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949B1 -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8949B1 KR101228949B1 KR1020110044416A KR20110044416A KR101228949B1 KR 101228949 B1 KR101228949 B1 KR 101228949B1 KR 1020110044416 A KR1020110044416 A KR 1020110044416A KR 20110044416 A KR20110044416 A KR 20110044416A KR 101228949 B1 KR101228949 B1 KR 101228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locking device
- window
- slide block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식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에 구성되어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자동 록킹되고 버튼을 누름에 따라 언록킹되는 버튼식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창문에 설치된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림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록킹 시는 버튼에 걸림되고 언록킹 시는 버튼에서 해제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럭;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언록킹 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눌림된 버튼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슬라이드블럭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창문의 록킹장치가 핸들의 회전없이 버튼을 누름으로써 언록킹되고, 창문을 닫음으로써 자동으로 록킹됨으로써 핸들의 회동작동이 없어지므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고, 핸들의 회전운동을 후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주변 연동부품들이 모두 배제되므로 구조가 단순해지며, 원자재의 변화로 인해 록킹장치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locking device, comprising: a button-type locking device configured in a window to be automatically locked to a strike of a window frame and unlocked by pressing a button, wherein the locking device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housing installed in the window. A button pressed by the user; A slide block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ousing and is locked to the button when locked and released from the button when unlocked; A stopper installed on the slide block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to fix the pressed button when the window is closed during unlocking; And a locker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ousing and locked or unlocked to the strike of the window frame while being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 block. The locking device of the window is unlocked by pressing a button without rotating the handle. It is automatically locked by closing the window, eliminat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which improves durability,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since all peripheral interlocking parts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in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hook are excluded. Due to the change, the locking device can be made lighter in weight and reduced in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튼식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에 설치되는 록킹장치를 버튼을 누름으로써 언록킹되고, 창문을 닫는 동시에 자동으로 록킹되는 버튼식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type locking device that is unlocked by pressing a button on a locking device installed in a window, and is automatically locked while closing the window.
통상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문에는 록킹장치가 구성되어 있고, 이런 록킹장치는 창문에 설치된 핸들을 회동시킴에 따라 창문 내부에 구성된 로드가 승강되면서 창문의 상하측에 설치된 록킹장치의 후크를 작동시키며, 창틀에는 후크가 걸림되는 스트라이크(striker)가 설치되어 창문을 록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window is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or porch is configured with a locking device, such a locking device is rotated by the handle installed in the window as the rod is configured to lift the hooks of the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indow It is activated, and the window frame is equipped with a striker (striker) is configured to lock the window.
최근에는 창문을 닫을 때 후크가 스트라이크에 자동으로 걸림되는 자동록킹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자동록킹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창문 손잡이는 대개 핸들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that the hook is automatically locked to the strike when the window is closed is widely used, and the window handle for operat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is usually composed of a handle type.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록킹장치의 핸들은 창문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 항상 핸들을 창문의 열림 방향으로 회동시켜 록킹장치를 언록킹시킴과 동시에 창문을 열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반복되는 핸들의 회동작동에 의해서 핸들 및 이와 연동되는 록킹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핸들의 회동작동을 로드의 승강작동으로 변환시키고, 로드의 승강작동을 다시 후크의 승강작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핸들과 로드 및 로드와 록킹장치 사이에는 많은 부품들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handl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attempts to open the window, the handle is alway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window to unlock the locking device and simultaneously open the window. The handle and the rod and the rod and the locking device not only decrease the durability of the handle and the locking device interlocked therewith, but also convert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andle in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od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od in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ook. Many parts have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between, which leads to a complicated structur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내구성을 보완하고자 할 시는 핸들 및 록킹장치를 금속재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록킹장치가 고중량 및 고가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and the locking device should be made of a metal material in order to supplement the dur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has a disadvantage of being a heavy weight and an expensive factor.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문의 록킹장치를 버튼을 누름으로써 언록킹되고, 창문을 닫음으로써 자동으로 록킹되는 록킹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핸들의 회동작동이 없어지므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고, 구조가 단순화되며, 원자재의 변화로 인한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버튼식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device of the window by pressing a button, the locking device by configuring the locking device that is automatically locked by closing the window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type lock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weight and cost by changing raw materials.
