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3275B1 -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275B1
KR101233275B1 KR1020100047359A KR20100047359A KR101233275B1 KR 101233275 B1 KR101233275 B1 KR 101233275B1 KR 1020100047359 A KR1020100047359 A KR 1020100047359A KR 20100047359 A KR20100047359 A KR 20100047359A KR 101233275 B1 KR101233275 B1 KR 10123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gent
parts
volume
oil
fungal 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873A (ko
Inventor
김경수
임종철
Original Assignee
(주)오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비티 filed Critical (주)오비티
Priority to KR102010004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27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2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채종유 100 부피부;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그리고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를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를 위한 방제제 원액 조성물과, 이를 부피비로 100배 내지 2,000배의 물에 희석시킨 방제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는, 흰가루병 등의 진균성 식물병에 대한 방제가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고, 저독성으로 인축 및 환경에 안전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흰가루병 등 농작물의 진균성 식물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기존 화학약제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친환경농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gi for crops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오일을 이용한 농작물 병해충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와 그 제조방법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농업은 농작물의 대량생산을 위해 화학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비료의 과다 사용은 토양 산성화, 염류집적 등의 문제를 가져오고, 농작물이 건실하게 자라지 못하고 각종 병해충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병해충의 방제를 위한 화학농약의 사용을 가져오게 된다. 화학농약은 작물 및 병해충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사용되는데, 현재 사용되는 화학농약은 수백 종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화학농약의 사용은 토양과 하천 등의 환경오염을 가져오고, 화학농약의 연속적인 다용으로 인한 병해충의 저항성 또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수확된 농산물에 농약이 잔류하는 문제도 있다.
화학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축에 독성이 없고 환경오염이 적은 식물병해충 방제제의 개발이 최대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친환경 방제제와 관련하여서는 미생물이나 천연물을 활용한 제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상용화된 제품들도 상당히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는 친환경 방제제들은 대부분 방제가가 너무 낮아 실제 농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인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오일(oil)은 가장 오래된 천연물 농약의 하나로 기록에 의하면 서기 1세기 경부터 사용되어 왔다고 한다 (Warren T. J. 1982).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오일은 주로 석유(petroleum)나 석탄(coal)에서 분리된 광유 (mineral oil)인데, 식물성 오일의 병해충 방제효과도 오래전부터 보고되었다 (Nenneberry T. J. 1990). 이 중에서도 식용 가능한 오일은 환경이나 인체에 해가 없으므로 이들을 이용한 곰팡이나 해충의 방제 가능성이 오래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대두유 등의 종자유는 북미에서 1959년부터 병해충 방제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1996년에는 미국 환경청(EPA)에 정식으로 생화학농약으로 등록되었다. 최근에는 님오일(Neemoil) 등이 각종 해충 방제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채종유(유채유, canola oil)의 경우도 흰가루병, 녹병, 잿빛곰팡이병 등을 효과적으로 방제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Ko 등, 2003; Grossman, J. 2003).
