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2075B1 -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075B1
KR101232075B1 KR1020110055561A KR20110055561A KR101232075B1 KR 101232075 B1 KR101232075 B1 KR 101232075B1 KR 1020110055561 A KR1020110055561 A KR 1020110055561A KR 20110055561 A KR20110055561 A KR 20110055561A KR 101232075 B1 KR101232075 B1 KR 101232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leg rest
vehicle seat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556A (ko
Inventor
서진호
김윤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1005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0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0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간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구성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협소한 실내공간에 적합한 패키지를 갖출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LEG 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의 다리부분을 지지하여 보다 향상된 승차감 및 편의성을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편의장치 중 하나로서 일부 고급 차량의 시트에는 승객의 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레그 레스트 장치가 구비된 것도 있다.
상기 레그 레스트 장치는 승객의 다리 하중을 지지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해야 하고, 또한 원가 및 중량을 고려해서 최소한의 부품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부품수를 절감하면서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시키기 것이 쉽지 않기에 대부분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해서 제작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단가를 낮추기가 쉽지 않아서 일부의 고급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춤과 더불어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중량감소와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를 포함하고;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메인브라켓이 상기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서 상하방향 회전 동작 및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는, 시트쿠션의 전면에서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 및 상기 이동브라켓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브라켓을 연결하는 회전력전달기구와;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회전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을 연결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선단이 플로어패널을 향하도록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양쪽 측면에 힌지볼트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과; 상기 측면브라켓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된 레일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측면브라켓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과; 상기 커버브라켓의 선단부에 결합된 서포트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레일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레일브라켓이 삽입되어서 상기 레일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메인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회전력전달기구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와 결합된 랙기어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마운팅브라켓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축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샤프트와; 상기 피니언샤프트에 의해 관통되어서 상기 피니언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샤프트에 의해 관통되어서 상기 피니언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제1섹터기어와;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섹터기어와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2섹터기어와; 상기 제2섹터기어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섹터기어와 일체로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회전브라켓의 양쪽 측면부에 고정되게 결합된 기어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양단 사이의 가운데 부위가 상기 회전브라켓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에 힌지 결합된 중간링크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중간링크의 일단에 타단이 힌지 결합된 하부링크와; 상기 중간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상부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는, 부품간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구성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협소한 실내공간에 적합한 패키지를 갖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로서, 레그 레스트 장치의 작동 전 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에서 회전력전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에서 링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승객의 다리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 시트에 구비된 레그 레스트 장치(1)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2)의 전면에서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브라켓(20)과,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브라켓(30)과,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20) 및 상기 이동브라켓(30)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0)와,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으로 상기 회전브라켓(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0)와 상기 회전브라켓(20)을 연결하는 회전력전달기구(50)와, 상기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이동브라켓(30)이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이동브라켓(30)을 연결하는 링크기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상단쪽의 끝단부는 시트쿠션(2)의 전방쪽 가운데 부위에서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쪽의 선단부는 플로어패널을 향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품으로, 선단부가 플로어패널을 향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되어야만 상기 회전브라켓(20)이 베이스브라켓(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되고, 또한 상기 이동브라켓(30)이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회전브라켓(2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양쪽 측면에 힌지볼트(21a)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21)과, 상기 측면브라켓(21)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된 레일브라켓(22)과, 상기 한 쌍의 측면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23)과, 상기 커버브라켓(23)의 선단부에 결합된 서포트브라켓(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브라켓(30)은 상기 레일브라켓(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31)에 상기 레일브라켓(22)이 삽입되어서 상기 레일브라켓(22)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31)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31)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메인브라켓(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력전달기구(50)는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0)와 연결된 작동로드(51)와, 상기 작동로드(51)와 결합된 랙기어(52)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마운팅브라켓(53)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53)에 축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샤프트(54)와, 상기 피니언샤프트(54)에 의해 관통되어서 상기 피니언샤프트(54)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52)와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된 피니언기어(55)와, 상기 피니언샤프트(55)에 의해 관통되어서 상기 피니언샤프트(55)와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제1섹터기어(56)와, 상기 마운팅브라켓(53)에 기어축(57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섹터기어(56)와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2섹터기어(57)와, 상기 제2섹터기어(57)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섹터기어(57)와 일체로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회전브라켓(20)의 양쪽 측면부에 고정되게 결합된 기어파이프(5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0)의 모터축(미도시)은 기어박스 속에 구비된 웜기어(59)와 동력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작동로드(51)는 상기 웜기어(59)를 통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직선 이동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작동로드(51)는 리드스크루(lead screw)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는 전체적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섹터기어(56)는 상기 피니언샤프트(54)의 양단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되고, 상기 제2섹터기어(57)는 상기 제1섹터기어(56)와 일대일 치합을 이루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링크기구(60)는 양단 사이의 가운데 부위가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20)에 힌지핀(61a)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중간링크(6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중간링크(61)의 일단에 타단이 힌지 결합된 하부링크(62)와, 상기 중간링크(61)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브라켓(30)에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상부링크(63)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는 전체적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기구(60)가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레그 레스트 장치(1)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로서 이때의 레그 레스트 장치(1)는 시트쿠션(2)의 전면에서 플로어패널을 향하도록 하강한 상태이다.
도 1과 같은 작동 전 상태에서 구동모터(40)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40)가 동작하면, 작동로드(51)와 랙기어(52)는 도 4의 도시 상태에서 상방으로 상승하고, 피니언기어(55)는 피니언샤프트(54)와 함께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 축회전을 하게 되며, 제1섹터기어(56)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제2섹터기어(57)와 기어파이프(58)는 기어축(57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어축(57a)이 회전을 하게 되면, 측면브라켓(21)은 힌지볼트(21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서 베이스브라켓(10)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상기 측면브라켓(21)은 레일브라켓(22), 커버브라켓(23), 서포트브라켓(24)과 일체화 되어 회전브라켓(20)을 구성하는 부품이므로, 상기 측면브라켓(21)이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브라켓(20)은 전체적으로 도 2의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회전하여 상승한 상태가 된다.
또한, 회전브라켓(20)이 회전할 때에는 링크기구(6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하기 전에 도 5와 같이 하부링크(62)와 상부링크(63)가 수축되어 있던 링크기구(60)는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하고 나면 도 7과 같이 완전히 펴져서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할 때에 링크기구(6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동작하게 되면, 상부링크(63)와 결합된 메인브라켓(32)은 레일브라켓(22)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31)와 함께 도 6과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1)의 작동 후 도면이다.
따라서, 시트 착석자인 승객은 회전하여 상승한 서포트브라켓(24) 및 전방으로 이동하여 펼쳐진 메인브라켓(32)상에 다리부분을 얹어져 편안한 승차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은 작동 후의 레그 레스트 장치(1)는 구동모터(40)의 동력으로 작동로드(51)가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도 2와 같은 작동 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1)는 다수개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회전력전달기구(50)에 의해 부품간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이 결과 레그 레스트 장치(1)의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1)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기어 및 링크를 사용한 구성으로 구성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실내공간에 적합한 패키지를 갖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 - 레그 레스트 장치 2 - 시트쿠션
10 - 베이스브라켓 20 - 회전브라켓
30 - 이동브라켓 40 - 구동모터
50 - 회전력전달기구 60 - 링크기구

