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274B1 - Geotextile Tube Structure for Coas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ndy Beach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eotextile Tube Structure for Coas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ndy Beach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0274B1 KR101230274B1 KR1020100061389A KR20100061389A KR101230274B1 KR 101230274 B1 KR101230274 B1 KR 101230274B1 KR 1020100061389 A KR1020100061389 A KR 1020100061389A KR 20100061389 A KR20100061389 A KR 20100061389A KR 101230274 B1 KR101230274 B1 KR 101230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tube structure
- tubes
- coastal
- s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해안가 튜브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래사장 조성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은 그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고 해안가에 시공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들이 연결되어 모래층을 조성토록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모래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튜브의 내부에, 상기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채움재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해안가에 인위적인 공사 없이 저비용의 친 자연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모래사장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고, 더하여 튜브 구조물의 축조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 coastal tube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a sandy beach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coastal tub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tube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therein and constructed at the shore, and a sand recei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ubes to connect the tubes to form a sand layer. Inside the tube, it can be configured in another embodiment including a filler blocking member provided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low-cost, eco-friendl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andy beach without artificial construction on the shore, a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roved effect of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he tube structure firm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안가 튜브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래사장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섬유 튜브들을 해안가에 적당하게 배열 축조하여 튜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모래 수용공간에 파도에 포함되어 해안가로 밀려오는 모래가 유실없이 수용되어 인위적인 모래 투입 등의 외부 공사 없이 저비용으로 시간이 지나면사 자연적으로 친환경적인 모래사장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고, 더하여 튜브 구조물의 축조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래사장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stal tube structure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sandy beach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geosynthetic tubes are constructed in a suitable arrangement on the beach shore is included in the wave in the sand recei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ubes pushed to the beach A coastal tube structure that allows sand to be accommodated without loss and enables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and beach at low cost over time without external construction, such as artificial sand input, and in addition, to maintain the structure of the tube structure firm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sandy beach.
일반적으로 토목섬유(geotextile)는 모래, 흙, 자갈 등의 환경에 사용되는 섬유, 고분자 재료로서 토목공사의 시공기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geotextile is a fiber, a polymer material used in the environment of sand, soil, gravel, etc. is known as a product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civil engineering.
예컨대, 이와 같은 토목 섬유를 이용한 토목 시공용 튜브(geotextile tube) 즉, 지오텍스타일 튜브는 흙, 모래, 자갈과 같은 준설토 또는 기타 채움재를 채워 넣은 성토용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a geotextile tube, that is, a geotextile tube using such geotextiles, may be referred to as a structure for filling soil filled with dredged soil such as soil, sand, gravel or other fillers.
근래, 시공성과 경제성 및 환경보전 등을 고려하여 수중제방, 호수, 강, 바다의 해안가 호안 보호 또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토목(건설) 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it is widely used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construction to protect shore banks of underwater embankments, lakes, rivers, seas, or reinforce soft grounds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economic feasibilit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한편, 이와 같은 알려진 토목 시공용 튜브는, 투입구를 통하여 튜브 내부에 모래, 흙, 자갈 등의 채움재를 넣고, 투입구를 밀봉하여 채움재와 같이 투입되는 물은 튜브를 통하여 배수되고, 채움재만이 남아서 원하는 성토용 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uch a known civil construction tube,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sand, soil, gravel into the tube through the inlet, the water is injected into the filling material is sealed through the tube is drained through the tube, only the filler is left as desired It is provided as a structure for filling.
그런데, 알려진 종래 대부분의 토목 시공용 튜브를 이용하여 해안가의 모래사장을 친 자연적이면서 환경 친화적으로 조성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는 없는 것이다.However, there is no suggestion of a method of forming a natural, environmentally friendly sandy beach on the coast using most known civil construction tubes.
이와 같은 토목 시공용 튜브를 이용하여 해안가에 적당하게 배열하여 축조하면 튜브 사이에 바닷물을 따라 유입되는 모래가 쌓이고, 유실되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모래 사장이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By constructing properly arranged on the shore using such civil construction tubes, sand flowing along the sea between the tubes accumulates and will not be lost, and the sand will naturally form over time.
