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1197B1 - 고분자 스텐트 - Google Patents

고분자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197B1
KR101231197B1 KR1020120104473A KR20120104473A KR101231197B1 KR 101231197 B1 KR101231197 B1 KR 101231197B1 KR 1020120104473 A KR1020120104473 A KR 1020120104473A KR 20120104473 A KR20120104473 A KR 20120104473A KR 101231197 B1 KR101231197 B1 KR 10123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ortion
repeating unit
polymer
stent
lin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김소정
신일균
조정애
Original Assignee
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197B1/ko
Priority to JP2013112623A priority patent/JP2014061261A/ja
Priority to US13/929,237 priority patent/US20140081381A1/en
Priority to EP13185218.8A priority patent/EP2710983B1/en
Priority to US14/626,481 priority patent/US10010436B2/en
Priority to US15/435,844 priority patent/US10004619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33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phase between adjacent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s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7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혈관 내에 이식되며 고분자로 구성된 관내인공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스텐트{Polymeric stent}
본 발명은 고분자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혈관 내에 이식되며 고분자로 구성된 관내인공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확장 가능한 의료용 인공삽입물(expandable medical prostheses)이며, 다양한 의료용도를 위해 사람의 체관(body vessels) 내에서 사용된다.
그 예로는 협착증 (stenoses) 치료용 혈관내 스텐트 (intravascular stents), 비뇨기 (urinary), 담즙 (biliary), 기관기관지(tracheobronchial), 식도 (oesophageal), 신장 (renal)의 관 (tract)들 및 하대정맥 (inferior vena cava)의 개구부를 유지하기 위한 스텐트들이 있다.
통상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스텐트를 유지하는 수송 장치를 사용하여 스텐트를 체관을 통하여 치료 위치로 수송한다.
경피경관 혈관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에서, 이식 가능한 관내인공삽입물(endoprosthesis) 즉, 스텐트는 작은 경피 천자 (percutaneous puncture) 위치로 기로 또는 포트 (port) 등의 수송 장치를 통하여 도입되고, 다양한 체관을 통하여 치료 위치로 전해진다. 상기 스텐트가 상기 치료 위치에 자리잡은 후, 상기 수송 장치는 상기 스텐트를 방출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스텐트는 통상 팽창성 풍선 (inflatable balloon)의 도움으로, 기계적으로 팽창되어서 상기 체관 내부에서 팽창된다. 이후 상기 수송 장치는 상기 스텐트로부터 분리되고 환자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스텐트는 이식물으로서 상기 치료 위치의 관 내부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고분자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혈관 내에 이식되며 고분자로 구성된 관내인공삽입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로서, 상기 단위셀의 내측으로 꺾인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단위셀의 외측으로 꺾인 제2 힌지부가 구비되는 단위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꺾임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단위들은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로서, 상기 단위셀의 내측으로 꺾인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단위셀의 외측으로 꺾인 제2 힌지부가 구비되는 단위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꺾임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단위들이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반복단위들을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스텐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기계적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스트러트의 두께가 얇아 체관에 삽입 시 다루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혈관에 이식 시 저항에 의한 형태의 뒤틀림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확장 시 패턴이 서로 엉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상대적으로 스트러트의 두께가 얇아 유연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를 (a) 축소(crimping)하는 경우 또는 (b) 확장(expanding)하는 경우, 각각의 상태에서,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의 제2 힌지부의 내각에 따른 단위셀의 모양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의 스트러트의 두께에 따른 패턴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로서, 상기 단위셀의 내측으로 꺾인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단위셀의 외측으로 꺾인 제2 힌지부가 구비되는 단위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꺾임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반복단위들은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의 고분자 스텐트는 3개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단위들은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또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상기 반복단위를 1 이상 연속하여 배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4 ~ 15개의 반복단위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본 발명의 반복단위가 반복되어 제조된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연결되어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1개 이상의 단위셀이 나란히 연속하여 배치되는 라인과 상기 반복단위 중 1개 이상의 링커부가 이격하여 배치되는 라인이 형성된다.
