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2822B1 -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 Google Patents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22B1
KR101232822B1 KR1020100106891A KR20100106891A KR101232822B1 KR 101232822 B1 KR101232822 B1 KR 101232822B1 KR 1020100106891 A KR1020100106891 A KR 1020100106891A KR 20100106891 A KR20100106891 A KR 20100106891A KR 101232822 B1 KR101232822 B1 KR 10123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uid
hollow
hollow body
coupling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384A (ko
Inventor
이정열
손성곤
유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Priority to KR102010010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8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21D21/0073Anchoring-bolts having an inflatable sleeve, e.g. hollow sleeve expanded by a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지보를 위해 암반 등에 설치하는 락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그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 상기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상기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 상기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가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와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62)가 형성된 커플링(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ROCKBOLT AND HYDRAULIC PRESSURE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지보를 위해 암반 등에 설치하는 락볼트 및 압력유체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락볼트는 암반 등의 지반에 사용하는 지보(支保)로 갱도(坑道)를 지지하는 재료로서, 암반 등의 지반에 뚫은 천공에 꽂아넣어 사용한다,
락볼트의 구조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로서 팽창형 구조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형 락볼트(10)는 중공형 바디(12)의 그 둘레 일부가 눌려진 상태로 천공에 설치한 후(도 1의 'R1'참조), 중공형 바디(12)의 중공(12A)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중공형 바디(12)를 팽창시킴으로써 팽창된 중공형 바디(12)가 암반 등의 지반에 밀착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도 1의 'R2' 참조).
이와 같은 락볼트(10)는 고압의 물을 락볼트(10)로 안내하는 관로(미도시)와 스크류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후, 암반 등의 지방에 정착된다.
따라서, 락볼트(10)를 정착할 때 및 락볼트(10) 정착 후 관로를 분리할 때, 관로 엉킴, 관로와의 간섭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락볼트의 정착 및 락볼트 정착 후 압력유체 관로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 개선한 락볼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유체 공급을 위해 락볼트에 이용되는 락볼트의 압력유체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 상기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상기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 상기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가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와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62)가 형성된 커플링(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를 제시한다.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가 상기 커플링(160)에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와 상기 커플링(160) 중 어느 하나에는 링형 홈(164)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에는 상기 링형 홈(1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홈(164)에 삽입되는 걸림턱(15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가 상기 커플링(160)에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링(160)과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가 상호 베어링(17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160)의 내부에는 상기 커플링(160)과 상기 선단용 캡 사이 및 상기 선단용 캡과 상기 중공형 바디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는 씰링(sealing)(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씰링(180)은 상기 선단용 캡(120)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를 씰링하는 링형의 링형부(182) 및, 상기 링형부(18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요입된 부분에 삽입되는 돌출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연질로 이루어진 제1관로(152) 및, 상기 제1관로(152)의 커플링(160) 측 단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경질로 이루어진 제2관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상기 커플링(160)과 결합되는 부분이 경질로 이루어지며, 그 나머지 부분이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 상기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상기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를 연결하는 커플링(160)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연질로 이루어진 제1관로(152) 및, 상기 제1관로(152)의 커플링(160) 측 단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경질로 이루어진 제2관로(154)를 포함하는 락볼트(100)를 함께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 상기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상기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를 연결하는 커플링(160)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상기 커플링(160)과 결합되는 부분이 경질로 이루어지며, 그 나머지 부분이 연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를 함께 제시한다.
상기 커플링(160)의 내부에는 상기 커플링(160)과 상기 선단용 캡 사이 및 상기 선단용 캡과 상기 중공형 바디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는 씰링(sealing)(16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플링(160) 및, 상기 커플링(160)에 결합된 압력유체 관로(150)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를 통해 압력유체(S)를 공급하는 압력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의 압력유체공급기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압력유체 관로가 커플링에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됨에 따라서, 락볼트의 정착 및 락볼트 정착 후 압력유체 관로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유체 관로의 커플링 측이 경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락볼트의 정착 및 락볼트 정착 후 압력유체 관로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락볼트의 적용 예.
도 2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실시 예의 락볼트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 예의 락볼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씰링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와 대응되는 제2실시 예의 단면도.
도 8a은 락볼트의 팽창 전 상태 설치 예.
도 8b는 도 8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9a는 락볼트의 팽창상태 설치 예.
