom of the said notch.
상기 절결은,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면 및 상기 부압면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날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상기 절결에 대응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결의 저부 근방의 날개 두께가 이 절결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의 날개 두께보다도도 작아지고,
상기 날개에 있어서 상기 홈에 대응하는 부분의 날개 두께는, 상기 절결의 저부로부터 상기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notch is formed at the inner edge of the blade, and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blade to the outside on one of the pressure surface and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are formed in correspondence to the notch, respectively, to thereby form the bottom of the notch. The wing thickness in the vicinity becomes smaller than the wing thickness of the said basic shape part adjacent to this notch,
The cross flow fan of the said blade corresponding to the said groove | channel becomes large gradually as it goes to the outer edge of the said blade from the bottom of the said notch.
상기 절결은, 상기 날개의 부압면 및 압력면에서 보아 V자 형상이며, 상기 홈은, 그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양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고, 상기 홈으로부터 이 홈에 인접하는 상기 기본 형상부를 향함에 따라 날개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notch is V-shaped in view of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and th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and the groove gradually becomes shallow as it goes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the basic shape adjacent to the groove from the groove. Cross flow fan,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thickness is continuously changed as it is directed to the portion.
상기 압력면은 기본 형상 그대로이고, 상기 홈은, 상기 부압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pressure surface is a basic shape as it is, and the said groove | channel is formed in the said negative pressure surface, The cross flow fan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상기 날개의 부압면에는, 이 부압면의 근방에 형성된 기류의 경계층을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시킴으로써 상기 날개에 유입하는 상기 기류가 이 날개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blade is provided with a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for suppressing separation of the air flow entering the blade from the blade by transitioning the boundary layer of the air flow formed near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from laminar flow to turbulent flow. Featured Cross Flow Fan.
상기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는, 상기 절결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기본 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of claim 6,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basic shape portion formed between the cutouts.
상기 난류 경계층 제어 구조는 딤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control structure is a dimple.
상기 딤플은, 상기 날개의 부압면에 있어서 이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상기 날개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aid dimple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direction through which a gas flows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edge of this blade i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said blade,
The depth of the said plurality of dimples becomes shallow as it goes toward the inner edge from the outer edge of the blade.
상기 딤플은, 상기 날개의 부압면에 있어서 이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딤플의 깊이가, 상기 날개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aid dimple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direction through which a gas flows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edge of this blade in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of the said blade,
The depth of the said plurality of dimples becomes shallow as it goes toward the outer edge from the inner edge of the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23448 | 2008-05-09 | ||
JP2008123448 | 2008-05-09 | ||
JP2009056969A JP4433093B2 (en) | 2008-05-09 | 2009-03-10 | Cross 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JPJP-P-2009-056969 | 2009-03-10 | ||
PCT/JP2009/058447 WO2009136584A1 (en) | 2008-05-09 | 2009-04-30 |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4054A KR20100134054A (en) | 2010-12-22 |
KR101233472B1 true KR101233472B1 (en) | 2013-02-14 |
Family
ID=4126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3471A Active KR101233472B1 (en) | 2008-05-09 | 2009-04-30 |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8596958B2 (en) |
EP (1) | EP2280175B1 (en) |
JP (1) | JP4433093B2 (en) |
KR (1) | KR101233472B1 (en) |
CN (1) | CN101999043B (en) |
AU (1) | AU2009245175B2 (en) |
ES (1) | ES2668682T3 (en) |
WO (1) | WO200913658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71171B2 (en) * | 2008-05-09 | 2009-11-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Cross 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KR101649379B1 (en) * | 2010-01-13 | 2016-08-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therewith |
ES2690196T3 (en) * | 2010-03-18 | 2018-11-1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Tangential flow fan and air conditioner |
JP4993792B2 (en) | 2010-06-28 | 2012-08-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Fan, molding die and fluid feeder |
US20120100001A1 (en) * | 2010-10-20 | 2012-04-26 | Zaward Corporation | Fan structure |
US9453512B2 (en) | 2011-03-11 | 2016-09-2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Cross flow fan, air-send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
CN102116314B (en) * | 2011-04-05 | 2012-11-07 | 湖南科力尔电机有限公司 | Cross-flow fan with composite profiled blade impeller |
