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754B1 - Method for retrofitting seismic capability of mansory partition wall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trofitting seismic capability of mansory partition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8754B1 KR101228754B1 KR1020120089267A KR20120089267A KR101228754B1 KR 101228754 B1 KR101228754 B1 KR 101228754B1 KR 1020120089267 A KR1020120089267 A KR 1020120089267A KR 20120089267 A KR20120089267 A KR 20120089267A KR 101228754 B1 KR101228754 B1 KR 1012287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bar
- release steel
- vertical
- partition wall
- horizon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내 또는 면외방향으로 작용하는 횡력에 대해서 매우 취약한 조적조 칸막이 벽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적조 칸막이 벽을 보강하는 방법은, (a)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벗겨내고 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바탕면 처리공정과; (b)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을 둘러싸는 하부의 슬래브와 상부의 보 또는 슬래브에 수직 이형 스틸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킨 구멍에 분할되어 있는 수직 이형 스틸바를 수직 방향으로 하여 각기 강제적으로 압입시킨 후 수직 이형 스틸바의 분할 부분을 체결 홀더로 연결하는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과; (c)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을 둘러싸는 양쪽의 기둥에 수평 이형스틸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킨 구멍에 분할되어 있는 수평 이형 스틸바를 수평 방향으로 하여 각기 강제적으로 압입시킨 후 수평 이형 스틸바의 분할 부분을 체결 홀더로 연결하는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과; (d)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의 선택된 교차부분에 한 쌍의 고정클립을 결합시켜서 수직 이형 스틸바와 수평 이형 스틸바를 결속시키는 고정클립 결합 공정과; (e) 한 쌍의 고정클립에 픽스를 조립하여 칸막이 벽에 관입시켜서 한 쌍의 고정클립을 고정하는 픽스 관입공정; 및 (f)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가 완전히 매립되고 칸막이 벽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ffectively reinforcing masonry partition walls that are very susceptible to lateral forces acting in-plane or out-of-plane.
A method for reinforcing a masonry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base surface treatment step of peeling off the pain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to be reinforced and roughening the surface; (b) Forcibly press-fit the vertical slab steel bar divided into the lower slab surrounding the reinforcement partition wall to be reinforced and the vertically shaped steel bar divid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beam or slab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ly released steel ba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of connecting the divided portions of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s to the fastening holders; (c) Horizontally reinforcing steel bars, which are divided into hole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on both sides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to be reinforc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cibly press-fitted, respectively, and then divided into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A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of connecting portions to the fastening holders; (d) a fixed clip joining process of engaging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by coupling a pair of fixed clips to selected intersection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e) a fix penetration process for assembling a fix to a pair of fixed clips to penetrate a partition wall to fix a pair of fixed clips; And (f) pouring non-contraction mortar or concrete so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are completely embedded and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partition walls.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적조 칸막이 벽을 보강하여 지진시 전도를 방지하면서 지진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는 수직 다이아프램으로도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a masonry partition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masonry partition wall to reinforce the masonry partition wall to function as a vertical diaphragm that transmits the earthquake load to the pillar while preventing the earthquake from falling. It is about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철근콘크리트조의 건축물은 기둥과 보를 강접시킨 라멘 골조를 기본으로 하여 슬래브를 통해 공간을 수평으로 분할하고 벽체를 이용하여 평면을 수직으로 분할하는 구조를 가진다. 슬래브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로서 기둥과 보를 구성할 때 이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벽체는 골조 완성 후 내장공사시 벽돌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해 조적식으로 구성되며 보통 하중을 지지하지는 않고 실과 실을 구분하는 칸막이 벽으로 기능하게 된다.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s the structure of dividing the space horizontally through the slab and vertically dividing the plane vertically by the wall based on the ramen fram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lumn and beam. The slab is a cast-in-place concrete structure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lumns and beams. However, the wall is composed of masonry using bricks or concrete blocks in the interior work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rame, and it usually functions as a partition wall that separates the room from the room without supporting the load.
