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3084B1 -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084B1
KR101233084B1 KR1020120102262A KR20120102262A KR101233084B1 KR 101233084 B1 KR101233084 B1 KR 101233084B1 KR 1020120102262 A KR1020120102262 A KR 1020120102262A KR 20120102262 A KR20120102262 A KR 20120102262A KR 101233084 B1 KR101233084 B1 KR 10123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rotating
cleaning
mop
s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콕스글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콕스글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콕스글로리
Priority to KR102012010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08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탈수 청소도구용 회전자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탈수 청소장치와 함께 회전자루를 동시에 회전시키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청소도구로 사용되는 걸레의 탈수 및 세척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저수조(110)를 갖고 일측에는 세척판(1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탈수바구니(130)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는 저수조(110) 하단부로 래칫부가 구비된 회동축이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구성된 청소함체(100)와;
상기 청소함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페달(210)의 누름으로 직선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는 렉크기어(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세척판(120)의 회동축과 연결된 탈수 피니언기어(231)와 상기 탈수바구니(130)의 회동축과 연결된 세척 피니언기어(232)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200)과;
하단부에 고정된 걸레(12)가 상기 청소함체(100)의 내부 세척판(120) 및 탈수바구니(130)의 어느 하나에 놓여져 이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의 회전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되며, 상단에는 회전 및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자루끼움부(13)가 형성된 걸레장착부(11)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자루끼움부(13)에 결합되는 하부는 하부커버(31b)가 결합되어 차폐하며, 상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커버(31a)가 결합되는 하부자루(30)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하부자루(30)를 내부에 끼워지게 상부에서 조립하며, 이 파이프 상단부에 조립되어 파이프 내부로 나선스크류(21)가 형성된 결합구(22)를 갖는 상부자루(20)와;
상기 하부자루(30)의 내부 상단에 밀착링(60)을 갖는 하우징(50)이 고정되며, 상부자루(20)의 내부에 구성된 나선스크류(21)가 끼워지는 나선끼움홀(72)을 형성한 회동부재(70)가 상기 하우징(50)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자루(20)의 승강, 하강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70)가 나선스크류(21)를 따라 회전하면서, 밀착링(60)으로 하우징(50)과 고정된 하부자루(30)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40)과;
상기 상부자루(20)의 외경 하부에 잠금몸체가 고정되며, 이 잠금몸체(25a)의 하단에 나사식으로 연결된 회전몸체는 하부자루(30)의 외경 상단에 위치되어 회전몸체(25b)를 회전시켜 내부 고정캠이 하부자루(30)의 외경에 물려지면서 하부자루(30)의 회전을 단속하거나 인출길이를 조정하는 잠금뭉치(25)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Description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Roller-type cleaning tool}
본 발명은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함체의 세척판 및 탈수주머니와 함께 회전자루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청소도구인 걸레의 탈수 및 세척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걸레란 바닥을 물청소하기 위한 밀대, 즉 자루가 달린 걸레로서 이 밀대의 하단에 대걸레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밀대 걸레를 물에 세척하는 과정은 개략적으로 물에 세척한 후 걸레를 바닥에 놓고 발로 밟거나 손으로 짜서 탈수를 하였으나 이는 불편하고 비위생적이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일반적인 밀대 걸레의 탈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물통 및 세척판, 탈수 바구니가 구비된 특허 등록번호 제10-1073803호, 청소용구 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탈수장치(1)는, 물통 바닥에 세척판(3)이 구비되고, 일측으로 탈수바구니(4)가 형성되어, 발판(2)을 눌러 상기 세척판(3)과 탈수바구니(4)가 회전되도록 한 것으로, 세척판(3)에서 세척된 걸레를 탈수바구니(4)에 수납하고 이 탈수바구니(4)를 회전시켜 탈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걸레를 고정하는 자루는 나사식으로 여러바퀴 회전시켜 그 길이를 조정해 고정되도록 하는 자루 잠금뭉치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자루를 조정해 바닥 청소를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밀대 걸레는 자루 하단에 걸레가 고정된 상태로 선행 출원된 탈수장치에 수납하고, 이 탈수장치의 탈수바구니와 세척판과 회전에 의해서만 탈수가 이루어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밀대 걸레를 탈수바구니에 담거나 세척판 상부에 놓은 상태로 고정하고 페달을 밟아 탈수바구니 및 세척판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탈수 또는 