도 9b는 도 9a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100)는 그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와;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과; 나사 결합 방식 등에 의해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가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압력유체 관로(150)와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62)가 형성된 커플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압력유체 관로(150)가 커플링(160)에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기 때문에, 커플링(160)과 압력유체 관로(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압력유체 관로(150)가 커플링(160)과 함께 회전되지 않더라도 커플링(160)이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160)이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압력유체 관로(150)가 회전되면서 꼬여 엉키면서 커플링(160)의 회전을 방해하거나 커플링(160)과의 결합이 분리되는 문제, 압력유체 관로(150)가 움직이면서 주변을 때리는 문제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160)과 선단용 캡(120)을 결합 또는 분리할 때, 중공형 바디(110) 및 압력유체 관로(15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그에 따라 무거워서 작업자가 혼자 힘으로 회전시키는데 버거운데, 상대적으로 짧고 가벼운 커플링(160)만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커플링(160)과 선단용 캡(120)의 결합,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압력유체 관로(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은 커플링(160)에 결합되고, 나머지 한쪽은 압력유체(S)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공급기의 압력유체공급부에 결합되는데, 커플링(160)이 선단용 캡(120)에 결합, 분리될 때 압력유체 관로(150)는 커플링(160)과 함께 회전되지 않아도 되므로, 압력유체 관로(150)가 한쪽은 커플링(160)에 결합되고 나머지 한쪽은 압력유체공급기의 압력유체공급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160)이 선단용 캡(120)에 용이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유체 관로(150)가 커플링(160)에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유체 관로(150)와 커플링(160) 중 어느 하나에는 링형 홈(164)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에는 링형 홈(1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링형 홈(164)에 삽입되는 걸림턱(15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150A)이 링형 홈(164)에 삽입되어 링형 홈(1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압력유체 관로(150)와 커플링(16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150A)은 링형일 수 있으며, 링형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걸림턱(150A)이 링형 홈(164)에 삽입시키는 방안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압력유체 관로(150)와 커플링(160) 중 어느 하나가 상대 구성요소의 성형, 제작시 인서트(inser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써 커플링(160)과 압력유체 관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속재질이라면 금속재질의 구성요소를 열팽창시켜 커플링(160)과 압력유체(S)를 상호 결합 후 냉각시키는 열간압입방식도 가능하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유체 관로(150)와 커플링(160)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170)을 통해 상호 상대 회전 가능토록 결합시킬 수 있다. 베어링(170)에 의한 결합은 많이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기 위해 베어링(170)에 의한 압력유체 관로(150)와 커플링(160)의 구체적인 결합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아울러, 커플링(160)의 내부에는 압력유체공급기를 통해 압력유체(S)가 중공형 바디(110)에 공급될 때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의 틈새로 수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는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씰링(sealing)(180)이 설치될 수 있다.
씰링(180)은 특히, 선단용 캡(120)의 선단에 밀착되어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를 씰링하는 링형의 링형부(182) 및, 링형부(18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중공형 바디(110)의 요입된 부분, 즉 요입부(114)에 삽입되는 돌출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씰링(180)의 링형부(182)에 의해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가 씰링되되, 씰링(180)의 링형부(182)의 중앙 홀(182A)을 통해 압력유체(S)가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씰링(180)의 돌출부(184)가 중공형 바디(110)의 요입부(114)에 끼워짐에 따라서,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가 빈틈없이 메워짐으로써 보다 기밀하게 씰링될 수 있다. 또한, 씰링(180)의 돌출부(184)가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에 꽉 끼워짐으로써 씰링(18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씰링(180)의 돌출부(184)에 의해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가 메워짐에 따라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가 보다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유체 관로(150)는 고무호스 등과 같이 연질로 이루어진 제1관로(152) 및, 상기 제1관로(152)의 커플링(160) 측 단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강관 등과 같은 경질로 이루어진 제2관로(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유체 관로(150)는 커플링(160)과 결합되는 부분(156)이 경질로 이루어지며, 그 나머지 부분(158)이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160)을 통해 압력유체 관로(150)와 중공형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락볼트(100)를 지반 등에 정착할 때, 작업자나 공구가 압력유체 관로(150)의 경질부분을 잡고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락볼트(100)의 정착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중공형 바디(110)는 그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공급기의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12)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중공형 바디(110)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요입부(114)'라 한다)로 눌려진 상태로 용이하게 천공(1)에 삽입 설치되며(도 2,3,4,7,8A,8B 참조), 팽창 전 상태로 천공(1)에 삽입 설치된 후 중공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예컨대, 고압의 물)에 의해 요입부(114)가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팽창되어 천공(1)에 밀착될 수 있다(도 4 및 도 7의 점선부분, 도 9A, 9B 참조).
중공형 바디(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눌려진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부(114)가 일자("1") 형태로 접혀진 단면구조를 가지며, 그 중공(112)이 요입부(114)를 중심으로 대략 반원형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공형 바디(110)는 평판형 플레이트를 밴딩(bending)하여 튜브(tube) 또는 파이프(pipe) 형태로 만든 후 외주면 일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가압하여 일자("1") 형태로 접혀지도록 폴딩(folding) 가공 또는 롤링 (rolling) 가공을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공형 바디(11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지보를 위해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유체(S), 즉 고압의 물에 의해 팽창 가능토록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단용 캡(120)은 상기한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는 것이다.
