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6384B1 -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384B1
KR101226384B1 KR1020100020140A KR20100020140A KR101226384B1 KR 101226384 B1 KR101226384 B1 KR 101226384B1 KR 1020100020140 A KR1020100020140 A KR 1020100020140A KR 20100020140 A KR20100020140 A KR 20100020140A KR 101226384 B1 KR101226384 B1 KR 10122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ic acid
promoter
seq
sequence
transform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010A (ko
Inventor
권도현
김형준
장재우
문준옥
임상조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0002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384B1/ko
Priority to PCT/KR2011/000012 priority patent/WO2011108808A2/en
Priority to JP2011014476A priority patent/JP5465194B2/ja
Priority to CN2011100392076A priority patent/CN102191247B/zh
Priority to EP11001256.4A priority patent/EP2371947B1/en
Priority to US13/037,790 priority patent/US8329434B2/en
Priority to BRPI1103675-3A priority patent/BRPI1103675A2/pt
Publication of KR2011010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3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96Transferases (2.) transferring nitrogenous groups (2.6)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08Lysine; Diaminopimelic acid; Threonine; Val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코리네형 미생물 유래의 핵산 분자, 이러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이러한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및 이러한 형질전환체를 사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Enhanced promo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에 관한것이다.
코리네형 미생물은 아미노산과 핵산관련 물질의 생산에 전통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산업용 미생물이다. 주로 L-라이신(lysine), L-쓰레오닌(threonine), L-아르기닌(arginin) 및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 및 각종 핵산을 포함한 사료, 의약품 및 식품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를 갖는 화학물질을 생산하는데 이용되는 그람양성세균이며, 생육에 비오틴을 요구한다. 세포분열시 직각으로 굽어지는 특징(snapping)을 가지고 있으며, 생성된 대사물질에 대한 분해 활성이 낮은 것이 이 균이 가지는 장점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균종으로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orynebacterium glutamicum)을 포함한 코리네박테리움 속, 브레비박테리움 플라붐(Brevibacterium flavum)을 포함한 브리비박테리움 속, 아쓰로박터 속(Athrobacter sp.), 및 마이크로박테리움 속 (Microbacterium sp.) 등이 있다.
L-라이신은 L-아미노산의 하나로서, 기타 아미노산의 흡수를 증가시켜 사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동물 사료 보충물로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의학에서는 주입용 용액제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며, 제약 산업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라이신을 산업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산업 공정이 되어 왔다.
라이신의 생산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라이신 생합성 경로 상의 유전자를 증폭시키거나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변형시켜, 생합성 경로 상의 효소활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종래 라이신 생합성 관련 유전자가 강화된 코리네박테리움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방법이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6,746,855호에는 lysE 유전자 (라이신 배출 캐리어 유전자)가 강화되고, dapA 유전자, lysC 유전자, pyc 유전자 및 dapB 유전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전자가 추가적으로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아를 배양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221,636호에는 L-라이신 및 L-쓰레오닌에 의하여 피드백 저해에 실질적으로 탈감작화된 (insensitive) 아스파토키나제를 코딩하는 DNA 서열 및 디아미노피멜레이트 디카르복실라제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로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아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공개번호 제20060003424에는 GDH 유전자, CS 유전자, ICDH 유전자, pDH 유전자, ACO 생산 유전자들의 프로모터 서열을 컨센서스(consensus) 서열과 유사하게 변형시켜 효소활성이 증가된 코리네형 미생물을 이용한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코리네형 미생물을 유전공학적 또는 대사공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목적 물질들을 고역가로 생산할 수 있는 균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미생물 내의 여러 가지 대사과정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절을 위해서는, 조절 유전자의 하나로서 DNA 분자 상에 RNA 합성 효소가 결합하여 전사(transcription)를 시작하는 부위인 프로모터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라이신 생합성 경로 중 라이신의 전구체인 아스파르테이트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EC; 2.6.1.1;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개량하여 발현율을 높인 코리네형 세균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개량하여 발현율을 높이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상의 aspB 유전자 프로모터를 염기치환을 통해 개량시키고, 개량된 프로모터를 도입시켜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효소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보다 증가되어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 핵산 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신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 3 및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 서열을 가지는,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핵산분자는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코리네박테리움 속 유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로모터"란 폴리머라제에 대한 결합 부위를 포함하고 프로모터 하위 유전자의 mRNA로의 전사 개시 활성을 가지는, 암호화 영역의 상위(upstream)의 비해독된 핵산서열, 즉, 폴리머라제가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를 개시하도록 하는 DNA 영역을 말하며, mRNA 전사 개시부위의 5' 부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핵산 분자는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aspB 유전자로서, 코리네박테리움 속 세균에서 라이신을 생산하는 생합성 경로 상의 주요한 유전자이다.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는 글루타메이트의 아미노기를 옥살로아세테이트로 전달하는 반응을 촉매함으로써 라이신 생합성의 전구체인 아스파르테이트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이 증가되면 라이신 생합성의 전구체인 아스파르테이트가 증가하여 결국 라이신의 생합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이란 본 발명의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서열이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전사를 개시 및 매개하도록, 상기 유전자 서열과 프로모터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본 발명의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서열이 aspB 유전자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오페론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상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개시하는 전사시작점(transcriptional start site)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aspB 유전자의 전사시작점 동정을 위해 5'-RACE(Rapid Amplification of 5'cDNA Ends) 기법(Sambrook, J., Russell, D.W. Molecular Cloning:a laboratory manual 3rd ed. 8.54)을 실시하였다. 5'-RACE는 mRNA의 일부를 알고 있을 때 5' 상위(upstream)의 미지영역을 클로닝하기 위한 방법으로 Takara사의 5'-Full Race core set(Cat.No. 6122)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aspB 유전자의 전사시작점은 ATG 개시코돈의 상위(upstream) 72bp에 위치한 G로 동정되었다.