한편, 기존 해안가에 축조된 튜브 구조물의 경우, 파도가 지속적으로 튜브 구조물에 충돌하면서 바닷물의 흐름에 따라 튜브 내부의 미세한 채움재가 튜브에서 유실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ube structure built on the existing sh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e filling material inside the tube is lost in the tube as the water waves continue to hit the tube structure.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해안가에 축조되는 토목 시공용 튜브 구조물에서 튜브의 내부 채움재가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내부 채움재의 채움은 가능하게 하여, 축조된 후의 튜브 구조물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filling of the inner filling material while preventing the inner filling material of the tube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in the civil construction tube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on the shore, thereby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he tube structure after being firmly construc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일 목적 측면은, 토목섬유 튜브들을 해안가에 적당하게 배열 축조하여 튜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모래 수용공간에 파도에 포함되어 해안가로 밀려오는 모래가 유실없이 수용되어 인위적인 모래 투입 등의 외부 공사 없이 저비용으로 시간이 지나면사 자연적으로 친환경적인 모래사장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래사장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one aspect of the object is that the geosynthetic tube is arranged in the appropriately arranged on the shore beach is included in the wave in the sand recei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ubes pushed to the sh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stal tube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a sandy beach using the same, which allow sand to be accommodated without loss and enable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andy beach at low cost over time without external construction such as artificial sand in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측면은, 특히 해안가에 시공되는 튜브 구조물의 튜브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 자체의 유실을 방지시키어 파도가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튜브 구조물의 축조후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하게 한 해안가 튜브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astal tube structure, in particular, which prevents loss of the filling material itself, which is filled inside the tube of the tub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on the shore, and thus makes it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structur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tube structure in which the waves repeatedly contact each other.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고 해안가에 시공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들이 연결되어 모래층을 조성토록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모래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튜브는, 해안가를 따라 축조되는 메인튜브에 연결 축조되면서 해안가를 따라 축조되는 복수의 제1 방향 튜브와, 상기 제1 방향 튜브 사이에 제1 방향 튜브와 협력하여 상기 모래 수용공간을 형성토록 제공되되 해안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2 방향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 튜브의 내부에, 파도가 가해지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채움재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을 제공한다.
As one technical aspec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therein, the tube is constructed on the shore; And a sand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tub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and layer.
The tube may be provided to form the sand receiving space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direction tub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tube and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tubes constructed along the coas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ain tube constructed along the coast. And a second direction tube disposed across the shore, and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direction tube in a direction in which waves are applied to prevent the loss of the internal filler. It further provides a coastal tube structure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더하여,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해안가 튜브 구조물을 해안가에 시공하여, 해안가 모래사장을 조성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을 이용한 모래사장 조성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technical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andy beach using a coastal tube structure for constructing the coastal sandy beach by constructing the coastal tube structure on the shor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래사장 조성방법에 의하면, 토목섬유 튜브들을 해안가에 적당하게 배열 축조하여 튜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모래 수용공간에 파도에 포함되어 해안가로 밀려오는 모래가 유실 없이 수용될 수 있어 기존의 외부 모래 투입 등의 인위적인 모래 조성 공사 없이도 저비용의 자연 친화적인 모래사장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매우 실용적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astal tub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forming a sandy beach using the same, the sand is pushed to the beach by the sand in the sand recei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tubes formed by arranging the geosynthetic tube to the shore properly It can be accommodated without any artificial sand composition, such as the external external sand input, because it allows the composition of low-cost nature-friendly sandy beach, it provides a very practical excellent effect.
또한, 본 발명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은, 해안가에 시공되는 튜브 구조물의 튜브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 자체의 유실을 방지시키어 파도가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튜브 구조물의 축조후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astal tub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cellent effect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lling material itself filled inside the tube of the tube structure to be installed on the shore to maintain the structur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tube structure repeatedly waves contact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geotextile tube)로 구축된 해안가 튜브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2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 튜브 구조물에서 튜브들의 연결을 위한 위치 가변형, 고정형 및 다중형의 각각의 튜브 연결수단들을 도시한 분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튜브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조도이며,
도 7은 도 5의 단위 튜브의 전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astal tube structure constructed of geotextile tub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1,
3A and 3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S. 1 and 2,
4a to 4c are exploded views and plan views showing respective tube connecting means of the variable position, fixed and multiple types for connection of tubes in the tub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tub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FIG. 5,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unit tube of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해안가 토목 시공용 튜브 구조물(이하, '튜브 구조물'이라 약한다)를 도시하고 있고,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2 실시예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First, Figures 1 to 4 show the coastal civil construction tube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ub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to Figure 7 the shore tub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tructure is shown.
