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2280B1 - 음식물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280B1
KR101232280B1 KR1020100065490A KR20100065490A KR101232280B1 KR 101232280 B1 KR101232280 B1 KR 101232280B1 KR 1020100065490 A KR1020100065490 A KR 1020100065490A KR 20100065490 A KR20100065490 A KR 20100065490A KR 101232280 B1 KR101232280 B1 KR 10123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main body
sewage discharge
bag
plastic 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807A (ko
Inventor
권기현
권오혁
Original Assignee
권오혁
권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혁, 권기현 filed Critical 권오혁
Priority to KR102010006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removal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를 수용하는 비닐봉지가 장착된 음식물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방된 상부에 돌출된 오수배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오수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커버; 절개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절개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오수배출용 막음판; 상기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다수의 고리; 및 상기 고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장착홀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쓰레기 수용 봉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통{Food Garbage Container}
본 발명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전용 비닐봉지를 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수거 통에 배출할 때 비닐봉지가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고 음식물쓰레기만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조리과정중 식품을 다듬고 버리는 식품쓰레기와 먹고 남긴 음식 잔반, 보관했다가 그냥 버리는 식품쓰레기 등으로써, 식당 등 대형 음식점에서는 하루에도 수시로 모아 버리게 되지만, 가정에서는 특별한 행사 때를 제외하고는 매일매일 모아 수일에 한 번씩 배출하게 된다.
음식물쓰레기도 일반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생활환경을 오염시키고 처리비용이 엄청나게 소요되기 때문에 발생량을 최대한 줄이도록 하고 부득이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는 물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는 지역에 따라 전용 음식물쓰레기봉지에 담아 배출하거나, 혹은 가정 내 구비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통에 담아두었다가 음식물쓰레기통을 들고 지역 내 설치된 음식물쓰레기수거함에 쏟아 수거하는 등의 분리수거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의 음식쓰레기수거함에 배출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통을 통째로 들고 가는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통을 들고나갔다가 다시 들고 들어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비닐봉지에 음식물쓰레기를 모아버리는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비닐봉지에 담는 과정에서 비닐봉투의 투입구 주변에 음식물의 이물질이 묻게 되기 때문에 비닐봉지를 들고 나가려할 때 자연히 손에 이물질이 묻기 때문에 위생상 깨끗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쾌감도 느끼게 되어 사용상 불편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 437809호에는 비닐봉지를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통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비닐봉지를 음식물쓰레기통 안에 펼쳐 넣어 비닐봉지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도록 한다. 이때, 비닐봉지의 개방된 가장자리를 음식물쓰레기통의 상부 테두리 외측부에서 바짝 당겨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비닐봉지의 개방된 가장자리가 유동되지 않고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음식물쓰레기통은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음식물쓰레기통 내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있는 비닐봉지를 통째로 꺼내어 음식물쓰레기 수거 통에 비닐봉지에 담긴 음식물쓰레기를 쏟아 버려야 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시 비닐봉지의 가장자리에 이물질이 묻을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있는 비닐봉지를 꺼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려 할 때 손에 이물질이 묻어 위생상 좋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하다.
KR 20-43780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통의 내부에 비닐봉지를 장착하며,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에도 비닐봉지가 장착된 상태로 배출이 가능하여 손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통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제거할 때 비닐봉지가 장착된 채로 기울여 간단히 배출한 후, 비닐봉지만 따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음식물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양태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통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에 돌출된 오수배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오수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커버; 절개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절개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오수배출용 막음판; 상기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다수의 고리; 및 상기 고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장착홀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쓰레기 수용 봉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통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오수배출부의 반대쪽 외주면에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오수배출부를 밀봉하기 위해 오수배출부와 동일형상으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고리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통의 내부에 비닐봉지를 장착하며,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에도 비닐봉지가 장착된 상태로 배출이 가능하여 손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통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제거할 때 비닐봉지가 장착된 채로 기울여 간단히 배출한 후, 비닐봉지만 따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음식물쓰레기통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음식물쓰레기통(1)은 상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상부에 돌출된 오수배출부(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오수배출부(12)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커버(20)와, 절개면(32)을 가지며,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절개면(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오수배출용 막음판(30)을 포함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통(1)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다수의 고리(11)와, 상기 고리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장착홀(41)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쓰레기 수용 봉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개방된 상부에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수배출부(12)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본체(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쓰레기 수용 봉지(40)의 장착홀(41)이 결합되는 다수의 고리(11)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는 외주면에 오수배출부(12)를 통해 오수를 버릴 때 사용하는 손잡이(14)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로는 반원형의 고리형태의 손잡이(13)가 형성된다.
다수의 고리(11)는 장착홀(41)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장착홀(41)에 끼움 결합된다. 고리(11)와 장착홀(41)의 결합이 완료되면, 쓰레기 수용 봉지(40)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모두 삽입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20)는 원판 형상으로 상부 중앙에 손잡이(2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본체(10)의 오수배출부(12)와 대응되도록 돌출하는 돌출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의 커버(20)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오수배출용 막음판(3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에는 막대형 손잡이(31)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직선상의 절개면(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수를 배출하고자 할 때, 오수배출용 막음판(30)을 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눌러 막고 기울이면 절개면(32)과 본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오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음식물쓰레기의 오수를 배출하는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오수배출용 막음판(30)의 절개면(32)을 본체(10)의 오수배출부(12)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오수배출용 막음판(30)으로 본체(10) 내부의 음식물쓰레기(G)를 눌러 압축한다. 이때 오수배출용 막음판(30)의 막대형 손잡이(31)는 예를 들면 20~30cm정도로 길게 제작하여 오수 배출시 손잡이(31)를 이용해 음식물쓰레기(G)를 압축하기 편하도록 한다.
이 후, 본체(10)의 손잡이(14)를 잡고 기울이면, 음식물쓰레기(G) 내의 오수가 오수배출용 막음판(30)의 절개면(32) 틈을 따라 오수배출부(12)를 통해 외부로 흘러나온다.
쓰레기 수용 봉지(40)는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상부의 개방 면을 가진다. 또한, 쓰레기 수용 봉지(40)는 상부 개방 면에 다수의 장착홀(41)을 형성하여 본체(10)의 고리(11)에 대응되어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쓰레기 수용 봉지(40)가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음식물쓰레기(G)가 쌓이면, 외부의 수거용기에 배출해야한다. 이때,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통(1)을 통째로 들고 이동하여, 수거용기에 배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음식물쓰레기통을 외부 수거용기에 배출하는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본체(10)를 기울이면, 음식물쓰레기(G)는 쓰레기 수용 봉지(40)로부터 이탈되어 아래의 수거용기(미도시)로 배출되며, 이때, 쓰레기 수용 봉지(40)는 고리(1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본체(10)를 아래로 기울이더라도,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음식물쓰레기(G)만 배출된다.
도 5b에서, 음식물쓰레기(G)의 배출이 완료되면, 쓰레기 수거 봉지(40)가 본체(10) 내부로부터 이동하여 아랫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있으나, 고리(11)에 걸린 상태이므로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하여 음식물쓰레기(G)의 배출이 완료되면, 고리(11)에 끼워진 장착홀(41)을 이탈시켜 쓰레기 수거 봉지(40)만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쓰레기 수거 봉지(40)를 만지지 않고 음식물쓰레기통(1) 내부에 삽입된 채로 음식물쓰레기(G)만을 음식물쓰레기통(1)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완료된 후에 쓰레기 수거 봉지(40)만을 별도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에도 비닐봉지가 장착된 상태로 배출이 가능하여 손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통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제거할 때 비닐봉지가 장착된 채로 기울여 간단히 배출한 후, 비닐봉지만 따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가정용과, 업체용과, 대용량과, 소용량의 쓰레기통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10 : 본체 20 : 커버
30 : 오수배출용 막음판 40 : 쓰레기 수거 봉지
11 : 고리 41 : 장착홀
13,14,21,31 : 손잡이 12 : 오수배출부
32 : 절개면