선단용 캡(120)은 특히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으로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유체(S)가 중공형 바디(110)의 측면이 아니라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을 따라, 즉 길이방향(화살표 F1)을 따라 주입됨에 따라 신속하게 중공형 바디(110)에 주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공형 바디(110)가 압력유체(S)에 의해 빠른시간 내에 팽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볼트(100)가 지반(2)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락볼트(100) 내부에 주입되었던 압력유체(S)가 남김없이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을 통해 외부로 자연 배수되기 때문에 완벽하게 압력유체(S)의 배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압력유체(S)가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잔류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던 락볼트(100)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선단용 캡(120)의 중공(122)은 어떠한 형상이든 무방하나, 다만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선단용 캡(120)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단용 캡(120)은 선단용 캡(120)의 중공의 단면 크기가 선단용 캡(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 일정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용 캡(120)의 중공(122)의 종단부의 단면 크기가 선단용 캡(120)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선단용 캡(120)은 선단용 캡(120)의 중공(122)의 단면 크기가 소정의 직경으로 일정하며 외측면에 커플링(160)의 나사(166)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128)가 형성된 본체부(124) 및, 선단용 캡(120)의 중공(122)의 단면 크기가 확장되는 확장부(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단용 캡(120)이 확장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단용 캡의 탄성부재(140)가 끼워진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이 선단용 캡(120)의 확장부(126)로부터 선단용 캡(120)의 본체부(124)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단용 캡(120)이 중공형 바디(110)와 용접(W)될 때, 선단용 캡(120)의 본체부(124)와 확장부(126)의 경계부분(125)을 용접(W)함에 따라 용접물이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에 용이하게 개재될 수 있어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의 용접(W)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하다할 수 있으며, 선단용 캡(120)의 확장부(126)에 의해 선단용 캡(120)과 중공형 바디(110) 사이의 용접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용접(W)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또한, 중공형 바디(110)가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될 때, 중공형 바디(110)의 제1캡 결합부분과 그 나머지 부분의 경계에서 중공형 바디(110)의 단면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함에 따라 중공형 바디(1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단용 캡(120)은 다양한 재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중공형 바디(110)와의 충분한 결합력 확보 및, 중공형 바디(110)와의 용접(W) 등이 가능하도록 중공형 바디(110)와 함께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락볼트(100)는 중공형 바디(110)가 눌려진 상태로, 지반(2)에 형성한 천공(1)에 설치된 후, 천공(1)에 설치된 락볼트(100)의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에 압력유체(S)가 주입되면 중공형 바디(110)가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어 지반(2)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락볼트(100)는 구조적으로 크게, 지반(2)에 정착되는 정착부와, 정착부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정착부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는 상기한 압력유체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부는 상기한 중공형 바디(110) 및 선단용 캡(120), 중공형 바디(110)의 종단 외측에 씌워진 종단용 캡(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유체공급기는 상기한 커플링(160) 및 압력유체 관로(150), 압력유체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유체공급부는 압력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든 무방하며, 예컨대 압력유체용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 및, 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고압으로 정착부로 압송하는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락볼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유체(S) 공급에 의해 중공형 바디(110)가 지반(2)에 밀착되고 나면, 지반(2)에 정착된 정착부는 그대로 두고 정착부로부터 압력유체공급기를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미 설명부호 '190'은 링형의 또 다른 씰링(190)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락볼트 110; 중공형 바디
120; 선단용 캡 130; 종단용 캡
150; 압력유체 관로 160; 커플링
170; 베어링 180; 씰링

Claims (11)

  1.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
    상기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상기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
    상기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가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와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62)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중공형 바디(110) 사이의 틈새를 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용 캡(120)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를 씰링하는 링형의 링형부(182) 및 상기 링형부(18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요입된 부분에 삽입되는 돌출부(184)로 이루어진 씰링(180)을 구비한 커플링(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가 상기 커플링(160)에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와 상기 커플링(160) 중 어느 하나에는 링형 홈(164)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에는 상기 링형 홈(1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홈(164)에 삽입되는 걸림턱(15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가 상기 커플링(160)에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링(160)과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가 상호 베어링(170)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연질로 이루어진 제1관로(152) 및, 상기 제1관로(152)의 커플링(160) 측 단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경질로 이루어진 제2관로(154)를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락볼트(100).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상기 커플링(160)과 결합되는 부분이 경질로 이루어지며, 그 나머지 부분이 연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
