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363B1 - Bicyle capable of being fixed handle while transforming pose thereof - Google Patents
Bicyle capable of being fixed handle while transforming pos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1363B1 KR101231363B1 KR1020100066551A KR20100066551A KR101231363B1 KR 101231363 B1 KR101231363 B1 KR 101231363B1 KR 1020100066551 A KR1020100066551 A KR 1020100066551A KR 20100066551 A KR20100066551 A KR 20100066551A KR 101231363 B1 KR101231363 B1 KR 101231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frame
- bicycle
- driving posture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가 개시된다. 메인 프레임과,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프레임과, 안장이 구비되는 선회 프레임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주행자세와 비주행자세로 전환될 수 있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상기 선회 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들 고정부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핸들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및 하부 베이스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베이스를 서로 당기는 체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상기 선회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bicycle to which a handle can be fixed. In the bicycle which can be switched between the driving frame and the non-traveling position by pivotally connecting the main frame, the handle frame for supporting the handle, and the swing frame provided with a saddle,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turning frame A handle fixing part rotatably provided to prevent the flow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fixing part clamps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Upper and lower bases respectively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clamp;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bases to pull the upper and lower bases to each other; And a fixing lever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and fixed to the handle by being coupled to the turning frame when it is turned in the turning frame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핸들이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the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the handle is fixed when switching to a non-driving posture and relates to a bicycle tha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 이동수단이다. In general, a bicycle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allows a person to move forward by turning the wheels with the force generated by pedaling with two feet.
이러한 자전거는 과거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기 전에 주요한 이동수단이었으며, 근래에는 레저문화의 활성화로 인하여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Such bicycles were a major means of transportation before automobiles were widely used in the past, and recently, interest in bicycles is increasing due to the activation of leisure culture.
따라서, 자전거 사용자는 자전거를 차량에 적재하거나, 전철을 이용하여 교외 혹은 자전거 전용도로로 이동하여 자전거를 타게 된다.Accordingly, the bicycle user may ride the bicycle by loading the bicycle in a vehicle or moving to a suburban or bicycle-only road using a train.
이때, 자전거의 크기는 자전거를 이동하는데 제약이 되므로, 자전거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세를 전환할 수 있는 자전거가 개발되었다.At this time, since the size of the bicycle is limited to moving the bicycle, a bicycle capable of changing the posture has been develop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bicycle.
즉, 자전거가 이송중인 경우에는 접어서 비주행 자세로 전환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펼쳐서 주행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icycle is being transported, it can be folded and switched to the non-driving posture, and after reaching the destination, it can be unfolded and switched to the driving posture.
이와 같이 자세를 전환할 수 있는 자전거는 통상적으로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이 관절구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Bicycles that can switch postures in this manner typicall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the frames constituting the bod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joint structur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는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경우, 핸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구비되지 않아서 핸들이 핸들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유동이 발생 됨으로써 자전거 이동시 소음 혹은 진동이 발생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icycle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tructure for fixing the handle when the bicycle is shifted to a non-driving posture, the handle is caused to flow left and right around the handle shaft, causing noise or vibration when moving the bicycle causes the failure. There is a problem.
특히, 자전거를 차량에 고정시킨 상태로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이러한 핸들의 유동은 소음과 진동을 유발시키거나,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when driving at a high speed while the bicycle is fixed to the vehicle, the flow of the handle may cause noise and vibration, or may cause a safety accident.
그리고, 핸들의 좌우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자전거를 접어서 이동하는 경우, 자전거의 후미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앞바퀴만을 지면에 접촉하고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으나, And, by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handle, when the bicycle is folded, the front wheel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lifted state of the rear of the bicycle can be moved by pushing forward,
만약 핸들이 고정되지 않고 좌우 유동이 발생한다면, 자전거의 후미를 들어올려서 전방으로 밀고 가는 경우 핸들이 좌우로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앞바퀴도 좌우로 유동함으로써 자전거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이동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f the handle is not fixed and the left and right flow occurs, the handle is swayed left and right when lifting the rear end of the bicycle and moving the front wheel accordingly. There is this.