상기에서 동정된 전사시작점을 +1 위치로 하여 개량을 위한 프로모터 컨센서스(consensus) 서열 부위를 선정하였다.
본 발명의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서열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개량시킨 것으로서, 야생형(wild type) 프로모터보다 높은 프로모터 활성을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높은 프로모터 활성을 가지도록 개량시키는 방법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은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핵산 서열을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서열상의 변이를 유도하여 개량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모터 핵산 분자는 표준 분자 생물학 기술을 이용하여 분리 또는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프라이머 서열을 이용하여 PCR을 통해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된 DNA 합성기를 이용하는 표준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미국 국립 보건원의 유전자은행(NIH GenBank)을 근거로하여 aspB 유전자(NCBI 등록번호 NCgl0237)의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하는 염기서열을 확보하고(서열번호 1), 이에 근거하여 여덟 개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0 내지 17)를 합성한 후,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들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주요부위에 변형된 서열을 가지는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분자(서열번호 2, 3 및 4)를 확보하였다.
본 발명의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프로모터 활성을 가지는 핵산 분자는 바람직하게는 원핵세포, 특히 대장균 또는 코리네형 세균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코리네형 세균"은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 속, 아쓰로박터 속(Arthrobacter sp.) 및 마이크로박테리움 속(Microbacterium sp.)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코리네형 세균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thermoaminogenes) FERM BP-1539, 브레비박테리움 플라붐(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lactofermentum) ATCC 13869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L-아미노산 생산 돌연변이체 또는 균주, 예를 들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1001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 10881이지만,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상기 조절 서열은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 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벡터는 숙주 중에서 복제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미드, 파지 입자, 또는 간단하게 잠재적 게놈 삽입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CCG122 벡터(노갑수 등, Kor.Jour.Microbiol.July.1991 p.149-154)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벡터는 적당한 숙주 내로 형질전환된 후,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되거나 기능할 수 있으며,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벡터는 숙주 세포 내로 도입시켜 벡터 내의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 서열이 숙주 세포 게놈 상의 내생적(endogeneous)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의 서열과 상동 재조합을 일으키며, 염색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벡터는 상기 염색체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별 마커(selection mark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선별 마커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 즉, 목적 유전자의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 내성, 영양 요구성, 세포 독성제에 대한 내성 또는 표면 단백질의 발현과 같은 선택가능 표현형을 부여하는 마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제(selective agent)가 처리된 환경에서는 선별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만 생존하거나, 다른 표현 형질을 나타내므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acZ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상동 재조합을 통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를 프로모터 활성이 증진되도록 변이된 프로모터 서열로 대체시킬 수 있는 벡터를 제조하였다. 먼저, 대장균 클로닝용 벡터 pACYC177를 제한 효소 처리하여 평활말단화한 후, lacZ 유전자를 삽입시키기 위해, 대장균K12W3110 게놈 DNA로 부터 PCR을 통해 자체 프로모터를 포함하도록 lacZ 유전자를 증폭한 후, 다수 개의 제한효소 인식 부위를 포함하는 아답터 서열을 삽입하여,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를 제조하였다(도 1). 이후,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높은 프로모터 활성을 가지도록 제조된,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주요부위에 변형된 서열을 가지는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를 상기 pDZ 벡터의 아답터 부위에 삽입시켜, 서열번호 2의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pDZ-aspBP1(도 2), 서열번호 3의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pDZ-aspBP2(도 3) 및 서열번호 3의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pDZ-aspBP3(도 4)을 각각 제조하였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형질전환"은 DNA를 숙주로 도입하여 DNA가 염색체외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완성에 의해 복제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의 형질전환체는 벡터가 숙주 세포 내로 형질전환된 후, 벡터 내의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 서열이 숙주 세포 게놈 상의 내생적(endogeneous)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의 서열과 상동 재조합을 일으키며 염색체 내로 삽입되거나, 플라스미드 형태로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벡터를 형질전환시키는 방법은 핵산을 세포 내로 도입하는 어떤 방법도 포함되며, 숙주세포에 따라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표준 기술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인산칼슘(CaPO4) 침전, 염화칼슘(CaCl2) 침전,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폴리에틸렌글리콜(PEG)법, DEAE-덱스트란법, 양이온 리포좀법, 및 초산 리튬-DMSO법 등이 있다.