다만, 이하에서 도면부호 M 은 튜브 또는 연결부재들의 제작 및 연결을 위한 재봉처리한 재봉선을 나타내며, T 는 채움재 투입구, T'는 투입구에 연계되는 고압으로 물과 모래 등의 채움재를 투입하는 투입관을 나타난다.However, in the following, reference numeral M denotes a sewing line for sewing and manufacturing the tube or connecting members, T is a filling material inlet, T 'is a high-pressure input pipe connected to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water and sand Appears.
즉, 제1 실시예의 본 발명의 튜브 구조물(1)은 해안가 튜브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모래사장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고, 제2 실시예의 본 발명의 튜브 구조물(100)은 튜브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중 미세한 입자의 모래 등이 구조물 축조후 파도가 접촉하면서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시킨 해안가 튜브 구조물에 관한 것인데, 도면에 따라 이하에서 순서대로 상세하게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That is, the
물론, 제2 실시예의 튜브 구조물(1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튜브 구조물의 단위 튜브 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그리고, 제2 실시예의 튜브 구조물도 반드시 제1 실시예의 튜브 구조물 같이 축조하기 않아도 해안선을 따라 길게 축조하면 그 안쪽으로 모래사장의 조성이 가능한 것도 물론이다.Further, even if the tub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tructed like the tub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andy beach therein if it is constructed long along the coastline.
다만, 제1 실시예의 튜브 구조물은 모래사장 조성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이고, 제2 실시예는 이와 상관없이 해안가에서 파도가 지속적으로 충돌하는 장소에 축조하면 바람직할 것이다.However, the tub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structure for facilitating sand composition, and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preferably constructed at a place where waves constantly collide at the coast.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2 실시예를 구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Therefore,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1)을 도시하고 있다.First, FIGS. 1 to 3 show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1)은, 크게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고 해안가에 시공되는 튜브(10) 및, 상기 튜브들이 연결되어 모래층을 조성토록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모래 수용공간(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튜브(10)는, 해안가(C)를 따라 축조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튜브(12) 및, 상기 메인튜브(12)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방향 튜브(14)와 상기 제1 방향 튜브(14) 사이에 상기 모래 수용공간(30)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제2 방향 튜브(16)를 포함하여 일 실시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preferably the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1)은, 해안가에서 가장 멀리있는 초입의 위치에 해안가(C)를 따라 길게 축조되는 메인의 튜브(12)들이 다층으로 먼저 축조된다.Thus, as shown in Figs. 1 to 3, the
물론, 이와 같은 메인 튜브(12)들은 통상 수십 미터 길이로 튜브의 직경도 2.5 - 3.5 m 정도로 상당한 규모이다.Of course, such
따라서, 메인 튜브(12)들을 실질적으로는 해안가에서 방파제 역활을 하여 태풍이나 지진에 의한 해일 등의 발생시 해안가 주변의 주거지역이나 논,밭 등의 농사지역을 보호하는 역활을 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제1,2 튜브(14)(16)만으로도 해안가에 모래 수용공간(30)을 형성하여 모래사장을 조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컨대, 상기 제1 방향 튜브(14)와 제2 방향 튜브(16) 자체도 직경이 수m에 이르는 상당한 규모일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물론, 축조 환경에 따라 상기 메인 및 제1,2 튜브들의 축조시 직영은 적당하게 조정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the direct management of the main and the first and second tubes when the construc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예를 들어, 메인 튜브(12)는 2.5-3.5m 정도의 직경으로 하고, 이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모래 사장을 조성 가능하게 하는 제1,2 튜브(14)(16)들의 직경은 작게하여 파도가 치고 돌아가는 경우 바닷물에 의하여 모래가 다시 바닷물 속으로 유실되지 않게만 하면 된다.For example, the
물론, 가능 바람직하게는 메인 튜브(12)와 제1,2 튜브(14)(16)들을 모두 이용하여 해안가 튜브 구조물(1)을 축조하는 것일 것이다.