상술한 목적은, 창문에 구성되어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자동 록킹되고 버튼을 누름에 따라 언록킹되는 버튼식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창문에 설치된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림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록킹 시는 버튼에 걸림되고 언록킹 시는 버튼에서 해제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럭;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언록킹 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눌림된 버튼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슬라이드블럭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록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 button-type locking device which is configured in a window and automatically locked to a strike of a window frame and unlocked by pressing a button, wherein the locking device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housing installed in the window and pressed by a user. ; A slide block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ousing and is locked to the button when locked and released from the button when unlocked; A stopper installed on the slide block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to fix the pressed button when the window is closed during unlocking; And a locker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ousing and locked or unlocked to the strike of the window frame while being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 block.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럭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스토퍼가 탄력 지지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에는 수용홈을 관통하여 언록킹 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눌림된 버튼의 상면을 지지 고정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lide block, and a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so as to be movable in an elastically supported state. The button is pressed in the stopper when the window is closed when the window is closed through the accommodation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또, 상기 슬라이드블럭에는 로커를 회전시키는 슬라이드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커에는 슬라이드블럭의 슬라이드판과 접하는 한편 하우징에 탄력 지지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lide plate for rotating the rocker is formed on the slide block to protrude, and the rocker preferably contacts a slide plate of the slide block and protrude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housing.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럭에는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버튼에는 후크부가 걸림되는 걸림공이 천공되며, 상기 버튼에는 걸림공에서 해제된 후크부가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de block is formed with a protruding hook portion,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hook hole is caught in the hook, the support rib is preferably formed to support the hook portion released from the hook hole.
본 발명의 버튼식 록킹장치에 따르면, 창문의 록킹장치가 핸들의 회전없이 버튼을 누름으로써 언록킹되고, 창문을 닫음으로써 자동으로 록킹됨으로써 핸들의 회동작동이 없어지므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고, 핸들의 회전운동을 후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주변 연동부품들이 모두 배제되므로 구조가 단순해지며, 원자재의 변화로 인해 록킹장치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button-typ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device of the window is unlocked by pressing a button without rotating the handle, and is automatically locked by closing the window, thereby elimina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handl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Since the peripheral interlocking part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into the linear motion of the hook are all exclude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weight of the locking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due to the change of raw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록킹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의 버튼 부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의 버튼이 눌린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언록킹된 상태에서의 버튼 부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록킹장치의 언록킹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utton-typ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tton part in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button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ssed stat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 portion in the un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unlocking state of a button-typ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록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6 are diagrams showing a button-typ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버튼식 록킹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미도시)에 그 일측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정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을 개폐시키는 커버(120)를 포함한다.1 and 2, the button-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격벽(111)이 형성되고, 이 격벽(111)을 경계로 버튼(130), 슬라이드블럭(140), 로커(160), 그리고 다수의 스프링(133)(144)(164) 등이 간섭없이 구성된다.A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다수의 스프링(133)(144)(152)(164)을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스프링(133)(144)(152)(164)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얼마든지 다른 형태나 구조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창문(미도시)의 상하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록킹장치(100) 중 상측의 록킹장치(100)를 그 일례로 예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록킹장치(100)를 설명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버튼(130)이 설치되고, 상기 버튼(130)의 배면과 하우징(110) 사이에는 버튼(130)을 정면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3)이 설치된다.A