또한, 자전거를 커버에 수납하여 이동하는 경우, 핸들의 유동으로 인하여 커버가 손상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bicycle is accommodated in the cover to m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ver may be damaged due to the flow of the hand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의 자세가 비주행 자세로 전환되는 경우, 핸들을 고정시킴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고, 이동이 편리한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by fixing the handle when the posture of the bicycle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posture, to provide a convenient bicycle It is.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프레임과, 안장이 구비되는 선회 프레임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주행자세와 비주행자세로 전환될 수 있는 자전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cycle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a driving posture and a non-driving posture by connecting the main frame, the handle frame for supporting the handle, and the pivot frame provided with a saddle pivotally,
상기 핸들에는 상기 선회 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들 고정부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The handle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handle fix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ivot frame to prevent the flow of the handle,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핸들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와;The handle fixing portion and the clamp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상기 클램프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및 하부 베이스와;Upper and lower bases respectively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clamp;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베이스를 서로 당기는 체결부재와; 그리고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bases to pull the upper and lower bases to each other; And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상기 선회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제공한다.Rotating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when the re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pivot frame provides a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lever for fixing the handle by being coupled to the pivot frame.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프레임과, 안장이 구비되는 선회 프레임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주행자세와 비주행자세로 전환될 수 있는 자전거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cycle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the driving posture and non-driving posture by connecting the main frame, the handle frame for supporting the handle, and the pivot frame provided with a saddle pivotally,
상기 자전거는 상기 뒤바퀴와, 페달과, 체인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The bicycle includes a main frame provided with the rear wheel, a pedal, and a chain;
상기 안장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1전환부와;A first switching unit provided with the saddle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o b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o be folded in the rear wheel direction;
상기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제 1전환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2전환부와;A second switching unit provided with the handle and pivotally provided at the tip of the main frame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the non-driving posture is changed;
상기 앞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전환부에 구비되어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제 3전환부; 그리고 A third shifting part including the front wheel and provided at the second shifting part to be folded in a rear wheel direction; And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전환부가 접혀질 때 상기 제 1전환부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을 고정시키는 핸들 고정부를 포함하는 자전거를 제공한다.Provided to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bicycle including a handle fixing portion which is fixed to the first swi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folded to fix the handl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오목한 형상의 고정구가 형성된 핸들 고정부가 핸들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자전거가 접혀지는 경우 상기 핸들 고정구가 안장을 지지하는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젖혀짐으로써, 선회 프레임의 외부가 고정구의 내측에 수납되도록 하여 핸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전거의 이동중 핸들의 유동으로 인한 지그재그 운행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자전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pivotally mounted to the handle is fixed to the handle fixed portion formed with a concave shape of the fixture, when the bicycle is folded, the handle fixture is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pivot frame for supporting the saddle, turning frame The outside of the fixture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xture to prevent the flow of the handle, thereby preventing the zigzag running due to the flow of the handle during the movement of the bicyc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move the bi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의 자세 전환을 위한 제 1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의 자세 전환을 위한 제 2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의 자세 전환을 위한 제 3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록킹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의 핸들 고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bicycle to which a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step for changing the posture of a bicycle to which the handle illustrated in FIG. 1 may be fixe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step for changing the posture of a bicycle to which the handle illustrated in FIG. 1 may be fixed.
4 is a view illustrating a third step for changing the attitude of a bicycle to which the handle illustrated in FIG. 1 can be fixe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the lock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fixing part of the bicycle illustrated in FIG. 1.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Hereinafter, a bi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1)는 자전거(1)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f1,f2,f3)이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핸들(9)에 핸들 고정부(7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f1,f2,f3)들이 서로 접혀져서 비주행자세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핸들 고정부(70)가 선회 프레임(f2)에 결합됨으로써 핸들(9)이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이러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f1,f2,f3)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In such a bicycle, the bicycl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frames f1, f2, f3 has the following structure.