상기 숙주 세포로는 DNA의 도입효율이 높고, 도입된 DNA의 발현 효율이 높은 숙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원핵 및 진핵을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대장균이나 코리네형 세균,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또는 브레비박테리움 속,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는 상동 재조합을 통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를 프로모터 활성이 증진되도록 변이된 프로모터 서열로 대체함으로써, aspB 유전자는 개량된 프로모터를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해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의 효소 활성이 야생형보다 증가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2로 구성되는 프로모터 활성을 가진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pDZ-aspBP1(도 2), 서열번호 3으로 구성되는 프로모터 활성을 가진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pDZ-aspBP2(도 3) 및 서열번호 4로 구성되는 프로모터 활성을 가진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pDZ-aspBP3(도 4) 각각을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에 형질전환시켜 aspB 프로모터 활성이 증진된 형질전환체들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pDZ-aspBP1을 형질전환시켜 얻은 형질전환체를 KFCC10881-aspBP1으로, pDZ-aspBP2을 형질전환시켜 얻은 형질전환체를 KFCC10881-aspBP2으로, pDZ-aspBP3을 형질전환시켜 얻은 형질전환체를 KFCC10881-aspBP3으로 각각 명명하여 제조하였다. 각각의 형질전환체의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을 모균주인 KFCC10881과 비교하여 각각의 형질전환체가 모균주보다 각각 2.1, 2.6, 1.8배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표 3),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개량된 프로모터가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체들은 활성 개선 효과가 판단되어 KFCC10881-aspBP1, KFCC10881-aspBP2, KFCC10881-aspBP3를 각각 CA01-773, CA01-774, 및 CA01-775로 명명하여 2010년 2월 5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이하, "KCCM"으로 약칭함)에 수탁번호 KCCM11061P, KCCM11062P 및 KCCM11063P로 기탁하였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신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형질전환체의 배양은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고, 배양 온도, 배양 시간 및 배지의 pH 등의 조건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들 공지된 배양 방법은 문헌[Chmiel; Bioprozesstechnik 1. Einfuhrung in die Bioverfahrenstechnik(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1991), 및 Storhas; Bioreaktoren und periphere Einrichtungen(Vieweg Verlag, Braunschweig / Wiesbaden, 1994)]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배양 방법에는 회분식 배양(batch culture), 연속식 배양(continuous culture) 및 유가식 배양(fed-batch culture)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배치 공정 또는 주입 배치 또는 반복 주입 배치 공정(fed batch or repeated fed batch process)에서 연속식으로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되는 배양 배지는 특정한 균주의 요구 조건을 적절하게 충족시켜야 한다.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배양 배지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from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 배지 내 탄소 공급원은 당 및 탄수화물(예: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락토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몰라세, 전분 및 셀룰로오스), 유지 및 지방(예: 대두유, 해바라기씨유, 땅콩유 및 코코넛유), 지방산(예: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리놀레산), 알콜(예: 글리세롤 및 에탄올) 및 유기산(예: 아세트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질소 공급원은 질소-함유 유기 화합물(예: 펩톤, 효모 추출액, 육즙, 맥아 추출액, 옥수수 침지액, 대두 박분 및 우레아), 또는 무기 화합물(예: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물질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 공급원으로서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 함유 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양 배지는 성장에 필수적인 금속염(예: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을 함유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촉진 물질을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전구체를 상기 배양 배지에 추가로 가할 수 있다. 상기 공급 물질은 배양배지에 한번에 모두 가하거나, 배양중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배양 배지의 pH는 염기성 화합물(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암모니아) 또는 산성 화합물(예: 인산 또는 황산)을 적절히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발포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거포제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산소 또는 산소-함유 가스 혼합물, 예를 들어 공기를 배양배지 중으로 도입시켜 호기성 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배양 온도는 통상적으로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이다. 배양은 원하는 L-아미노산의 생성량이 최대로 얻어질 때까지 계속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보통 10 내지 160 시간에서 달성된다. L-라이신은 배양 배지 중으로 배출되거나, 세포 중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신의 생산 방법은 상기 배양하는 단계에서 생성되는 라이신을 회수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L-라이신을 회수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세포 또는 배양 배지로부터 L-라이신을 분리해낼 수 있다. L-라이신 회수 방법의 예로서, 여과,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및 HPLC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aspB 유전자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핵산 분자는, 야생형에 비해 높은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내어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의 효소활성을 증가시켜 라이신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코리네박테리움 염기치환용 벡터 pDZ-aspBP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코리네박테리움 염기치환용 벡터 pDZ-aspBP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코리네박테리움 염기치환용 벡터 pDZ-aspBP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량된 프로모터 제작을 위해 aspB 유전자의 전사시작점(transcriptional start site)을 밝혔고, 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상동 재조합을 통해 개량된 프로모터로 치환시키기 위한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고, 상기 벡터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균주에 형질전환시켜 염색체 상의 프로모터가 개량된 균주를 얻음으로써, 라이신 생산 효율이 높아진 균주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균주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야생주(ATCC13032)를 모균주로 하여 인공 변이법을 통해 제작된 S-(2-아미노에틸) 시스테인(S-(2-aminoethyl) cysteine, AEC)에 대한 내성 및 호모세린 유출(homoserine leaky)의 특징을 갖는 균주이다(한국 등록특허 제0159812호, 한국 등록특허 제0397322호 참고).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spB 유전자 전사시작점의 동정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aspB 유전자의 전사시작점(transcriptional start site)을 동정하였다.
aspB 유전자의 전사시작점 동정을 위해 5'-RACE(Rapid Amplification of 5 cDNA Ends) 기법(Sambrook, J., Russell, D.W. Molecular Cloning:a laboratory manual 3rd ed. 8.54)을 사용하였다. 5'-RACE는 mRNA의 일부를 알고 있을 때 5' 상위(upstream)의 미지영역을 cloning하기 위한 방법으로 Takara사의 5'-Full Race core set(Cat.No. 6122)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5'-RACE 실험을 위해 미국 국립 보건원의 유전자은행(NIH GenBank)에 등록된 aspB 유전자(NCBI 등록번호 NCgl0237)의 염기서열을 근거로 하여 다섯 개의 프라이머(표 1, 서열번호 5 내지 9 )를 합성하였다.