조적시 벽체와 기둥과의 사이 그리고 보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간격은 모르타르를 채워 메우게 된다. 따라서 칸막이 벽은 골조와 일체로 합성되지 않게 되므로 면내 또는 면외방향으로 작용하는 횡력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하다. 그러므로 지진이 발생할 경우 건물에서의 인명피해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전도 내지 붕괴로 발생될 확률이 매우 높다.When laying,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wall and the column and between the beam and the gap is filled with mortar. Therefore, the partition wall is not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frame, so it is very vulnerable to lateral forces acting in or out of plane. Therefor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it is very likely that casualties in buildings will result from the fall or collapse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27393호에 따른 양방향 및 일방향 조적벽 내진 보강방법에는, 조적벽 하단 양측면에 위치한 건축물의 슬래브 상면에 다수의 아이볼트 관통홀과 와이어로프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정착철물을 조적벽 연장방향(횡방향)으로 다수 이격시켜 상방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에 설치된 하부 정착철물의 위치에 대응한 상부 정착철물을 조적벽 상단에 형성된 슬래브 또는 보 양측면에 조적벽 연장방향(횡방향)으로 다수 이격시켜 하방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 및 보에 각각 설치된 상부 정착철물과 하부 정착철물의 아이볼트 관통홀에 각각 아이볼트를 관통시키고, 상기 아이볼트를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조적벽을 횡방향 구속시키고, 상기 상부 정착철물과 하부 정착철물의 와이어로프 관통홀을 상하로 번갈아 가면서 조적벽 연장방향으로 와이어로프를 종방향 구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조적벽 내진 보강방법이 제시되어 있다.As a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idirectional and one-way masonry seismic reinforcing method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7393, a plurality of eyebolt through-holes and wire rope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building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masonry wall. Install a plurality of lower fixing steel in the masonry wall extending direction (later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the upper fixing ste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fixing steel installed in the slab is formed on the slab or the side of the masonry wall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sonry wall ( Installed in such a way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rough the eye bolt through-holes of the upper fixing steel and the lower fixing steel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lab and the beam, and the eye bolts to each other using a wire rope. Lateral confinement of the masonry wall by connecting the upper fixing steel and the lower fixing steel The wire is alternately up and down the rope through hole presenting a two-way jojeokbyeok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longitudinally constrain the wire rope as jojeokbyeok extension direction.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조적벽의 조밀한 보강이 어렵고 와이어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한 문제를 갖는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reinforcement of the masonry wall is difficult and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wire rope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이러한 조적조 칸막이 벽이 가지는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은 면내 또는 면외방향으로 작용하는 횡력에 대해서 매우 취약한 조적조 칸막이 벽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ffectively reinforcing masonry partition walls that are very susceptible to lateral forces acting in-plane or out-of-plan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적조 칸막이 벽을 보강하는 방법은, (a)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벗겨내고 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바탕면 처리공정과; (b)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을 둘러싸는 하부의 슬래브와 상부의 보 또는 슬래브에 수직 이형 스틸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킨 구멍에 분할되어 있는 수직 이형 스틸바를 수직 방향으로 하여 각기 강제적으로 압입시킨 후 수직 이형 스틸바의 분할 부분을 체결 홀더로 연결하는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과; (c)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을 둘러싸는 양쪽의 기둥에 수평 이형스틸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킨 구멍에 분할되어 있는 수평 이형 스틸바를 수평 방향으로 하여 각기 강제적으로 압입시킨 후 수평 이형 스틸바의 분할 부분을 체결 홀더로 연결하는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과; (d)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의 선택된 교차부분에 한 쌍의 고정클립을 결합시켜서 수직 이형 스틸바와 수평 이형 스틸바를 결속시키는 고정클립 결합 공정과; (e) 한 쌍의 고정클립에 픽스를 조립하여 칸막이 벽에 관입시켜서 한 쌍의 고정클립을 고정하는 픽스 관입공정; 및 (f)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가 완전히 매립되고 칸막이 벽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reinforcing a masonry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base surface treatment step of peeling off the pain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to be reinforced and roughening the surface; (b) Forcibly press-fit the vertical slab steel bar divided into the lower slab surrounding the reinforcement partition wall to be reinforced and the vertically shaped steel bar divid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beam or slab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ly released steel ba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of connecting the divided portions of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s to the fastening holders; (c) Horizontally reinforcing steel bars, which are divided into hole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on both sides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to be reinforc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of connecting portions to the fastening holders; (d) a fixed clip joining process of engaging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by coupling a pair of fixed clips to selected intersection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e) a fix penetration process for assembling a fix to a pair of fixed clips to penetrate a partition wall to fix a pair of fixed clips; And (f) pouring non-contraction mortar or concrete so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are completely embedded and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partition walls.
또한,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과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의 사이에는 슬래브 또는 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수직 이형 스틸바와 수평 이형 스틸바가 만나는 교차 부분을 지나는 다수의 경사 이형 스틸바를 설치시켜 놓는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a plurality of inclined release steel bars are installed which ar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lab or beam and cross the intersection where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mee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is further included.
또한,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과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의 사이에는, 'V'자 형태에 양쪽으로 꺽인 날개를 갖는 복수 개의 경사 이형 스틸바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가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선택하여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a plurality of inclined release steel bars having wings that are bent on both sides in a 'V' shape are selected at intersections wher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intersec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that is installed to pass further included.
또한,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과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의 사이에는, 'V'자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경사이형 스틸바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의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a plurality of inclined release steel bars having a 'V' shape are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또한, 체결 홀더는 복수의 날개를 수용할 수 있는 날개수용부를 가지고 날개수용부는 날개의 피치와 일치되는 피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아진 형상을 가지며, 수직·수평 및 경사 이형 스틸바는 단면이 삼각형 또는 육각형을 이루고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되는 피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인 형상을 가지고, 픽스는 심축과 심축의 둘레에 일정한 피치를 갖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복수의 날개를 가지거나, 수직·수평 및 경사 이형 스틸바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일정 길이 절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holder has a wing receiving portion that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wings, the wing receiving portion has a pitch that is consistent with the pitch of the wings and has a shape twisted spir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inclined release steel bar has a cross section It has a triangular or hexagonal shape and has a pitch that is consistent with the pitch of the wing receiving portion and has a shape spirally hel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x has a plurality of wings spirally wound with a constant pitch around the mandrel and mandrel, or vertica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by cutting a certain length of any one of the horizontal and inclined release steel bar.
또한, 픽스의 나선형 날개는 2개 또는 3개로 구성되고, 체결 홀더의 날개수용부는 6개로 구성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lical blade of the fix is composed of two or three, the wing receiving portion of the fastening holder is composed of six, characterized in that the seismic reinforcement is made.
또한, 한 쌍의 고정클립은 각기, 원형의 결합판과; 원형의 결합판의 일면에 상호 +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교차되고 있고 반원형을 이루는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과;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을 회피하여 결합판에 수직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일정 구간 촘촘한 간격으로 다수의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결합축과; 한 쌍의 결합축에 인서트되어 있는 체결 홀더; 및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을 회피하여 결합판에 관통된 한 쌍의 결합축 조립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fixed clips are respectively, a circular coupling plate; A pair of release steel bar binding grooves formed on one surface of a circular coupling plate and intersecting each other and forming a semicircle; A pair of coupling shafts which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coupling plate to avoid a pair of release steel bar bind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jaw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astening holder inserted into the pair of coupling shafts; And a pair of coupling shaft assembly holes penetrated through the coupling plate to avoid a pair of release steel bar binding grooves.