Of course, it will be possible to construct the
다음,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 튜브(14)(16)들은 여러 형태로 축조하여 모래사장의 조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하도록 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것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바둑판 배열로 하는 것이고, 이경우가 가장 시공상 간편하게 할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그리고, 상기 제1 방향 튜브(14)는 다음에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연결수단(50)을 매개로 메인튜브(10)와 수직하게 연결 축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예컨대, 메인튜브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안가를 따라 길게 축조되므로, 상기 제1 방향 튜브(12)들은 이들에 적당한 간격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되, 제1 방향 튜브 자체들도 연이어 연결수단(50)으로 연결 축조되고, 이와 같은 제1 방향 튜브의 전체적인 축조 길이는 해안가의 거리 또는 모래사장의 조성 규모에 따라 조정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since the main tube is made long along the coas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방향 튜브(14)는, 해안가의 거리나 모래사장 조성 규모에 대응하도록 적당한 길이로 여러 개가 연결되어 해안가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축조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lurality of
다음, 상기 제2 방향 튜브(16)들은 상기 제1 방향 튜브(14)들 사이에 연결수단(50)으로 수직하게 해안가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메인튜브와 그 아래의 바닷가 쪽의 제1 방향 튜브와 그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방향 튜브(16)로 인하여 튜브들사이에는 모래 수용공간(30)이 형성되는 것이다.Next, the second
다만, 이와 같은 모래 수용공간은 적당한 크기가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너무 크면 튜브 구조물의 축조 비용은 적게 들지만, 모래 조성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작으면 튜브들의 축조 수가 과도하게 많아져 비용을 증대시킬 것이다.
However, such a sand receiving space is preferably a suitable size, for example, if it is too larg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tube structure is low, but the sand composition effect is low, if it is too small, the construction number of the tube will be excessively increased to increase the cost .
다음,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 구조물(1)의 축조시 적어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 튜브(14)(16)들을 해안가의 지면에서 일정 깊이(D)로 들어가게 축조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규격화된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제1,2 방향 튜브 구조물의 축조 높이가 너무 높아 모래 수용공간(30)으로의 모래(S) 유입이 방해가 될 경우 바람직할 것이다.3A and 3B, when constructing the
다음,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50)의 여러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튜브 연결수단(50)은, 튜브(10)들, 예컨대 상기 메인튜브(12)와 제1 및 제2 방향 튜브(14)(16)들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Next, FIGS. 4A to 4C show various forms of the connecting means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ube connecting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50)은, 구체적으로는 도 4a와 같은 위치 가변형 연결수단(60), 도 4b와 같은 고정형 연결수단(70) 또는 도 4c와 같은 다중형 연결수단(80)들로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연결수단들은 하나의 전체 해안가 튜브 구조물(1)에서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able position connecting means 60 as shown in FIG. 4A, a fixed connecting
예를 들어, 위치 가변형 연결수단(60)은, 연결 지점이 많고 연결 지점의 위치조정이 쉽게 발생되는 제1 방향 튜브(14)와 제2 방향 튜브(16)의 연결에 적용하고, 고정형 연결수단(70)은, 연결 지점의 변동이 적은 메인 튜브(12)와 제1 방향 튜브(14)의 연결에 적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For example, the variable position connecting means 60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그리고, 다중형 연결수단(80)의 경우에는 여러 개의 동일한 단위 튜브들의 연결 축조시 적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ultiple connection means 80, it may be preferable to apply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identical unit tubes.
즉,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고정형 연결수단(60)은, 예를 들어 제1 방향 튜브(12)의 원하는 위치에 감싸지는 플라스틱이나 가죽 또는 다층의 직물 등으로 된 조임몸체(62)의 체결단(62)사이에 인접 제1 방향 매트에 재봉 처리되어 부착된 연결단(68)이 끼워지고, 일체로 볼트(B)와 와셔(W) 및 너트(N)로 체결되면, 상기 조임몸체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상태에서 인접 매트와 연결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a, the position-fixed connecting
이때, 상기 체결단과 연결단의 체결시 가죽 등의 보강재(66)를 매개로 더 견고하게 연결 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fastening the fastening end and the connecting end can be connected more firmly through the reinforcement material such as
따라서,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연결수단(60)은 튜브들의 연결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variable position connecting means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freely adjust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ubes.