Claims (4)

  1.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에 오수배출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오수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에는 막대형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직선상의 절개면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절개면과 본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오수배출용 막음판;
    상기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고리; 및
    상기 다수의 고리의 각각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용 봉지를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은 상기 쓰레기 수거 봉지(40)의 장착홀과 상기 본체의 고리의 결합이 그대로 유지된 채로 상기 본체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오수배출부의 반대쪽 외주면에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오수배출부를 밀봉하기 위해 오수배출부와 동일형상으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4. 삭제
KR1020100065490A 2010-07-07 2010-07-07 음식물쓰레기통 Active KR10123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90A KR101232280B1 (ko) 2010-07-07 2010-07-07 음식물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90A KR101232280B1 (ko) 2010-07-07 2010-07-07 음식물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07A KR20120004807A (ko) 2012-01-13
KR101232280B1 true KR101232280B1 (ko) 2013-02-12

Family

ID=4561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490A Active KR101232280B1 (ko) 2010-07-07 2010-07-07 음식물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745A (ko) * 2017-03-08 2019-04-09 이영일 버리는 음식물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421A (ko) 2015-08-23 2017-03-06 이원재 센서와 스피커가 달린 음식물쓰레기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10Y1 (ko) 2001-08-13 2001-11-22 윤화용 음식물 쓰레기 수분제거를 위한 용기
KR200437809Y1 (ko) 2006-10-30 2007-12-27 구본춘 음식물쓰레기통
KR200438258Y1 (ko) 2007-01-23 2008-02-04 신영우 침출수 제거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10Y1 (ko) 2001-08-13 2001-11-22 윤화용 음식물 쓰레기 수분제거를 위한 용기
KR200437809Y1 (ko) 2006-10-30 2007-12-27 구본춘 음식물쓰레기통
KR200438258Y1 (ko) 2007-01-23 2008-02-04 신영우 침출수 제거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745A (ko) * 2017-03-08 2019-04-09 이영일 버리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39835B1 (ko) 2017-03-08 2019-11-04 이영일 버리는 음식물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07A (ko)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7121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use in a sink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232280B1 (ko) 음식물쓰레기통
KR101466971B1 (ko) 음식물 쓰레기 통
CN202575137U (zh) 一种厨余垃圾收集桶
KR200437809Y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060133509A (ko) 이중커버 음식물 쓰레기통
KR20140002739U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120002919U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KR20130081258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KR10187384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용기
KR200262596Y1 (ko)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1305022B1 (ko) 음식 쓰레기 봉투 및 그를 걸기 위한 백
KR200481812Y1 (ko) 음식물 분리 수거통이 결합된 싱크볼 조립체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KR200300357Y1 (ko) 쓰레기통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10683628U (zh) 一种带内胆的堆肥桶
KR200295741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333062Y1 (ko) 음식물 찌꺼기 수거망
CN102310975A (zh) 一种方便卫生垃圾桶
CN208887971U (zh) 一种石蜡切片机的防护装置
KR20021974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KR200464495Y1 (ko) 주방용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