Claims (9)

  1. 삭제
  2. 시트쿠션(2)의 전면에서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10);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브라켓(20);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브라켓(30);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20) 및 상기 이동브라켓(30)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으로 상기 회전브라켓(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0)와 상기 회전브라켓(20)을 연결하는 회전력전달기구(50); 및
    상기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이동브라켓(30)이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이동브라켓(30)을 연결하는 링크기구(6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브라켓(2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양쪽 측면에 힌지볼트(21a)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21)과;
    상기 측면브라켓(21)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된 레일브라켓(22)과;
    상기 한 쌍의 측면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23)과;
    상기 커버브라켓(23)의 선단부에 결합된 서포트브라켓(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선단이 플로어패널을 향하도록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되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30)은 상기 레일브라켓(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31a)에 상기 레일브라켓(22)이 삽입되어서 상기 레일브라켓(22)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31)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31)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메인브라켓(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기구(50)는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0)와 연결된 작동로드(51)와;
    상기 작동로드(51)와 결합된 랙기어(52)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마운팅브라켓(53)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53)에 축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샤프트(54)와;
    상기 피니언샤프트(54)에 의해 관통되어서 상기 피니언샤프트(54)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52)와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된 피니언기어(55)와;
    상기 피니언샤프트(52)에 의해 관통되어서 상기 피니언샤프트(54)와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제1섹터기어(56)와;
    상기 마운팅브라켓(53)에 기어축(57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섹터기어(56)와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2섹터기어(57)와;
    상기 제2섹터기어(57)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섹터기어(57)와 일체로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회전브라켓(20)의 양쪽 측면부에 고정되게 결합된 기어파이프(5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섹터기어(56)는 상기 피니언샤프트(54)의 양단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되고;
    상기 제2섹터기어(57)는 상기 제1섹터기어(56)와 일대일 치합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60)는
    양단 사이의 가운데 부위가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20)에 힌지 결합된 중간링크(6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중간링크(61)의 일단에 타단이 힌지 결합된 하부링크(62)와;
    상기 중간링크(61)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브라켓(30)에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상부링크(6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60)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20110055561A 2011-06-09 2011-06-09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Active KR101232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61A KR101232075B1 (ko) 2011-06-09 2011-06-09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61A KR101232075B1 (ko) 2011-06-09 2011-06-09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56A KR20120136556A (ko) 2012-12-20
KR101232075B1 true KR101232075B1 (ko) 2013-02-12

Family

ID=4790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561A Active KR101232075B1 (ko) 2011-06-09 2011-06-09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0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593A (ko) 2022-04-29 2023-11-0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KR20230153592A (ko) 2022-04-29 2023-11-0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KR20250045560A (ko) 2023-09-25 2025-04-02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033A (ko) 2014-03-13 2015-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107962993B (zh) * 2017-12-13 2023-09-15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及其腿托调节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688A (ja) * 1998-05-28 1999-12-07 Ikeda Bussan Co Ltd 電動オットマン装置
KR20090114560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토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688A (ja) * 1998-05-28 1999-12-07 Ikeda Bussan Co Ltd 電動オットマン装置
KR20090114560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토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593A (ko) 2022-04-29 2023-11-0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KR20230153592A (ko) 2022-04-29 2023-11-0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KR20250045560A (ko) 2023-09-25 2025-04-02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56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1873B (zh) 用于车辆的座椅位置调节装置
KR101307281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232075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0936331B1 (ko) 오토만 장치
KR101518559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US9499840B2 (en) Powered stowable vehicle seat and associated seat frame assembly
KR101381575B1 (ko) 차량용 시트
KR20130032599A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KR101372960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2153216B1 (ko)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KR101232076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20200018971A (ko) 자동차용 시트 회전 장치
JP2022543473A (ja) シートフレーム
JP2016049961A (ja) 車両用後席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470215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232079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307280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230093584A (ko)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KR20150045020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232078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5813482B2 (ja) シート・リフター
KR101326505B1 (ko) 차량용 후석 시트백 리클라이너
KR101232077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