식물성 오일은 인축에 대한 독성이 없고 환경오염 문제가 없는 친환경 천연물 방제제라는 장점이 있으나, 실제 방제제로 사용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먼저, 방제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일을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그냥은 혼합이 안 되므로 계면활성제인 화학물질(Tween 등)이나 비누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화학물질이므로, 결국 오일이 갖는 친환경 소재로서의 장점이 상쇄되게 된다. 또,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적게 할 경우 물과 오일을 혼합한 희석액이 쉽게 오일과 물로 분리되어 사용할 수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민간에서는 계면활성제 대신 유화제로 난황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난황은 친환경적이기는 하지만 이를 사용하면 유통기한이 아주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일은 작물의 호흡과 대사를 방해하여 작물생육에 장애를 유발하기 쉬우므로, 아주 소량으로 사용하여야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도가 높아 분사가 어려워 실제 작물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식물성 오일 중에서도 채종유를 효과적인 농작물 병해충 방제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채종유를 이용하여, 식물 흰가루병 등 진균성 식물병 방제에 있어서 기존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오일 방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작물에 생육장애를 유발하는 등 종래 식물성 오일 방제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약해가 없는 식물성 오일 방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채종유 100 부피부;
(b)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c)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그리고
(d)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
를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를 위한 방제제 원액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액 조성물을 부피비로 100배 내지 2,000배의 물에 희석시킨, 식물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방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방제제가 식물 흰가루병 등 진균성 식물병 방제에 높은 방제효과가 있어 기존 화학농약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채종유 100 부피부;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및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를 혼합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원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상기 방제제 원액 조성물을 부피비로 100배 내지 2,000배의 물에 희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방제제를 5일 내지 14일 간격으로 농작물에 살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농작물은 화훼류; 약용작물; 과수류; 근채류; 과채류; 담배; 엽채류; 맥류; 및 조미채소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는, 하기 실시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흰가루병 등 진균성 식물병에 대한 방제가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고, 저독성으로 인축 및 환경에 안전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를 이용하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흰가루병 등의 진균성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어 친환경농법에 적용이 가능하고, 식물병 방제를 통해 작물의 수량과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방제제를 처리한 처리구의 사진이며, 도 1b는 무처리구의 사진이다.
채종유는 겨자과에 속하는 1~2년생 초본인 유채의 꽃씨로부터 압착ㅇ추출한 반건성유이며 "유채유" 또는 "카놀라유(canola oil)"라고도 부른다. 원래 유채씨는 북부유럽과 시베리아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었으며, 보통의 유채씨에는 독성물질인 에루스산(erucic acid)과 갑상선비대증을 일으키는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가 들어있다. 이러한 유채씨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78년 캐나다 정부에서 품종개량을 통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에루스산을 줄인 LEAR(low erucic acid rapeseed)라는 신품종을 개발하여 "카놀라(Canadian low erucic acid, low glucosinolat rapeseed, canola)"라는 명칭을 붙였으며, 여기서 추출한 기름을 '카놀라유'라고 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채종유"는 "카놀라유"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채종유는 탄소수가 22개이며 13번째 탄소와 14번째 탄소 사이에 이중결합이 1개 존재하는 단가불포화지방산이다. 이미(異未), 이취(異臭)가 없으며 담백한 풍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샐러드유로 많이 이용된다. 낮은 온도에서 잘 응결되지 않고, 빛에 영향을 잘 받지 않는 성질이 있으며, 산화안정성 및 가열안정성이 매우 우수한데, 이러한 채종유의 특성은 병해충 방제제로서의 사용에도 적합한 장점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방제제의 문제점이 주로 오일의 유화정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거의 가용화상태에 가까운 마이크로에멀젼 상태로 미세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채종유의 1/5 에서 많게는 1/2 정도의 고용량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로 식품첨가물로 허가된 천연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및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을 혼합 사용한다. 채종유 100 부피부에 대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및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로, 계면활성제 전체로는 18~51 부피부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식품첨가물로 허가된 천연 계면활성제를 상기와 같은 혼합 조성으로 사용함으로써 고용량 사용이 가능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화학물질인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이렇게 고용량으로 사용된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채종유를 아주 미세하게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채종유의 방제효과 자체를 높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흰가루병(powdery mildew)은 화훼류인 장미, 약용작물로는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황기; 작약, 과수류로는 감; 배; 사과; 포도, 근채류로는 당근; 우엉, 과채류로는 딸기; 오이; 참외; 멜론; 수박; 호박; 가지; 단호박, 전매작물로는 담배, 엽채류로는 취나물, 맥류로는 보리, 조미채소류로는 고추 등에서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흰가루병의 원인균으로는 Sphaerotheca fuliginea, Sphaerotheca pannosa, Sphaerotheca humuli, Sphaerotheca phaseoli, Sphaerotheca glycines, Leveillua taurica, Eryshipe cichoraeearum 등의 병원균이 알려져 있다. 