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1681B1 -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 Google Patents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681B1
KR101231681B1 KR1020110101267A KR20110101267A KR101231681B1 KR 101231681 B1 KR101231681 B1 KR 101231681B1 KR 1020110101267 A KR1020110101267 A KR 1020110101267A KR 20110101267 A KR20110101267 A KR 20110101267A KR 101231681 B1 KR101231681 B1 KR 10123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ing
vacuum suction
flat plat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호
Original Assignee
(주)금성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금성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1010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6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56Operating and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흡착부재가 설치된 작동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핸들 조작부; 및 상기 작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VACCUM SUCTION UNIT FOR CARRYING PANEL}
본 발명은 진공흡착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흡착판을 이용하여 평판재를 작업 공정에 따라 운반하거나 적재하기 위한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흡착 유닛은 글래스 패널이나 금속판재, 석재와 같은 판재를 작업공정에 따라 이동하거나 적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유리공장, 디스플레이 생산라인, 건축공사 현장에서 많이 사용한다.
특히, 상기 글래스 패널은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크게 소형 글래스 패널과 대형 글래스 패널로 나누어 생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형 글래스 패널을 다른 위치로 운반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글래스 패널의 표면을 흡착시키는 휴대용 진공흡착 유닛을 사용하여 직접 운반하게 된다.
반면, 대형 글래스 패널은 그 크기와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서 운반하는 것이 어려워 크레인 방식을 이용한 진공흡착 유닛을 사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에 따르는 진공흡착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흡착 유닛은 천장에 설치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실린더(S)가 장착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연결되며 평판재를 진공흡착시키는 흡착부재(21)가 설치된 작동부(20)로 이루어지며, 핸들조립체에 구비된 컨트롤제어부(B)에 의해 상기 실린더(S)가 구동하여 상기 작동부(20)가 회전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제어부(B)에 의해 흡착부재(21)가 구동하여 평판재를 흡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진공흡착 유닛은 지면에 내려놓을때 고무 패드로 이루어진 흡착부재(21)가 먼저 지면에 닿아서 진공흡착 유닛 전체의 중량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므로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지면에 오염물질이 있을 경우 평판재에 닿는 면에 오염 물질이 묻게 되어 상기 평판재의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흡착 유닛을 지면에 내려놓을 때 흡착부재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먼저 지면에 닿아서 진공흡착 유닛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흡착부재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흡착부재가 설치된 작동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핸들 조작부; 및 상기 작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각각의 고정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 및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흡착부재가 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일측의 고정 브라켓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를 개재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누를 때 압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에 의하면, 진공흡착 유닛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흡착부재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의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의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은, 실린더(S)가 장착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며 글래스 패널 등의 평판재를 진공흡착시키는 흡착부재(210)가 설치된 작동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핸들 조작부(300)와, 상기 작동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을 조합한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작동부(200)를 상하방향으로 힌지회동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S)와, 상기 작동부(200)에 장착되는 흡착부재(210)에 대하여 진공흡입 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수단(P)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S)는 본체부(100)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200)를 밀거나 당기는 압력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들어올려야 하는 평판재가 경사진 구조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그 경사진 경사각에 대응토록 상기 작동부(20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201)과 수평프레임(202)이 상호 격자 형태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상기 본체부(100)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2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실린더(S)의 실린더로드(S1)와 연결되는 로드연결부(20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실린더(S)의 실린더로드(S1)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회전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2)의 양 단부에는 평판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흡착시키는 흡착부재(21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흡착부재(210)는 상기 진공발생수단(P)으로부터 흡입압력을 전달받기 위한 연결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핸들 조작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납함(301)에 상기 실린더(S) 및 흡착부재(21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제어부(B)가 수납된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본체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 장착된 수직프레임(201)의 양단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40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위치에 여러 개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00)의 설치 위치는 진공흡착 유닛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프레임(201)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201)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축공(411)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410)과, 상기 축공(4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420)과, 상기 회전축(420)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지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400)는 각각의 고정 브라켓(410) 중 적어도 하나 및 회전축(420)에 상기 회전축(4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수단(4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속수단(440)은 상기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441)과, 상기 고정홈(441)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회전축(42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44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20)과 상기 회전축(420)에 고정된 지지대(430)는 상기 고정돌기(442)를 상기 고정홈(441)에 삽입함으로써 견고하게 구속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홈(44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흡착부재(210)가 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420)에는 상기 고정돌기(442)를 고정홈(441)에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탄성수단(4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450)은 상기 회전축(420)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451)와, 상기 회전축(42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일측의 고정 브라켓(410)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451)를 개재하는 스톱퍼(45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5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고정돌기(442)가 고정홈(441)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누를 때 압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4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 가능하며, 상기 구속수단(440)과 탄성수단(450)을 매개로 임의의 선택된 고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구속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430)의 단부에는 나사 형태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하며,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진공흡착 유닛을 지면에 내려놓을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체부 200 : 작동부
201 : 수직프레임 202 : 수평프레임
203 : 힌지결합부 204 : 로드연결부
210 : 흡착부재 300 : 핸들 조작부
301 : 수납함 400 : 지지부
410 : 고정 브라켓 411 : 축공
420 : 회전축 430 : 지지대
440 : 구속수단 441 : 고정홈
442 : 고정돌기 450 : 탄성수단
451 : 탄성부재 452 : 스톱퍼
S : 실린더 P : 진공발생수단
B : 컨트롤제어부