또한, 한 쌍의 고정클립은 조적조 칸막이 벽과의 일정한 간격을 두기 위해 결합판의 타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스페이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fixed clip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r is further protruded to a certain heigh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in order to have a certain interval with the masonry partition wall.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된 이형 스틸바를 보강재로 사용하고 한 쌍의 고정클립으로 수직,수평 이형스틸바의 교차 부분을 결합시켜 칸막이 벽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균열발생의 우려가 없는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보강대상 칸막이 벽에 일체로 합성되는 일종의 덧침보강벽을 형성함으로써 횡력에 대해 매우 취약한 조적조 칸막이 벽을 보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release steel bar having a spiral proj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inforcing material and by using a pair of fixed clips to combine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firmly fixed to the partition wall, while having excellent strength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masonry partition wall, which is very susceptible to lateral forces, by forming a type of reinforcing reinforcement wall that is integrated into the reinforcement partition wall by pouring non-contraction mortar without fear of cracking.
또한,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이형 스틸바와 무수축 모르타르로 구성되는 덧침보강벽이 지진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는 수직 다이아프램으로도 기능할 수 있어 횡력에 취약한 조적조 칸막이 벽을 약한 지진시 내진벽으로 기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wall consisting of a deformed steel bar arranged in the form of a lattice and a non-shrink mortar can function as a vertical diaphragm that transmits earthquake loads to the column, so that the masonry partition wall, which is vulnerable to lateral force, acts as a seismic wall during a weak earthquake. It can be done.
특히,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사 이형 스틸바에 의해 조밀한 보강이 이루어져 내진벽을 더욱 강화시켜 줄 수 있고, 한 쌍의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이형 스틸바의 결속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clined reinforcing steel bar is installed in a diagonal direction can be reinforced reinforcement to further strengthen the earthquake-resistant wall, it is easier to bond the deformed steel bar arranged in a grid form using a pair of fixed clips. Can b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조 칸막이 벽의 일측면에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측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a의 A, B, C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2d는 도 1b의 D부분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조 칸막이 벽을 보강하는 공정도이고,
도 4a는 이형 스틸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이형 스틸바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 4a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이형 스틸바의 절단면 체결 부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단면도이고,
도 6은 고정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의 교차 부분을 한 쌍의 고정 클립을 통해 결한 예이고,
도 8a는 픽스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경사 이형 스틸바의 구조 변경에 따른 다양한 설치상태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a masonry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A,
2A to 2C are detailed views of parts A, B, and C of FIG. 1A, respectively.
FIG. 2D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part D of FIG. 1B;
3 is a process diagram for reinforcing masonry partition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ease steel bar,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a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lease steel bar,
Figure 5a is a front view showing a cut surface fastening portion of the release steel bar,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A,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ip,
Figure 7 is an example of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through a pair of fixing clips,
8A is a front view of the fix,
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A,
9A to 9C are various installation state diagram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inclined release steel bar.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조적조 칸막이 벽(1)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 또는 부가적으로 경사 이형 스틸바(31,31A,31B)를 다수 쌍의 고정클립(40)을 이용해 격자와 대각선 형태로 고정하고 무수축 모르타르(50)를 타설하여 일체로 합성시켜 일종의 덧침보강벽을 형성하여 칸막이 벽(1)을 보강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pairs of fixed clips (40, 30A, 30B) or inclined release steel bars (31, 31A, 31B) on one or both sides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1). Using a grid and fixed in a diagonal form, and the non-contraction mortar (50) is poured into a composite to form a kind of reinforcing reinforcing wall to reinforce the partition wall (1).