흰가루병은 시설재배에서는 물론 노지에서도 많이 발생하며, 확산 속도가 빨라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식물병의 하나이다. 흰가루병은 특히 발병 적온 17-25℃, 습도 23-99%로 그 범위가 상당히 넓어 피해가 큰 식물병이다. 노지재배에서는 보통 5-6월과 9-11월에 발생하나, 시설재배에서는 여름철 고온기를 제외하고는 연중 발생된다. 흰가루병은 작물에 따라 증상은 다소 차이를 보이나 대부분 잎, 줄기, 열매에 흰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피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을 저해하여 병반 조직이 괴사하면서 감염조직이 급속히 기형화되고 결국 고사하게 된다. 따라서 잎에서의 흰가루병 확산은 잎에 형성된 병반과 낙엽에 의한 초세약화, 줄기의 생육저하나 열매의 수확 불가로 수확량의 큰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현재 흰가루병은 화학약제의 살포로 방제가 가능하나, 흰가루병의 병원균이 순활물기생성이고 내생균사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생균사에서 분생포자의 형태로 공기중에 비산 전파되므로, 주기적인 방제가 필요하고 방제에 실패할 경우 식물의 세력이 떨어지면서 과실이 불량해지고 수량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화학약제를 사용할 경우 잦은 살포로 인한 문제가 수반된다. 본 발명의 채종유를 이용한 방제제는 흰가루병 등 진균성 식물병의 방제에 종래의 화학약제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고, 잦은 살포에도 환경이나 인축에 위해를 가하지 않으며, 작물의 친환경재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원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및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를 혼합 교반하여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와,
(b) (a)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채종유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혼합 교반에는 바람직하게는 믹서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믹서기를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50~200 rpm 정도로 약 30분 내지 2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제제 원액 조성물에 물을 가해 부피비로 100배 내지 2,000배로 희석시키면, 본 발명의 방제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방제제는 거의 완전한 가용화 상태가 되고 이런 상태가 계속 지속되므로, 살포가 용이하다. 또한, 작물에 대해 생육 장애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식물 흰가루병 등의 진균성 식물병에 대해서는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채종유를 이용한 방제제가 진균성 식물병을 방제하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파악된다. 첫 번째는, 병원균 및 해충에 대한 직접적인 살균살충 작용으로, 병원균의 세포벽 및 원형질 파괴와, 해충의 호흡 및 지방대사 방해를 통해 직접적인 살균살충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작물표면에 물리적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병해충 침입을 억제하고 식물체 표면에서의 병원균의 발아를 억제하며, 해충기피 작용을 하는 등의 간접적인 살균살충 작용이다. 그리고 채종유의 이러한 작용을 함께 사용된 고용량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증강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방제제 원액 조성물은, 약해가 없는 매우 안전한 방제제로서 농작물의 종류에 제한 없이 식물 흰가루병 등 진균성 식물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훼류; 약용작물; 과수류; 근채류; 과채류; 담배; 엽채류; 맥류; 조미채소류 등에 흰가루병, 노균병 등 진균성 식물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 원액 조성물은 식물 흰가루병, 노균병 등에 특히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병해충의 방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를 이용하여 진균성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은 5일 내지 14일 간격으로 농작물에 살포한다. 이때 잎의 앞, 뒷면에 골고루 약액이 묻을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방 목적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방제제 원액 조성물을 부피비로 500배 내지 2,000배의 물에 희석시킨 후 10일 내지 14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치료 목적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부피비로 100배 내지 1,000배의 물에 희석시킨 후 5일 내지 10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는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가가 우수하며, 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고, 급성 경구, 급성 경피, 어독성 시험 결과 저독성으로 판정되어 환경에도 안전하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방제제 원액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천연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만들었다. 그런 다음, 만들어진 천연 계면활성제 조성물(300g)과 채종유(사조해표, 호주산) 1,0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였다. 혼합 교반에는 믹서기를 사용하였으며, 100 rpm 정도로 약 1시간 정도 잘 혼합하였다.
[표 1]
Figure 112010032452269-pat00001

실시예 2
방제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액 조성물을 약 1,000배의 물에 희석하여 원액 기준 약 0.1 중량%의 방제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3
방제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액 조성물을 약 500배의 물에 희석하여 원액 기준 약 0.2 중량%의 방제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4
방제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액 조성물을 약 400배의 물에 희석하여 원액 기준 약 0.25 중량%의 방제제를 만들었다.
