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9347B1 -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 Google Patents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347B1
KR101229347B1 KR1020120098138A KR20120098138A KR101229347B1 KR 101229347 B1 KR101229347 B1 KR 101229347B1 KR 1020120098138 A KR1020120098138 A KR 1020120098138A KR 20120098138 A KR20120098138 A KR 20120098138A KR 101229347 B1 KR101229347 B1 KR 10122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nozzle
plate
fabric
t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묵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347B1/ko
Priority to JP2013006215A priority patent/JP5501487B2/ja
Priority to TW102103940A priority patent/TW20141093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CN201310045665.XA priority patent/CN103668840A/zh
Publication of KR10122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347B1/ko
Priority to EP13155484.2A priority patent/EP2706316A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5/00Shaping or stretching of tubular fabrics upon cores or internal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즐판에 형성되는 노즐공의 상류측에 열풍유동제어편을 구비함으로써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각도(방향)가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히트세팅공정이나 염색후 건조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효과적이고 충분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열풍공급덕트에 열풍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송풍기로부터 열풍생성덕트와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에 열풍이 송풍되는 과정에서 와류발생을 최소화하여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각도(방향)가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히트세팅공정이나 염색후 건조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효과적이고 충분하게 이루어지게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Hotwind spray nozzle of tenter machine and Hotwind spray device of tenter machin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직물 또는 편직물등의 직물원단을 열처리, 수축, 건조 등을 행하는 섬유기계의 일종인 텐터기(tenter machine)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노즐공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이송되는 직물원단에 직각방향으로 분사되게 함과 아울러 열풍이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열풍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열풍에 의한 직물원단의 처리효율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織物) 또는 편직물(編織物)등의 직물원단의 가공처리과정에는 염색 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히트세팅(heat setting)공정, 염색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텐터기(tenter machine)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텐터기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며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각각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출구에 유입단이 장착되며 타단이 폐쇄되는 채널형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직물원단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생성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상기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여 열풍이 열풍분사노즐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는 직물원단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는 각각 상기 단위챔버 중 상ㆍ하류단에 설치되는 상ㆍ하류단 단위챔버에 구비된다.
종래의 텐터기에 의하여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와 가열기를 가동시키면 송풍기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가 가열기를 통해 열풍생성덕트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열기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180℃ 내지 220℃ 정도의 열풍이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다.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어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 텐터기와 관련한 선행특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75663호는 다수의 건조챔버가 연속하여 설치되되 각각의 건조챔버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고, 하단부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단부에 설치되는 혼합덕트가 각각의 건조챔버에서 차례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혼합덕트로부터 나오는 열풍을 다음 건조챔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유입통로는 건조챔버 하단부의 버너 설치위치의 측방에 상단부를 향하여 개구되되 하단부 쪽으로는 모든 면이 칸막이로 막혀 있으며 다음 건조 챔버 하단부로 개구되도록 설치되는 텐터기 열풍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0475663호는 혼합덕트의 일단으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이 혼합덕트의 타단을 향해 유동하면서 혼합덕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덕트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평판상의 노즐판(P)에 노즐공(H)이 타공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공(H)에서 분사되는 열풍분사방향(W2)이 이송되는 직물원단(F)에 대하여 직각으로 분사되지 않고 열풍유동방향(W1)으로 경사진 상태로 분사되기 때문에 히트세팅공정이나 염색후 건조공정 또는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발명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078903호의 텐터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장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제0078903호는 열교환기, 가이드 덕트,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로 이루어지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상로에 체결설치되는 각각의 노즐의 내부에 상부면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면을 이루어 다수의 노즐공을 천공시킨 정류판을 착설하여 유도쳄버와 정체쳄버를 형성하고, 상기 정류판의 노즐공과 노즐의 노즐공이 고온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둔 형태의 평면을 가지도록 엠보싱하여 상기 평면에 고온공기의 이동 방향과 대향되도록 구성하여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는 열풍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0078903호에 의한 텐터기에 대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직물원단에 분사되는 열풍이 직물원단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열풍의 송풍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히트세팅공정과 염색후 건조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다소 미흡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발명자)은 상기 등록특허 제0078903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과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5663호 "텐더기 열풍 시스템" (등록일자 : 2005. 02. 28.)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94-006246호(특허등록 제10-0078903호) "텐더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방치 및 그 방법" (공고일자 : 1994. 07. 13.)