프라이머 염기서열 서열번호
aspB(race)/RT P-ccaagacctgctcc(5'-인산화) 5
aspB(race)/F1 Tactcgcggtaagccttcg 6
aspB(race)/R1 Cttgagctcatcaaacttgc 7
aspB(race)/F2 Gatttcgctgatgagttgttg 8
aspB(race)/R2 Gcttaatgtcctcgtggaac 9
먼저 ATCC 13032 균주의 mRNA를 추출하고 aspB 유전자의 mRNA에 특이적인 5'말단 인산화 RT-primer(서열번호 5)를 사용 역전사 반응하여 1st 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그 후 RNase H로 처리하여 hybrid DNA-RNA의 RNA를 분해한 뒤 RNA Ligase에 의한 한가닥 cDNA를 환상으로(혹은 concatemer화) 하였다.
위에서 ligation 반응이 끝난 시료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6과 7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 증폭을 하여 1차 PCR 산물을 획득하였다. 앞에서 획득된 1차 PCR 산물을 주형으로 서열번호 8과 9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을 다시 실시해 2차 PCR 산물을 획득하였다. PCR 조건은 변성 95℃, 30초; 어닐링 55℃, 30초; 및 중합반응 72℃, 1분을 30회 반복하였다. 최종 획득된 PCR 산물은 유전자 정제를 실행한 뒤 시퀀싱을 통한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aspB 유전자의 전사시작점은 ATG 개시코돈의 상위(upstream) 72bp에 위치한 G로 동정되었다. 상기에서 동정된 전사시작점을 +1 위치로 하여 개량을 위한 프로모터 컨센서스(consensus) 서열 부위를 선정하였다.
실시예 2: 프로모터 개량용 재조합 벡터의 제작
<2-1> 염색체 삽입용 벡터(pDZ)의 제작
본 실시예에서는 대장균 클로닝용 벡터 pACYC177(New England Biolab, GenBank accetion # X06402)를 기본 벡터로 사용하여,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를 제작하였다.
pACYC177 벡터를 AcuI 및 BanI 제한 효소로 처리한 후, 클레나우 효소처리를 통하여 평활말단화하였다. 선별 마커로 사용될 대장균 유래의 lacZ 유전자는 대장균 K12 W3110의 게놈 DNA로부터 PCR을 통하여 자체 프로모터를 포함하도록 증폭한 후, T4 DNA 폴리머라제 및 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제 처리를 통하여 5' 말단 인산화 및 평활화함으로써 준비하였다. 이상과 같이 준비한 2종의 DNA 단편을 접합하였으며, 접합된 환상 DNA 분자의 제한효소 BamHI 부위로 인위적으로 합성한 다수의 제한효소 인식 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아답터(adaptor) 서열을 삽입하여,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를 완성하였다. 도 1은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2>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개량하기 위한 재조합 벡터 제작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신을 생산하는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개량하기 위한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먼저, 미국 국립 보건원의 유전자은행(NIH GenBank)을 근거로 하여 aspB 유전자(NCBI 등록번호 NCgl0237)의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하는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확보하였으며, 주요부위에 변형된 서열을 가지는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DNA 조각(서열번호 2, 3 및 4)을 확보하였다. 각 변형 프로모터 서열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에서 알려진 프로모터 컨센서스(consensus) 서열을 기반으로 고안하였다.
또한, 상기 변형된 프로모터 서열을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는 상기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여덟 개의 프라이머(표 2, 서열번호 10 내지 17)를 합성하였다.
프라이머 염기서열 서열번호
aspB/PF c cgg gga tcc tct aga ataggggatttgaacccctgag 10
aspB/PR g cag gtc gac tct aga gccatagttacggacatcag 11
aspB/P1R ag ccactatactaga cgttttaggggatccc 12
aspB/P1F TCTA G TATAGT GG cttgaggtcactgctc 13
aspB/P2R ag ccactatacCaCa cgttttaggggatccc 14
aspB/P2F TGTG G TATAGT GG cttgaggtcactgctc 15
aspB/P3R ag ccattatacCaCa cgttttaggggatccc 16
aspB/P3F TGTG G TATAAT GG cttgaggtcactgctc 17
aspB/mut1 CccctaaaacgtGtG 18
aspB/mut2 CcctaaaacgtctagT 19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서열을 얻기 위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표 2에 표기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쌍을 프라이머로 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중합효소는 PfuUltra TM 고-신뢰 DNA 폴리머라제(Stratagene)를 사용하였으며, PCR 조건은 변성 95℃, 30초; 어닐링 55℃, 30초; 및 중합반응 72℃, 1분을 30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치환부위를 한쪽 말단에 포함하고 있는 300 bp DNA 단편을 얻었다. aspBP1-1는 서열번호 10과 12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며, aspBP1-2는 서열번호 11과 13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다. 상기 증폭 산물을 미리 Xba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준비한 pDZ 벡터와 혼합하여 In-fusion Cloning Kit(TAKARA)를 이용, 클로닝하여 pDZ- aspBP1벡터를 얻었다.