실시예 5
방제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액 조성물을 약 200배의 물에 희석하여 원액 기준 약 0.5 중량%의 방제제를 만들었다.
시험예 1
발병 후 방제효과 시험
흰가루병이 발병된 오이(조은백다다기) 비닐하우스를 선정하고,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방제제를 살포하여 방제 여부를 확인하였다. 200배 희석액(실시예 5)과 400배 희석액(실시예 4) 및 무처리구로 하여 각각 3개의 시험구를 선정하여 3반복으로 처리하였으며, 각 시험구 당 면적은 20 ㎡로 하였다. 시험구마다 방제제를 10일 간격으로 총 3회 살포하였다. 살포는 잎의 앞, 뒷면에 골고루 약액이 묻을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살포하였다. 나머지 재배조건은 일반 오이농가의 관행재배에 따라 관리하였으며, 시험약제 이외에 타 살균제는 처리하지 않았다. 방제제 최종 처리 10일 후 발병도로 약효를 평가하였다. 발병에 걸린 엽수와 병반의 면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 및 도 1a, b와 같다. 도 1a는 처리구의 사진이며, 도 1b는 무처리구의 사진이다.
[표 1]
Figure 112010032452269-pat00002

시험예 2
약해시험
약해시험은 상기 시험예 1의 약효시험과 같은 조건으로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배량처리구에 대해 달관조사로 평가하였다. 약해시험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0032452269-pat00003

시험예 3
독성시험
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급성 경구, 급성 경피, 어독성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1) 급성경구독성시험
(ⅰ) 시험방법 및 재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원액 조성물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을 농약 등록시험 기준과 방법(농촌진흥청 고시 제2009-1호)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동물은 SPF 마우스(ICR계, (주)한림실험동물연구소) 8주령을 사용하였다. 실험개시시 체중은 수컷 24~27g, 암컷 21~25g이었다. 기초시험으로 투여약량을 5,000 ㎎/㎏로 설정하였으며, 암수 각각 5마리씩 10마리를 1군으로 하였다. 마우스용 경구투여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위내에 1회에 한하여 강제 투여하였다.
<관찰 및 검사항목>
- 일반중독증상 및 치사동물 : 투여 당일은 투여 후 10분, 30분, 1시간에서 4시간째까지 매시간 그리고 익일부터는 매일 1회씩 일반중독증상 및 치사된 동물수를 14일간 관찰, 조사하였다.
- 체중측정 : 공시된 모든 동물에 대하여 투여당일과 투여 후 체중을 측정하였고 생존한 동물에 대하여는 1, 3, 7일 및 14일째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였다.
- 부검 : 관찰기간 종료 후 CO2 가스로 마취시켜 내부장기의 육안적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ⅱ) 결과
기초시험결과 투여약량 5,000 ㎎/㎏에서 치사가 없었다. 급성경구독성의 LD50 값은 수컷과 암컷 모두 5,000 ㎎/㎏ 이상으로, 농약관리법에 의거한 독성구분에서 Ⅳ급(저독성)으로 분류되었다. 본 시험에서 경구투여 후 일반중독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변화는 약제투여 후 경과일수에 따라 암수 모두에서 1일째까지 감소를 보였으나 3일째부터는 회복되어 증가추세를 보였다. 공시 동물에 대해 투여 14일 후 부검한 결과 모든 장기에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2) 급성경피독성시험
(ⅰ) 시험방법 및 재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원액 조성물에 대한 급성경피독성을 농약 등록시험 기준과 방법(농촌진흥청 고시 제2009-1호)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동물은 SPF 렛트(S.D.계, (주)한림실험동물연구소) 8주령을 사용하였다. 시험개시 시 체중은 수컷 240~270g, 암컷 210~250g 이었다. 기초시험으로 투여약량을 4,000 ㎖/㎏로 설정하였으며, 암수 각각 5마리씩 10마리를 1군으로 하였다. 공시동물은 시험물질처리 전에 흉복배부에 제모기를 이용하여 5×6㎝ 이상 크기의 넓이로 제모하였다. 4×5㎝ 크기 면적의 거즈에 투여량의 시험물질을 균일하게 묻힌 후 제모된 부위에 의료용 반창고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시키고, 24시간 유지시킨 후 거즈를 제거하였다.