본 발명의 목적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각도(방향)가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히트세팅공정이나 염색후 건조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효과적이고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기로부터 열풍생성덕트와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에 열풍이 송풍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열풍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열풍에 의한 직물원단의 처리효율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물원단을 향하는 쪽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에서 직물원단의 반대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노즐판과 덮개판의 폭방향 양측 연부를 연결하는 양측판에 의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일단에는 열풍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상기 노즐공의 열풍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연부에서 열풍분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노즐공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열풍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풍유동제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풍분사노즐을 제공한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은 상기 노즐판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직편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은 열풍유동방향의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은 상기 노즐공의 상류측 연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선단에서 상기 폐쇄단을 향하여 절곡된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은 상기 노즐공의 상류측 연부에서 하류측 연부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이 상기 노즐공의 상류측 연부에서 노즐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열풍유동방향의 하류측으로 만곡 형성된 만곡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의 선단부는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고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열풍입구를 통해 공급받은 열풍을 복수개의 열풍안내편을 구비하는 열풍출구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열풍유입구측으로 배출하는 열풍공급덕트; 상기 열풍유입구로 유입되는 열풍을 직물원단에 분사하는, 직물원단을 향하는 쪽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에서 직물원단의 반대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덮개판 및 상기 노즐판과 덮개판의 폭방향 양측 연부를 연결하는 양측판에 의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일단에는 열풍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상기 노즐공의 열풍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연부에서 열풍분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노즐공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열풍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풍유동제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풍분사노즐; 및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챔버는 상류벽에 직물원단 진입구가 형성된 상류측 단위챔버와, 하류벽에 직물원단 인출구가 형성된 하류측 단위챔버 및, 상기 상류측 단위챔버와 하류측 단위챔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단위챔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챔버의 내부 공간은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으로 반분되어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에 각각 상하 복수 쌍의 열풍분사노즐과, 각 하나씩의 열풍생성덕트, 가열기, 열풍공급덕트 및 송풍기가 구비된다.
상기 각 단위챔버 내에 설치되는 상기 열풍분사노즐과 열풍생성덕트, 가열기, 열풍공급덕트 및 송풍기는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열풍이 와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열풍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열풍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열풍제어수단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입구와 열풍출구 사이에 형성되고 송풍기에서 송풍되어 열풍입구를 통해 유입된 열풍이 상향 유동하는 열풍상향유로와, 상기 열풍상향유로를 따라 상승한 열풍이 열풍상향유로의 상단에서 열풍분사노즐 측으로 하향 유동하는 열풍하향유로로 구획하는 열풍우회유도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상단에서 구비되어 상기 열풍상향유로를 따라 상향 유동하는 열풍을 상기 열풍하향유로로 하향 반전시키는 열풍반전유로를 형성하는 열풍반전유도판과; 상기 열풍하향유로의 내부에서 상측 열풍출구에 근접 배치되어 열풍을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열풍출구 측으로 분배하는 열풍분배판과; 상기 열풍반전유로와 열풍하향유로 사이 유로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제1 풍량조절판; 및 상기 열풍하향유로 내에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 사이 유로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제2 풍량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풍우회유도판은 상기 열풍상향유로와 열풍하향유로를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하단과 하측 열풍입구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열풍유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풍유도판은 열풍하향유로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열풍유입구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반전유도판은 상기 열풍상향유로를 따라 상승 유동하는 열풍이 상기 열풍하향유로로 하향 반전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기 않도록 양측 단부를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분배판은 상기 열풍하향유로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을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 측으로 분배하는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풍량조절판은 지지단이 열풍공급덕트의 상측 열풍출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자유단이 상기 열풍우회유도판의 상단에 접하면서 상기 열풍반전유로와 열풍하향유로 사이를 폐쇄하고,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열풍반전유로와 열풍하향유로 사이를 개방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풍량조절판은 제1 풍량조절판을 상향 회동시켜 열풍반전유로와 열풍하향유로 사이를 개방하였을 때 열풍반전유로에서 반전되는 열풍이 와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만곡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풍량조절판은 지지단이 상기 열풍우회유도판의 중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그 자유단이 상기 열풍분배판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열풍하향유로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그 자유단이 상기 열풍분배판의 하단에서 벗어나면서 열풍하향유로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노즐판에 형성되는 노즐공의 상류측에 열풍유동제어편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각도(방향)가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히트세팅공정이나 염색후 건조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효과적이고 충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풍공급덕트에 열풍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송풍기로부터 열풍생성덕트와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에 열풍이 송풍되는 과정에서 와류발생을 최소화하여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각도가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히트세팅공정이나 염색후 건조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이 효과적이고 충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이 적용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7은 열풍제어수단의 개방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열풍제어수단의 폐쇄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0은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1은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2는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3은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4는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5는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6은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7은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8은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E-E선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F-F선 단면도,