pDZ-aspBP2 및 pDZ-aspBP3의 경우에도 pDZ-aspBP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제작되었으며, 다만 삽입 단편의 PCR 증폭시 pDZ-aspBP2의 경우에는 서열번호 10과 14를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얻어진 aspBP2-1 단편 및 서열번호 11과 15를 사용하여 얻어진 aspBP2-2 단편을 사용하여 얻어졌으며, pDZ-aspBP3의 경우에는 서열번호 10과 16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얻어진 aspBP3-1 단편과 서열번호 11과 17을 사용하여 얻어진 aspBP3-2 단편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도 2, 3 및 4는 각각 서열번호 2, 3 및 4에 해당하는 aspBP1, aspBP2, aspBP3를 포함하고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치환용 벡터 pDZ-aspBP1, pDZ-aspBP2 및 pDZ-aspBP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3 : 재조합 벡터의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내로의 삽입
본 실시예에서는 코리네박테리움의 염색체상 aspB 프로모터를 개량하기 위해, 상기에서 제작한 재조합 벡터들을 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에 형질전환시켜, 균주 염색체의 프로모터 서열과 상기한 벡터 상의 프로모터 서열을 상동 재조합을 통해 치환시킴으로써, 염색체 내로 상기한 개량 프로모터 서열을 삽입시켰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재조합 벡터들 개량 프로모터 서열을 가지는 DNA 단편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한 재조합 벡터들인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치환용 벡터 pDZ-aspBP1, pDZ-aspBP2 및 pDZ-aspBP3을 각각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에 전기펄스법으로 형질전환한 후(Appl. Microbiol.Biotechnol.(1999) 52:541-545에 의한 형질전환법 이용), 카나마이신(kanamycin) 25 mg/L를 함유한 선별 배지에서 염색체상의 동 유전자와 상동성에 의해 삽입된 균주를 선별하였다.
벡터의 성공적인 염색체 삽입은 X-gal(5-브로모-4-클로로-3-인돌릴-β-D-갈락토시드)을 포함한 고체배지에서 푸른색을 나타내는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였다. 1차 염색체 삽입된 균주를 영양 배지에서 진탕배양(30℃, 8시간)한 후, 각각 10-4으로부터 10-10까지 희석하여, X-gal을 포함하고 있는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대부분의 콜로니가 푸른색을 나타내는데 반해 낮은 비율로 나타나는 백색의 콜로니를 선별함으로써, 2차 교차(crossover)에 의해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의 주요부위에 염기서열이 치환된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상과 같이 선별된 균주는 PCR을 통한 염기치환 여부 확인 및 해당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 확인 과정을 거쳐 최종 선정되었다.
프로모터의 염기 프로모터의 염기치환 여부는 aspBP1의 경우 서열번호 11과 19, aspBP2의 경우 서열번호 11과 18, aspBP3의 경우 서열번호 11과 18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목적 부위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에서 aspB 유전자의 프로모터 주요부위에 치환된 염기를 포함하고 있는 라이신 생산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aspBP1, KFCC10881-aspBP2 및 KFCC10881-aspBP3을 각각 얻었고, 이를 각각 CA01-773, CA01-774 및 CA01-775로 명명하고, 2010년 2월 5일에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수탁번호 KCCM11061P, KCCM11062P 및 KCCM11063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4: aspB 프로모터 개량 균주에서의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효소 활성의 측정
모균주로 이용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균주 및 상기 실시예 3에서 최종적으로 제작된 L-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aspBP1, KFCC10881-aspBP2 및 KFCC10881-aspBP3 균주의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여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수기까지 배양한 배양액을 OD600 0.3이 되도록 25 ml의 종배지에 접종한 후, OD600이 약 15에 이를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5,000 rpm, 10분)를 통하여 균체를 수거, 0.1% Tris.HCl(pH8.0) 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동 완충용액으로 600 nm의 탁도가 160 가량이 되도록 현탁하였다. 현탁액 1.5 ml당 1.25 g의 글래스 비드(glass bead)를 첨가한 후, 비드 비터(bead beater)를 이용, 6분간 균체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13,000 rpm, 30분)를 통하여 상층액을 수거, 브레드포드 방법(Bradford, M.M 1976. Anal. Biochem. 72:248-254)에 의한 단백질 농도를 정량한 후,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효소 활성 측정을 위한 조단백질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효소활성의 측정은 0.24M 아스파르테이트, 0.09M Tris(pH7.8), 0.64mM NADH, 0.11mM pyridoxal phosphate, 0.93kU/l MDH, 0.42kU/l LDH를 포함하고 있는 반응액에 0.1 ml의 조단백질용액을 첨가하고 30도에서 10분간 정치한 뒤 12mM의 2-oxoglutarate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개시하였다. 340nm에서 5분간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여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효소활성을 계산하였다.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효소 활성 단위(U)는 1분간 1 mg의 단백질에 의해 감소한 NADH nmole로 정의하였다.
각각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aspBP1, KFCC10881- aspBP2 및 KFCC10881-aspBP3 균주가 나타내는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모균주인 KFCC10881와 비교해본 결과, KFCC10881-aspBP1 균주의 경우 2.1배, KFCC10881-aspBP2 균주의 경우 2.6배, 그리고 KFCC10881-aspBP3 균주의 경우, 1.8배 증가된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3).