<관찰 및 검사항목>
- 일반중독증상 및 치사동물 : 처리 당일은 처리 후 10분, 30분, 1시간에서 4시간째까지 매시간 그리고 익일부터는 매일 1회씩 일반중독증상 및 치사된 동물수를 14일간 관찰, 조사하였다.
- 체중측정 : 공시된 모든 동물에 대하여 투여당일과 투여 후 체중을 측정하였고 생존한 동물에 대하여는 1, 3, 7일 및 14일째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였다.
- 부검 : 관찰기간 종료 후 CO2 가스로 마취시켜 주요장기에 대한 육안적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ⅱ) 결과
기초시험결과 수컷과 암컷 모두 처리약량 4,000 ㎖/㎏ 수준에서 치사가 없었다. 급성경피독성 LD50 값은 수컷과 암컷 모두 4,000 ㎖/㎏ 이상으로, 농약관리법에 의거한 독성구분에서 Ⅳ급(저독성)으로 분류되었다. 본 시험에서 약제처리 후 일반중독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약제처리 후 체중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암수 모두에서 1일째까지 감소를 보였으나 3일째부터는 회복되어 증가추세를 보였다. 공시동물에 대해 투여 14일 후 부검한 결과 모든 장기에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잉어에 대한 급성어독성시험
(ⅰ) 시험방법 및 재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원액 조성물에 대한 급성어독성을 농약 등록시험 기준과 방법(농촌진흥청 고시 제2009-1호)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동물은 잉어(Cyprinus Carpio,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를 사용하였다. 시험어류를 구입한 후 29주 동안 실험실내의 환경하에서 사육순화시켰다. 사육온도는 22~24℃, 조도 200~300Lux를 유지시켰으며, 사료는 잉어용 부산관상어사료(주)를 1일 2회 급여하였다. 시험약제는 시험농도 수준에 해당하는 약량을 평량하여 비이커를 이용, 공시용수를 첨가한 후 자석교반기로 현탁시켰다. 기초시험으로 시험농도 수준은 10 ㎎/ℓ로 하였다. 시험물질는 처리 24시간 전부터 시험종료시까지 사료급여를 중단시켰다. 시험어류는 10ℓ용 수조 2개에 각각 5마리씩 넣어 합계 10마리를 1군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시험용수 무처리를 음성 대조군으로 하고 PCP-Na염(90%)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ⅱ) 결과
잉어에 대한 96시간 급성어독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48시간 및 96시간 반수치사농도(LC50)는 10 ㎎/ℓ 이상이었다. 이상증상을 조사한 결과, 시험농도인 10 ㎎/ℓ에서는 중독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음성대조군에서도 특이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3]
Figure 112010032452269-pat00004

본 발명의 채종유를 이용한 식물 흰가루병 방제제 원액 조성물 및 이를 물에 희석시킨 방제제는 농작물의 흰가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기존 화학약제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친환경농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a) 채종유 100 부피부;
    (b)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c)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그리고
    (d)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
    를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를 위한 방제제 원액 조성물.
  2. 제1항의 방제제 원액 조성물을 부피비로 100배 내지 2,000배의 물에 희석시킨, 진균성 식물병 방제를 위한 방제제.
  3. 채종유 100 부피부;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및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를 혼합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원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a) 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 아민 6∼17 부피부; 에톡시레이티드 캐스틸오일 6∼17 부피부; 및 올레일알코올 6∼17 부피부를 혼합 교반하여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와,
    (b) (a)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채종유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의 방제제 원액 조성물을 부피비로 100배 내지 2,000배의 물에 희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의 제조방법.