이하에서는 예로 학교 건축물의 조적조 칸막이 벽을 보강하는 방법과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각종 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reinforcing masonry partition walls of a school building and various members used in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조 칸막이 벽의 일측면에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측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a의 A, B, C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2d는 도 1b의 D부분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조 칸막이 벽을 보강하는 공정도이다.1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a masonry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A, and FIGS. 2A to 2C are A and B of FIG. 1A, respectively. FIG. 2D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D portion of FIG. 1B, and FIG. 3 is a process diagram of reinforcing masonry partition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바탕면Surface 처리공정> Treatment Process>
먼저,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1)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벗겨내고 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바탕면 처리공정(S10)을 갖는다.First, it has the base surface processing process S10 which peels off the paint apply | coated to the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target
바탕면 처리공정(S10)은 무수축 모르타르와 보강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1)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다. 대개 학교 건축물의 칸막이 벽(1)은 벽돌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쌓은 후 시멘트 모르타르로 표면을 평탄하게 한 다음 페인트를 칠하게 되므로 보강시 타설되는 무수축 모르타르와 칸막이 벽(1) 사이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공정으로서 페인트를 벗겨내고 시멘트 모르타르 마감을 거칠게 처리하기 위해 그라인딩하거나 샌드블라스팅한다. 이러한 바탕면 처리방법에는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은 공지된 방법으로부터 시공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 바탕면 처리방법을 이용해 칸막이 벽(1)의 바탕면을 처리할 수 있다.Base surface treatment step (S10) is a work for increasing the adhesion of the non-contraction mortar and the reinforcement target partition wall (1). In general, the partition wall (1) of the school building is a brick or concrete block, and then the surface is flattened with cement mortar and then painted to reduce the adhesion between the non-shrink mortar and the partition wall (1) that is poured during reinforcement. Therefore, as a process to increase adhesion, the paint is peeled off and ground or sandblasted to roughen the cement mortar finish. Various methods are known to the base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treat the base surface of the
<수직 이형 <Vertical Deformation 스틸바Steel bar 설치install 공정> Process>
다음,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20)을 갖는다.Next, a vertical release steel
이는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을 둘러싸는 하부의 슬래브(2)와 상부의 보(4) 또는 상부의 보(4)에 충분한 공간이 없을 경우 상부의 슬래브에 이형 스틸바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이형 스틸바 관입구멍을 일정 깊이로 뚫어놓은 후 수직 이형 스틸바(30A)를 관입시켜 설치하는 공정이다. This is a release steel bar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lease steel bar in the upper slab if there is not enough space in the
이때 이형 스틸바 관입구멍의 간격은 횡력에 의해 조적조 칸막이 벽(1)이 전도되거나 붕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의 단면적을 산출한 뒤 조적조 칸막이 벽(1)의 크기와 작업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ing of the release steel bar penetration hol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수직 이형 스틸바(30A)는 수직 방향으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슬래브(2)와 보(4)에 관입 고정되기 위해 중간에 분할된 구조를 가지고 설치된다. 따라서 수직 이형 스틸바(30A)는 일직선상에 2개가 도 5 및 도 6과 같이 체결 홀더(20)를 통하여 체결된다.The vertically released
수직 이형 스틸바(30A)는 후술할 수평 이형 스틸바(30B) 그리고 경사 이형 스틸바(31,31A,31B)와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갖는다. 이들 이형 스틸바는 부식방지를 위해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황동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재를 용융 아연도금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직 이형 스틸바(30A)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단면은 삼각형 또는 육각형을 이루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를 갖도록 꼰 형상을 가진다. 이형 스틸바의 피치는 체결 홀더(20)의 피치와 일치한다.The vertical
체결 홀더(20)는 이형 스틸바의 피치가 일치하기 때문에 서로 나선방향으로 돌리면서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6개의 날개수용부(21)가 형성된 체결 홀더(20)는 이형 스틸바의 피치와 일치하므로 이형 스틸바가 체결홀더(20)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체결 홀더(20)의 날개수용부(21)가 6개인 경우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형 단면의 이형 스틸바와 체결 가능하고 육각형 단면의 이형 스틸바와도 체결 가능하다. 기하학적으로는 이형스틸바의 중심에서부터 꼭지점 부분까지의 거리가 체결 홀더(20)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이형스틸바의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오목부(211)에 간섭됨으로써 이형스틸바가 체결 홀더(2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형스틸바와 체결 홀더(20) 모두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아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매우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고 일단 체결 홀더(20)에 이형스틸바가 체결되면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이형스틸바가 빠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분할된 수직 이형 스틸바(30A)를 체결하는 체결홀더(20)는 이웃한 각 수직 라인에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수평 이형 <Horizontal Deformation 스틸바Steel bar 설치install 공정> Process>
그 다음,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S30)을 갖는다.Then,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step (S30).
이는 수평 이형 스틸바(30B)를 양측의 기둥(3,3)에 수평적으로 압입 설치하는 공정이다. 즉, 양쪽의 기둥(3,3)에 이형 스틸바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이형 스틸바 관입구멍을 일정 깊이로 뚫어놓은 후 수평 이형 스틸바(30B)를 도 2c와 같이 관입시켜 설치하는 공정이다. 이때 수평 이형 스틸바(30B)의 경우에도 중간이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 부분을 상술한 도 5의 체결 홀더(20)를 통하여 체결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분할된 수평 이형 스틸바(30B)를 체결하는 체결홀더(20)는 이웃한 각 수평 라인에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is is a process of horizontally press-fitting the horizontal mold
<고정 클립 결합 공정><Fixing clip joining process>
그 다음, 고정 클립 결합 공정(S50)을 갖는다.Then, the fixing clip joining process S50 is performed.