물론, 상기 연결수단의 조임몸체(62)는 튜브에 채움재를 채우기 전에 적정한 위치로 튜브를 감싸도록 미리 위치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tightening
다음,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형 연결수단(70)은, 튜브 예를 들어, 제1 방향 튜브(12)에 가죽이다 다층의 직물 또는 플라스틱 등을 재봉 처리하여 고정단(72)을 부착하고, 인접 매트 즉, 제2 방향 튜브(14)에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다른 고정단(72')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재(74)를 매개로 볼트(B)와 와셔(W) 및 너트(N)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 4b, the fixed connection means 70 is attached to the
이 경우,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연결 지점이 위치 고정되기 때문에, 규모가 상당한 메인 튜브(12)와 제1 방향 튜브(14)의 연결에 바람직할 것이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on point is fixed in position, it may be preferable for the connection of the
다음, 도 4c와 같이 다중형 연결수단(80)은,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가죽, 플라스틱이나 다중의 직물 등 적당한 재질로 된 사각형태 또는 원형의 연결몸체(82)에 적당하게 배열된 고정단(84)과 튜브(14)(16)측의 고정단(84)들을 일체로 볼트와 너트 등으로 체결하여 단위 튜브 들을 적당한 배열로 축조하는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 4C, the multiple connection means 80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but is properly fixed to a rectangular or
물론, 이 경우에는 단위 튜브들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 적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Of course, in this case it would be desirable to apply when the lengths of the unit tubes are the same.
이와 같은 다중형 연결수단(80)은 연결몸체(82)의 형태에 따라 단위 튜브들의 연결 수를 적당하게 가감할 수 있어 튜브 구조물의 축조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Such multiple connection means 80 may be appropriately added or subtracted the number of connection of the unit tub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다음,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100)을 도시하고 있다.Next, FIGS. 5 to 7 show the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튜브 구조물(100)은,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고 해안가에 시공되는 튜브(110) 및, 상기 튜브의 내부에, 상기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채움재 차단부재(13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채움재 차단부재(130)는, 튜브에 재봉 처리등으로 부착되는 부직포로 제공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축조된 튜브 구조물의 종심선(C) 보다는 크게 종심선에서 더 왼쪽으로 치우치도록 부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6, the filler
즉, 도 7과 같이 채움재의 투입시 물은 부직포의 채움재 차단부재(130)의 반대측으로 튜브(몸체)를 통하여 배출되고 내부에는 모래 자잘 등의 채움재 만이 채워지게 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filler is added as shown in Figure 7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ube (body)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ller
그런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채움재 차단부재가 너무 작으면, 해안가에 튜브 구조물(100)이 축조된후, 파도가 접촉하는 부위에서 바닷물이 빠지면서 채우재중의 입도가 작은 미세 모래 등이 튜브의 미세 구멍을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By the way, if the filler material block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o small, after the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채움재 차단부재(130)인 부직포는, 튜브의 원주길이(L)의 50 - 7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위치도 도 6과 같이, 파도가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기 쉬운 전면측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Therefore, most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as the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채움재 차단부재(130)인 부직포는 도 5 및 도 7과 같이, 사전에 튜브 제작시 튜브 몸체에 재봉 처리되어 부착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n-woven fabric as the
즉, 도 7의 원주길이(L)를 갖도록 축조되는 단위 튜브가 감아져 재봉처리되기 전에, 펼쳐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채움재 차단부재의 부직포를 재봉 처리하면 될 것이다.That is, before the unit tube constructed to have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FIG. 7 is wound and sewn, the nonwoven fabric of the filler block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wn in the unfolded state.