균주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활성(U) Folds
KFCC10881P 196.5 1
KFCC10881P-aspBP1 417.3 2.1
KFCC10881P-aspBP2 517.1 2.6
KFCC10881P-aspBP3 359.8 1.8
* 종배지(pH 7.0)
원당 20 g, 펩톤 10 g, 효모추출물 5 g, 요소 1.5 g, KH2PO4 4 g, K2HPO4 8 g, MgSO4 7H2O 0.5 g, 바이오틴 100 ㎍, 티아민 HCl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마이드 2000 ㎍(증류수 1 리터 기준)
실시예 5: aspB 프로모터 개량 균주에서의 라이신 생산
모균주로 이용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균주 및 실시예 2에서 최종적으로 제작된 L-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aspBP1, KFCC10881-aspBP2, 및 KFCC10881-aspBP3를 L-라이신 생산을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하기의 종 배지 25 ml를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모균주 KFCC10881와 KFCC10881-aspBP1, KFCC10881-aspBP2, 및 KFCC10881-aspBP3를 접종하고 30 ℃에서 20 시간 동안 200 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하기의 생산 배지 24 ml를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1 ml의 종 배양액을 접종하고 30 ℃에서 120 시간 동안(200 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HPLC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L-라이신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와 KFCC10881-aspBP1, KFCC10881-aspBP2, 및 KFCC10881-aspBP3에 대한 배양액 중의 L-라이신 대한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았다.
균주 라이신(g/l)
뱃치 1 뱃치 2 뱃치 3
KFCC10881 43.5 44 43.7
KFCC10881-aspBP1 45 45.8 45.4
KFCC10881-aspBP2 45.6 46.5 46
KFCC10881-aspBP3 44.8 45.5 45.4
* 종배지(pH 7.0)
원당 20 g, 펩톤 10 g, 효모추출물 5 g, 요소 1.5 g, KH2PO4 4 g, K2HPO4 8 g, MgSO4 7H2O 0.5 g, 바이오틴 100 ㎍, 티아민 HCl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마이드 2000 ㎍(증류수 1 리터 기준)
* 생산배지(pH 7.0)
포도당 100 g, (NH4)2SO4 40 g, 대두 단백질 2.5 g, 옥수수 침지 고형분(Corn Steep Solids) 5 g, 요소 3 g, KH2PO4 1 g, MgSO4 7H2O 0.5 g, 바이오틴 100 ㎍, 티아민 염산염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마이드 3000 ㎍, CaCO3 30 g(증류수 1리터 기준)
상기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 활성이 2.6배 강화된 KFCC10881-aspBP2 균주의 경우, 모균주 KFCC10881에 비하여 라이신 생산 효율이 5% 이상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활성이 2.1배 강화된 KFCC10881-aspBP1 균주의 경우 라이신 생산 효율이 3% 이상, 활성이 1.8배 강화된 KFCC10881-aspBP3의 경우 라이신 생산 효율이 3% 이상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 핵산 분자는, 야생형에 비해 높은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내어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의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라이신의 생합성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산업에 유용한 L-아미노산의 일종인 L-라이신을 고수율로 생산해낼 수 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061P 20100205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062P 20100205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063P 20100205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Enhanced promo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130> PA090559/KR <160> 19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sequence containing of aspB promoter <400> 1 ataggggatt tgaacccctg agggattgct cccaacccgc gttccaggcg agcgacatag 60 gccgctagtc gaatcctcca gctagaacgg ctgcaacgca tggctgcttt gttctgggga 120 ttagattaca caaaagtcgt ttagaaactc aaatccgctc gcagttggcg ttttctgggg 180 cggttcagct agagttatgc gaaggatccc gtgcggcgtt tatcttgtga actcccccag 240 ggcaggaatg cagcaagggt cagcgagctc tgacgggtgc gcgggatccc ctaaaacgtc 300 tagagtagtg gcttgaggtc actgctcttt ttttgtgccc ttttttggtc cgtctatttt 360 gccaccacat gcggaggtac gcagttatga gttcagtttc gctgcaggat tttgatgcag 420 agcgaattgg tttgttccac gaggacatta agcgcaagtt tgatgagctc aagtcaaaaa 480 atctgaagct ggatcttact cgcggtaagc cttcgtcgga gcagttggat ttcgctgatg 540 agttgttggc gttgcctggt aagggtgatt tcaaggctgc ggatggtact gatgtccgta 600 actatggc 608 <210> 2 <211> 6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sequence containing of aspBP1 promoter <400> 2 ataggggatt tgaacccctg agggattgct cccaacccgc gttccaggcg agcgacatag 60 gccgctagtc gaatcctcca gctagaacgg ctgcaacgca tggctgcttt gttctgggga 120 ttagattaca caaaagtcgt ttagaaactc aaatccgctc gcagttggcg ttttctgggg 180 cggttcagct agagttatgc gaaggatccc gtgcggcgtt tatcttgtga actcccccag 240 ggcaggaatg cagcaagggt cagcgagctc tgacgggtgc gcgggatccc ctaaaacgtc 300 tagtatagtg gcttgaggtc actgctcttt ttttgtgccc ttttttggtc cgtctatttt 360 gccaccacat gcggaggtac gcagttatga gttcagtttc gctgcaggat tttgatgcag 420 agcgaattgg tttgttccac gaggacatta agcgcaagtt tgatgagctc aagtcaaaaa 480 atctgaagct ggatcttact cgcggtaagc cttcgtcgga gcagttggat ttcgctgatg 540 agttgttggc gttgcctggt aagggtgatt tcaaggctgc ggatggtact gatgtccgta 600 actatggc 608 <210> 3 <211> 6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sequence containing of aspBP2 promoter <400> 3 ataggggatt tgaacccctg agggattgct cccaacccgc gttccaggcg agcgacatag 60 