Claims (8)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흡착부재가 설치된 작동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핸들 조작부; 및
    상기 작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흡착 유닛 전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각각의 고정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 및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흡착부재가 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일측의 고정 브라켓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를 개재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누를 때 압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KR1020110101267A 2011-10-05 2011-10-05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Active KR10123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67A KR101231681B1 (ko) 2011-10-05 2011-10-05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67A KR101231681B1 (ko) 2011-10-05 2011-10-05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681B1 true KR101231681B1 (ko) 2013-02-08

Family

ID=4789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67A Active KR101231681B1 (ko) 2011-10-05 2011-10-05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998B1 (ko) 2018-10-26 2020-03-24 주식회사 디에이피 스테인리스 판 (Sus Plate) 분리 장치
CN116040444A (zh) * 2023-02-04 2023-05-02 南通力福通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悬臂起重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86Y1 (ko) * 1990-08-11 1992-10-16 성기장 진공흡착식 인양 운반장치
JPH068375U (ja) * 1992-07-08 1994-02-01 株式会社コンセック 吸着治具
JPH0947993A (ja) * 1995-08-02 1997-02-18 Kito Corp 真空リフト装置
KR200401382Y1 (ko) 2005-08-19 2005-11-16 (주)금성다이아몬드 진공흡착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86Y1 (ko) * 1990-08-11 1992-10-16 성기장 진공흡착식 인양 운반장치
JPH068375U (ja) * 1992-07-08 1994-02-01 株式会社コンセック 吸着治具
JPH0947993A (ja) * 1995-08-02 1997-02-18 Kito Corp 真空リフト装置
KR200401382Y1 (ko) 2005-08-19 2005-11-16 (주)금성다이아몬드 진공흡착기 구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998B1 (ko) 2018-10-26 2020-03-24 주식회사 디에이피 스테인리스 판 (Sus Plate) 분리 장치
CN116040444A (zh) * 2023-02-04 2023-05-02 南通力福通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悬臂起重机
CN116040444B (zh) * 2023-02-04 2024-01-05 南通力福通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悬臂起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004B1 (ko) 샌드위치판넬 전복장치를 이용한 샌드위치판넬의 적재시스템
TWI241976B (en) Substrate transporting apparatus
KR101728303B1 (ko) 배터리 외관 검사 장치
KR101438161B1 (ko) 프로브 카드 컨테이너
KR101126686B1 (ko)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KR101182142B1 (ko) 거푸집 공사용 파이프 서포트
KR102169403B1 (ko) 진공흡착장치용 진공압형성 지지장치
CN102897530B (zh) 自动夹砖装置
KR101228489B1 (ko)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KR101231681B1 (ko)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CN102717223A (zh) 一种可调式滚轮架
KR101384551B1 (ko) 무인 이송 시스템용 셔틀 틸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이송 시스템
KR101182375B1 (ko)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KR102406119B1 (ko) 어태치먼트,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장치
KR102627060B1 (ko) 진공흡착장치용 다중접착판재의 슬립방지장치
CN209670112U (zh) 一种钢结构建筑装配减震装置
KR101286727B1 (ko) 진공 리프팅 이송장치의 틸팅유닛
JPH06170751A (ja) 作業テーブル
KR101729224B1 (ko) 쿠션 기능을 가지는 진공흡착 수단이 구비된 회전 스테이지
CN104112692A (zh) 一种定位装置和定位系统
KR20160115123A (ko) 진공흡착부와 고자유도 관절을 구비한 하역장비
JP6751927B2 (ja) 運搬具
KR20150105887A (ko) 곡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KR200486499Y1 (ko) 강화 유리도어 조립장치의 유리판 지지장치
CN211366192U (zh) 一种搬运石材的设备及其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