즉, 상기 자전거(1)는 뒤바퀴(5)와, 페달(17)과, 체인(Chain;19)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f1)과;That is, the
안장(3)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f1)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계방향(a1)으로 회전하여 상기 뒤바퀴(5)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1전환부(7)와;A saddle (3) having a first switching unit (7)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f1) to be rotated clockwise (a1) and folded in the rear wheel (5) direction;
핸들(9)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제 1전환부 방향(a2)으로 접혀지는 제 2전환부(13)와;A
앞바퀴(11)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전환부(13)에 구비되어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제 3전환부(15)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그리고 상기 핸들 고정부(70)는 제 2전환부(13)의 핸들(9)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전환부(13)가 접혀질 때 상기 제 1전환부(7)의 선회 프레임(f2)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9)을 고정시킨다.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제 1전환부(7)는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안장(3)이 구비되는 선회 프레임(f2)과, 메인 프레임(f1) 및 선회 프레임(f2)을 서로 연결하여 선회 프레임(f2)이 메인 프레임(f1)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제 1링크부재(First link member;25)를 포함한다.In the bicycl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irst switching unit (7)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f1), the turning frame (f2) having a saddle (3) and the main frame (f1) And a
상기 메인 프레임(f1)은 일측에는 뒤바퀴(5)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후술하는 제 2전환부(13)의 서브 프레임(f3)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f1)은 상측으로 관체(33)가 돌출되며, 상기 관체(33)의 상부는 상기 선회 프레임(f2)의 하부와 힌지핀(Hinge Pin;P)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The main frame f1 has a
따라서, 상기 선회 프레임(f2)은 힌지핀(P)을 중심으로 시계방향(a1)을 따라 선회될 수 있다.Therefore, the pivot frame f2 may be pivoted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a1 about the hinge pin P.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 1링크부재(25)는 메인 프레임(f1)에 제 1힌지핀(First Hinge Pin;P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1링크(First Link;39)와, 선회 프레임(f2)에 제 2힌지핀(Second Hinge Pin;P2)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2링크(Second Link;43)와, 제 1 및 제 2링크(39,43)를 힌지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3힌지핀(Third Hinge Pin;P3)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제 1링크부재(25)는 선회 프레임(f2)이 시계방향(a1)을 따라 메인 프레임(f1)측으로 선회될 때, 제 1 및 선회 프레임(f1,f2)의 내측방향(a3)으로 절곡됨으로써 제 1링크부재(25)가 뒤바퀴(5)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제 2전환부(13)는 메인 프레임(f1)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프레임(Sub Frame;f3)과, 서브 프레임(f3)의 선단에 구비되며 핸들 프레임(Handel Frame;47)이 삽입되는 축관(49)과, 일측은 상기 축관(49)과 서브 프레임(f3)의 결합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전환부(7)의 힌지핀(P)에 연결되는 제 2링크부재(51)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2전환부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f3)은 일측은 메인 프레임(f1)의 타측에 제 4힌지핀(P4)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축관(49)이 연결된다.In the second switching unit having such a structure, one side of the sub frame f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f1 by a fourth hinge pin P4,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 frame f3 is connected to the
이때, 상기 축관(49)에는 핸들 프레임(47)이 결합되며, 핸들 프레임(47)의 하부에는 상기 앞바퀴(11)가 구비된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f3)은 핸들(9) 및 앞바퀴(11)를 지지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제 2링크부재(51)는 메인 프레임(f1)의 힌지핀(P)에 연결되는 제 3링크(59)와, 서브 프레임(f3)에 제 5힌지핀(P5)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4링크(61)와, 제 3 및 제 4링크(59,61)를 힌지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6힌지핀(P6)을 포함한다.The
이러한 제 2링크부재(51)는 서브 프레임(f3)이 시계방향(a2)을 따라 선회 프레임(f2)측으로 선회될 때, 선회 프레임(f2) 및 서브 프레임(f3)의 외측방향(a4)으로 절곡됨으로써 제 2링크부재(51)가 서브 프레임(f3)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그리고, 선회 프레임(f2)과 서브 프레임(f3)은 록킹부(63)에 의하여 서로 고정됨으로써 접혀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volving frame f2 and the subframe f3 are fixed to each other by the locking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f1)에는 걸림핀(65)이 구비되고 서브 프레임(f3)에는 이 걸림핀(65)이 결합되는 수납구(67)가 구비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main frame (f1) is provided with a locking
따라서, 상기 제 1전환부(7)가 접혀지고, 제 2전환부(13)가 접혀질 때,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걸림핀(65)이 서브 프레임(f3)의 수납구(67)에 걸림으로써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다시,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 고정부(70)는 핸들(9)에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선회 프레임(f2)의 외부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3, 6, and 7,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핸들 고정부(70)는 상기 핸들(9)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71)와; 상기 클램프(71)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및 하부 베이스(72a,72b)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72a,72b)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베이스(72a,72b)를 서로 당기는 체결부재(86,87)와;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86,87)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 프레임(f2)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상기 선회 프레임(f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9)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73)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핸들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71)는 원통형상을 갖음으로써 핸들(9)의 외주면을 감싼다. 