이때, 단위셀의 라인을 (가)열로 정의하고, 링커부의 라인을 (나)열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일측 방향 및 상기 일측 방향에 수직인 타측 방향으로 본 발명의 반복단위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링커부의 라인인 (나)열도 폐쇄된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일측 방향 및 상기 일측 방향에 수직인 타측 방향으로 본 발명의 반복단위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링커부의 라인인 (나)열은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a)와 타측 단부(b)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나)열의 양 단부의 열린 도형이 서로 연결되어 폐쇄된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a)와 타측 단부(b)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나)열의 양 단부의 열린 도형이 서로 연결되어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의 반복단위에서, 링커부의 길이는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제1 힌지부의 꺾임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은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링커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의 높이는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의 반복단위에서, 링커부의 길이는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제1 힌지부의 꺾임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은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링커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의 높이는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하나의 반복단위의 모서리 및 단부는 다른 단위셀의 모서리 및 단부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반복단위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기 때문에 동일한 두께의 스트러트로 형성된 고분자 스텐트보다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는 고분자 스텐트에서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는 고분자 스텐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는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동일한 두께에서, 고분자 스텐트는 금속 스텐트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낮기 때문에, 고분자 스텐트의 스트러트는 금속 스텐트의 스트러트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제조하게 된다.
고분자 스텐트 중에서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는 고분자 스텐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스트러트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얇은 스트러트로 일정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상대적으로 얇은 스트러트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 스텐트의 유연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스트러트의 두께를 얇게 제조할수록, 반복단위의 크기를 작게 하여 동일 면적 당 반복단위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고분자 스텐트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혈관에 이식된 후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는 혈관 내 혈류를 방해할 수 있고, 혈종 등을 형성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서리는 하나의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단부와 꺾임부,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꺾임부 및 링커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제2 힌지부의 내각은 10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제2 힌지부의 내각은 90 ~ 16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은 0.1 ~ 45 mm2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0.13 ~ 44.38 mm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사각형은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반복단위는 상기 단위셀의 V자 폐쇄도형을 이루는 선인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를 이루는 선인 링커부의 스트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반복단위는 상기 단위셀의 V자 폐쇄도형을 이루는 선인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를 이루는 선인 링커부의 스트러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스텐트 내에서,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면적은 5 ~ 46 %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면적은 15 ~ 40 %일 수 있으며, 25 ~ 35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은 하나의 단위셀과 이의 링커부가 차지하는 영역의 넓이를 의미하며, 하나의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면적은 각 스트러트의 라인이 차지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두께는 80 ~ 160 μm일 수 있다.
이때 스트러트의 두께는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스트러트의 선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은 2 ~ 8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축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은 상기 단면의 중심을 지나도록 단면 위의 두점을 이은 선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은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고분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d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폴리디옥산원(poly 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s), 폴리프로필렌푸마레이트(polypropylene fumarate), 폴리올소에스테르(polyortho esters), 폴리에스테르(other polyester),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포스파젠 (polyphosphazenes),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포록자머(poloxamers), 그리고 폴리아미노티로신(polyamino L-tyrosine)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사카라이드 계열(modified polysaccharrides), 산화셀룰로오즈(oxidized cellulose), 젤라틴(gelatin), 그리고 콜라겐(collagen) 중에서 선택된 하나 물질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팽창성 의료용 보철물로서, 다양한 의료용도를 위해 사람의 체관 내에 이식되어 체관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협착증 (stenoses) 치료용 혈관내 스텐트 (intravascular stents), 비뇨기 (urinary), 담즙 (biliary), 기관기관지(tracheobronchial), 식도 (oesophageal), 신장 (renal)의 관 (tract)들 및 하대정맥 (inferior vena cava)의 개구부를 유지하기 위한 스텐트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수송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체관을 통하여 치료 위치로 전해진다. 상기 스텐트가 치료 위치에 자리잡은 후, 수송 장치는 상기 스텐트를 방출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스텐트는 통상 팽창성 풍선 (inflatable balloon)의 도움으로, 상기 체관 내부에서 기계적으로 팽창된다. 