상기 버튼(130)은 상하 양측면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일정길이의 지지리브(1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131)와 버튼(130)의 일단부 사이에는 후술될 슬라이드블럭(140)의 후크부(145)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130)의 걸림공(132)으로부터 해제된 슬라이드블럭(140)의 후크부(145)는 버튼(130)의 지지리브(131)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된다.The
그리고, 상기 버튼(130)은 그 정면에 돌출된 원형의 돌부가 커버(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버튼(130)은 하우징(110)의 격벽(111)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하우징(110)에 대한 수직방향(전후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버튼(130)과 인접한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는 슬라이드블럭(140)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럭(140)의 일측은 창문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이동되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된다.A
한편, 상기 슬라이드블럭(140)의 일면(도 6에서 정면)에는 후술될 스토퍼(15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수용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41)의 일측 즉 버튼(130)과 인접한 측에는 스토퍼(150)의 걸림돌부(151)가 수용홈(141)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e surface (front in Figure 6) of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럭(140)의 상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판(14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판(142)과 하우징(110)의 격벽(111) 사이에는 슬라이드블럭(14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44)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142)에는 스프링(144)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143)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프링(144)은 슬라이드판(142)과 하우징(110)의 격벽(111) 사이에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판(142)을 안정적으로 탄력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럭(140)에는 버튼(130) 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145)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145)는 도 3에서와 같이 창문의 록킹 시 버튼(130)의 걸림공(132)에 삽입되어 걸림되며, 도 5에서와 같이 창문의 언록킹 시는 버튼(130)의 걸림공(132)으로부터 해제되어 버튼(130)의 지지리브(131)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이와 같이 슬라이드블럭(140)의 후크부(145)가 버튼(130)의 지지리브(131)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창문의 언록킹 시에는 눌린 버튼(130)이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창문의 록킹 시에는 버튼(13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버튼(130)의 원형 돌부가 하우징(110) 외측으로 돌출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슬라이드블럭(140)의 수용홈(141)에는 "U"자 형상의 스토퍼(150)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150)의 개구부 반대편에는 걸림돌부(151)가 돌출 형성된다.A
상기 스토퍼(150)의 걸림돌부(151)는 슬라이드블럭(140)의 수용홈(141)을 관통하여 버튼(130)의 일면과 접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스토퍼(150)와 수용홈(141)의 내측면 사이에는 스토퍼(150)를 버튼(130)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52)이 설치된다.The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록킹장치(100)의 버튼(130)을 누르면 버튼(130)이 하우징(110) 내측으로 삽입되고, 버튼(130)이 이에 접한 스토퍼(150)의 걸림돌부(151)를 벗어나는 순간 스토퍼(15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토퍼(150)가 수용홈(141)의 내주면 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돌부(151)가 버튼(13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버튼(130)을 누른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버튼(130)의 복귀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의 록킹장치(100)는 언록킹된 상태이고, 창문은 닫힌 상태이므로 창문을 열기만 하면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럭(140)과 이격된 하우징(110) 내에는 로커(1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로커(160)는 그 일단부(창틀 방향)에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창틀(미도시)의 스트라이크(미도시)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후크부(161)가 절곡 형성되고, 타단부(하우징의 내측 방향)에는 돌출부(162)가 절곡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로커(160)의 돌출부(162)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로커(160)를 탄력 지지하여 로커(16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64)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164)은 그 일단부가 로커(160)의 돌출부(162)에 돌출된 돌기(163)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로커(160)를 안정적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그리고, 상기 스프링(164) 반대편의 돌출부(162)에는 전술한 슬라이드블럭(140)의 양 슬라이드판(142) 중 하부의 슬라이드판(142)이 접하여 로커(160)를 회전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즉,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140)의 슬라이드판(142)이 로커(160)의 돌출부(162)를 밀어 회전시키면 로커(16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크부(161)가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걸림되어 록킹되고, 상기 스프링(164)이 돌출부(162)를 밀어 회전시키면 로커(16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크부(161)가 창틀의 스트라이크로부터 분리되어 언록킹된다.