그리고, 이 클램프(71)의 양단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지며, 각 단부로부터 상부 및 하부 베이스(72a,72b)가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다. In the handle fixing part having such a structure, the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72a,72b)에는 상기 체결부재(86,87)가 삽입되어 서로 당김으로써 상부 및 하부 베이스(72a,72b)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이러한 체결부재(86,87)는 상부 및 하부 베이스(72a,72b)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나사(80)와, 상기 나사(80)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레버(73)에 연결되는 헤드(76,77)와, 상기 상부 베이스(72a)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80)가 관통하며 상기 고정레버(73)의 편심캠(75)이 구름접촉하는 안착대(79)와, 상기 나사(80)의 하부에 체결되어 하부 베이스(72b)의 저면에 접촉하는 너트(82)를 포함한다.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헤드(76,77)는 고정레버(73)의 편심캠(75)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In the fastening membe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따라서, 상기 고정레버(73)가 핸들(9)을 중심으로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헤드(76,77)는 같이 회전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심캠(75)의 회전에 의한 상하운동만을 한다.Therefore, even if the fixing
상기 안착대(79)는 상부 베이스(72a)의 상면에 안착되며 그 상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78)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탄성부재(78)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레버(73)의 편심캠(75)이 구름접촉된다.The
따라서, 상기 고정레버(73)가 핸들(9)을 중심으로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편심캠(75)이 탄성부재(78)의 상면에 구름접촉함으로써 소음 혹은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xing
상기 너트(82)는 나사(80)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부 베이스(72b)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이다.The
그리고, 이 너트(82)가 조여지거나 해제됨으로써 나사(8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상부 베이스(72a)와 하부 베이스(72b)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혀지게 된다.As the
결국, 이 너트(82)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클램프(71)의 직경도 조절될 수 있어서, 상기 클램프(71)는 다양한 직경의 핸들(9)에 결합가능하다.As a result, the diameter of the
한편, 상기 고정레버(73)는 플레이트(88)와, 플레이트(88)의 일측에 돌출되며 한 쌍의 체결부재(86,87)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브래킷(84,85)과, 한 쌍의 브래킷(84,85)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대(79)에 구름접촉하는 편심캠(75)과, 상기 플레이트(88)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선회 프레임(f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고정구(7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정레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84,85)은 각각 그 선단에 한 쌍의 편심캠(75)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편심캠(75)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캠면(89)이 형성된다.In the fixed leve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pair of
이때, 상기 편심캠(75)의 직경(D), 즉 캠면(89)의 중심점과 헤드(76,77)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거리는 캠면(89)의 위치에 따라 변동된다. 즉, 상기 편심캠(75)의 직경(D)은 플레이트(88)의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88)의 중심선과 수직을 이루는 지점으로 갈수록 증가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D) of the
그리고 한 쌍의 편심캠(75)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부재(86,87)의 헤드(76,77)가 선회가능하게 삽입된다.The
이때, 상기 헤드(76,77)는 한 쌍의 편심캠(75)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로대(76)와, 상기 가로대(76)로부터 돌출되어 나사(80)에 연결되는 세로대(77)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head (76,77) is a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88)를 선회 프레임(f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편심캠(75)의 캠면(89)이 안착대(79)의 상면에 구름접촉을 하게 되고, 플레이트(8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편심캠(75)이 안착대(79)를 누르는 강도도 점점 증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결국, 상기 플레이트(88)가 선회 프레임(f2) 방향으로 완전히 젖혀져서 상기 고정구(74)가 선회 프레임(f2)에 결합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편심캠(75)이 안착대(79)를 누르는 힘이 가장 큰 상태가 됨으로써 플레이트(88)는 젖혀져서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상기 고정구(74)는 플레이트(88)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오목한 홈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 고정구(74)의 곡률은 상기 선회 프레임(f2)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하다.The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88)를 선회 프레임(f2) 방향으로 젖히는 경우, 상기 고정구(74)가 선회 프레임(f2)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핸들(9)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 제 3전환부(15)는 제 2 전환부(13)의 핸들 프레임(47)의 하부에 구비되어 뒤바퀴(5)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제 3전환부(15)는 상기 핸들 프레임(47)의 하부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상부 경사판(90)과, 상기 상부 경사판(90)의 하부에 힌지축(h)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선회가능하며, 하부에는 앞바퀴(11)를 고정시키는 포크(72)가 연결되는 하부 경사판(92)을 포함한다.The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3전환부(15)는 상기 앞바퀴(11)가 뒤방향으로 젖혀짐으로써 제 1전환부(7)와 제 2전환부(13)와 겹쳐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하부에는 받침대(100)가 구비된다. 이 받침대(100)는 하부로 돌출되며 밑변이 수평형상인 사각 고리형상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자전거(1)를 비주행 자세로 전환 한 후, 지면에 세울 때, 이 받침대(100)를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자전거(1)는 비주행 자세에서도 세울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핸들 고정과정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Hereinafter, the handle fixing process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자전거(1)의 핸들(9)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자전거(1)의 자세를 전환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first, the attitude of the