이후 상기 수송 장치는 스텐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스텐트는 이식물으로서 상기 치료 위치의 체관 내부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혈관에 이식 시 저항에 의한 형태의 뒤틀림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확장 시 패턴이 서로 엉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가 생분해성 고분자로 제조된 경우에는 치료 위치의 체관 내부에 존재하다가 일정시간이 지난 뒤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없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가 분해되는 시간은 약 2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상기 반복단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고분자 튜브를 가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튜브의 옆면에 본 발명의 반복단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로서, 상기 단위셀의 내측으로 꺾인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단위셀의 외측으로 꺾인 제2 힌지부가 구비되는 단위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꺾임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단위들이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반복단위들을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스텐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는 고분자 튜브의 옆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튜브는 축방향의 길이가 긴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를 (a) 축소(crimping)하는 경우 또는 (b) 확장(expanding)하는 경우, 각각의 상태에서,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의 제2 힌지부의 내각에 따른 단위셀의 모양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의 스트러트의 두께에 따른 패턴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110)로서, 상기 단위셀의 내측으로 꺾인 제1 힌지부(200)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단위셀의 외측으로 꺾인 제2 힌지부(250)가 구비되는 단위셀(110);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꺾임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커부(130)를 포함하는 반복단위(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복단위(300)들은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의 고분자 스텐트는 3개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단위들은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또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복단위(300)를 1 이상 연속하여 배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4 ~ 15개의 반복단위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복단위(300)가 반복되어 제조된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a)와 타측 단부(b)가 연결되어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위셀의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셀의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된 라인을 (가)열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상기 단위셀의 배치에 따라 형성된 링커부(130)의 라인을 (나)열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 및 상기 일측 방향에 수직인 타측 방향으로 본 발명의 반복단위(300)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링커부의 라인인 (나)열도 폐쇄된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 및 상기 일측 방향에 수직인 타측 방향으로 본 발명의 반복단위(300)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링커부의 라인인 (나)열은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a)와 타측 단부(b)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나)열의 양 단부의 열린 도형이 서로 연결되어 폐쇄된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a)와 타측 단부(b)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나)열의 양 단부의 열린 도형이 서로 연결되어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의 반복단위(300)에서, 링커부(130)의 길이는 제1 힌지부(200)의 꺾임부와 제1 힌지부(250)의 꺾임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은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링커부(130)의 길이방향으로,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의 높이는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의 반복단위(300)에서, 링커부(130)의 길이는 제1 힌지부(200)의 꺾임부와 제1 힌지부(250)의 꺾임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은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링커부(130)의 길이방향으로, (가)열의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의 높이는 링커부에 의해 형성된 (나)열의 V자 형태의 폐쇄도형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복단위(300)의 모서리 및 단부는 다른 단위셀의 모서리 및 단부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반복단위(300)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기 때문에 동일한 두께의 스트러트로 형성된 고분자 스텐트보다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는 고분자 스텐트에서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는 고분자 스텐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는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동일한 두께에서, 고분자 스텐트는 금속 스텐트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낮기 때문에, 고분자 스텐트의 스트러트는 금속 스텐트의 스트러트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제조하게 된다.
고분자 스텐트 중에서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는 고분자 스텐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스트러트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얇은 스트러트로 일정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상대적으로 얇은 스트러트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 스텐트의 유연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스트러트의 두께를 얇게 제조할수록, 반복단위의 크기를 작게 하여 동일 면적 당 반복단위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고분자 스텐트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혈관에 이식된 후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는 혈관 내 혈류를 방해할 수 있고, 혈종 등을 형성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는 연결되지 않은 모서리 또는 단부가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서리는 하나의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단부와 꺾임부,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꺾임부 및 링커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제2 힌지부의 내각(400)은 10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제2 힌지부의 내각(400)은 90 ~ 160 °이상일 수 있다.
도 4에는 (a) 상기 제2 힌지부의 내각(400)이 90 °인 경우의 단위셀의 형태와 (b) 상기 제2 힌지부의 내각(400)이 160 °인 경우의 단위셀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은 0.1 ~ 45 mm2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0.13 ~ 44.38 mm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사각형의 면적은, 하나의 단위셀과 이의 링커부가 차지하는 영역의 넓이를 의미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단위셀과 이의 링커부가 차지하는 영역인 사각형의 넓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반복단위(300)는 상기 단위셀의 V자 폐쇄도형을 이루는 선인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를 이루는 선인 링커부의 스트러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스텐트 내에서,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면적은 5 ~ 46 %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면적은 15 ~ 40 %일 수 있으며, 25 ~ 35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사각형의 면적은, 하나의 단위셀(110)과 이의 링커부(130)가 차지하는 영역의 넓이를 의미하며, 하나의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면적은 각 스트러트의 라인이 차지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두께는 80 ~ 160 μm일 수 있다.
이때 스트러트의 두께는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스트러트의 선폭을 의미한다.