그런데, 제 2 실시예의 본 발명의 채움재 차단부재(130)는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3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1)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By the way, the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파도가 가장 넓게 접촉하는 해안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2 방향 튜브(16)에 본 발명의 상기 채움재 차단부재(130)를 적용하면 될 것이다.For example, in FIG. 1 and FIG. 2,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100)은, 파도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튜브에 충돌하여도 그 접촉방향에 내부 부착된 부직포 등의 채움재 유실 차단부재(130)를 통하여, 내부 채움재가 바닷물의 유동에 따라 외부로 유실되지 않게 함으로써, 튜브 구조물의 축조후에도 튜브 구조물 자체가 유실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해안가 튜브 구조물(1)(100)을 이용하면, 해안가(C)에서 인위적인 모래 조성 구조물을 매우 복잡하게 시공할 필요없이 한번 축조하면 기간이 지날수록 모래 수용공간(30)에 모래(S)가 쌓이면서 충분한 모래사장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ccordingly, using the coastal tube structure (1)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once the construction of the sand without the need to construct an artificial sand composition structure on the beach (C) very complicated sand storage space ( The sand (S) is accumulated in 30 to enable the formation of sufficient sandy beach.
더욱이, 축조후 파도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도 축조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Moreover,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construction structure even if the waves continuously contact afte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100.... 해안가 튜브 구조물
10,110.... 튜브 12,14,16.... 메인 및 제1,2 방향튜브
30.... 모래 수용공간 50.... 튜브 연결수단
60.... 위치 가변형 연결수단 70.... 고정형 연결수단
80.... 다중형 연결수단 130.... 채움재 차단부재1,100 .... Waterfront Tube Structures
10,110 ....
30 ....
60 .... Variable connection means 70 .... Fixed connection means
80 .. Multiple connection means 130 .... Filler blocking member
Claims (11)
상기 튜브(10)는, 해안가(C)를 따라 축조되는 메인튜브(12)에 연결 축조되면서 해안가(C)를 따라 축조되는 복수의 제1 방향 튜브(14)와, 상기 제1 방향 튜브 사이에 제1 방향 튜브와 협력하여 상기 모래 수용공간을 형성토록 제공되되 해안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2 방향 튜브(1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 튜브의 내부에, 파도가 가해지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채움재 차단부재(30);
를 더 포함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
Filling material is filled therein and the tube 10 is constructed on the beach; And a sand receiving space 30 in which the tubes are connected to form a sand layer between the tubes.
The tube 10 is connected to the main tube 12 to be built along the coast (C)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tube 14 is built along the coast (C), an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tube A second directional tube (16) provided in coordination with the first directional tube to form the sand receiving space and disposed across the shore;
Filler blocking member 30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ttached to the direction of the wave, the inside of the second directional tube provided to prevent the loss of the inner filling material;
Waterfront tub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상기 메인튜브와 제1 및 제2 방향 튜브들을 연결토록 제공되는 튜브 연결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 연결수단(50)은 위치 가변형 연결수단(60), 고정형 연결수단(70) 및 다중형 연결수단(80) 중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tube connecting means 50 provided to connect the main tube and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al tubes,
The tube connecting means (50) is a coastal tub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a combination of variable position connecting means (60), fixed connection means (70) and multiple connection means (80).
상기 채움재 차단부재(130)는, 튜브 구조물의 종심선(C) 보다 크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ling material blocking member 130 is a coastal tub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 of the tube structure.
상기 채움재 차단부재의 부직포는, 튜브의 원주길이(L)의 50 - 70% 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nonwoven fabric of the filler material block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range of 50 to 70%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tube.
A method for forming a sandy beach using a coastal tube structure in which the civil structural tub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8 to 9 is constructed on a beach to form a coastal sandy beach.
