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0161B1 -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161B1
KR101230161B1 KR1020100096616A KR20100096616A KR101230161B1 KR 101230161 B1 KR101230161 B1 KR 101230161B1 KR 1020100096616 A KR1020100096616 A KR 1020100096616A KR 20100096616 A KR20100096616 A KR 20100096616A KR 101230161 B1 KR101230161 B1 KR 10123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ade
blades
curved
vib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251A (ko
Inventor
조영주
Original Assignee
조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주 filed Critical 조영주
Priority to KR102010009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1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1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플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청정실에 설치되는 공기 청정용, 냉각에 사용되는 냉각용, 사무실이나 공장 및 공기조화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공장 설비의 환기 시스템용, 화장실 등과 같이 내부 공기를 청정하게 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송풍 팬이 회전할 때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키며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Blade of Fan}
본 발명은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플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청정실에 설치되는 공기 청정용, 냉각에 사용되는 냉각용, 사무실이나 공장 및 공기조화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공장 설비의 환기 시스템용, 화장실 등과 같이 내부 공기를 청정하게 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송풍 팬이 회전할 때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키며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공장 설비의 환기 시스템에는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여러 종류의 송풍팬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송풍팬들은 송풍공기의 유동 특성에 따라 축류형 송풍팬과 원심형 송풍팬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축류형 송풍팬은 공기의 유동이 회전축과 평행하게 발생하는 송풍팬으로, 유량은 많이 발생하지만 압력은 낮게 생성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원심형 송풍팬은 통상적으로 블레이드의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에 직각인 반경방향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원심형 송풍팬은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가 목적으로 유량은 적게 발생하지만 압력은 높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송풍팬을 적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각각의 송풍팬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송풍팬을 적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높은 풍압을 요구하므로 주로 시로코팬이나 터보팬 등의 원심형 송풍팬이 적용되고, 고풍압보다는 고풍량이 요구되는 실내기에서는 축류형 송풍팬이 적용된다. 또한, 환기 시스템에서는 단시간에 많은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주로 고풍량을 구현할 수 있는 축류형 송풍팬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송풍팬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100)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0)가 상판덮개(미도시)와 하판덮개(110)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다수개의 블레이드(200)는 수직으로 경사각도로 부착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를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100)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유입하여 블레이드(200)와 블레이드(200) 사이로 공기를 배출시킬 때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시끄러우므로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모터의 수명도 단축된다.
즉, 상판덮개와 하판덮개(110)에 수직으로 경사지게 부착된 블레이드(200)에 유입되는 공기가 블레이드(200)에 부딪힐 때 모서리부분에서 회오리가 일어나기 때문에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내부 공기를 에어덕트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청정하게 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송풍 팬의 블레이드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상부덮개와 하판덮개에 다수 부착하여 모터의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곡면형의 블레이드와 곡면형의 블레이드 사이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고, 풍량의 증가는 물론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체(10)의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12), 상기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12) 사이에 수직으로 경사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12) 사이에 유입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 내부면을 활처럼 만곡되게 곡면(21)으로 구성하고, 상기 만곡되게 곡면(21)으로 형성된 블레이드(20)에 원추형의 수평날개(30)를 상부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부착하여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21)에 경사각도를 가지고 수직으로 부착되는 블레이드(40)의 양단부를 곡면(41)으로 형성하고,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에 원추형의 수평날개(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팬의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효과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체의 상판덮개와 하판덮개에 경사각도를 가지고 다수개가 부착된 블레이드의 내부 곡면을 타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덮개와 하판덮개에 부착된 블레이드의 양단부의 모서리를 수직이 아닌 곡면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가 모서리부분에서 모여 회오리를 치지 않고 곡면을 타고 즉시 배출되므로 모터에 무리를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송풍팬의 블레이들 나타낸 평단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송풍 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 팬을 구성하는 블레이드가 만곡되게 곡면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만곡되게 곡면으로 형성된 블레이드에 수평날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수직으로 형성된 블레이드의 양단부를 곡면으로 형성하고 수평날개가 수직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공기를 청정하게 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송풍 팬의 회전체(10)가 회전할 때 소음과 진동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블레이드(20)의 구성을 기존의 구성에서 탈피하여 창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도 3의 단면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체(10)의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21) 사이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가 경사각도를 가지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블레이드(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20)에 체결구를 체결함은 물론 접착제나 고주파에 의해 부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블레이드(20)는 기존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활처럼 만곡하여 곡면(21)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블레이드(20)의 양측 단부 즉,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12)와 만나는 양 단부 역시 곡면(22)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블레이드(20)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10)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시킬 때 유입된 공기는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1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경사각도로 다수 부착된 블레이드(20)의 곡면(21)을 타고 원활하게 회전한다.
즉,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20)의 곡면(21)에 부딪칠 때 표면적이 넓어 회전력을 더욱 활발하게 진행시킴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는 수직면과 같이 일정하게 부딪치지 않고 곡면(21)을 따라 부딪치는 시간상에서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공기의 저항을 흡수하여 즉시 배출시키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블레이드(20)의 양단부가 만나는 상판덮개(11) 및 하판덮개(21)의 모서리부 역시 곡면(22)을 형성하고 있어 모서리부에 모이는 공기 역시 머물면서 회오리를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송풍 팬보다 더 많은 풍량을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전력도 절감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면(21)으로 형성된 블레이드(20)의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에 원추형의 수평날개(30)를 부착하여 표면적을 더욱 넓혀줌으로써 유입되는 공기량이 더욱 활발하게 블레이드(20)의 면과 원추형의 수평날개(30) 면을 타고 배출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는 수직면의 블레이드(40)에 상부, 중앙부, 하부에 각각 원추형의 수평날개(50)를 부착하고, 또 상판덮개(11)와 하판덮개(12)가 만나는 모서리부의 양단부에도 곡면(41)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 역시 기존에 사용되는 블레이드와는 달리 유입된 공기가 접하는 블레이드(40)의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블레이드(40) 면과 원추형의 수평날개(50) 면을 타고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배출이 됨은 물론 모서리부의 곡면(41)에서 유입된 공기는 머물면서 회오리를 일으키지 않고 즉시 배출이 되므로 소임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10. 회전체 11. 상판덮개
12. 하판덮개 20, 40. 블레이드
21, 22, 41. 곡면 30, 50. 원추형의 수평날개