도 5에는 (a) 단위셀(110) 및 링커부(130)의 두께가 80 μm인 경우의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과 (b) 단위셀(110) 및 링커부(130)의 두께가 120μm인 경우의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은 2 ~ 8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축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은 상기 단면의 중심을 지나도록 단면 위의 두점을 이은 선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은 도 1에서 고분자 스텐트의 패턴의 일측 단부(a)와 타측 단부(b)가 연결되어 형성된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고분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d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폴리디옥산원(poly p-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s), 폴리프로필렌푸마레이트(polypropylene fumarate), 폴리올소에스테르(polyortho esters), 폴리에스테르(other polyester),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포스파젠 (polyphosphazenes),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포록자머(poloxamers), 그리고 폴리아미노티로신(polyamino L-tyrosine)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사카라이드 계열(modified polysaccharrides), 산화셀룰로오즈(oxidized cellulose), 젤라틴(gelatin), 그리고 콜라겐(collagen) 중에서 선택된 하나 물질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팽창성 의료용 보철물로서, 다양한 의료용도를 위해 사람의 체관 내에 이식되어 체관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협착증 (stenoses) 치료용 혈관내 스텐트 (intravascular stents), 비뇨기 (urinary), 담즙 (biliary), 기관기관지(tracheobronchial), 식도 (oesophageal), 신장 (renal)의 관 (tract)들 및 하대정맥 (inferior vena cava)의 개구부를 유지하기 위한 스텐트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수송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체관을 통하여 치료 위치로 전해진다. 상기 스텐트가 치료 위치에 자리잡은 후, 수송 장치는 상기 스텐트를 방출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스텐트는 통상 팽창성 풍선 (inflatable balloon)의 도움으로, 상기 체관 내부에서 기계적으로 팽창된다. 이후 상기 수송 장치는 스텐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스텐트는 이식물으로서 상기 치료 위치의 체관 내부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혈관에 이식 시 저항에 의한 형태의 뒤틀림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는 확장 시 패턴이 서로 엉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가 생분해성 고분자로 제조된 경우에는 치료 위치의 체관 내부에 존재하다가 일정시간이 지난 뒤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없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가 분해되는 시간은 약 2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 스텐트에서, 상기 반복단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고분자 튜브를 가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튜브의 옆면에 본 발명의 반복단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및 그 치환 및 변경을 포함하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에서, 직경의 길이, 원주 내의 패턴의 개수 및 스트러트의 두께를 변경하였을 때, 제2 힌지부의 내각, 반복단위의 면적 및 반복단위의 면적을 기준으로 스트러트의 면적비율의 변화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76314176-pat00001
본 발명의 고분자 스텐트에서, 직경의 길이, 원주 내의 패턴의 개수 및 스트러트의 두께를 변경하였을 때, 단위셀의 형태의 변화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76314176-pat00002
110: 단위셀 130: 링커부
150: 링커부의 단부
200: 제1 힌지부 210: 제1 힌지부의 단부
220: 제1 힌지부의 꺾임부
250: 제2 힌지부 260: 제2 힌지부의 단부
270: 제2 힌지부의 꺾임부
300: 반복단위
400: 제2 힌지부의 내각

Claims (15)

  1.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로서, 상기 단위셀의 내측으로 꺾인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단위셀의 외측으로 꺾인 제2 힌지부가 구비되는 단위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꺾임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단위들은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는 3개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단위들은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또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에서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모든 모서리 및 단부는 인접하는 다른 반복단위의 모서리 및 단부에 연결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4 ~ 15개의 반복단위가 배치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의 내각은 100 °이상인 고분자 스텐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에서,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은 0.1 ~ 45 mm2인 고분자 스텐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는 상기 단위셀의 V자 폐쇄도형을 이루는 선인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를 이루는 선인 링커부의 스트러트를 포함하는 고분자 스텐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의 양 단부, 상기 제2 힌지부의 양 단부 및 상기 링커부의 단부를 지나는 직사각형의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면적은 5 ~ 46 %인 고분자 스텐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의 스트러트와 상기 링커부의 스트러트의 두께는 80 ~ 160 μm인 고분자 스텐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가 튜브형일 때, 상기 고분자 스텐트의 직경은 2 ~ 8 mm인 고분자 스텐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스텐트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고분자 튜브를 가공해서 형성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
  13. V자 폐쇄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셀로서, 상기 단위셀의 내측으로 꺾인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단위셀의 외측으로 꺾인 제2 힌지부가 구비되는 단위셀; 및 상기 제2 힌지부의 꺾임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단위들이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링커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꺾임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반복단위의 제1 힌지부의 단부 및 제2 힌지부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반복단위들을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스텐트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는 고분자 튜브의 옆면에 형성되는 것인 고분자 스텐트의 제조방법.
