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802B1 -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7802B1 KR101227802B1 KR1020120074341A KR20120074341A KR101227802B1 KR 101227802 B1 KR101227802 B1 KR 101227802B1 KR 1020120074341 A KR1020120074341 A KR 1020120074341A KR 20120074341 A KR20120074341 A KR 20120074341A KR 101227802 B1 KR101227802 B1 KR 101227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blowing agent
- raw material
- microorganisms
- ceram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2—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chemical blowing agents
- C04B38/025—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chemical blowing agents generated by microorganis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담체(WS)와 상용화 담체(CP)의 결정상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담체의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b는 상용화 담체의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담체의 절단면 내부를 SEM으로 5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b는 상용화 담체의 절단면 내부를 SEM으로 5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담체의 절단면 내부를 SEM으로 10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b는 상용화 담체의 절단면 내부를 SEM으로 10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담체의 기공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b는 상용화 담체의 기공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담체의 pH 변화에 따른 제타 전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b는 상용화 담체의 pH 변화에 따른 제타 전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분 | 강열감량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Na2O | K2O | TiO2 | P2O5 | MnO | 계 |
적점토 (중량%) |
11.0 | 57.7 | 19.0 | 7.1 | 0.2 | 1.1 | 0.1 | 2.5 | 0.9 | 0.2 | 0.2 | 100.0 |
구분 | 부피비중 | 흡수율(%) | 기공률(%) | 비표면적(㎡/g) |
WS | 1.4 | 31.0 | 44.5 | 0.34 |
CP | 1.1 | 53.1 | 53.6 | 0.36 |
Claims (3)
- 세라믹 원료와 발포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원료와 상기 발포제의 혼합물 100중량% 기준으로, 상기 발포제를 1~5중량% 함유하되, 상기 세라믹 원료는 SiO2, Al2O3, Fe2O3 및 K2O 성분을 포함하는 입경 300㎛ 이하의 적점토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제로 1mm 이하의 분말 형태인 톱밥 또는 대패밥만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소성 시, 상기 소성 후의 상기 담체의 겉보기 기공률이 40% 이상이고, 직경 50㎛ 이상인 기공이 상기 담체의 총 기공 부피를 기준으로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 세라믹 원료와 발포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원료와 상기 발포제의 혼합물 100중량% 기준으로, 상기 발포제를 1~5중량% 함유하되, 상기 세라믹 원료는 SiO2, Al2O3, Fe2O3 및 K2O 성분을 포함하는 입경 300㎛ 이하의 적점토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제로 1mm 이하의 분말 형태인 톱밥 또는 대패밥만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혼련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를 압축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한 후 상기 성형체를 건조 후 소성 시, 상기 소성 후의 상기 담체의 겉보기 기공률이 40% 이상이고, 직경 50㎛ 이상인 기공이 상기 담체의 총 기공 부피를 기준으로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 세라믹 원료와 발포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원료와 상기 발포제의 혼합물 100중량% 기준으로, 상기 발포제를 1~5중량% 함유하되, 상기 세라믹 원료는 SiO2, Al2O3, Fe2O3 및 K2O 성분을 포함하는 입경 300㎛ 이하의 적점토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제로 1mm 이하의 분말 형태인 톱밥만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혼련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를 압축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한 후 상기 성형체를 건조 후 1125℃에서 2시간 동안 소성 시, 상기 소성 후의 상기 담체의 겉보기 기공률이 40% 이상이고, 직경 50㎛ 이상인 기공이 상기 담체의 총 기공 부피를 기준으로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341A KR101227802B1 (ko) | 2012-07-09 | 2012-07-09 |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341A KR101227802B1 (ko) | 2012-07-09 | 2012-07-09 |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19523A Division KR20110100491A (ko) | 2010-03-04 | 2010-03-04 |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3797A KR20120093797A (ko) | 2012-08-23 |
KR101227802B1 true KR101227802B1 (ko) | 2013-01-29 |
Family