도 21은 종래 열풍분사노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100)은 직물원단(F)을 향하는 쪽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노즐판(110)과, 상기 노즐판(110)에서 직물원단(F)의 반대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덮개판(120)과, 상기 노즐판(110)과 덮개판(120)의 폭방향 양측 연부를 연결하는 양측판(130, 140)에 의하여 사각 단면의 덕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판(110)에 복수개의 노즐공(150)이 구비된다.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열풍유입구(160)가 형성된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타단은 폐쇄부재(170)에 의하여 폐쇄된 폐쇄단으로 구성되어 개방단의 열풍유입구(160)를 통해 유입된 열풍이 폐쇄단을 향하여 유동하면서 노즐공(150)을 통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 단면적은 상기 열풍유입구(160)가 형성된 개방단이 넓고, 폐쇄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노즐공(150)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이 개방단에서 폐쇄단에 이르는 전체 영역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양측판(130, 140)은 상기 노즐판(110)에 대응하는 연부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덮개판(120)에 대응하는 연부가 개방단에서 폐쇄단으로 가면서 노즐판(110)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덮개판(120)은 상기 양측판(130, 140)에 대응하여 개방단에서 폐쇄단으로 가면서 상기 노즐판(110)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은 텐터기의 챔버(후술함) 내에서 이송되는 직물원단(F)의 상ㆍ하측에 상기 노즐판(110)이 직물원단(F)의 상ㆍ하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이송되는 직물원단(F)의 상ㆍ하면에 열풍을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노즐공(150)은 노즐판(11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노즐공(150)들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것끼리는 일직선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것끼리는 횡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는 노즐공(150)에서의 열풍 분사가 직물원단(F)의 전면에 걸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열풍분사용 노즐판(100)을 텐터기에 적용하였을 때 직물원단(F)의 이송방향(D)이 열풍분사용 노즐판(100)의 폭방향과 일치하게 되며, 이때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즐공(150)들을 일직선상에 배치할 경우, 이송되는 직물원단(F)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노즐공(150) 중 인접하는 노즐공(150)에서 분사된 열풍 사이에 경계가 생기게 되어 직물원단(F)의 전면에 걸쳐서 열풍분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열풍분사 누락부위가 생기게 되는 반면,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것끼리 횡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하는 경우, 폭방향으로 배열된 노즐공(150)들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서로 중첩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직물원단(F)의 전면에 걸쳐서 열풍분사 누락부위 없이 열풍분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노즐공(150)은 상기 노즐판(110)을 타발(打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공(150)은 열풍분사노즐(100) 내의 열풍유동방향(W1)을 기준으로 하여 상ㆍ하류측 연부(S1, S2)와 양측 연부(S3, S4) 모두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장방형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류측 연부(S1)와 양측 연부(S3, S4)는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하류측 연부(S2)는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상기 노즐공(150)의 열풍유동방향(W1)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연부(S1)에는 상기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직물원단(F)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열풍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풍유동제어편(180)에 구비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은 상기 노즐판(110)을 타발하여 노즐공(15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노즐판(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노즐판(11)을 타발하여 노즐공(15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노즐공(150)의 하류측 연부(S2)와 양측 연부(S3, S4)는 완전히 절단되게 하고, 상류측 연부(S1)는 절단되지 않도록 타발함과 아울러 열풍유동제어편(180)이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열풍분사방향(W2)의 반대방향, 즉 직물원단(F)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직편(181)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의 선단 연부는 상기 노즐공(150)의 하류측 연부(S2)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시예에서는 상기 노즐공(150)의 하류측 연부(S2)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의 선단 연부도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노즐공(150)의 하류측 연부(S2)와 열풍유동제어편(180)의 선단 연부를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열풍유입구(160)를 통하여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개방단에서 폐쇄단을 향하여 유동하면서 각각의 노즐공(150)의 위치에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에 의해 일단 차단된 다음,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을 우회하여 폐쇄단을 향하여 계속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은 직접적으로 상기 노즐공(150)을 향하여 유동하지 않고,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에 의한 차단과 우회 유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열풍이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노즐공(150)을 통과하게 되므로 노즐공(150)에서의 열풍분사각도가 열풍의 유동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2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열풍유동제어편(180)에 의하여 제어되어 노즐공(150)을 향하여 유동하지 못하는 열풍을 보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각도(방향)는 상기 노즐판(110) 및 직물원단(F)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이 적용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F)이 수평으로 통과하고 직물원단(F)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직물원단 진입구(203)와 직물원단 인출구(204)가 구비된 챔버(200)와; 상기 챔버(200)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300)와;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400)와;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열풍입구(5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유입단이 장착되고 복수개의 열풍안내편(540)이 형성된 열풍출구(520)를 통해 열풍분사노즐(100)의 열풍유입구(160)측으로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공급덕트(500)와; 상기 열풍유입구(160)로 유입되는 열풍을 직물원단(F)에 분사하는 열풍분사노즐(100); 및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2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400)와 열풍생성덕트(300)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500)를 통해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200)의 길이는 직물원단(F)의 이송속도와 상술한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에 필요한 열풍접촉시간을 감안하여 결정되며, 폭은 직물원단(F)의 폭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상기 챔버(200)는 상술한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위하여 10m에서 수10m에 이르는 길이로 구성되는 바, 이를 하나의 챔버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통상 복수개의 단위챔버(200A, 200B, 200C)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류측 단위챔버(200A)에는 상류벽(201)이 구비되며, 하류측 단위챔버(200C)에는 하류벽(202)이 구비되며, 상류벽(201)과 하류벽(202)에는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203)와 직물원단 인출구(204)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챔버(200A)는 직물원단(F)의 이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단위챔버이고, 단위챔버(200B)는 직물원단(F)의 이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단위챔버이며, 단위챔버(200C)는 상ㆍ하류측 단위챔버(200A, 200B)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 단위챔버이다. 도시예에서는 단위챔버(200A, 200B, 200C)를 3개만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공정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중간 단위챔버(200C)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위챔버(200A, 200B, 200C)의 내부 공간은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으로 반분되어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에 각각 상하 복수쌍(도면에서는 4쌍)의 열풍분사노즐(100)과, 각 하나씩의 열풍생성덕트(300), 가열기(400), 열풍공급덕트(500) 및 송풍기(6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단위챔버(200A, 200B, 200C) 내에 설치되는 상기 열풍분사노즐(100)과 열풍생성덕트(300), 가열기(400), 열풍공급덕트(500) 및 송풍기(60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에 설치되는 것들이 서로 반대방향, 즉 각 단위챔버(200A, 200B, 200C)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생성덕트(300)는 단위챔버(200A, 200B, 200C)의 폭방향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공기흡입구(31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열풍토출구(32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310)에 상기 가열기(400)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기(400)는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히터나 보일러 등을 직접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단위챔버(200A, 200B, 200C) 내에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부의 열원에 연결되는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공급덕트(500)는 하단에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의 열풍토출구(320)에 연결되는 열풍입구(510)가 구비되며, 상단에 일측방을 향하여 개구된 복수개의 열풍출구(520)가 구비된다.