상기 튜브 구조물에 포함된 모래 유실을 차단하여 모래사장을 조성 가능하게 하는 단위 튜브들은, 해안가에 깊이를 갖고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가 튜브 구조물을 이용한 모래사장 조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0,
The method of forming a sandy beach using a coastal tub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tube to block the sand loss contained in the tube structure to form a sandy beach, it is constructed having a depth on the beac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389A KR101230274B1 (en) | 2010-06-28 | 2010-06-28 | Geotextile Tube Structure for Coas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ndy Beach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389A KR101230274B1 (en) | 2010-06-28 | 2010-06-28 | Geotextile Tube Structure for Coas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ndy Beach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883A KR20120000883A (en) | 2012-01-04 |
KR101230274B1 true KR101230274B1 (en) | 2013-02-07 |
Family
ID=4560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13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0274B1 (en) | 2010-06-28 | 2010-06-28 | Geotextile Tube Structure for Coas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ndy Beach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027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471B1 (en) * | 2013-08-16 | 2014-06-10 |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 Embankment constuction by buoyancy and water pressure on the part prevention of injury and in the force functioning bottom, a mat and execution method for fil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1201508187VA (en) * | 2015-04-29 | 2016-12-29 | Nat Univ Kunsan Iacf | Geotextile main tube body, auxiliary tube body, connecting construction method of main tube body and auxiliary tube body |
KR102685976B1 (en) | 2023-12-06 | 2024-07-17 |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 The beach's waterfront sand beach for easy to clean and disinfect |
KR102755130B1 (en) | 2024-07-22 | 2025-01-21 |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 Artificial sand beach with cleaning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8321B1 (en) * | 2006-06-27 | 2007-11-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Geotube with ordered means |
US7461998B1 (en) * | 2003-04-29 | 2008-12-09 | Beach Restorations, Inc. | Coastal erosion mitigation solution (CEMS) |
KR100950443B1 (en) * | 2008-12-15 | 2010-04-02 | 주식회사 젠트로 | Geotextile tube structure |
KR20120000885A (en) * | 2010-06-28 | 2012-01-04 | 주식회사 젠트로 | Civil construction tube structures |
-
2010
- 2010-06-28 KR KR1020100061389A patent/KR1012302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61998B1 (en) * | 2003-04-29 | 2008-12-09 | Beach Restorations, Inc. | Coastal erosion mitigation solution (CEMS) |
KR100778321B1 (en) * | 2006-06-27 | 2007-11-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Geotube with ordered means |
KR100950443B1 (en) * | 2008-12-15 | 2010-04-02 | 주식회사 젠트로 | Geotextile tube structure |
KR20120000885A (en) * | 2010-06-28 | 2012-01-04 | 주식회사 젠트로 | Civil construction tube structur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471B1 (en) * | 2013-08-16 | 2014-06-10 |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 Embankment constuction by buoyancy and water pressure on the part prevention of injury and in the force functioning bottom, a mat and execution method for fil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883A (en) | 2012-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Oh et al. | Using submerged geotextile tubes in the protection of the E. Korean shore | |
JP5467832B2 (en) | Slope construction method | |
KR101230274B1 (en) | Geotextile Tube Structure for Coas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ndy Beach using The Same | |
Ashis | Application of geotextiles in coastal protection and coastal engineering works: An overview | |
KR20040111216A (en) |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iques by gabion and nonwoven geotextile vegetation soil-bags | |
KR100657183B1 (en) | Vegetation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for ecological protection in river shore | |
KR20160027646A (en) | Bank and method for the same using the geotextiles tube law for preventing coastal erosion | |
US6375387B1 (en) | Method for securing, stabilizing and recovering areas of land and subsoil above and below water | |
US11535997B2 (en) | Modular building block apparatus | |
CN111636373A (en) | Oyster reef row, seawall to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toe protection | |
US6048139A (en) | Arrangement for shoreline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protec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 |
CN100445470C (en) | A diving groyne system used for shore protection and beneficial to the breeding of various organisms | |
CN218263736U (en) | Dyke slope ecological management composite assembly type interlocking cage | |
KR101062728B1 (en) | Coastal Yangbin using Filter Layer and Scale Contro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16445907U (en) | City inland river dyke ecological landscape protection system | |
KR100886826B1 (en) | Fiberglass band | |
KR200387407Y1 (en) | Marine civil granular structure reinforced with floating geo-mat contained granulars on bottom and slopes of structure and floating geo-mat | |
KR101162842B1 (en) | A river ban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84340B1 (en) | Scour protection system for sho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s | |
CN114108558A (en) | Urban inland river dike ecological landscape prote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JP2023526340A (en) | Improved erosion control and improvements related to erosion control | |
JP6066636B2 (en) | Frame mat and its laying method | |
KR101839576B1 (en) | River bank using geo-grid | |
RU2800918C1 (en) |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of armor ground design using flexible mattresses and slabs | |
RU2801750C1 (en) | Method for erecting a retaining wall of a combined structure to protect coastal zones from ero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