That is, based on FIG. 6, when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튼식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utton-typ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록킹장치(100)는 도 3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블럭(140)이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고, 삽입된 슬라이드블럭(140)과 버튼(130) 사이에 위치된 스토퍼(150)는 수용홈(141) 내부로 진입된 상태이며, 삽입된 슬라이드블럭(140)의 슬라이드판(142)에 의해 로커(160)의 돌출부(162)가 반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되므로 로커(160) 전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커(160)의 후크부(161)가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걸림되어 록킹된 상태가 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미도시)을 통해 록킹장치(100)의 버튼(130)을 누르면, 도 4에서와 같이 버튼(130)이 하우징(110) 내측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버튼(130)이 이에 접한 스토퍼(150)의 걸림돌부(151)를 완전히 지나는 순간 스토퍼(150)는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52)의 인장력에 의해 수용홈(141)의 일단부 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걸림돌부(151)는 버튼(13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눌린 버튼(130)이 원상태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지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버튼(130)의 걸림공(132)에 삽입되어 걸림되었던 슬라이드블럭(140)의 후크부(145)는 걸림공(132)으로부터 해제되고, 이에 슬라이드블럭(140)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이후, 창문을 열어주면 도 5에서와 같이, 창틀에 의해 눌려 있던 슬라이드블럭(140)은 양 슬라이드판(142)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걸림될 때까지 이동되어 그 일측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Then, when the window is opened, as shown in FIG. 5, the
이와 같은 슬라이드블럭(140)의 이동에 의해 버튼(130)의 상면을 지지하고 있던 스토퍼(150) 역시도 슬라이드블럭(140)과 같이 이동되어 버튼(130)으로부터 해제되나, 이때 슬라이드블럭(140)의 후크부(145)가 버튼(130)의 지지리브(131)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버튼(130)은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이때, 슬라이드블럭(140)의 후크부(145)에 의해 지지된 버튼(130)은 스토퍼(150)에 의해 지지된 위치보다 조금 더 돌출되므로 스토퍼(150)의 걸림돌부(151)는 버튼(130)의 상면보다 조금 아래 위치되어 그 단부가 버튼(130)의 측면에 면접촉된다.The
또, 슬라이드블럭(140)이 이동됨에 따라 로커(160)의 돌출부(162)를 밀어 지지하고 있던 슬라이드판(142)이 로커(160)로부터 해제됨으로써 돌출부(162)와 하우징(110)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64)의 인장력에 의해 로커(160)가 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창틀의 스트라이크로부터 해제되어 언록킹된다.In addition, as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열려 있는 창문을 닫으면, 일측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슬라이드블럭(140)이 하우징(110) 내부로 눌려 삽입되고, 삽입되는 슬라이드블럭(140)과 버튼(130) 사이에 위치한 스토퍼(150)는 슬라이드블럭(140)의 수용홈(141) 내부로 진입된 상태가 되며, 삽입되는 슬라이드블럭(140)의 슬라이드판(142)에 의해 로커(160)의 돌출부(162)가 다시 밀림에 따라 로커(160)가 반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되어 로커(160)의 후크부(161)가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다시 걸림되어 록킹된다.Meanwhile, when the open window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그리고, 이때 버튼(130)의 지지리브(131) 상을 따라 이동되던 슬라이드블럭(140)의 후크부(145)는 버튼(130)의 걸림공(132) 상에 위치되어 버튼(130)을 누르고 있던 외력이 모두 제거됨으로써 버튼(130)은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33)의 인장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원형 돌부가 커버(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At this time, the
100 : 록킹장치 110 : 하우징
111 : 격벽 120 : 커버
130 : 버튼 131 : 지지리브
132 : 걸림공 133 : 스프링
140 : 슬라이드블럭 141 : 수용홈
142 : 슬라이드판 143 : 돌기
144 : 스프링 145 : 후크부
150 : 스토퍼 151 : 걸림돌부
152 : 스프링 160 : 로커
161 : 후크부 162 : 돌출부
163 : 돌기 164 : 스프링100: locking device 110: housing
111: bulkhead 120: cover
130: button 131: support rib
132: locking hole 133: spring
140: slide block 141: receiving groove
142: slide plate 143: projection
144: spring 145: hook portion
150: stopper 151: obstruction
152: spring 160: rocker
161: hook portion 162: protrusion
163: projection 164: spring
Claims (6)
상기 록킹장치는, 창문에 설치된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림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록킹 시는 버튼에 걸림되고 언록킹 시는 버튼에서 해제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럭;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언록킹 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눌림된 버튼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탄력 지지되어 슬라이드블럭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창틀의 스트라이크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록킹장치.
