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1028B1 - 기능성 좌판 - Google Patents

기능성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028B1
KR101231028B1 KR1020100107123A KR20100107123A KR101231028B1 KR 101231028 B1 KR101231028 B1 KR 101231028B1 KR 1020100107123 A KR1020100107123 A KR 1020100107123A KR 20100107123 A KR20100107123 A KR 20100107123A KR 101231028 B1 KR101231028 B1 KR 101231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seat plate
functional seat
base fram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523A (ko
Inventor
양희정
Original Assignee
양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정 filed Critical 양희정
Priority to KR102010010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0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0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2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connected only by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 and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기능성 좌판에 착석중에도 기능성 좌판의 유동에 의해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능성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10)과; 둔부와 대퇴부가 거치되는 거치부(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거치부(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좌판{FUNCTIONAL SEAT BOARD}
본 발명은 기능성 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기능성 좌판에 착석중에도 기능성 좌판의 유동에 의해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능성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좌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학업, 업무 또는 자기개발을 위하여 서적을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면서 지면이나 의자에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판은 단순히 인체의 둔부와 대퇴부를 안치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동없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좌판에 착석하게 되면 허리 및 둔부와 대퇴부에 심한 통증이 생기게 되고 이때마다 수시로 자세를 움직여 몸의 피로를 풀어주게 되면서 지속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세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몸이 비스듬하게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좌판의 끝단에 걸터앉는 등의 불안정한 자세를 지속하게 되면서 척추가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허리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심한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기능성 좌판에 장시간 착석시에도 기능성 좌판의 유동에 의해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항상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좌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기능성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좌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둔부와 대퇴부가 거치되는 거치부와; 베이스프레임과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을 제공한다.
베이스프레임에는 양측으로 결합공이 형성되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거치부에는 결합공에 대응되는 링크축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는 링크축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공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프레임과 거치부는 볼조인트에 의해 결합되고, 탄성부재는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방사형상으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치부는 전면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거치부의 일측과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은 절첩구에 의해 연결되거나 힌지결합되고, 거치부의 타측과 베이스프레임의 타측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거치부는 전방으로 중앙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거치부는 중앙돌출부의 좌, 우측으로 대퇴부거치홈이 형성되고, 중앙돌출부의 후면으로 둔부거치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능성 좌판에 장시간 착석시에도 거치부의 유동에 의해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탄성부재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실시예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 2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 2실시예에서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는 제 4실시예에서 절첩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 4실시예에서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3,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6은 제 1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1실시예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 좌판(1)은 베이스프레임(10)과, 둔부와 대퇴부가 거치되는 거치부(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거치부(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기능성 좌판(1)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 위, 또는 거실이나 방 등의 지면에 안치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와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상기 기능성 좌판(1)은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원형형태, 또는 타원형태, 또는 사각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를 갖는 판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가스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이나 고무, 실리콘과 같은 쿠션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30)의 일단은 상기 거치부(2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기능성 좌판(1)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탄성부재(30)가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사이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 좌판(1)은 상기 거치부(20)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좌판(1)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몸을 사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반동에 의해 상기 거치부(20)가 사방으로 유동되면서 고정된 자세로 인한 경직된 몸과 허리통증 등의 피로가 풀어지면서 장시간 착석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장시간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제 2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제 2실시예에서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 좌판(1)은 베이스프레임(10)의 양측으로 결합공(41)이 형성되는 지지대(40)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20)에는 상기 결합공(41)에 대응되는 링크축(50)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30)는 상기 링크축(50)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20)에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면과 타단면을 관통하는 거치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축(50)은 상기 거치공(21)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41)에 고정된다.
상기 링크축(50)은 상기 거치부(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링크축이 각각 상기 거치부(2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4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41)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41)는 상기 결합공(41) 내측으로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좌판(1)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탄성부재(30)가 각각 상기 링크축(50)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거치부(20)의 하부면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 고정되거나, 일단은 상기 거치부(2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 좌판(1)은 상기 기능성 좌판(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방향을 바꿔 착석함으로써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좌판(1)은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공(41)은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거치부(20)가 전,후 또는 좌,우로 유동되는 것은 물론,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 좌판(1)은 상기 거치부(20)가 전,후 또는 좌,우 및 상,하로 유동됨으로써 고정된 자세로 인한 경직된 몸이 상기 거치부(20)의 유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3,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 좌판(1)은 베이스프레임(10)과 거치부(20)가 볼조인트(60)에 의해 결합되고, 탄성부재(30)는 상기 볼조인인트(60)의 외측에 방사형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중앙에는 소켓(61)이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2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소켓(61)에 대응되는 볼스터드(6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거치부(20)의 하부면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 고정거나, 일단은 상기 거치부(2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 좌판(1)은 상기 거치부(20)가 사방으로 유동됨으로써 고정된 자세로 인한 경직된 몸이 상기 거치부(20)의 유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는 제 4실시예에서 절첩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7은 제 4실시예에서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 좌판(1)은 거치부(20)가 전면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20)의 일측과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은 절첩구(70)에 의해 연결되거나 힌지결합(80)되고, 상기 거치부(20)의 타측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타측 사이에는 탄성부재(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능성 좌판(1)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탄성부재(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거치부(20)의 하부면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 고정거나, 일단은 상기 거치부(2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거치부(20)의 일측과 베이스프레임(10)이 힌지결합(80))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는 체결공(81)이 형성된 수직바(82)가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20)는 힌지축(83)이 설치되어 상기 체결공(81)이 끼워진다.
상기 절첩구(70)는 상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첩(7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부(20)는 전면으로 5도 내지 45도 기울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둔부와 대퇴부를 거치하기 위한 좌판의 기울기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으나 전면으로 6도~16도 기울어져 있을 때 허리가 곧게 펴지면서 가장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생활참선시에는 신체가 전면으로 10도 기울어진 각도에서 가장 이상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기능성 좌판(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거치부(20)가 5도 내지 45도 기울지게 형성됨으로써 척추가 자연스럽게 "S"자 형태의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 의자에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활참선시에는 지면에 착석하여 신체를 전면으로 6도 기울이기 위해 별도의 방석 등을 둔부 밑에 받치지 않고도 상기 기능성 좌판(1)에 착석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허리가 곧게 펴지면서 바른자세로 참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거치부(20)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것은 물론, 상기 거치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몸을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반동에 의해 상기 거치부(20)가 상,하 유동되면서 고정된 자세로 인한 경직된 몸이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상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부면에 중앙돌출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중앙돌출부(21)의 좌, 우측으로 대퇴부거치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출부(20)의 후면으로 둔부거치홈(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 좌판(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중앙돌출부(21)로 인해 상기 거치부(20)로부터 전면으로 미끄러짐 없이 착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둔부와 대퇴부가 자연스럽게 상기 둔부거치홈(23)과 상기 대퇴부거치홈(22)에 거치됨으로써 늘어진 둔부를 안쪽으로 모아 볼륨있는 라인을 만들고 퍼진 둔부의 골반을 모음으로써 골반부가 항시 바른자세를 취하게 되어 골반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좌판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능성 좌판 10 : 베이스프레임
11 : 중공부 20 : 거치부
21 : 중앙돌출부 22 : 대퇴부거치홈
23 : 둔부거치홈 30 : 탄성부재
40 : 지지대 41 : 결합공
50 : 링크축 60 : 볼조인트
61 : 소켓 62 : 볼스터드
70 : 절첩구 71 : 경첩
80 : 힌지결합 81 : 체결공
82 : 수직바 83 : 힌지축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대가 양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둔부와 대퇴부가 거치되고,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링크축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축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거치부는 볼조인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방사형상으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전면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의 일측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은 절첩구에 의해 연결되거나 힌지결합되고, 상기 거치부의 타측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전방 상부면에 중앙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돌출부의 좌, 우측으로 대퇴부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출부의 후면으로 둔부거치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
KR1020100107123A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좌판 Expired - Fee Related KR101231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123A KR101231028B1 (ko)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123A KR101231028B1 (ko)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523A KR20120045523A (ko) 2012-05-09
KR101231028B1 true KR101231028B1 (ko) 2013-02-07