ID=4688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3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7802B1 (ko) | 2012-07-09 | 2012-07-09 |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780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9880A (ko) | 2021-12-28 | 2023-07-05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미생물부착용 담체, 상기 담체 제조방법 및 상기 담체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미생물제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81094B (zh) * | 2016-01-20 | 2018-06-01 | 无锡华光锅炉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污水处理的陶粒填料、生产方法及污水处理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9185A (ko) * | 1996-07-31 | 1998-04-30 | 우덕창 | 미생물 친화성 다공성 세라믹스 담체 |
KR100249421B1 (ko) | 1997-08-12 | 2000-03-15 | 신승교 | 폐수처리용미생물접촉여재및그제조방법 |
KR20010036795A (ko) * | 1999-10-12 | 2001-05-07 | 김창식 | 황토를 주재로 한 폐수처리용 미디어 제조방법 및 그 미디어 |
KR100614253B1 (ko) | 2004-04-03 | 2006-08-21 | 주식회사 퍼텍코리아 | 다공성 흡착 여재 및 그 제조 방법 |
-
2012
- 2012-07-09 KR KR1020120074341A patent/KR10122780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9185A (ko) * | 1996-07-31 | 1998-04-30 | 우덕창 | 미생물 친화성 다공성 세라믹스 담체 |
KR100249421B1 (ko) | 1997-08-12 | 2000-03-15 | 신승교 | 폐수처리용미생물접촉여재및그제조방법 |
KR20010036795A (ko) * | 1999-10-12 | 2001-05-07 | 김창식 | 황토를 주재로 한 폐수처리용 미디어 제조방법 및 그 미디어 |
KR100614253B1 (ko) | 2004-04-03 | 2006-08-21 | 주식회사 퍼텍코리아 | 다공성 흡착 여재 및 그 제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9880A (ko) | 2021-12-28 | 2023-07-05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미생물부착용 담체, 상기 담체 제조방법 및 상기 담체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미생물제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3797A (ko) | 2012-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87701B2 (en) | Porous humidity-control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Abdallah et al. | Fabrication of ceramic membranes from nano–rosette structure high alumina roller kiln waste powder for desalination application | |
CN101328060A (zh) | 一种硅藻土基多功能微孔陶瓷的制备方法 | |
KR101720764B1 (ko) | 고로 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수처리용 비소성 무기 분리막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 |
KR101227802B1 (ko) |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
Sharmiwati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ramic sponge for water filter | |
KR20110100491A (ko) | 톱밥을 이용한 미생물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31162B1 (ko) | 바이오필터용다공성세라믹담체및그제조방법 | |
KR101563984B1 (ko) |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흡착제의 제조방법 | |
JP4392460B1 (ja) | 芳香族炭化水素の残留量が低いリン酸カルシウム多孔体 | |
KR100993120B1 (ko) | 바텀 애쉬를 이용한 수질 정화체 및 그 제조방법 | |
JPWO2006054718A1 (ja) | ゼオライト含有組成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多孔質焼成体および建材 | |
KR101901279B1 (ko) |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흡착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
JP2000247622A (ja) | 成形活性炭の製造方法 | |
KR101435918B1 (ko) | 다공성 점토 기반 세라믹 분리막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점토 기반 세라믹 분리막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점토 기반 세라믹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기름에 오염된 수용액의 정화용 필터 | |
KR20150056101A (ko) |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28998B1 (ko) | 세라믹 다공체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010074659A (ko) | 바이오필터용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
CN108997024A (zh) | 一种硅藻土复合活性炭的陶瓷滤芯及其生产方法 | |
CN102744040A (zh) | 一种固硫渣复合成型活性炭及其制备方法 | |
KR100798748B1 (ko) | 환경정화용 투광성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 |
Du D et al. | Preparation of Al2O3 porous ceramics from the sacrificial biomass template method | |
KR102730444B1 (ko) | 폐패각 미분말을 이용한 비소성 수질정화 여과재 | |
KR102087571B1 (ko) | 고강도 고비표면적 산업용 하니컴 탈취 필터 | |
KR101727541B1 (ko) | 폐기물을 이용한 폐유의 정제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80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2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