세척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탈수장치는 페달을 밟아 탈수바구니 및 세척판을 회전시켜야만 담겨진 밀대 걸레를 탈수 및 세척할 수 있어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73803호, 2011년 10월18일 공고 발명자: 김은정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청소함체에 설치된 페달을 밟아 세척판과 탈수주머니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밀대 걸레의 자루를 상부와 하부로 구성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상부 자루를 누르는 동작으로 하단의 걸레가 포함된 하부 자루가 회전되어 걸레의 탈수 및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자루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 하부 자루가 회전되고, 상부자루의 올리는 동작에는 하부 자루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청소함체에서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세척판과 탈수주머니와 함께 걸레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탈수 및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저수조(110)를 갖고 일측에는 세척판(1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탈수바구니(130)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는 저수조(110) 하단부로 래칫부가 구비된 회동축이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구성된 청소함체(100)와;
상기 청소함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페달(210)의 누름으로 직선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는 렉크기어(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세척판(120)의 회동축과 연결된 탈수 피니언기어(231)와 상기 탈수바구니(130)의 회동축과 연결된 세척 피니언기어(232)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200)과;
하단부에 고정된 걸레(12)가 상기 청소함체(100)의 내부 세척판(120) 및 탈수바구니(130)의 어느 하나에 놓여져 이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의 회전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되며, 상단에는 회전 및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자루끼움부(13)가 형성된 걸레장착부(11)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자루끼움부(13)에 결합되는 하부는 하부커버(31b)가 결합되어 차폐하며, 상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커버(31a)가 결합되는 하부자루(30)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하부자루(30)를 내부에 끼워지게 상부에서 조립하며, 이 파이프 상단부에 조립되어 파이프 내부로 나선스크류(21)가 형성된 결합구(22)를 갖는 상부자루(20)와;
상기 하부자루(30)의 내부 상단에 밀착링(60)을 갖는 하우징(50)이 고정되며, 상부자루(20)의 내부에 구성된 나선스크류(21)가 끼워지는 나선끼움홀(72)을 형성한 회동부재(70)가 상기 하우징(50)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자루(20)의 승강, 하강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70)가 나선스크류(21)를 따라 회전하면서, 밀착링(60)으로 하우징(50)과 고정된 하부자루(30)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40)과;
상기 상부자루(20)의 외경 하부에 잠금몸체가 고정되며, 이 잠금몸체(25a)의 하단에 나사식으로 연결된 회전몸체는 하부자루(30)의 외경 상단에 위치되어 회전몸체(25b)를 회전시켜 내부 고정캠이 하부자루(30)의 외경에 물려지면서 하부자루(30)의 회전을 단속하거나 인출길이를 조정하는 잠금뭉치(25)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함체의 세척판 및 탈수주머니와 동시에 상부자루를 눌러 걸레가 포함된 하부자루를 회전시켜, 걸레의 세척 및 탈수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걸레가 포함된 하부자루는 세척판과 탈수주머니와 함께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오작동에 따른 부품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회전 탈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인 청소함체의 전체 사시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도시한 사시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도시한 평면사진.
도 5는 본 발명인 청소도구인 회전걸레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회전걸레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구성의 회동부재와 나선스크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부자루가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상부자루가 하강하면서 하부자루를 회전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는 청소함체의 세척판 및 탈수주머니와 함께 회전자루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청소도구인 걸레의 탈수 및 세척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명된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청소함체(100)의 저수조(110)에 설치된 세척판(120) 및 탈수바구니(130)에 회전자루(10)의 하단에 결합된 걸레(12)가 놓여지도록 하며, 여기에서 회전자루(10)는 하부자루(30)와 상부자루(20)가 결합된 것으로, 이 결합부에 더 구비되는 잠금뭉치(25)로 상부자루(20)와 하부자루(30)의 길이 및 회전상태를 단속한다.
상기 청소함체(100)의 바닥면에는 도 3 내지 도 4에서의 동력전달수단(200)이 장착되는 것으로, 이 동력전달수단(200)의 구동으로 청소함체(100) 내부의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구성을 설명하면, 청소함체(100)의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는 저수조(110) 하단부로 래칫부(미 도시)가 구비된 회동축(미 도시)이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구성한다.