즉, 자전거(1)의 자세를 주행자세에서 비주행 자세로 전환하는 경우, 제 1전환부(7)의 선회 프레임(f2)을 힌지핀(P)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That is, when the posture of the
상기 선회 프레임(f2)이 시계 방향(뒤바퀴 방향;a1)으로 회전하면, 제 1링크부재(25)의 제 1링크(39)와 제 2링크(43)가 내측방향(a3)으로 절곡된다.When the pivot frame f2 rotates clockwise (rear wheel direction; a1), the
그리고, 제 2전환부(13)의 서브 프레임(f3)을 제 4힌지핀(P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a2)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서브 프레임(f3)이 제 1전환부(7) 방향으로 접근함에 따라 제 2링크부재(51)가 외측방향(a4)으로 절곡된다.Then, the subframe f3 of the
상기 제 2링크부재(51)가 절곡됨에 따라 제 4링크(61)가 제 3링크(59)의 상부에 포개짐으로써 서브 프레임(f3)과 선회 프레임(f2)의 사이 간격이 최소화된다.As the
그리고, 서브 프레임(f3)이 시계방향(a2)으로 회전하여 선회 프레임(f2)에 접근함에 따라 서브 프레임(f3)의 걸림핀(67)도 메인 프레임(f1)의 수납구(65)에 접근하여 결합될 수 있다.As the subframe f3 rotates clockwise a2 to approach the turning frame f2, the locking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전환부(7,13)가 걸림핀(67)과 수납구(65)의 결합에 의하여 비주행 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nd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전환부(7,13)가 접혀진 후, 제 3전환부(15)를 접게 되며, 제 3전환부(15)는 후미의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접혀진다.As such, after the first and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전환부(7,13,15)를 모두 접은 후, 핸들 고정부(70)에 의하여 핸들(9)이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러한 핸들(9)의 고정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레이트(88)를 선회 프레임(f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편심캠(75)의 캠면(89)이 안착대(79)의 상면에 구름접촉을 한다.The fixing process of the
그리고, 플레이트(8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편심캠(75)이 안착대(79)의 상부를 누르는 강도도 점점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결국, 상기 플레이트(88)가 완전히 젖혀져서 고정구(74)가 선회 프레임(f2)에 결합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편심캠(75)이 안착대(79)를 누르는 힘이 가장 큰 상태가 됨으로써 플레이트(88)는 젖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이때, 상기 고정구(74)의 오목한 홈에 선회 프레임(f2)의 외주면이 수납되어 접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volving frame f2 is accommodated in a concave groove of the
따라서, 핸들(9)이 핸들 고정구(74)에 의하여 선회 프레임(f2)에 고정됨으로써 핸들(9)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이와 같이 핸들(9)의 좌우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자세가 전환된 자전거(1)를 이동시키는 경우, 자전거(1)의 후미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앞바퀴만(11)을 지면에 접촉하고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As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만약, 핸들(9)이 고정되지 않고 좌우 유동이 발생한다면, 본 발명과 같이 자전거(1)의 후미를 들어올려서 전방으로 밀고 가는 경우 핸들(9)이 좌우로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앞바퀴(11)도 좌우도 유동함으로써 자전거(1)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이동이 매우 불편할 수 있다.If the
1: 자전거 3: 안장
5: 뒤바퀴 7: 제 1전환부
13: 제 2전환부 15: 제 3전환부
25: 제 1링크부재 51: 제 2링크부재
70: 핸들 고정부 71:클램프
73: 플레이트 74: 고정구1: bicycle 3: saddle
5: rear wheel 7: first transition
13: second switching unit 15: third switching unit
25: first link member 51: second link member
70: handle fixing part 71: clamp
73: plate 74: fixture
Claims (7)
상기 핸들에는 상기 선회 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들 고정부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핸들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및 하부 베이스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베이스를 서로 당기는 체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상기 선회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행 자세전환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In the bicycle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the driving posture and non-driving posture by connecting the main frame, the handle frame for supporting the handle, and the pivot frame provided with a saddle pivotally,
The handle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handle fix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ivot frame to prevent the flow of the handle,
The handle fixing portion and the clamp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Upper and lower bases respectively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clamp;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bases to pull the upper and lower bases to each other; And
The handl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the handle is fixed when the non-driving posture switc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lever that can be fixed to the pivot frame by being coupled to the pivot frame when it is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pivot frame Can be a bicycle.