상기 열풍입구(510)는 열풍공급덕트(500)의 하단에서 열풍생성덕트(300)를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열풍출구(520)는 열풍공급덕트(500)의 상단에서 열풍입구(510)와 같은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열풍출구(520)는 각각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씩 상하 2단으로 설치된다. 상기 열풍출구(520)의 가장자리에는 열풍분사노즐(100)의 유입단을 감싸 지지하기 위한 노즐고정틀(530)이 구비된다.
상기 열풍출구(520)에는 열풍을 열풍분사노즐(10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열풍안내편(540)이 구비된다.
상기 열풍안내편(540)의 상ㆍ하단과 노즐고정틀(530)의 상ㆍ하단 사이에는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유입단을 열풍출구(520)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유입단이 삽입될 수 있는 틈새(541)가 형성된다.
상기 열풍안내편(540)은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유입단에 형성된 열풍유입구(160)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송풍기(600)는 흡입단이 상기 가열기(400)가 설치된 열풍생성덕트(300)의 일단부를 향하여 위치하고, 토출단이 상기 열풍공급덕트(500)를 향하여 위치하는 원심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장치가 구비된 텐터기에 의한 직물원단(F)의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수축공정을 설명한다.
상기 가열기(400)와 송풍기(600)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직물원단(F)이 상류측 단위챔버(200A)의 직물원단 진입구(203)를 통해 진입하여 중간 단위챔버(200C)를 통과하며 하류측 단위챔버(200B)의 직물원단 인출구(204)를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 이송시키면, 송풍기(600)의 흡입력에 의하여 단위챔버(200A, 200B, 200C) 내의 공기가 공기흡입구(310)를 통해 열풍생성덕트(300)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의 공기흡입구(310)에는 가열기(4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열풍생성덕트(300)로 흡입되는 공기는 가열기(400)를 거치게 되면서 가열되어 열풍생성덕트(300)의 내부에서 열풍이 생성된다.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에서 생성된 열풍은 열풍생성덕트(300)의 열풍토출구(320)를 통해 열풍공급덕트(500)의 열풍입구(510)를 통해 열풍공급덕트(50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500)로 유입된 열풍은 열풍공급덕트(500)의 내부를 통해 상승하여 열풍공급덕트(500)의 상단에 구비된 열풍출구(520)로 배출되고, 상기 열풍출구(520)에서 배출된 열풍은 상기 열풍유입구(160)를 통하여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100)의 노즐판(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150)을 통해 직물원단(F)의 상ㆍ하면에 분사되어 직물원단(F)의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내부에는 열풍분사노즐(100)로 공급되는 열풍이 와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열풍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열풍제어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열풍제어수단은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열풍입구(510)와 상측의 열풍출구(520)의 사이에 형성되고 ,송풍기(600)에서 송풍되어 열풍입구(510)를 통해 유입된 열풍이 상향 유동하는 열풍상향유로(P1)와, 상기 열풍상향유로(P1)를 따라 상승한 열풍이 열풍상향유로(P1)의 상단에서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하향 유동하는 열풍하향유로(P2)로 구획하는 열풍우회유도판(710)과;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상단에서 구비되어 상기 열풍상향유로(P1)를 따라 상향 유동하는 열풍을 상기 열풍하향유로(P2)로 하향 반전시키는 열풍반전유로(P3)를 형성하는 열풍반전유도판(720)과; 상기 열풍하향유로(P2)의 내부에서 상측 열풍출구(520)에 근접 배치되어 열풍을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의 열풍출구(520) 측으로 분배하는 열풍분배판(730)과; 상기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를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제1 풍량조절판(740); 및 상기 열풍하향유로(P2) 내에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유로를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제2 풍량조절판(7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열풍우회유도판(710)은 상기 열풍상향유로(P1)와 열풍하향유로(P2)를 구획하는 구획판(711)과, 상기 구획판(711)의 하단과 하측 열풍입구(510)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열풍유도판(712)을 포함한다.