  6. 제2항의 방제제를 5일 내지 14일 간격으로 농작물에 살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 방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제는 방제제 원액 조성물을 부피비로 500배 내지 2,000배의 물에 희석시킨 것이며, 농작물에 10일 내지 14일 간격으로 살포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의 예방을 위한 방제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제는 방제제 원액 조성물을 부피비로 100배 내지 1,000배의 물에 희석시킨 것이며, 농작물에 5일 내지 10일 간격으로 살포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병의 치료를 위한 방제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은 화훼류; 약용작물; 과수류; 근채류; 과채류; 담배; 엽채류; 맥류; 및 조미채소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제방법.
KR1020100047359A 2010-05-20 2010-05-20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59A KR101233275B1 (ko) 2010-05-20 2010-05-20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59A KR101233275B1 (ko) 2010-05-20 2010-05-20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873A KR20110127873A (ko) 2011-11-28
KR101233275B1 true KR101233275B1 (ko) 2013-02-25

Family

ID=4539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3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275B1 (ko) 2010-05-20 2010-05-20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2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6822A (en) * 1984-07-09 1987-09-29 Toyo Jozo Company, Ltd. Insecticidal compositions
EP0127323B1 (en) * 1983-04-30 1987-10-21 Fujitsu Limited A process for producing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island on an insulator
EP0133928B1 (de) * 1983-07-28 1987-11-04 Elring Dichtungswerke GmbH Radialwellendicht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7323B1 (en) * 1983-04-30 1987-10-21 Fujitsu Limited A process for producing a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island on an insulator
EP0133928B1 (de) * 1983-07-28 1987-11-04 Elring Dichtungswerke GmbH Radialwellendichtring
US4696822A (en) * 1984-07-09 1987-09-29 Toyo Jozo Company, Ltd. Insecticida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873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4885B (zh) 抗微生物纳米乳剂
BRPI0609613A2 (pt) formulações e métodos antifúngicos baseados em morinda critifolia
JP7008140B2 (ja) 殺ダニ剤及びその応用
CN107920513A (zh) 含有百里香酚或香芹酚、表面活性剂和溶剂的用于控制害虫或调节植物生长的水性组合物
CA3179988A1 (en) Method for preventive treatment of a crop plant to limit the loss of dry matter due to abiotic and/or biotic stress
CN104322572B (zh) 一种植物源杀虫剂
CN107306999A (zh) 一种基于申嗪霉素的杀菌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杀菌剂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JP5372066B2 (ja) 線虫防除剤
KR20110088823A (ko)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농작물 병해충 방제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101233275B1 (ko) 채종유를 이용한 진균성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N110651797A (zh) 一种植物提取物、复配植物源杀虫剂及制备方法、应用
CN113133453A (zh) 一种包含丙草胺、嘧草醚和苄嘧磺隆的除草组合物
CN105994258B (zh) 一种农用大蒜素乳剂的制备方法
CN109874784A (zh) 一种植物提取农药无残留杀虫剂的制备方法
CN103380786A (zh) 一种含环丙嘧磺隆的除草组合物
KR102627671B1 (ko) 황칠추출물(진세노사이드ro)을 포함하는 고농도 사포닌 비료의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비료 및 상기 비료를 이용하여 재배된 재배물
CN110124040B (zh) 一种防治水产动物寄生虫的复合型制剂
CN107668055A (zh) 一种含有阿维菌素、杀螟丹与吡唑醚菌酯的悬浮种衣剂
KR101827442B1 (ko) 알킬아민 및 지방산을 함유하는 선충류 방제용 조성물.
CN107549189A (zh) 一种含有阿维菌素、吡唑醚菌酯与异菌脲的悬浮种衣剂
KR20100120431A (ko) 식용유 유화액을 포함하는 점박이응애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Laznik et al. Testing the efficacy of different substances against Arion slugs (Arionid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CN101371663A (zh) 含烯啶虫胺与噻嗪酮的组合物及其抵制有害生物的方法
CN104222119A (zh) 一种橡胶促进剂tmtd和增效剂dmp复配的低毒高效鼠鸟忌食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