또, 동력전달수단(200)은, 상기 청소함체(100)의 바닥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페달(210)을 눌러 이 페달과 링크 연결된 렉크기어(220)의 직선왕복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세척판(120)의 회동축과 연결된 탈수 피니언기어(231)와 상기 탈수바구니(130)의 회동축과 연결된 세척 피니언기어(232)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탈수, 세척 피니언기어에는 회동축이 직접 고정되기도 하지만, 회전 속도증대를 위해 중간기어(미 도시)와 종속기어(미 도시)를 더 구비해 상기 종속기어에서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에 연결되는 회동축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200)에 사용되는 기어 결합은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함체(100)에 사용되는 회전자루(10)는 도 5에서와 같이 크게 걸레장착부(11), 하부자루(30), 상부자루(20), 회동수단(40), 잠금뭉치(25)로 구성된다.
상기 걸레장착부(11)는, 하단부에 고정된 걸레(12)가 상기 청소함체(100)의 내부 세척판(120) 및 탈수바구니(130)의 어느 하나에 놓여져 이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의 회전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되며, 상단에는 회전 및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자루끼움부(13)가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자루(20)의 외경 하부에는 잠금뭉치(25)가 더 구비되며, 이 잠금뭉치(25)는 상부자루(20)에 고정된 잠금몸체(25a)의 하단으로 나사식으로 연결된 회전몸체(25b)가 결합된 구성을 갖고, 하부자루(30)의 외경 상단에 위치된 회전몸체(25b)를 정회전하면, 내부 고정캠(미 도시)이 하부자루(30)의 외경에 물려지면서 하부자루(30)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뭉치(25)를 이용해 하부자루(30)의 이동을 단속해 인출 길이를 조정하거나, 청소 시 하부자루(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잠금뭉치(25)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회전자루(10)를 구성하는 하부자루(30)와 상부자루(20)의 내부구성을 도 6 및 도 9를 참고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자루(10)의 상부자루(20)와 하부자루(3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되어, 하부자루(30)가 상부자루(20)의 내부로 끼워지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상부자루(20)에는, 상단부로 연결자루 또는 손잡이를 더 결합해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방식의 결합구(22)가 형성되며, 이는 본 발명인 회전자루(10)만으로 사용자의 신체 및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작을 때 상기 연결자루를 더 결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연결방식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자루(20)의 내부에는 결합구(22) 하단으로 나선스크류(21)가 상부자루(20)의 길이만큼 하향되게 형성되며, 이 상부자루(20)의 내경으로 하부자루(30)가 삽입되게 끼워진다.
이때, 상기 나선스크류(21)는 하부자루(30) 상단에 고정된 회동수단(40)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어, 나선스크류(21)가 고정된 상부자루(20)의 하강 이동에 따라 회동수단(40)을 일방향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의 회동수단(4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하부자루(30)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에 몸체가 걸려지는 하우징(50)은,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51)을 갖고 양단부가 관통되게 구비되며, 하단 내측에 래칫부(5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 외경에는 끼움턱(53)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50)의 상단 외경에는 밀착링(60)이 끼움턱(53)에 걸려져 결합되며, 상기 밀착링(60)의 외경면이 하부자루(30)의 내경면에 밀착되면서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자루(30)의 상단을 단턱지게 형성하여, 하우징(50)이 끼움턱(53)에 걸려진 상태로 위치되고, 이 끼움턱(53) 상단부에 결합되는 밀착링(60)이 하부자루(30)와 밀착 고정되어 하우징(50)과 하부자루(30)가 일체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과 밀착링(60)의 상단부에는 하우징(50)의 수용공간(51)에 단턱진 하단부가 끼워지면서, 상단부가 밀착링(60)을 하우징(50)에 고정시키는 덮개(8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자루(30)의 상,하 양단부에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부커버(31a)는 나선스크류(21)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커버(31b)는 하부자루(30)를 밀폐시키도록 형성된다.
또, 하우징(50)의 내부 수용공간(51)에는 회동부재(70)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이 회동부재(70)의 하단부에 하우징(50)의 래칫부(52)와 대응하는 래칫부(71)를 성형시켜, 회동부재(70)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공회전되도록 결합한다.