  8.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
    상기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상기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
    상기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가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와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62)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중공형 바디(110) 사이의 틈새를 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용 캡(120)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를 씰링하는 링형의 링형부(182) 및 상기 링형부(18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요입된 부분에 삽입되는 돌출부(184)로 이루어진 씰링(180)을 구비한 커플링(160)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연질로 이루어진 제1관로(152) 및 상기 제1관로(152)의 커플링(160) 측 단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경질로 이루어진 제2관로(15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
  9. 선단을 통해 압력유체(S)가 주입되는 중공(112)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요입된 형태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112)에 공급되는 압력유체(S)에 의해 팽창되는 중공형 바디(110);
    상기 눌려진 상태의 중공형 바디(110)의 선단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에 상기 압력유체(S)가 주입될 수 있도록 중공(122)을 갖는 선단용 캡(cap)(120);
    상기 선단용 캡(120)의 외측에 회전되면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압력유체(S)의 공급을 위한 압력유체 관로(150)가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와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중공(112)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62)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중공형 바디(110) 사이의 틈새를 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용 캡(120)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선단용 캡(120)과 상기 중공형 바디(110) 사이 틈새를 씰링하는 링형의 링형부(182) 및 상기 링형부(18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바디(110)의 요입된 부분에 삽입되는 돌출부(184)로 이루어진 씰링(180)을 구비한 커플링(160)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는 상기 커플링(160)과 결합되는 부분이 경질로 이루어지며, 그 나머지 부분이 연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
  10. 삭제
  11. 청구항 1,2,3,8,9 중 어느 한 항의 락볼트(100)의 압력유체공급기로서,
    상기 커플링(160) 및, 상기 커플링(160)에 결합된 압력유체 관로(150)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유체 관로(150)를 통해 압력유체(S)를 공급하는 압력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100)의 압력유체공급기.
KR1020100106891A 2010-10-29 2010-10-29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Active KR101232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91A KR101232822B1 (ko) 2010-10-29 2010-10-29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891A KR101232822B1 (ko) 2010-10-29 2010-10-29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84A KR20120045384A (ko) 2012-05-09
KR101232822B1 true KR101232822B1 (ko) 2013-02-13

Family

ID=4626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891A Active KR101232822B1 (ko) 2010-10-29 2010-10-29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52B1 (ko) 2016-06-20 2016-11-14 정용태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97Y1 (ko) * 1989-08-07 1994-10-01 정재송 압력유체 급송관의 회전가능한 관 연결구조
KR20090057167A (ko) * 2006-08-17 2009-06-04 아틀라스 코프코 마이 게엠베하 마찰 튜브 앵커 및 마찰 튜브 앵커용 팽창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97Y1 (ko) * 1989-08-07 1994-10-01 정재송 압력유체 급송관의 회전가능한 관 연결구조
KR20090057167A (ko) * 2006-08-17 2009-06-04 아틀라스 코프코 마이 게엠베하 마찰 튜브 앵커 및 마찰 튜브 앵커용 팽창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52B1 (ko) 2016-06-20 2016-11-14 정용태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384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472B1 (ko)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CN107109937A (zh) 集成式顶管
JP4288331B2 (ja) ロックボ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支保工法
JP6289122B2 (ja) 離脱防止管継手
KR101219448B1 (ko) 락볼트 및 그 커넥터
JP4680491B2 (ja) 鋼管膨張型ロックボルト
KR101231875B1 (ko)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KR101232822B1 (ko)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JP2007303134A (ja) 中折れ式シールド掘進機のシール装置
KR101038476B1 (ko)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JP4360580B2 (ja) 自穿孔型アース電極
KR101422269B1 (ko) 파이프 연결소켓
JP5485810B2 (ja) 注入工法および装置
KR101219449B1 (ko) 락볼트 및 그 커넥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KR101957438B1 (ko) 확장케이싱 및 무용접커플러를 이용한 굴착용 비트 및 이를 이용하여 커팅연장관을 시공하는 터널시공방법
JP2005344905A (ja) 補修用被覆体及び既設管路補修方法
JP5444114B2 (ja) 管継手
US11174687B2 (en) Device for clamping an element, carriage for a ground drilling device, ground drilling device, method for clamping an elemen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device for clamping an element
KR101219447B1 (ko)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KR20150109677A (ko) 자천공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JP2000213053A (ja) 既設老朽管更生工法における支保工装置、既設老朽管更生工法、及び閉塞部材
CN204805783U (zh) 钢管两端成型的承插式接口
JP2006183434A (ja) 地盤改良装置の伸縮式掘削ロッド
KR101422267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1518637B1 (ko) 금속 파이프의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