KR1020120104473A 2012-09-20 2012-09-20 고분자 스텐트 Active KR10123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73A KR101231197B1 (ko) 2012-09-20 2012-09-20 고분자 스텐트
JP2013112623A JP2014061261A (ja) 2012-09-20 2013-05-29 高分子ステント{Polymericstent}
US13/929,237 US20140081381A1 (en) 2012-09-20 2013-06-27 Polymeric stent
EP13185218.8A EP2710983B1 (en) 2012-09-20 2013-09-19 Polymeric stent
US14/626,481 US10010436B2 (en) 2012-09-20 2015-02-19 Polymeric sten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435,844 US10004619B2 (en) 2012-09-20 2017-02-17 Polymeric sten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73A KR101231197B1 (ko) 2012-09-20 2012-09-20 고분자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197B1 true KR101231197B1 (ko) 2013-02-07

Family

ID=4789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473A Active KR101231197B1 (ko) 2012-09-20 2012-09-20 고분자 스텐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81381A1 (ko)
EP (1) EP2710983B1 (ko)
JP (1) JP2014061261A (ko)
KR (1) KR10123119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7311A (ja) * 2013-03-12 2016-06-16 マイセ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体吸収性バイオメディカルインプラント
KR101814914B1 (ko) 2016-04-26 2018-01-08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KR101814915B1 (ko) * 2016-04-26 2018-01-08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US9981072B2 (en) 2009-04-01 2018-05-29 Micell Technologies, Inc. Coated stents
US9981071B2 (en) 2008-07-17 2018-05-29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10117972B2 (en) 2011-07-15 2018-11-06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10188772B2 (en) 2011-10-18 2019-01-29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10232092B2 (en) 2010-04-22 2019-03-19 Micell Technologies, Inc. Stents and other devices having extracellular matrix coating
US10272606B2 (en) 2013-05-15 2019-04-30 Micell Technologies, Inc. Bioabsorbable biomedical implants
US10350391B2 (en) 2008-07-17 2019-07-16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10350333B2 (en) 2008-04-17 2019-07-16 Micell Technologies, Inc. Stents having bioabsorable layers
US10835396B2 (en) 2005-07-15 2020-11-17 Micell Technologies, Inc. Stent with polymer coating containing amorphous rapamycin
US11369498B2 (en) 2010-02-02 2022-06-28 MT Acquisition Holdings LLC Stent and stent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deliverability
US11904118B2 (en) 2010-07-16 2024-02-20 Micell Medtech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4930B2 (en) 2007-01-19 2014-08-26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i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US9730819B2 (en) 2014-08-15 2017-08-15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of their fabrication
US9855156B2 (en) * 2014-08-15 2018-01-02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of their fabrication
WO2017200956A1 (en) 2016-05-16 2017-11-23 Elixir Medical Corporation Uncaging stent
US11622872B2 (en) 2016-05-16 2023-04-11 Elixir Medical Corporation Uncaging stent
USD854172S1 (en) * 2016-12-31 2019-07-16 Woori Material Inc. Cast
ES2755223R2 (es) * 2018-06-26 2020-06-17 Servicio Andaluz De Salud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l aneurisma de aor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2350A1 (en) 2008-01-24 2009-11-26 Medtronic, Inc. Stents for Prosthetic Heart Valv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1945A1 (en) * 1994-05-19 1995-11-30 Scimed Life Systems, Inc. Improved tissue supporting devices
CA2175720C (en) * 1996-05-03 2011-11-29 Ian M. Penn Bifurcated sten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and delivery of same
DK171865B1 (da) * 1995-09-11 1997-07-21 Cook William Europ Ekspanderbar endovasculær stent
US6245103B1 (en) * 1997-08-01 2001-06-12 Schneider (Usa) Inc Bioabsorbable self-expanding stent
US7351255B2 (en) * 2001-12-03 2008-04-01 Xtent, Inc. Sten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DE102004012981B4 (de) * 2004-03-16 2009-01-02 Alveolus Inc. Stent
EP1600121B1 (en) * 2004-05-25 2007-07-18 William Cook Europe ApS Stent and stent retrieval system