Family

ID=4626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1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1028B1 (ko)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0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51Y1 (ko) * 2014-04-16 2014-07-24 이형준 인체공학적 듀얼 히프 쿠션
US20240049886A1 (en) * 2022-08-12 2024-02-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i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64B1 (ko) 2016-05-11 2016-11-09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의자용 좌판
KR102136560B1 (ko) 2018-07-30 2020-07-22 박찬욱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082226B1 (ko) * 2020-01-13 2020-02-27 강미화 낚시의자용 쿠션방석
US11975233B2 (en) * 2020-02-25 2024-05-07 Ellen Sakany Chair exerciser
DE102022113759B3 (de) 2022-05-31 2023-10-05 Elsa Domaß Schwingstuhl
NL2034876B1 (nl) * 2023-05-22 2024-12-03 Rzc Holding B V Beweeginrichting voor een zitting, zoals een zitting van een zitmeub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362A (ja)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多目的椅子
JP2002248974A (ja) 2001-02-27 2002-09-0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反転式シート
KR20040027779A (ko) * 2004-03-04 2004-04-01 성용진 의자용 방석시트
JP2004129795A (ja) 2002-10-09 2004-04-30 Araco Corp 補助機能を備えた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362A (ja)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多目的椅子
JP2002248974A (ja) 2001-02-27 2002-09-0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反転式シート
JP2004129795A (ja) 2002-10-09 2004-04-30 Araco Corp 補助機能を備えたシート
KR20040027779A (ko) * 2004-03-04 2004-04-01 성용진 의자용 방석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51Y1 (ko) * 2014-04-16 2014-07-24 이형준 인체공학적 듀얼 히프 쿠션
US20240049886A1 (en) * 2022-08-12 2024-02-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i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523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28B1 (ko) 기능성 좌판
ES2255285T3 (es) Una silla.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KR101014860B1 (ko) 허리지지용 의자
JP2009511160A5 (ko)
AU2010308638B2 (en) A sitting arrangement
CA2342266A1 (en) Articulated seat
US20210289940A1 (en) Chair Having Swing Motion Function and Swing Module for Use Therein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852110B1 (ko) 후렉시블 등판부를 구비한 의자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KR20160016549A (ko) 휴대용 의자
KR101074020B1 (ko) 등판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의자
KR20070087268A (ko) 허리,목보호 사무용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20060004609A (ko) 흔들 벤치
KR20042824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100633346B1 (ko)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
KR200359316Y1 (ko) 다리오므림 운동장치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
JP2013530786A (ja) シート座面姿勢調整
KR200325982Y1 (ko) 의자 등받이 연결부재
KR102757337B1 (ko) 엉덩이 거치부를 구비한 스탠딩 책상
KR20200102026A (ko) 스트레칭 기능성 무릎의자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