즉, 상기 회동부재(70)는, 하우징(50)의 수용공간(51)에서 래칫부(52),(71)의 돌출형상만큼 상,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래칫부(52),(71)를 통해 회전되고, 반대방향에서는 회동부재(70)가 래칫산을 따라 상승되면서 회동부재(70)만 공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70)는 내경 상,하단부에 일자형상의 나선끼움홀(72)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특징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나선스크류(21)의 일단부가 항상 일자형상의 나선끼움홀(72)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선스크류(21)가 상,하 이동하면 나선끼움홀(72)이 나선스크류(21)의 형상에 맞춰 회전되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자루(20)의 나선스크류(21)에는 상단과 하단부에 완충부재(90)가 구비되고, 이 완충부재(90)의 사이에 상기 회동수단(40)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회동수단(40)의 급속한 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부재(90)를 통해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나선스크류(21) 하단에는, 완충부재(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판(91)이 더 결합되고 그 하단으로 돌기부를 형성해 상기 이탈방지판(91)의 분리를 방지하며, 이 이탈방지판(91)에도 나선스크류(21)의 단부가 결합되는 일자형의 나선끼움홀(91a)을 형성해 상기 완충부재(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회전자루(10)의 작동 관계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에서와 같이 상부자루(20)가 상승되면, 나선스크류(21)의 하부에 결합된 완충부재(90)와 이탈방지판(91)이 같이 상승하면서, 회동수단(40)의 하우징(50) 저면에 완충부재(90)가 걸려지게 되어 상부자루(20)의 상승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나선스크류(21)의 상승이동에 따라 회동수단(40) 내부의 회동부재(70)가 나선끼움홀(72)에 끼워진 나선스크류(21)의 단부를 따라 회전하게 되나, 상기 회동부재(70)의 래칫부(71)가 하우징(50)의 래칫부(52)에 구속되지 않아 상기 회동부재(70)만이 상부로 유동되면서 자유 회전하게 되므로, 하부자루(30)는 회전하지 않고 상부자루(20)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자루(20)를 하강시키면, 나선스크류(21)의 단부를 감싸는 일자형상의 나선끼움홀(72)이 형성된 회동부재(70)가 나선스크류(21)를 따라서 회전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회동부재(70)의 래칫부(71)가 하우징(50)의 래칫부(52)에 단속되면서, 하우징(50)과 결속된 밀착링(60)을 회전시키게 되면서 하부자루(30)도 동시에 회전되게 한다.
즉, 상기 하우징(50)의 상부에 결속된 밀착링(60)은 하부자루(30)와 견고하게 일체로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하우징(50)의 회전에 따라 하부자루(30)가 같이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선스크류(21)의 상단에도 완충부재(9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상부자루(20)의 최대 하강시 하부자루(30)의 상부덮개(80)가 완충부재(90)에 걸려져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동작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상기 회전자루(10)는 상부자루(20)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만 하부자루(30) 및 이 하부자루(30)와 결합된 걸레장착부(11)를 같이 회전시킬 수 있어, 동력전달수단(200)에 의해 회전되는 청소함체(100)의 세척판(120) 및 탈수바구니(130)에 걸레장착부(11)를 놓고 동시에 회전시켜 걸레(12)의 세척 및 탈수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청소함체(100)의 페달(210)을 밟아 세척판(120) 및 탈수바구니(130)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회전자루(10)를 회전시켜 걸레(12)의 세척 및 탈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회전자루 20 - 상부자루
21 - 나선스크류 30 - 하부자루
40 - 회동수단 50 - 하우징
60 - 밀착링 70 - 회동부재
72 - 나선끼움홀 80 - 덮개
90 - 완충부재 100 - 청소함체
120 - 세척판 130 - 탈수바구니
200 - 동력전달수단 210 - 페달

Claims (3)

  1. 내부에 저수조(110)를 갖고 일측에는 세척판(1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탈수바구니(130)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는 저수조(110) 하단부로 래칫부가 구비된 회동축이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구성된 청소함체(100)와;
    상기 청소함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페달(210)의 누름으로 직선왕복 슬라이드 이동하는 렉크기어(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세척판(120)의 회동축과 연결된 탈수 피니언기어(231)와 상기 탈수바구니(130)의 회동축과 연결된 세척 피니언기어(232)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200)과;