CA2626805C (en) * 2005-11-15 2016-05-17 Orbusneich Medical, Inc. Progenitor endothelial cell capturing with a drug eluting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8182890B2 (en) * 2007-01-19 2012-05-22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US8303644B2 (en) * 2007-05-04 2012-11-06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s with high radial strength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20100244334A1 (en) * 2009-03-24 2010-09-30 Contiliano Joseph H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ic stent having a circumferential ring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2350A1 (en) 2008-01-24 2009-11-26 Medtronic, Inc. Stents for Prosthetic Heart Valve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Intervention 2009 (5) 394-399 *
MEDGADGET 2008.10.03 *
웹페이지 (Ahiim.com) *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5396B2 (en) 2005-07-15 2020-11-17 Micell Technologies, Inc. Stent with polymer coating containing amorphous rapamycin
US10350333B2 (en) 2008-04-17 2019-07-16 Micell Technologies, Inc. Stents having bioabsorable layers
US10350391B2 (en) 2008-07-17 2019-07-16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9981071B2 (en) 2008-07-17 2018-05-29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9981072B2 (en) 2009-04-01 2018-05-29 Micell Technologies, Inc. Coated stents
US10653820B2 (en) 2009-04-01 2020-05-19 Micell Technologies, Inc. Coated stents
US11369498B2 (en) 2010-02-02 2022-06-28 MT Acquisition Holdings LLC Stent and stent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deliverability
US10232092B2 (en) 2010-04-22 2019-03-19 Micell Technologies, Inc. Stents and other devices having extracellular matrix coating
US11904118B2 (en) 2010-07-16 2024-02-20 Micell Medtech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10729819B2 (en) 2011-07-15 2020-08-04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10117972B2 (en) 2011-07-15 2018-11-06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US10188772B2 (en) 2011-10-18 2019-01-29 Micel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JP2016517311A (ja) * 2013-03-12 2016-06-16 マイセ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体吸収性バイオメディカルインプラント
US11039943B2 (en) 2013-03-12 2021-06-22 Micell Technologies, Inc. Bioabsorbable biomedical implants
US10272606B2 (en) 2013-05-15 2019-04-30 Micell Technologies, Inc. Bioabsorbable biomedical implants
KR101814915B1 (ko) * 2016-04-26 2018-01-08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KR101814914B1 (ko) 2016-04-26 2018-01-08 주식회사 제노스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61261A (ja) 2014-04-10
US20140081381A1 (en) 2014-03-20
EP2710983B1 (en) 2017-12-20
EP2710983A1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197B1 (ko) 고분자 스텐트
US10478530B2 (en) Thin strut stent from bioabsorbable polymer with high fatigue and radial strength and method to manufacture thereof
US7637940B2 (en) Stent with bioabsorbable membrane
US11865021B2 (en) Bidirectional st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702788B2 (en) Expandable stent that collapses into a non-convex shape and expands into an expanded, convex shape
CN110087587B (zh) 径向刚性和纵向柔性的多元件血管内支架
WO2012159454A1 (en) Biodegradable drug-eluitng stent patten
CN201840555U (zh) 一种利于压握的血管支架
US10518003B2 (en) Method to manufacture thin strut stent from bioabsorbable polymer with high fatigue and radial strength
CN202843856U (zh) 一种用于冠心病介入治疗的可回收支架
Kenny et al. Bioresorbable stents for pediatric practice: where are we now?
WO2017039389A1 (ko) 의료용 스텐트
US20170203491A1 (en) Method to manufacture thin strut stent from bioabsorbable polymer
US20120239128A1 (en) Stent and delivery system
US10675387B2 (en) Multi stage radial deformation for manufacturing thin strut stent from bioabsorbable polymer
KR102783996B1 (ko)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JP2017527372A (ja) 生体分解性ポリマーステント骨格パターン
KR101489265B1 (ko) 고분자 스텐트 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40245537A1 (en) Biodegradable drug eluting stent
WO2019175889A1 (en) Biodegradable endoprosthesis for paediatric patient
CN117999047A (zh) 球囊血管成形术后用于治疗残余狭窄的临时性血管内构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