상기 열풍유도판(712)은 열풍하향유채로(P2)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100)의 열풍유입구(160)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반전유도판(720)은 상기 열풍상향유로(P1)를 따라 상승 유동하는 열풍이 상기 열풍하향유로(P2)로 하향 반전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기 않도록 양측 단부를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분배판(730)은 상기 열풍하향유로(P2)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을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분배하는 경사판(731, 732)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판(731, 732)의 상단은 만곡연결부(73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풍량조절판(740)은 지지단이 열풍공급덕트(500)의 상측 열풍출구(52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자유단이 상기 열풍우회유도판(710)의 상단에 접하면서 상기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를 폐쇄하고,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를 개방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개방각도를 조절하여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에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풍량조절판(740)은 평판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1 풍량조절판(740)을 상향 회동시켜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를 개방하였을 때 열풍반전유로(P3)에서 반전되는 열풍이 와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만곡부(74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풍량조절판(740)을 개폐 조작하기 위하여 제1 풍량조절판(740)의 지지단에 고정 연결되어 제1 풍량조절판(740)과 일체로 회동되는 회동레버(742)와, 상기 회동레버(742)의 자유단에 힌지연결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로드(743)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레버(742)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조작로드(743)와 연결하는 힌지핀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7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풍량조절판(750)은 지지단이 상기 열풍우회유도판(710)의 중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그 자유단이 상기 열풍분배판(730)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열풍하향유로(P2)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그 자유단이 상기 열풍분배판(730)의 하단에서 벗어나면서 열풍하향유로(P2)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개방각도를 조절하여 하측 열풍분사노즐(100)에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풍량조절판(750)을 개폐 조작하기 위하여 제2 풍량조절판(740)의 지지단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레버(751)와, 상기 고정레버(751)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레버(752)와, 상기 연결레버(752)에 힌지연결되어 수평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75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풍량조절판(740, 750)은 상술한 레버와 로드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지지단을 서보모터 등의 회전구동수단에 연결하여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풍량제어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에 의하여 직물원단의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풍량조절판(740, 750)에 의하여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에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100)은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편(182)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열풍유동방향(W1)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편(182)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에 대한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이 곧바로 노즐공(150)을 향하는 것을 억제하여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분사방향(W2)이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의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100)은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절곡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은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83)와, 상기 수직부(183)의 선단에서 상기 폐쇄단을 향하여 절곡된 수평부(18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수직부(183)와 수평부(184)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이 수직부(183)에 의하여 1차적으로 차단 및 우회되고 수평부(184)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 및 우회되어 열풍이 곧바로 노즐공(150)을 향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분사방향(W2)이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수평부(184)는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이 노즐공(150)을 향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열풍분사방향(W2)이 노즐판(110)과 직물원단(F)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하는 데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의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100)은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만곡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은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하류측 연부(S2)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편(185)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만곡편(185)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에 대한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열풍이 곧바로 노즐공(150)을 향하는 것을 억제하여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분사방향(W2)이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의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100)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100)은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노즐판(110)에 수직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만곡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은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부(186)와, 상기 수직부(186)의 단부에서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만곡 형성된 만곡부(187)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수직부(186)와 만곡부(187)로 구성되어 있어 수직부(186)와 만곡부(187)에 의한 차단 및 우회 유도 작용으로 열풍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열풍분사노즐(100)의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분사방향(W2)이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의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내제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분사노즐(100)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100)은 노즐판(110)이 양측방을 향해 대칭으로 경사진 경사면(111, 112)을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1, 112)에 상기 노즐공(150)과 열풍유동제어편(180)이 구비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100)은 편직물의 조직이 눌리고 변형된 것을 원형으로 복원시키는 데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분사노즐(100)은 양측방을 향해 대칭으로 경사진 경사면(111, 112)에 노즐공(15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풍분사노즐(100)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편직물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편직물이 경사지게 분사되는 열풍에 의하여 편직물에 웨이브가 형성되면서 편직물의 조직이 살아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은 상술한 제5 실시에와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열풍유동제어편의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열풍분사노즐 110 : 노즐판