상기 자전거는 뒷바퀴와, 페달과, 체인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안장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1전환부와;
상기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비주행 자세 전환시 상기 제 1전환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제 2전환부와;
앞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전환부에 구비되어 뒤바퀴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제 3전환부; 그리고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전환부가 접혀질 때 상기 제 1전환부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을 고정시키는 핸들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전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뒤바퀴 방향으로 회전되는 선회 프레임;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선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1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전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주행 자세로 전환시 상기 선회 프레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에 적첩되는 서브 프레임;
일측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주행 자세 시에는 펼쳐져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며, 비 주행 자세 시에는 접혀지는 제 2링크부재;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된 축관을 통하여 삽입되며, 핸들이 구비되는 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고정부는 상기 핸들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양단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및 하부 베이스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젖혀지는 경우 상기 선회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행 자세전환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In the bicycle that the handle can be fixed when switching the non-driving posture by allowing the main frame, the handle frame for supporting the handle, and the turning frame provided with a saddle so that it can be switched to the driving posture and non-driving posture ,
The bicycle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rear wheel, a pedal, and a chain;
A first switching unit provided with the saddle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o b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o be folded in the rear wheel direction;
A second switching unit provided with the handle and pivotally provided at the tip of the main frame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the non-driving posture is changed;
A third shifting part including a front wheel and provided at the second shifting part and folded in a rear wheel direction; And
A handle fixing part provided on the handle and fix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to fix the handle when the second switching part is folded,
The first switching uni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the rotation frame is rotated in the rear wheel direction when switching to a non-driving postur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ivot frame to support the pivot frame is expanded in the running posture, and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that is folded in the non-traveling posture,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the sub-frame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ivot frame when the switch to the non-driving posture overlapping the pivot frame;
A second link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ub fram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ivot frame to be unfolded during the driving posture to support the subframe and to be folded during the non-driving posture; And
It is inserted through the shaft pip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ub-frame, comprising a handle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The handle fixing portion and the clamp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Upper and lower bases respectively protruding laterally from both ends of the clamp;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bases; And
The bicycle can be fixed to the handle when the non-driving posture switc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and is fixed to the pivot frame by being coupled to the pivot frame when it is folded.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나사와, 상기 나사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레버에 연결되는 헤드와, 상기 상부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가 관통하며 상기 고정레버의 편심캠이 구름접촉하는 안착대와, 상기 나사의 하부에 체결되어 하부 베이스의 저면에 접촉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행 자세전환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screw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bases, a head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crew and connected to the fixing lever, an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se to allow the screw to penetrate the fixing lever. The bicycle can be fixed to the handle when the non-driving pos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ccentric cam comprises a seat for the rolling contact, and the nut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w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ase.