CN103089661B (en) * | 2011-11-04 | 2015-04-01 | 上海交通大学 | Cross flow fan |
US8840451B2 (en) * | 2012-01-24 | 2014-09-23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Cabin pressure outflow valve with simplified whistle eliminator |
WO2013150569A1 (en) * | 2012-04-06 | 2013-10-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
EP2894345A4 (en) * | 2012-09-04 | 2015-08-12 | Daikin Ind Ltd | TRANSVERSAL FLOW FAN |
JP5590088B2 (en) * | 2012-09-28 | 2014-09-1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Cross flow fan |
JP5747888B2 (en) * | 2012-09-28 | 2015-07-1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Blower |
US10138221B2 (en) | 2014-08-11 | 2018-11-27 |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 Salts of nilotinib and polymorphs thereof |
CN105240937A (en) * | 2015-10-12 | 2016-01-1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JP6840172B2 (en) | 2017-01-24 | 2021-03-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Fluid equipment |
CN107050542B (en) * | 2017-04-28 | 2023-07-04 | 浙江理工大学 | A miniature centrifugal blood pump for preventing blood cell damage and its circulating blood supply method |
JP2019044629A (en) * | 2017-08-30 | 2019-03-22 | 株式会社ケーヒン | Centrifugal blower |
CN108317092B (en) * | 2018-02-02 | 2024-07-23 | 天津快透平科技发展有限公司 | Impeller and centrifugal compressor comprising same |
CN109645848B (en) * | 2019-02-28 | 2021-01-26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Electric cooking appliance |
JP7608825B2 (en) | 2020-12-24 | 2025-01-07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Multi-blade fan and indoor unit |
CN119914553A (en) * | 2025-04-01 | 2025-05-02 | 四川省机械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 Industrial pump impeller and its design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10094A (en) * | 1990-01-11 | 1991-09-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ross flow fan |
WO2007114090A1 (en) | 2006-03-31 | 2007-10-11 | Daikin Industries, Ltd. | Multi-blade fan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10093A (en) * | 1990-01-11 | 1991-09-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ross flow fan |
JPH10252689A (en) | 1997-03-17 | 1998-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Cross flow fan and cross-flow-fan-mounted air-conditioner |
JPH11141494A (en) * | 1997-11-10 | 1999-05-25 | Daikin Ind Ltd | Impeller structure of multi-blade blower |
KR20060005850A (en) * | 2004-07-14 | 2006-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Blowing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it |
JP4432865B2 (en) * | 2004-09-30 | 2010-03-1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Blower impell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CN101048620B (en) * | 2004-10-27 | 2010-06-16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Fan unit for air conditioner |
JP2007010259A (en) * | 2005-07-01 | 2007-01-18 | Hitachi Appliances Inc | Air conditioner |
JP3995010B2 (en) * | 2005-09-28 | 2007-10-2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Impeller of multiblade blow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4918650B2 (en) | 2006-06-23 | 2012-04-1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Multi-wing fan |
-
2009
- 2009-03-10 JP JP2009056969A patent/JP443309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30 AU AU2009245175A patent/AU2009245175B2/en active Active
- 2009-04-30 CN CN2009801127276A patent/CN101999043B/en active Active
- 2009-04-30 WO PCT/JP2009/058447 patent/WO200913658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4-30 US US12/937,545 patent/US8596958B2/en active Active
- 2009-04-30 EP EP09742708.2A patent/EP2280175B1/en active Active
- 2009-04-30 ES ES09742708.2T patent/ES2668682T3/en active Active
- 2009-04-30 KR KR1020107023471A patent/KR1012334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10094A (en) * | 1990-01-11 | 1991-09-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ross flow fan |
WO2007114090A1 (en) | 2006-03-31 | 2007-10-11 | Daikin Industries, Ltd. | Multi-blade fa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280175A4 (en) | 2017-05-24 |
KR20100134054A (en) | 2010-12-22 |
CN101999043B (en) | 2013-05-22 |
WO2009136584A1 (en) | 2009-11-12 |
JP2009293616A (en) | 2009-12-17 |
AU2009245175A1 (en) | 2009-11-12 |
AU2009245175B2 (en) | 2011-12-22 |
EP2280175A1 (en) | 2011-02-02 |
CN101999043A (en) | 2011-03-30 |
ES2668682T3 (en) | 2018-05-21 |
US20110033307A1 (en) | 2011-02-10 |
JP4433093B2 (en) | 2010-03-17 |
US8596958B2 (en) | 2013-12-03 |
EP2280175B1 (en) | 2018-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3472B1 (en) |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 |
KR101313420B1 (en) |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me | |
JP4973249B2 (en) | Multi-wing fan | |
US8225623B2 (en) | Centrifugal fan, air conditioner | |
CN102326030B (en) | Air conditioner | |
EP2813777B1 (en) | Indoor unit | |
JP2008002378A (en) | Multi-wing fan | |
JP2010236437A (en) | Cross 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cross flow fan | |
JP2011122517A (en) | Multi-blade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JP6880321B2 (en) | Blower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
KR101233538B1 (en) |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 |
JP4957774B2 (en) | Cross 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
WO2020255717A1 (en) | Air conditioner | |
JP2007154685A (en) | Turbo fan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JP2014095496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4590923B2 (en) | Turbofan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JP2014084771A (en) | Transverse flow blower an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