150 : 노즐공 160 : 열풍유입구
170 : 폐쇄부재 180 : 열풍유동제어편
200 : 챔버 200A, 200B, 200C : 단위챔버
300 : 열풍생성덕트 400 : 가열기
500 : 열풍공급덕트 600 : 송풍기
710 : 열풍우회유도판 720 : 열풍반전유도판
730 : 열풍분배판 740 : 제1 풍량조절판
750 : 제2 풍량조절판

Claims (28)

  1. 직물원단(F)을 향하는 쪽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노즐공(150)이 형성된 노즐판(110);
    상기 노즐판(110)에서 직물원단(F)의 반대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덮개판(120); 및
    상기 노즐판(110)과 덮개판(120)의 폭방향 양측 연부를 연결하는 양측판(130, 140)에 의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일단에는 열풍유입구(160)가 형성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상기 노즐공(150)의 열풍유동방향(W1)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연부(S1)에서 열풍분사방향(W2)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직물원단(F)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열풍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풍유동제어편(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직편(181)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편(18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83)와, 상기 수직부(183)의 선단에서 상기 폐쇄단을 향하여 절곡된 수평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하류측 연부(S2)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편(18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부(186)와, 상기 수직부(186)의 단부에서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만곡 형성된 만곡부(18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은 노즐판(110)이 양측방을 향해 대칭으로 경사진 경사면(111, 112)을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1, 112)에 상기 노즐공(150)과 열풍유동제어편(1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의 선단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9.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F)이 수평으로 통과하고 직물원단(F)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직물원단 진입구(203)와 직물원단 인출구(204)가 구비된 챔버(200);
    상기 챔버(200)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300);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400);
    상기 열풍생성덕트(300)의 타측과 연결되는 열풍입구(510)를 통해 공급받은 열풍을 복수개의 열풍안내편(540)을 구비하는 열풍출구(520)를 통해 열풍분사노즐(100)의 열풍유입구(160)측으로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공급덕트(500):
    상기 열풍유입구(160)로 유입되는 열풍을 직물원단(F)에 분사하는, 직물원단(F)을 향하는 쪽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노즐공(150)이 형성된 노즐판(110)과, 상기 노즐판(110)에서 직물원단(F)의 반대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덮개판(120) 및 상기 노즐판(110)과 덮개판(120)의 폭방향 양측 연부를 연결하는 양측판(130, 140)에 의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일단에는 열풍유입구(160)가 형성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상기 노즐공(150)의 열풍유동방향(W1)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연부(S1)에서 열풍분사방향(W2)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노즐공(150)에서 분사되는 열풍이 직물원단(F)의 상ㆍ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열풍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풍유동제어편(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풍분사노즐(100); 및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2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400)와 열풍생성덕트(300)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500)를 통해 열풍분사노즐(10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00)는,
    상류벽(201)에 직물원단 진입구(203)가 형성된 상류측 단위챔버(200A);
    하류벽(202)에 직물원단 인출구(204)가 형성된 하류측 단위챔버(200B); 및
    상기 상류측 단위챔버(200A)와 하류측 단위챔버(20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단위챔버(200C);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챔버(200A, 200B, 200C)의 내부 공간은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으로 반분되어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에 각각 상하 복수쌍의 열풍분사노즐(100)과, 각 하나씩의 열풍생성덕트(300), 가열기(400), 열풍공급덕트(500) 및 송풍기(6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챔버(200A, 200B, 200C) 내에 설치되는 상기 열풍분사노즐(100)과 열풍생성덕트(300), 가열기(400), 열풍공급덕트(500) 및 송풍기(600)는 상류측 공간과 하류측 공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분사노즐(100)로 공급되는 열풍이 와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열풍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열풍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제어수단은,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열풍입구(510)와 열풍출구(520) 사이에 형성되고, 송풍기(600)에서 송풍되어 열풍입구(510)를 통해 유입된 열풍이 상향 유동하는 열풍상향유로(P1)와, 상기 열풍상향유로(P1)를 따라 상승한 열풍이 열풍상향유로(P1)의 상단에서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하향 유동하는 열풍하향유로(P2)로 구획하는 열풍우회유도판(710);
    상기 열풍공급덕트(5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상향유로(P1)를 따라 상향 유동하는 열풍을 상기 열풍하향유로(P2)로 하향 반전시키는 열풍반전유로(P3)를 형성하는 열풍반전유도판(720);
    상기 열풍하향유로(P2)의 내부에서 상측 열풍출구(520)에 근접 배치되어 열풍을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의 열풍출구(520) 측으로 분배하는 열풍분배판(730);
    상기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 유로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제1 풍량조절판(740); 및