gccgctagtc gaatcctcca gctagaacgg ctgcaacgca tggctgcttt gttctgggga 120 ttagattaca caaaagtcgt ttagaaactc aaatccgctc gcagttggcg ttttctgggg 180 cggttcagct agagttatgc gaaggatccc gtgcggcgtt tatcttgtga actcccccag 240 ggcaggaatg cagcaagggt cagcgagctc tgacgggtgc gcgggatccc ctaaaacgtg 300 tggtatagtg gcttgaggtc actgctcttt ttttgtgccc ttttttggtc cgtctatttt 360 gccaccacat gcggaggtac gcagttatga gttcagtttc gctgcaggat tttgatgcag 420 agcgaattgg tttgttccac gaggacatta agcgcaagtt tgatgagctc aagtcaaaaa 480 atctgaagct ggatcttact cgcggtaagc cttcgtcgga gcagttggat ttcgctgatg 540 agttgttggc gttgcctggt aagggtgatt tcaaggctgc ggatggtact gatgtccgta 600 actatggc 608 <210> 4 <211> 6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sequence containing of aspBP3 promoter <400> 4 ataggggatt tgaacccctg agggattgct cccaacccgc gttccaggcg agcgacatag 60 gccgctagtc gaatcctcca gctagaacgg ctgcaacgca tggctgcttt gttctgggga 120 ttagattaca caaaagtcgt ttagaaactc aaatccgctc gcagttggcg ttttctgggg 180 cggttcagct agagttatgc gaaggatccc gtgcggcgtt tatcttgtga actcccccag 240 ggcaggaatg cagcaagggt cagcgagctc tgacgggtgc gcgggatccc ctaaaacgtg 300 tggtataatg gcttgaggtc actgctcttt ttttgtgccc ttttttggtc cgtctatttt 360 gccaccacat gcggaggtac gcagttatga gttcagtttc gctgcaggat tttgatgcag 420 agcgaattgg tttgttccac gaggacatta agcgcaagtt tgatgagctc aagtcaaaaa 480 atctgaagct ggatcttact cgcggtaagc cttcgtcgga gcagttggat ttcgctgatg 540 agttgttggc gttgcctggt aagggtgatt tcaaggctgc ggatggtact gatgtccgta 600 actatggc 608 <210> 5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race)/RT, 5'-phosphorylation <400> 5 ccaagacctg ctcc 14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race)/F1 <400> 6 tactcgcggt aagccttcg 19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race)/R1 <400> 7 cttgagctca tcaaacttgc 20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race)/F2 <400> 8 gatttcgctg atgagttgtt g 21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race)/R2 <400> 9 gcttaatgtc ctcgtggaac 20 <210> 10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F <400> 10 ccggggatcc tctagaatag gggatttgaa cccctgag 38 <210> 11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R <400> 11 gcaggtcgac tctagagcca tagttacgga catcag 36 <210> 12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1R <400> 12 agccactata ctagacgttt taggggatcc c 31 <210> 13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1F <400> 13 tctagtatag tggcttgagg tcactgctc 29 <210> 14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2R <400> 14 agccactata ccacacgttt taggggatcc c 31 <210> 15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2F <400> 15 tgtggtatag tggcttgagg tcactgctc 29 <210> 16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3R <400> 16 agccattata ccacacgttt taggggatcc c 31 <210> 17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P3F <400> 17 tgtggtataa tggcttgagg tcactgctc 29 <210> 18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mut1 <400> 18 cccctaaaac gtgtg 15 <210> 19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aspB/mut2 <400> 19 ccctaaaacg tctagt 16

Claims (13)

  1. 서열번호 2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 서열번호 3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 및 서열번호 4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분자는 추가로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란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핵산 분자.
  3. 제1항의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도 2, 3 및 4에 나타낸 pDZ-aspBP1, pDZ-aspBP2 및 pDZ-aspBP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열지도를 가지는 것인 벡터.
  5. 제3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형질전환체.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는 수탁번호 KCCM11061P인 형질전환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는 수탁번호 KCCM11062P인 형질전환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는 수탁번호 KCCM11063P인 형질전환체.
  10. 제5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 서열번호 3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 및 서열번호 4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가 염색체 내에 상동 재조합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체.
  11. 제5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 서열번호 3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 및 서열번호 4의 1 내지 386번째 핵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개량된 프로모터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를 플라스미드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체.
  12.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신의 생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하는 단계에서 생성되는 라이신을 회수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이신의 생산 방법.