Claims (4)

  1.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의 상판덮개와 하판덮개, 상기 상판덮개와 하판덮개 사이에 수직으로 경사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덮개와 하판덮개 사이에 유입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 내부면을 활처럼 만곡되게 곡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만곡되게 곡면으로 형성된 블레이드에 원추형의 수평날개를 상부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부착하여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2. 삭제
  3. 삭제
  4.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의 상판덮개와 하판덮개 사이에 경사각도를 가지고 수직으로 부착되는 블레이드의 양단부를 곡면으로 형성하고,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에 원추형의 수평날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팬의 블레이드.
KR1020100096616A 2010-10-05 2010-10-05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23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16A KR101230161B1 (ko) 2010-10-05 2010-10-05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16A KR101230161B1 (ko) 2010-10-05 2010-10-05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251A KR20120035251A (ko) 2012-04-16
KR101230161B1 true KR101230161B1 (ko) 2013-02-05

Family

ID=4613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6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0161B1 (ko) 2010-10-05 2010-10-05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882B1 (ko) * 2021-10-19 2022-07-01 조복현 반도체장비의 공조장치용 블레이드 유속 균일 송풍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393U (ko) * 1984-10-31 1986-05-28
KR100806149B1 (ko) * 2006-07-04 2008-02-22 김영호 저소음형 송풍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393U (ko) * 1984-10-31 1986-05-28
KR100806149B1 (ko) * 2006-07-04 2008-02-22 김영호 저소음형 송풍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251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852B1 (ko) 공기조화기
KR101750877B1 (ko)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5823064B2 (ja) 空気調和機
KR200472965Y1 (ko) 선풍기
US20080034775A1 (en) Air conditioner
US10890194B2 (en) Air-send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3704385B1 (en) Fan
KR102058064B1 (ko) 공기조화기
WO2008023752A1 (fr) Ventilateur centrifuge de type à double aspiration
KR20110105739A (ko) 스월러를 이용한 레인지 후드
KR102025993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EP2792886B1 (en) Turbofan
KR014626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1230161B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송풍 팬의 블레이드
JP5574841B2 (ja) ターボ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1667407B1 (ko) 선풍기
JP2016188578A (ja) 送風装置
JP3893840B2 (ja) 吹出し気流の旋回成分補正方法及び送風装置
WO2018029878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754369B1 (ko) 선풍기
JP5012262B2 (ja) 天井扇
KR20150135829A (ko) 선풍기
KR20190057009A (ko) 공기 압축을 이용한 송풍 시스템
JP6138343B2 (ja) 遠心送風機
KR20160005420A (ko) 전력절감형 저소음 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