    상기 열풍하향유로(P2) 내에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 사이 유로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제2 풍량조절판(7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우회유도판(710)은 상기 열풍상향유로(P1)와 열풍하향유로(P2)를 구획하는 구획판(711)과, 상기 구획판(711)의 하단과 하측 열풍입구(510)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열풍유도판(71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도판(712)은 열풍하향유로(P2)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100)의 열풍유입구(160)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곡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반전유도판(720)은 상기 열풍상향유로(P1)를 따라 상승 유동하는 열풍이 상기 열풍하향유로(P2)로 하향 반전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기 않도록 양측 단부를 만곡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배판(730)은 상기 열풍하향유로(P2)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을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분배하는 경사판(731, 73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량조절판(740)은 지지단이 열풍공급덕트(500)의 상측 열풍출구(52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자유단이 상기 열풍우회유도판(710)의 상단에 접하면서 상기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를 폐쇄하고,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를 개방하게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량조절판(740)은 제1 풍량조절판(740)을 상향 회동시켜 열풍반전유로(P3)와 열풍하향유로(P2) 사이를 개방하였을 때 열풍반전유로(P3)에서 반전되는 열풍이 와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만곡부(74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풍량조절판(750)은 지지단이 상기 열풍우회유도판(710)의 중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그 자유단이 상기 열풍분배판(730)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열풍하향유로(P2)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그 자유단이 상기 열풍분배판(730)의 하단에서 벗어나면서 열풍하향유로(P2)를 하향 유동하는 열풍이 하측 열풍분사노즐(1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직편(181)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편(18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83)와, 상기 수직부(183)의 선단에서 상기 폐쇄단을 향하여 절곡된 수평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하류측 연부(S2)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편(18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이 상기 노즐공(150)의 상류측 연부(S1)에서 노즐판(110)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부(186)와, 상기 수직부(186)의 단부에서 열풍유동방향(W1)의 하류측으로 만곡 형성된 만곡부(18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노즐(100)은 노즐판(110)이 양측방을 향해 대칭으로 경사진 경사면(111, 112)을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1, 112)에 상기 노즐공(150)과 열풍유동제어편(1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28. 제9항 및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제어편(180)의 선단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KR1020120098138A 2012-09-05 2012-09-05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2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38A KR101229347B1 (ko) 2012-09-05 2012-09-05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JP2013006215A JP5501487B2 (ja) 2012-09-05 2013-01-17 テンターの熱風噴射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テンターの熱風噴射装置
TW102103940A TW201410935A (zh) 2012-09-05 2013-02-01 拉幅機的熱風噴嘴和使用該熱風噴嘴的拉幅機的熱風噴射裝置
CN201310045665.XA CN103668840A (zh) 2012-09-05 2013-02-05 拉幅机的热风喷嘴和使用该热风喷嘴的拉幅机的热风喷射装置
EP13155484.2A EP2706316A2 (en) 2012-09-05 2013-02-15 Hot wind spray nozzle of tenter and hot wind spray apparatus of tent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38A KR101229347B1 (ko) 2012-09-05 2012-09-05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347B1 true KR101229347B1 (ko) 2013-02-05

Family

ID=4774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9347B1 (ko) 2012-09-05 2012-09-05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06316A2 (ko)
JP (1) JP5501487B2 (ko)
KR (1) KR101229347B1 (ko)
CN (1) CN103668840A (ko)
TW (1) TW20141093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67B1 (ko) * 2013-11-15 2015-05-13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텐터기용 공기분사덕트의 공기분사각도 조절장치
EP3026151A4 (en) * 2013-07-23 2016-08-03 Mitsubishi Rayon Co GAS SUPPLY BLOWER NOZZLE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FIBERS AND FLAME-RESISTANT FIBERS THEREWITH
KR101652892B1 (ko) 2015-05-08 2016-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 건조 셋팅기용 원단 공급장치
KR101652886B1 (ko) 2015-05-12 2016-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KR101796489B1 (ko) * 2015-10-21 2017-11-10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고속 dtp 설비의 건조기용 열풍 건조노즐
KR101798930B1 (ko) 2016-05-30 2017-12-12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2102274B1 (ko) * 2019-12-20 2020-04-20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CN111836685A (zh) * 2018-03-29 2020-10-27 东丽株式会社 气体喷出喷嘴及炉、以及加工膜的制造方法
KR20230076995A (ko) * 2021-11-24 2023-06-01 명성티엔에스주식회사 동시이축 연신설비의 분리막 건조장치
KR102781776B1 (ko) * 2024-05-27 2025-03-17 주식회사 케이와이 직물 텐터기의 공정에어 조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7703B2 (en) * 2015-02-18 2017-03-21 Lam Research Ag Slit nozzle
JP5989165B1 (ja) * 2015-03-25 2016-09-0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空気噴射部材と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の製造方法
DE102016003096A1 (de) * 2015-04-04 2016-10-06 Kiefel Gmbh Heizkanaleinheit,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Heizkanaleinheit und Umbuganlage
CN104790162B (zh) * 2015-05-18 2017-08-01 盐城思科钛机械有限公司 一种分散型拉幅定型机用风嘴
CN105066617A (zh) * 2015-08-14 2015-11-18 吴江金叶织造有限公司 一种设有拉幅机构的布铗链式热风烘干机
KR102009433B1 (ko) * 2015-08-25 2019-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시스템
DE202015106039U1 (de) * 2015-11-10 2017-02-13 Autefa Solutions Germany Gmbh Behandlungseinrichtung
CN105908435A (zh) * 2016-06-03 2016-08-31 苏州道格拉斯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智能拉幅机构
CN105908432A (zh) * 2016-06-03 2016-08-31 苏州道格拉斯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均热拉幅工作台
CN105908440A (zh) * 2016-06-03 2016-08-31 苏州道格拉斯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精准拉幅工作台
CN107938232B (zh) * 2017-10-26 2019-11-29 浙江理工大学 一种拉幅热定型机烘箱结构
KR101974939B1 (ko) * 2018-10-31 2019-05-07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오토필터장치를 구비한 섬유건조 셋팅기
CN109082808B (zh) * 2018-11-08 2024-03-12 常州宏大智能装备产业发展研究院有限公司 拉幅定型机织物定型状态调节的方法及装置
TWI705169B (zh) * 2018-11-26 2020-09-21 乘福工業有限公司 具可抽換出風蓋板的垂直導流風管
CN111254621A (zh) * 2018-11-30 2020-06-09 乘福工业有限公司 具有可抽换出风盖板的垂直导流风管
CN110173973A (zh) * 2019-05-17 2019-08-27 河南中联热科工业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高低可调节能型烘干房