상기 고정레버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며 한 쌍의 체결부재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브래킷에 일체로 형성되는 편심캠과,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선회 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행 자세전환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fixing lever is a plate, a pair of brackets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plat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pair of fastening members, an eccentric c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ir of brackets, and the other side of the plate. The bicycle can be fixed to the handle when the non-driving posture switc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er is formed in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6551A KR101231363B1 (en) | 2010-07-09 | 2010-07-09 | Bicyle capable of being fixed handle while transforming pos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6551A KR101231363B1 (en) | 2010-07-09 | 2010-07-09 | Bicyle capable of being fixed handle while transforming pose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866A KR20120005866A (en) | 2012-01-17 |
KR101231363B1 true KR101231363B1 (en) | 2013-02-15 |
Family
ID=4561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65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1363B1 (en) | 2010-07-09 | 2010-07-09 | Bicyle capable of being fixed handle while transforming pose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136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29027A (en) * | 2013-06-19 | 2014-12-24 |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 6-inch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
CN104276242B (en) * | 2014-09-26 | 2017-04-05 | 深圳市随行科技有限公司 | Steering and folded bicy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05471A (en) * | 1993-04-27 | 1994-11-01 | Sanyo Electric Co Ltd | Two-wheel skate |
KR200306845Y1 (en) | 2002-06-24 | 2003-03-10 | 차기영 | Handle assembly of boarding objects |
KR20040032042A (en) * | 2002-10-08 | 2004-04-14 |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스오토 | Collapsible bicycle |
KR200400672Y1 (en) | 2005-08-23 | 2005-11-08 | 서달원 | Portable bicycle |
-
2010
- 2010-07-09 KR KR1020100066551A patent/KR1012313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05471A (en) * | 1993-04-27 | 1994-11-01 | Sanyo Electric Co Ltd | Two-wheel skate |
KR200306845Y1 (en) | 2002-06-24 | 2003-03-10 | 차기영 | Handle assembly of boarding objects |
KR20040032042A (en) * | 2002-10-08 | 2004-04-14 |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스오토 | Collapsible bicycle |
KR200400672Y1 (en) | 2005-08-23 | 2005-11-08 | 서달원 | Portable bicy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866A (en) | 2012-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20927B2 (en) | Collapsible recumbent tricycle | |
US7367576B2 (en) | Foldable bicycle | |
US6533310B2 (en) | Collapsible stroller | |
US6497426B2 (en) | Convertible bicycle | |
KR101660466B1 (en) |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 |
US20010004150A1 (en) | Folding bicycle | |
US9266579B2 (en) |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 |
US6712375B2 (en) | Stretchable bicycle | |
US20090289434A1 (en) | Folding bicycle | |
TW200410861A (en) | Folding bicycle | |
US20050001404A1 (en) | Folding bicycle apparatus and method | |
CN112158287A (en) | Electric scooter | |
KR101231363B1 (en) | Bicyle capable of being fixed handle while transforming pose thereof | |
EP1352821B1 (en) | Stretchable bicycle | |
US6585278B1 (en) | Recumbent bicycle with concentric mid-drive and pivot | |
KR20160100898A (en) |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 |
KR20160100899A (en) |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 |
KR100920263B1 (en) | Folding bicycle | |
CN204056145U (en) | A kind of folding bicycle | |
CN108622284B (en) | One-key folding transportation scooter | |
CN104210598A (en) | Foldable bicycle | |
KR101231272B1 (en) | Bicyle capable of transforming pose | |
US20170267307A1 (en) | Folding Fender | |
JP2003506253A (en) | Folding bike frame | |
RU2243124C2 (en) | Folding velo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