고정 클립 결합 공정(S50)은 다수 쌍의 고정클립(40A,40B)을 이용하여 수직 이형 스틸바(30A)와 수평 이형 스틸바(30B)의 교차 부분(도 1a의 "D" 또는 "E"부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공정이다.Fixing clip joining process (S50) is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30A)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30B) ("D" or "E" of Figure 1a) using a plurality of pairs of fixed clips (40A, 40B). Part).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은 상호 결합 방향이 자유롭도록 서로 동일한 형상의 동일 구조를 갖고 마주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고정클립(40A)의 구조를 살펴보면, 원형의 결합판(41)과, 원형의 결합판(41)의 일면에 상호 +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교차되고 있고 반원형을 이루는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42,42)과,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42,42)을 회피하여 결합판(41)에 수직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일정 구간 촘촘한 간격으로 이탈방지턱(43a)이 각기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결합축(43,43)과, 한 쌍의 결합축(43,43)에 각기 인서트되어 있는 체결 홀더(20)와,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42,42)을 회피하여 결합판(41)에 관통된 한 쌍의 결합축 조립공(44,44)으로 구성되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pair of fixing
여기서 한 쌍의 결합축(43,43)은 상호 180도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의 결합축 조립공(44,44)은 상호 180도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하나의 결합축(43)과 이웃한 하나의 결합축 조립공(44)과는 9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Here, the pair of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의 교차부분에서 서로 마주하여 조립된다. 이때 수직 이형 스틸바(30A)는 어느 한 쪽의 고정클립(40A)측 이형 스틸바 결착홈(42)에 수평 이형 스틸바(30B)는 다른 한 쪽의 고정클립(40B)측 이형 스틸바 결착홈(42)에 각기 수용되어 결착된다. 이와 동시에 일측 고정클립(40A)의 결합축(43)은 타측 고정클립(40B)의 결합축 조립공(44)에 끼움 결합되어 이탈방지턱(43a)에 의해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은 체결력이 유지된다. 이탈방지턱(43a)은 인입방향으로 경사면을 갖고 그 배면으로 수직면을 가지고 있어 상대방측 결합축 조립공(44)에 경사면을 타고 쉽게 들어가지만 역방향으로는 수직면에 걸려 빠질 수 없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이 이탈방지턱(43a)에 의해 맞물려 결합되면 서로 쉽게 분리가 어렵게 되어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pair of fixed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어느 한 쪽의 고정클립(40A)측 결합축(43)을 다른 한 쪽의 고정클립(40B)측 결합축 조립공(44)에 끼워넣은 후 서로 마주하는 이형 스틸바 결착홈(42,42)에 수직 이형 스틸바(30A)와 수평 이형 스틸바(30B)가 닿도록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을 결합시켜 놓는다. 이때 이탈방지턱(43a)이 결합축 조립공(44)에 걸어져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의 결합력은 유지된다. The coupling of the pair of fixed
픽스(10)를 고정클립(40A 또는 40B)측 체결 홀더(20)에 조립시켜 칸막이 벽(1)에 고정시킴으로써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은 칸막이 벽(1)에 고정 설치된다.The pair of fixing
이때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의 경우 그의 외주면에 삼각형 또는 육각형 단면의 꼭지점을 이루는 면이 돌출되므로 서로 간에 강한 마찰이 작용하게 되고 이들을 고정클립(40A,40B)으로 고정하게 됨으로써 이들의 교차부분은 미끄러짐이 없이 견고하게 입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vertical and horizontal
한편,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은 칸막이 벽(1)과의 일정한 배치 간격을 두기 위해 결합판(41)의 타면에 도 7과 같이 일정 높이로 돌출된 복수 개의 스페이서(45)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45)는 원뿔 형태의 돌기로 4개를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형태나 배치 구조 및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fixing clips (40A, 40B) is a plurality of
<< 픽스Fix 관입 공정> Intrusion Process>
그 다음, 픽스 관입 공정(S60)을 갖는다.Then, it has a fix penetration process (S60).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10)를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에 조립시킨 후 도 2d와 같이 칸막이 벽(1)에 관입 고정시키는 공정이다. 이때 픽스(10)는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 홀더(20)를 통하여 체결된 후 칸막이 벽(1)에 관입 설치된다.This is a process of assembling the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10)는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않고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서 중심을 이루는 심축(11)과 심축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바깥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날개(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개(12)는 심축(11)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즉, 픽스(10)는 심축(11)의 외면에 복수의 나선형의 날개(12)가 일체로 결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적은 단면적으로 높은 강도를 발휘할 수 있고 나사못과 같이 관입이 용이하고 한 번 설치된 후에는 잘빠져 나오지 않는 구조가 된다. 픽스(10)의 날개(12)는 체결 홀더(20)의 날개수용부(21)에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다. 단면상에서 픽스(10)의 날개(12) 끝단은 체결 홀더(20)의 나선형 골에 위치되어 간섭됨으로써 픽스(10)가 체결 홀더(20) 내에서 고정된다. 날개(12)의 개수 및 간격에는 제한이 없으나 2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하는 것이 소요 강도를 만족시키면서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픽스(10)는 픽스(10)의 직경 보다 작은 구멍을 미리 천공한 후 나사못을 박아넣듯이 그 자체를 드릴이나 기타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구를 이용해 회전시키면서 칸막이 벽(1)에 관입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8A and 8B, the
픽스(10)와 체결 홀더(20)는 각각 날개(12)와 날개수용부(21)가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있기 때문에 픽스(10)와 체결 홀더(20)의 체결 방향을 맞추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날개(12)가 날개수용부(21)로 유도되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Fixing 10 and the
<무수축 모르타르 타설 공정><Non-shrink mortar casting process>
그 다음,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완전히 매립되고 칸막이 벽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S80)을 갖는다.The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여기서 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교반한 것을 모르타르라고 하는데 보통 시멘트와 모래의 배합비율을 1:3정도가 되고 벽돌, 블록, 석재를 쌓을 때 줄눈으로 쓰이거나 벽, 바닥, 천장 등의 마감재료로 쓰인다. 그런데 모르타르는 잉여수로 인해 건조수축을 일으켜 균열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무수축 모르타르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한 것으로 우수한 강도를 바탕으로 각종 하중이 요구되는 부위나 기초부분에 사용되고 있다.Here, the mortar of cement and sand with water is called mortar. The mixing ratio of cement and sand is about 1: 3, and it is used as a joint when laying bricks, blocks, and stones, or as a finishing material for walls, floors, and ceilings. However, mortar has a disadvantage that cracks occur due to dry shrinkage due to surplus water. The non-shrink mortar solves these shortcomings and is used in parts or foundations where various loads are required based on excellent strength.
무수축 모르타르의 타설방법은 바름이나 뿜칠 등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pouring non-shrinkable mortar may be applied to any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coating or spraying.
마지막으로 무수축 모르타르가 경화된 다음에는 표면에 페인트 등을 칠해 표면을 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용하여 표면을 마감할 수 있다.Finally, after the non-shrink mortar has cured, the surface can be painted to finish the surface. Preferably, the surface may be finished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known in the art.