CN111020877B (zh) * 2019-12-13 2021-07-09 江苏迎阳无纺机械有限公司 具有风道转换功能的热风烘箱
JP7424633B2 (ja) * 2020-10-26 2024-01-30 株式会社市金工業社 空気噴射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テンターオーブン
KR102349258B1 (ko) * 2021-06-10 2022-01-10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
JP7227649B1 (ja) 2021-10-26 2023-02-22 株式会社太平製作所 多段搬送式熱風乾燥装置
CN217154922U (zh) * 2022-02-25 2022-08-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干燥装置及烘箱
CN116294504A (zh) * 2023-03-22 2023-06-23 博格曼(江苏)纺织科技有限公司 布料烘干固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893A (ko) * 1992-03-26 1993-10-18 김원묵 텐터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H0731028B2 (ja) * 1991-05-24 1995-04-10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熱風供給方法、及び放熱装置
JPH07234070A (ja) * 1994-02-21 1995-09-05 Hirano Tecseed Co Ltd 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100475663B1 (ko) 2004-07-27 2005-03-14 이화기계공업(주) 텐터기 열풍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74152A (en) * 1931-11-05 1932-06-09 William Wycliffe Spoon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ying apparatus
DE3336331C2 (de) * 1983-10-06 1985-12-05 A. Monforts GmbH & Co, 4050 Mönchengladbach Konvektionstrocken- und/oder -fixiermaschine
US4779357A (en) * 1986-08-01 1988-10-25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Apparatus for blowing a treatment medium onto a longitudinally moving web
JP2501480Y2 (ja) * 1991-03-29 1996-06-19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排臭機能を有する小便器
DE4406846C1 (de) * 1994-03-03 1995-05-04 Koenig & Bauer Ag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bedruckten Bogen oder Bahnen in Druckmaschinen
EP0725178B2 (de) * 1995-01-31 2005-04-27 Kurt Dr. Müll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und Krumpfen von textiler Ware
CN2609949Y (zh) * 2003-01-29 2004-04-07 张永健 夹缝型风嘴喷风管
DE10343407B4 (de) * 2003-09-19 2006-02-16 A. Monforts Textilmaschinen Gmbh & Co. Kg Düsenblaskasten eines Spannrahmens
KR100613898B1 (ko) *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CN200979357Y (zh) * 2006-12-05 2007-11-21 陈成银 烘干机风嘴
KR100860146B1 (ko) * 2007-05-23 2008-09-24 김도현 노즐
JP4949151B2 (ja) * 2007-07-20 2012-06-06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CN201390919Y (zh) * 2009-04-03 2010-01-27 潍坊凯信机械有限公司 一种气浮式干燥喷风嘴
CN202181443U (zh) * 2011-08-08 2012-04-04 愉悦家纺有限公司 一种风箱
CN102331164B (zh) * 2011-11-02 2012-11-07 常熟市伟成非织造成套设备有限公司 热风烘箱的风管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28B2 (ja) * 1991-05-24 1995-04-10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熱風供給方法、及び放熱装置
KR930019893A (ko) * 1992-03-26 1993-10-18 김원묵 텐터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H07234070A (ja) * 1994-02-21 1995-09-05 Hirano Tecseed Co Ltd 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100475663B1 (ko) 2004-07-27 2005-03-14 이화기계공업(주) 텐터기 열풍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2738B2 (en) 2013-07-23 2019-11-1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Gas supply blowout nozzle and method of producing flame-proofed fiber and carbon fiber
EP3026151A4 (en) * 2013-07-23 2016-08-03 Mitsubishi Rayon Co GAS SUPPLY BLOWER NOZZLE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FIBERS AND FLAME-RESISTANT FIBERS THEREWITH
KR101519367B1 (ko) * 2013-11-15 2015-05-13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텐터기용 공기분사덕트의 공기분사각도 조절장치
KR101652892B1 (ko) 2015-05-08 2016-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 건조 셋팅기용 원단 공급장치
KR101652886B1 (ko) 2015-05-12 2016-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KR101796489B1 (ko) * 2015-10-21 2017-11-10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고속 dtp 설비의 건조기용 열풍 건조노즐
KR101798930B1 (ko) 2016-05-30 2017-12-12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CN111836685A (zh) * 2018-03-29 2020-10-27 东丽株式会社 气体喷出喷嘴及炉、以及加工膜的制造方法
US12031774B2 (en) 2018-03-29 2024-07-09 Toray Industries, Inc. Gas blowoff nozzle and furn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film
KR102102274B1 (ko) * 2019-12-20 2020-04-20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20230076995A (ko) * 2021-11-24 2023-06-01 명성티엔에스주식회사 동시이축 연신설비의 분리막 건조장치
KR102692858B1 (ko) 2021-11-24 2024-08-08 주식회사 피엔티 엠에스 동시이축 연신설비의 분리막 건조장치
KR102781776B1 (ko) * 2024-05-27 2025-03-17 주식회사 케이와이 직물 텐터기의 공정에어 조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52173A (ja) 2014-03-20
CN103668840A (zh) 2014-03-26
EP2706316A2 (en) 2014-03-12
TW201410935A (zh) 2014-03-16
JP5501487B2 (ja)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347B1 (ko)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US5516012A (en) Apparatus for steam treatment and hot-air treatment of garments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BRPI0514550B1 (pt) máquina para processar um tecido
KR102111724B1 (ko) 필름 시트용 텐터기
JP5196473B2 (ja) 加熱調理装置
KR102307301B1 (ko) 텐터기의 열풍 분배용 댐퍼장치
US9260815B2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KR102017543B1 (ko) 직물, 셀룰로오스 및 다른 섬유 재료를 위한 유체 처리 유닛 그리고 또한 유체 처리 방법
US7845197B2 (en)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JP2016198255A (ja) 加熱処理装置
KR101742311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노즐구조체
KR20150117979A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KR101296201B1 (ko) 직물원단 건조장치
KR200175927Y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의 버너 열기 배출구조
KR20220068940A (ko) 처리로를 통과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 웹, 특히 플라스틱 필름 처리 기계
KR102505257B1 (ko) 텐터기용 상,하부 열풍 분배댐퍼장치
KR100860146B1 (ko) 노즐
CN106337258A (zh) 拉幅机的热风供给结构
CN114438691B (zh) 拉幅机用下部喷嘴升降结构体
JP7492224B2 (ja) 処理装置及び送風機
EP3143199B1 (en) Manifold
JPH06146158A (ja) 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20150117978A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분사구조체
KR101119921B1 (ko) 원단폭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