    하단부에 고정된 걸레(12)가 상기 청소함체(100)의 내부 세척판(120) 및 탈수바구니(130)의 어느 하나에 놓여져 이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의 회전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되며, 상단에는 회전 및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자루끼움부(13)가 형성된 걸레장착부(11)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자루끼움부(13)에 결합되는 하부는 하부커버(31b)가 결합되어 차폐하며, 상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커버(31a)가 결합되는 하부자루(30)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하부자루(30)를 내부에 끼워지게 상부에서 조립하며, 이 파이프 상단부에 조립되어 파이프 내부로 나선스크류(21)가 형성된 결합구(22)를 갖는 상부자루(20)와;
    상기 하부자루(30)의 내부 상단에 밀착링(60)을 갖는 하우징(50)이 고정되며, 상부자루(20)의 내부에 구성된 나선스크류(21)가 끼워지는 나선끼움홀(72)을 형성한 회동부재(70)가 상기 하우징(50)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자루(20)의 승강, 하강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70)가 나선스크류(21)를 따라 회전하면서, 밀착링(60)으로 하우징(50)과 고정된 하부자루(30)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40)과;
    상기 상부자루(20)의 외경 하부에 잠금몸체가 고정되며, 이 잠금몸체(25a)의 하단에 나사식으로 연결된 회전몸체는 하부자루(30)의 외경 상단에 위치되어 회전몸체(25b)를 회전시켜 내부 고정캠이 하부자루(30)의 외경에 물려지면서 하부자루(30)의 회전을 단속하거나 인출길이를 조정하는 잠금뭉치(25)로 구성된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40)은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51)을 갖고 양단부가 관통되게 구비되며, 하단 내측에 래칫부(5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 외경에는 끼움턱(53)이 형성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의 끼움턱(53)에 결합되어 외경면이 하부자루(30)의 내경면에 고정되는 밀착링(60)과;
    상기 하우징(50) 내부의 수용공간(51)에서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에 돌출된 래칫부(71)가 구비되고, 내경 상,하단부에 나선스크류(21)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나선끼움홀(72)이 형성된 회동부재(70)와;
    상기 하우징(50)의 상단부에 끼워져 밀착링(60)을 고정하는 덮개(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으로 청소함체(100)의 세척판(120)과 탈수바구니(130)를 회전시키면서 잠금뭉치(25)가 잠김 해제된 상부자루(20)를 하강시켜 걸레장착부(11)가 포함된 하부자루(30)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KR1020120102262A 2012-09-14 2012-09-14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62A KR101233084B1 (ko) 2012-09-14 2012-09-14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62A KR101233084B1 (ko) 2012-09-14 2012-09-14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084B1 true KR101233084B1 (ko) 2013-02-14

Family

ID=4789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084B1 (ko) 2012-09-14 2012-09-14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0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55Y1 (ko) * 2009-10-20 2010-06-17 박준규 몹과 탈수통 조립체
JP3167763U (ja) * 2010-10-18 2011-05-19 帝凱國際實業有限公司 回転式モップ組
KR20120005851A (ko) * 2010-07-09 2012-01-17 삼정크린마스터(주) 자루형 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55Y1 (ko) * 2009-10-20 2010-06-17 박준규 몹과 탈수통 조립체
KR20120005851A (ko) * 2010-07-09 2012-01-17 삼정크린마스터(주) 자루형 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JP3167763U (ja) * 2010-10-18 2011-05-19 帝凱國際實業有限公司 回転式モップ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943B1 (ko) 회전탈수 청소도구 및 이를 위한 자루잠금기구
US8291538B2 (en) Mop structure of converting vertical linear displacement into unidirectional rotation for dewatering a mop
EP3108790B1 (en) Cleaning tool
CN212879195U (zh) 一种新型平板拖把清洁工具
CN203724047U (zh) 手压式双速旋转拖把
CN101884516B (zh) 一种拖把桶及与其配套的拖把
KR101233084B1 (ko) 회전형 걸레 청소도구
KR200460003Y1 (ko) 회전탈수장치 뚜껑
CN203677011U (zh) 绳拉式旋转拖把
KR20110112092A (ko) 봉걸레용 세척 및 탈수장치
CN106955080B (zh) 一种升降桶平板拖把清洁工具
KR101184633B1 (ko) 자루걸레 청소기
KR200459855Y1 (ko)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CN205251455U (zh) 一种升降桶平板拖把清洁工具的清洗、脱水机构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CN211299839U (zh) 一种拖把设计用快速甩干装置
CN205458482U (zh) 一种平板拖把清洁工具
KR20130131893A (ko) 과일 착즙기
KR200485606Y1 (ko) 걸레 세척장치
KR102008700B1 (ko) 탈수가 용이한 자루걸레
CN201987503U (zh) 双旋转脱水桶及其拖把
CN221980683U (zh) 平板拖把的拖把桶结构
CN218356118U (zh) 一种便于使用的旋转拖把清污分离桶
CN201418722Y (zh) 一种旋转拖把的脱水装置
KR101325055B1 (ko) 싱크볼에 장착되는 장방형 배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