In the button-type locking device is configured in the window is automatically locked to the strike of the window frame and unlocked by pressing the butto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butto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ousing installed in the window is pressed by the user;
A slide block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ousing and is locked to the button when locked and is released from the button when unlocked;
A stopper installed on the slide block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to fix the pressed button when the window is closed during unlocking; And
And a locker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ousing and locked or unlocked to the strike of the window frame while being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 block.
상기 슬라이드블럭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스토퍼가 탄력 지지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에는 수용홈을 관통하여 언록킹 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눌림된 버튼의 상면을 지지 고정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lide block,
The receiving groove is inserted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is elastically supported,
The stopper penetrates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the button-type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ed button in the closed state when the window is closed.
상기 슬라이드블럭에는 로커를 회전시키는 슬라이드판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e block button-type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plate for rotating the rocker protruded.
상기 로커에는 슬라이드블럭의 슬라이드판과 접하는 한편 하우징에 탄력 지지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ocker is in contact with the slide plate of the slide block, button-type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projec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housing.
상기 슬라이드블럭에는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버튼에는 후크부가 걸림되는 걸림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e block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hook portion,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ation of the hook hole is caught.
상기 버튼에는 걸림공에서 해제된 후크부가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utton-type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ibs are projected to support the hook portion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4416A KR101228949B1 (en) | 2011-05-12 | 2011-05-12 |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4416A KR101228949B1 (en) | 2011-05-12 | 2011-05-12 |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542A KR20120126542A (en) | 2012-11-21 |
KR101228949B1 true KR101228949B1 (en) | 2013-02-01 |
Family
ID=4751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4416A Active KR101228949B1 (en) | 2011-05-12 | 2011-05-12 |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894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9479Y1 (en) | 2005-12-13 | 2006-02-24 | 이판대 | Automatic lock for button window |
JP2007113214A (en) | 2005-10-19 | 2007-05-10 | Miwa Lock Co Ltd | Sliding door lock |
KR200440269Y1 (en) | 2007-03-28 | 2008-06-03 | 이재민 | Window lock |
KR20100012638U (en) * | 2010-11-05 | 2010-12-21 |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 a striker for windows lock |
-
2011
- 2011-05-12 KR KR1020110044416A patent/KR1012289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13214A (en) | 2005-10-19 | 2007-05-10 | Miwa Lock Co Ltd | Sliding door lock |
KR200409479Y1 (en) | 2005-12-13 | 2006-02-24 | 이판대 | Automatic lock for button window |
KR200440269Y1 (en) | 2007-03-28 | 2008-06-03 | 이재민 | Window lock |
KR20100012638U (en) * | 2010-11-05 | 2010-12-21 |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 a striker for windows l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542A (en) | 2012-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7705Y1 (en) | Auto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 |
KR101575929B1 (en) | Button Latch Device of Inner Door Having Double Door Type | |
KR20160052486A (en) | Lock device for sliding type fittings | |
KR101842834B1 (en) | Folding door lock latching device | |
KR101222457B1 (en) | Device for locking a locker | |
KR101228949B1 (en) |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 |
KR101598958B1 (en) |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Mortise Lock | |
KR100934321B1 (en) | Lock for sliding door | |
JP5659194B2 (en) | Sliding door lock | |
KR101206563B1 (en) | Locking device for windows | |
KR101270340B1 (en) | handle for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 |
KR100903246B1 (en) | Handle for sliding door lock | |
KR101531758B1 (en) | locking device for sliding type windows | |
KR101237097B1 (en) | a tray unlocking apparatus | |
KR200459876Y1 (en) | A Door Lock Device having Automatic Operating Deadbolt | |
KR101683129B1 (en) | Window locking unit for windows and doors | |
KR101695847B1 (en) |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Doorlock Mortise having Transient Opening Function | |
JP5252575B2 (en) | Push button switch | |
KR101318204B1 (en) |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 |
KR101929683B1 (en) |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 |
KR101115424B1 (en) | A button type-locking devise for window | |
KR200461722Y1 (en) | a striker for windows lock | |
KR101270315B1 (en) | button type auto locking device | |
JP2000002030A (en) | Locker unlocking device | |
KR101916098B1 (en) | Lever type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