한편, 본 발명은 조적조 칸막이 벽의 더욱 조밀한 보강 구조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이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S30)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clined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S30) as follows to obtain a more dens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경사 이형 <Slant variant 스틸바Steel bar 설치공정> Installation Process>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30)은 수직 이형 스틸바 압입공정(S20) 직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Inclined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S30) may be made immediately after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dentation process (S20).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30)은 경사 이형 스틸바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로 나타날 수 있다.Inclined release steel
제1 실시 예로, 도 9a와 같이 슬래브(2) 또는 보(4)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수직 이형 스틸바(30A)와 수평 이형 스틸바(30B)가 만나는 교차 부분을 지나는 다수의 경사 이형 스틸바(31)를 설치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경사 이형 스틸바(31)는 길이가 같거나 서로 다른 다수의 직선형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30)에서 사용되는 모든 경사 이형 스틸바의 구조는 전술한 수직 또는 수평 이형 스틸바와 동일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A, a plurality of inclined release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이때 경사 이형 스틸바의 그 개수를 줄이고 효율적인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아래 제2 실시 예와 제3 실시 예로 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may be constructed so as to reduce the number of the inclined release steel bars and make the arrangement more efficient.
그 제2 실시 예는, 도 9b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갖고 서로 배치 방향이 반대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경사 이형 스틸바(31A,31A)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한 쌍의 경사 이형 스틸바(31A,31A)는 'V'자 형태에 양쪽으로 꺽인 날개를 갖는다. 하나의 경사 이형 스틸바(31A)는 각기 슬래브(2)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시작단(가)과 종단이 되며 다른 하나의 경사 이형 스틸바(31A)는 보(4)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시작단(나)과 종단이 되어 각기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경사 방향을 가지고 지나가며 기둥(3), 보(4) 및 슬래브(2)에 닿는 곳에서 그 경사방향으로 절곡되어져 있도록 구성된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The second embodiment is a case of using a pair of inclined
이같이 제2 실시 예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사이형 스틸바(31A)는 'V'자 형태를 갖데 기둥(3)에서 만나는 부분에서 슬래브와 보를 선택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구조를 갖는데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제3 실시 예는, 도 9c와 같이 'V'자 형태를 갖는 다수의 경사 이형 스틸바(31B)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모두 4개의 경사 이형 스틸바(31B)를 사용하였으나 설치 폭에 따라 그 개수가 증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9C, a plurality of inclined
도 9c와 같이 어느 한쪽의 경사 이형 스틸바(31B)은 각기 슬래브(2)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시작단(다,라)과 종단이 되며 다른 한쪽의 경사 이형 스틸바(31B)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보(4)에서 시작단(가,나)과 종단이 되어 각기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경사 방향을 가지고 지나가며 보(4)와 슬래브(2)에 닿는 곳에서 그 경사방향으로 절곡되어져 구성된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As shown in FIG. 9C, one of the inclined
이같이 제3 실시 예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사이형 스틸바(31B)는 슬래브(2)와 보(4)가 닿는 정점 부분에서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선택하여 절곡되어져 대략 V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us, the inclined
이와 같이 경사 이형 스틸바(31A 또는 31B)는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교차하는 모든 부분을 통과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균형있게 배치되어 이형 스틸바의 설치량을 줄이면서 바탕면에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효율인 보강이 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clined
여기서,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을 설치하기 전에 경사 이형 스틸바(31A,31B)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의 교차부분은 용접 또는 철선을 이용하여 결속될 수 있다.Here, the intersection of the inclined
경사 이형 스틸바가 적용되는 경우,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의 교차부분에 선택적으로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이 결합되어지는 것은 물론이다.When the inclined release steel bar is appli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pair of fixing
이같이 본 발명에서 구조물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조밀하게 배치되어 조적조 칸막이 벽(1)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력에 의해 전도되지 않는 보강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경사 이형 스틸바(31, 31A, 31B) 중 어느 하나가 추가적으로 설치됨으로써 구조물의 보강을 향상시키면서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As such,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inforcing structure in which vertical and horizontal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only limit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픽스
11: 심축
12: 날개
20: 체결 홀더
21: 날개수용부
30A: 수직 이형 스틸바
30B: 수평 이형 스틸바
31,31A,31B: 경사 이형 스틸바
40A,40B: 고정클립10: Fix
11: mandatory
12: wings
20: fastening holder
21: wings
30A: Vertically Deformed Steel Bar
30B: Horizontal Deformed Steel Bar
31,31A, 31B: Slanted Release Steel Bar
40A, 40B: Retaining clip
Claims (8)
(a)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1)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벗겨내고 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바탕면 처리공정(S10)과;
(b)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1)을 둘러싸는 하부의 슬래브(2)와 상부의 보(4) 또는 슬래브에 수직 이형 스틸바(30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킨 구멍에 분할되어 있는 수직 이형 스틸바(30A)를 수직 방향으로 하여 각기 강제적으로 압입시킨 후 수직 이형 스틸바(30A)의 분할 부분을 체결 홀더(20)로 연결하는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20)과;
(c) 보강 대상 조적조 칸막이 벽(1)을 둘러싸는 양쪽의 기둥(3,3)에 수평 이형스틸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킨 구멍에 분할되어 있는 수평 이형 스틸바(30B)를 수평 방향으로 하여 각기 강제적으로 압입시킨 후 수평 이형 스틸바(30B)의 분할 부분을 체결 홀더(20)로 연결하는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40)과;
(d)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의 선택된 교차부분에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을 결합시켜서 수직 이형 스틸바(40A)와 수평 이형 스틸바(40B)를 결속시키는 고정클립 결합 공정(S50)과;
(e)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에 픽스(10)를 조립하여 칸막이 벽(1)에 관입시켜서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을 고정하는 픽스 관입공정(S60); 및
(f)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완전히 매립되고 칸막이 벽(1)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S70)을 포함하며,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은 각기,
원형의 결합판(41)과;
원형의 결합판(41)의 일면에 상호 +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교차되고 있고 반원형을 이루는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42,42)과;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42,42)을 회피하여 결합판(41)에 수직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일정 구간 촘촘한 간격으로 다수의 이탈방지턱(43a)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결합축(43,43)과;
한 쌍의 결합축(43,43)에 인서트되어 있는 체결 홀더(20); 및
한 쌍의 이형 스틸바 결착홈(42,42)을 회피하여 결합판(41)에 관통된 한 쌍의 결합축 조립공(44)으로 구성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As a method of reinforcing masonry partition walls,