KR1020100020140A 2010-03-05 2010-03-05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Active KR10122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40A KR101226384B1 (ko) 2010-03-05 2010-03-05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PCT/KR2011/000012 WO2011108808A2 (en) 2010-03-05 2011-01-03 Enhanced promo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JP2011014476A JP5465194B2 (ja) 2010-03-05 2011-01-26 改良されたプローモー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l−リシンの生産方法
CN2011100392076A CN102191247B (zh) 2010-03-05 2011-02-15 增强的启动子以及使用该启动子产生l-赖氨酸的方法
EP11001256.4A EP2371947B1 (en) 2010-03-05 2011-02-16 Enhanced promo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e the same
US13/037,790 US8329434B2 (en) 2010-03-05 2011-03-01 Enhanced promo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BRPI1103675-3A BRPI1103675A2 (pt) 2010-03-05 2011-03-09 promotor acentuado e mÉtodo para produzir l-lisina com o uso do me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40A KR101226384B1 (ko) 2010-03-05 2010-03-05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010A KR20110101010A (ko) 2011-09-15
KR101226384B1 true KR101226384B1 (ko) 2013-01-25

Family

ID=4430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40A Active KR101226384B1 (ko) 2010-03-05 2010-03-05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29434B2 (ko)
EP (1) EP2371947B1 (ko)
JP (1) JP5465194B2 (ko)
KR (1) KR101226384B1 (ko)
CN (1) CN102191247B (ko)
BR (1) BRPI1103675A2 (ko)
WO (1) WO20111088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53B1 (ko) 2011-12-01 2013-12-02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미노산 및 리보플라빈을 동시에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 및 리보플라빈을 생산하는 방법
KR101500073B1 (ko) * 2013-04-23 2015-03-06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르기닌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의 생산 방법
KR101632642B1 (ko) * 2015-01-29 2016-06-2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신규한 프로모터 및 그의 용도
CN110283823B (zh) 2016-08-31 2023-05-12 Cj第一制糖株式会社 新型启动子及其应用
US11242545B2 (en) 2016-09-01 2022-02-08 Ningxia Eppen Biotech Co., Ltd Corynebacterium for producing L-lysine by fermentation
CN106318964B (zh) * 2016-09-01 2017-07-18 宁夏伊品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棒杆菌发酵生产l‑赖氨酸的方法及其启动子改造
CN108866028B (zh) * 2017-05-09 2020-04-10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氨基裂解酶突变体蛋白及其编码基因与应用
WO2020051420A1 (en) * 2018-09-07 2020-03-12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Engineered strains of corynebacteria
CN110951662B (zh) * 2019-12-26 2024-03-12 新疆梅花氨基酸有限责任公司 一种高产赖氨酸的棒状细菌及其构建方法与应用
CN112980867B (zh) * 2021-03-09 2023-04-1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改造谷氨酸棒杆菌启动子的重组菌株及其构建方法与产l-氨基酸的应用
EP4332229A4 (en) * 2021-04-29 2024-11-27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RYNEBACTERIUM GLUTAMICUM VARIANT WITH IMPROVED L-LYSINE PRODUCTION CAP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THEREOF
CN115449519B (zh) * 2021-06-08 2023-04-07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基于dapB基因的具有启动子活性的多核苷酸及其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5133A1 (en) 2007-02-02 2009-08-27 Evonik Degussa Gmbh Production of l-lysine and l-lysine-containing feed additiv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64665B (en) * 1995-06-07 1997-01-07 Ajinomoto Kk Method of producing l-lysine
KR0159812B1 (ko) 1995-12-20 1998-11-16 손경식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 씨에이치 77 및 이 균주를 이용한 l-라이신의 제조 방법
JP4075087B2 (ja) 1996-12-05 2008-04-16 味の素株式会社 L−リジンの製造法
HU225541B1 (en) 1998-09-25 2007-03-28 Ajinomoto Kk Process for producing l-amino acids by fermentation and amino acid-producing bacterium strains
US20020086371A1 (en) 1999-07-07 2002-07-04 Degussa-Huls Aktiengesellschaft L-lysine-producing corynebacteria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lysine
KR100397322B1 (ko) 2000-12-30 2003-09-06 씨제이 주식회사 엘-라이신의 제조방법
KR100653742B1 (ko) * 2004-12-30 2006-12-05 씨제이 주식회사 신규한 l-라이신-유도성 프로모터
JP5756259B2 (ja) * 2006-09-15 2015-07-29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イション L−リジン生産能の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およびそれを用いたl−リジン生産方法
KR100789274B1 (ko) * 2007-01-15 2008-01-02 씨제이 주식회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 유래한 신규한 프로모터핵산 분자, 그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그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및 그 숙주 세포를이용하여 유전자를 발현하는 방법
KR100930203B1 (ko) * 2008-01-28 2009-12-07 씨제이제일제당 (주)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KR100987281B1 (ko) * 2008-01-31 2010-10-12 씨제이제일제당 (주)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5133A1 (en) 2007-02-02 2009-08-27 Evonik Degussa Gmbh Production of l-lysine and l-lysine-containing feed additiv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GenBank Accession No. BA000036.3 (2009.04.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1947B1 (en) 2014-07-16
JP5465194B2 (ja) 2014-04-09
EP2371947A1 (en) 2011-10-05
CN102191247A (zh) 2011-09-21
WO2011108808A3 (en) 2011-11-24
BRPI1103675A2 (pt) 2012-07-31
KR20110101010A (ko) 2011-09-15
CN102191247B (zh) 2013-04-24
US8329434B2 (en) 2012-12-11
WO2011108808A2 (en) 2011-09-09
US20110217741A1 (en) 2011-09-08
JP2011182779A (ja)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203B1 (ko)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KR101226384B1 (ko)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KR100987281B1 (ko)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KR101483395B1 (ko) L-라이신 생산능을 갖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JP5756259B2 (ja) L−リジン生産能の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およびそれを用いたl−リジン生産方法
KR100789274B1 (ko)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 유래한 신규한 프로모터핵산 분자, 그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그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및 그 숙주 세포를이용하여 유전자를 발현하는 방법
KR100816472B1 (ko) 글루타메이트 에이비씨-타입 트랜스포터 활성이 결실된코리네박테리아 및 이를 이용한 엘-라이신 생산방법
BRPI1103675B1 (pt) Molécula de ácido nucléico contendo atividade promotora, vetor, transformante e método para produzir lisina que compreende cultivo do transform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9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