(a) a base surface treatment step (S10) of peeling off the pain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masonry partition wall (1) and roughening the surface;
(b) Vertical releases divided into lower slabs 2 surrounding the reinforcement masonry partition wall 1 and beams formed on the upper beams 4 or slab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ly released steel bars 30A. A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S20) of forcing each of the steel bars 30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cing the divided portions of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s 30A to the fastening holders 20;
(c)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30B divided into the holes formed in the pillars 3 and 3 surrounding the reinforcement masonry partition wall 1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ly releasing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S40) for connecting the divided portions of the horizontally releasing steel bar 30B to each of the fastening holders 20 after forcibly pressing them in;
(d) A pair of fixing clips 40A and 40B is coupled to selected intersection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30A and 30B to bind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s 40A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40B. Fixed clip coupling process (S50);
(e) Fix penetration step (S60) of assembling the fix (10) to a pair of fixing clips (40A, 40B) to the partition wall (1) to fix a pair of fixing clips (40A, 40B); And
(f) a step (S70) of pouring non-contraction mortar or concrete so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30A and 30B are completely embedded and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partition wall 1;
A pair of fixing clips (40A, 40B) respectively,
A circular coupling plate 41;
A pair of release steel bar binding grooves 42 and 4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lar coupling plate 41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forming a semicircle;
A pair of coupling shafts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coupling plate 41 to avoid the pair of release steel bar binding grooves 42 and 42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jaws 43a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43,43);
A fastening holder 20 inserted into the pair of coupling shafts 43 and 43; And
Seismic reinforcement of masonry partition walls, comprising a pair of coupling shaft assembling holes 44 penetrating the coupling plate 41 to avoid a pair of release steel bar binding grooves 42 and 42. Way.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20)과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40)의 사이에는 슬래브 또는 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수직 이형 스틸바(30A)와 수평 이형 스틸바(30B)가 만나는 교차 부분을 지나는 다수의 경사 이형 스틸바(31)를 설치시켜 놓는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S3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S20)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S40),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30A)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30B) intersec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lab or beam. Seismic reinforcement partition wall moun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installing a slant release steel bar (S30)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inclined release steel bar 31 passing through the portion.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20)과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40)의 사이에는, 'V'자 형태에 양쪽으로 꺽인 날개를 갖는 복수 개의 경사 이형 스틸바(31A)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가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선택하여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S3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step (S20)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step (S40), a plurality of inclined release steel bars 31A having wings bent at both sides in a 'V' shape ar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s.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S30) of the inclined release steel bar is installed so as to pass by selecting the intersection where the bars (30A, 30B) intersect.
수직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20)과 수평 이형 스틸바 설치공정(S40)의 사이에는,'V'자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경사이형 스틸바(31B)가 수직·수평 이형 스틸바(30A,30B)의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경사 이형 스틸바 설치 공정(S3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vertic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step (S20) and the horizontal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step (S40), a plurality of inclined release steel bars 31B having a 'V' shape are vertical and horizontal release steel bars 30A and 30B. ) Seismic reinforcement partition wall reinforc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clined release steel bar installation process (S3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on.
체결 홀더(20)는 복수의 날개를 수용할 수 있는 날개수용부(21)를 가지고 날개수용부(21)는 날개의 피치와 일치되는 피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아진 형상을 가지며,
수직·수평 및 경사 이형 스틸바(30A,30B 및 31 또는 31A 또는 31B)는 단면이 삼각형 또는 육각형을 이루고 날개수용부(21)의 피치와 일치되는 피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인 형상을 가지고,
픽스(10)는 심축(11)과 심축(11)의 둘레에 일정한 피치를 갖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복수의 날개(12)를 가지거나, 수직·수평 및 경사 이형 스틸바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일정 길이 절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Fastening holder 20 has a wing receiving portion 21 that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wings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21 has a pitch that is consistent with the pitch of the wing has a shape spirally twi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inclined deformed steel bars 30A, 30B and 31 or 31A or 31B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triangular or hexagonal, has a pitch that matches the pitch of the wing accommodation portion 21, and has a spirally twist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x 10 has a plurality of wings 12 spirally wound with a constant pitch around the mandrel 11 and the mandrel 11, or any one of vertical, horizontal and inclined deformed steel bars.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masonry partition walls, which is constructed by cutting.
픽스(10)의 나선형 날개(12)는 2개 또는 3개로 구성되고,
체결 홀더(20)의 날개수용부(21)는 6개로 구성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piral blade 12 of the fix 10 consists of two or three,
Wing receiving portion 21 of the fastening holder 20 is composed of six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ismic reinforcement is made.
한 쌍의 고정클립(40A,40B)은 조적조 칸막이 벽(1)과의 일정한 간격을 두기 위해 결합판(41)의 타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스페이서(45)가 더 형성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fixing clips 40A and 40B are further provided with spacers 45 protruding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41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sonry partition wall 1 to be seismic reinforced.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masonry partition wal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9267A KR101228754B1 (en) | 2012-08-16 | 2012-08-16 | Method for retrofitting seismic capability of mansory partition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9267A KR101228754B1 (en) | 2012-08-16 | 2012-08-16 | Method for retrofitting seismic capability of mansory partition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8754B1 true KR101228754B1 (en) | 2013-02-12 |
Family
ID=4789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92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8754B1 (en) | 2012-08-16 | 2012-08-16 | Method for retrofitting seismic capability of mansory partition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875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8674B1 (en) * | 2013-05-23 | 2014-09-12 |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 Device for connecting linear member for seismic retrofit of mansory wall |
CN104453013A (en) * | 2014-03-11 | 2015-03-25 | 朱彤 | Prefabricated wall component and 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
KR20160037836A (en) * | 2013-04-08 | 2016-04-06 | 엠파 | Method for build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by means of profiles consisting of a shape-memory alloy, and structure produced using said method |
CN114775911A (en) * | 2022-04-08 | 2022-07-22 | 东南大学 | Reinforced concrete plate type member reinforcement cage, net sheet level connector and wall floor construction method |
CN115596119A (en) * | 2022-10-25 | 2023-01-13 | 烟台大学(Cn) | Masonry filler wall applying pre-compressive stre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5708A (en) * | 2006-07-10 | 2008-01-15 | 선진산업개발(주) | Masonry reinforcement method |
KR100989218B1 (en) * | 2010-08-10 | 2010-10-20 | 이정우 | Reinforcing method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mansory partition wall |
KR101010073B1 (en) * | 2010-09-16 | 2011-01-24 | 이정우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Masonry Partition Walls |
KR101089322B1 (en) * | 2008-10-27 | 2011-12-02 |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 Non-demolition eco-friendly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existing masonry wall |
-
2012
- 2012-08-16 KR KR1020120089267A patent/KR1012287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5708A (en) * | 2006-07-10 | 2008-01-15 | 선진산업개발(주) | Masonry reinforcement method |
KR101089322B1 (en) * | 2008-10-27 | 2011-12-02 |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 Non-demolition eco-friendly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existing masonry wall |
KR100989218B1 (en) * | 2010-08-10 | 2010-10-20 | 이정우 | Reinforcing method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mansory partition wall |
KR101010073B1 (en) * | 2010-09-16 | 2011-01-24 | 이정우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Masonry Partition Walls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7836A (en) * | 2013-04-08 | 2016-04-06 | 엠파 | Method for build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by means of profiles consisting of a shape-memory alloy, and structure produced using said method |
KR102293794B1 (en) | 2013-04-08 | 2021-08-25 | 엠파 | Method for build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by means of profiles consisting of a shape-memory alloy, and structure produced using said method |
KR101438674B1 (en) * | 2013-05-23 | 2014-09-12 |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 Device for connecting linear member for seismic retrofit of mansory wall |
CN104453013A (en) * | 2014-03-11 | 2015-03-25 | 朱彤 | Prefabricated wall component and 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
CN114775911A (en) * | 2022-04-08 | 2022-07-22 | 东南大学 | Reinforced concrete plate type member reinforcement cage, net sheet level connector and wall floor construction method |
CN115596119A (en) * | 2022-10-25 | 2023-01-13 | 烟台大学(Cn) | Masonry filler wall applying pre-compressive stre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8754B1 (en) | Method for retrofitting seismic capability of mansory partition wall | |
JP2009526928A (en) | Unitized post-tension block system for masonry structures | |
JP2008150940A (en) | Anti-rotational adhesive insert | |
KR101010073B1 (en)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Masonry Partition Walls | |
AU678606B2 (en) | Connector | |
JP2001303666A (en) | Joint structure betwee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steel beams | |
KR100989218B1 (en) | Reinforcing method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mansory partition wall | |
KR101048899B1 (en) | Building exterior masonry reinforcement using twist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 |
RU123033U1 (en) | COLUMN CONNECTION AND FLOOR PLATE ASSEMBLY | |
KR101019588B1 (en) | Buoyancy prevention device for hollow slab | |
WO2003012223A1 (en) | Cladding system | |
KR200461661Y1 (en) | Fixing structure for handrail | |
KR102204561B1 (en) | Joint structure of PC column and PC flat plate with Super speed PC system | |
JP2010013915A (en) | Method of arranging reinforcements in brick wall surface for brick masonry building | |
KR20070027431A (en) | Binding tool for fixing rebar assemblies, formwork and ceiling panels by spot welding | |
JP5745989B2 (en) | Reinforcing method for existing vertical walls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
JP6698309B2 (en) | Fenc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mbers | |
JP7270900B2 (en) | Merit prevention anchor hardware | |
JP5162036B2 (en) | Strengthening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 |
JP3774451B2 (en) | Slab reinforcement method | |
EP2558735B1 (en) | Expansion fixing | |
JP4974023B2 (en) | Connection hardware, building reinforcement structure | |
JP2011074672A (en) | Reinforcing structure of continuous footing | |
KR102453942B1 (en) | Anchor structure with adjustable wire angle and concrete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 |
JP2020148056A (en) | Fence structure, fence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of f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301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12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