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031B1 - Plant factory system - Google Patents
Plant factory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6031B1 KR101226031B1 KR1020110077300A KR20110077300A KR101226031B1 KR 101226031 B1 KR101226031 B1 KR 101226031B1 KR 1020110077300 A KR1020110077300 A KR 1020110077300A KR 20110077300 A KR20110077300 A KR 20110077300A KR 101226031 B1 KR101226031 B1 KR 1012260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late
- plant factory
- temperature
- factory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7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5—Special apparatus therefor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공장 시스템은,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는 셀부의 측면을 구성하는 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는 플라스틱 시트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외측의 외부판 및 내측의 내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의 사이에는 공기가 순환된다.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shell portion constituting a side surface of a cell portion formed of a polygonal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herein the outer skin portio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lastic sheets. It is provided with the outer board | plate of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board which are arrange | positioned, and air is circulated between the said outer board and inner bo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공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factory system.
식물공장은 폐쇄공간 내에서 식물생장 환경조건을 인공적으로 조성하고 식물의 생장속도를 제어하여 식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의미한다. 식물공장과 관련하여, Joseph W. Campbell 등이 1978년 미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4,068,405호에서“자동식물생산(automatic food plant production)”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들은 연속형 컨베이어벨트에 트레이형 식물경작지를 구성하고 인공광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켄베이어가 이동하도록 하였다. 또한, 양액을 중앙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양액공급망을 설치하고, 실내에는 식물생장을 위해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였다.Plant factory means a plant that can produce a large amount of plants by artificially cre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plant growth in a closed space and controlling the growth rate of plants. In relation to plant plants, Joseph W. Campbell et al. Proposed the concept of "automatic food plant production" in US Patent Publication No. 4,068,405 in 1978. They built tray-type plant cultivation on a continuous conveyor belt, installed artificial light, and periodically moved the conveyor.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network was installed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centrally,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controlled for plant growth indoors.
이러한 발명은 식물공장의 대량생산기술을 제안했다는 면에서 기술적으로 중요한 발전이었다. 그러나, 환경구축시 환경조절의 정밀도가 낮고, 냉난방 비용이 높으며, 인공광원의 설치 및 운영비가 높아 실용화가 매우 저조하였다.This invention was a technically important development in that it proposed a mass production technology of a plant factory. However, due to the low precision of environmental control, high heating and cooling costs, and high installation and operating cos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the commercialization was very low.
최근에는, 인공광원으로써 종래의 형광등에 비하여 효율이 우수한 LED를 활용한 식물공장과 관련한 발명이 보고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10426호(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색소식물공장 및 그 장치)에서는 색소식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 생산효율을 높이고 단시간에 재배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폐쇄형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식물공장으로써 원적외색광 730nm, 적색광 660nm, 및 청색광 450nm의 엘이디 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배양액의 자외선 살균장치와 오존 살균장치가 구성되며, 용존산소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배양액의 용존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재배형식은 엔에프티(NFT, Nutrient Film Technique) 및 분무식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한다.In recent years, an invention related to a plant factory using LED having excellent efficiency 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as an artificial light source has been report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10426 (Dye plant with LED light source and its device) in the cultivation of pigment plants in the closed space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in a short space and to be grown in a short time ( LED, Light Emitting Diode) As a plant factory, LED lamps with far infrared light 730 nm, red light 660 nm, and blue light 450 nm are used as light sources. In addition, an ultraviolet sterilizer and an ozone sterilizer of the culture medium were configured, and the dissolved oxygen supply device was used to supply the dissolved oxygen of the culture solution. Cultivation uses NFT (Nutrient Film Technique) and spray hydroponic systems.
또한, 식물공장 내 공간점유를 최소화하여 식물재배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해 복수의 엘이디 모듈을 투광패널에 삽입하고, 슬림한(slim) 패널형태로 제작하는 식물재배용 조명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3164호에서 보고된 바 있다. 이는 조명장치의 공간을 줄이고, 구성이 간단한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많은 기술들이 주로 LED를 사용하고, 광원을 다양화하여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분야로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들은 고가의 LED를 많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설비용이 높은 구조라고 볼 수 있다. 폐쇄형 식물공장은 기존의 밀폐형 철근콘크리트나 철골구조의 건물 속에 태양광 없이 인공광만으로 식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건물에 대한 환경조절이 쉬운 반면에, 시설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으며, 인공광원만을 사용하는 빌딩형 식물공장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space for plant cultivation by minimizing the space occupancy in the plant factory, a plant cultivation lighting apparatus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LED modules into the floodlight panel, and manufacturing in a slim panel form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It was reported in 10-2011-0013164. This reduces the space of the lighting device, and features a simple configuration. In recent years, many technologies are mainly focused on LEDs and diversifying light sources to promote plant growth. However, these technologies can be viewed as a high cost structure because the installation of a lot of expensive LED. The closed plant factory is a method that induces the growth of plants with only artificial light without sunlight in the existing closed reinforced concrete or steel structured building, so it is easy to control the environment of the building,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expensive facility cost. It is developing into a building plant factory using
태양광 병용형은 기존의 유리온실과 식물공장의 기술적 개념을 융합한 것으로 인공조명과 태양광을 동시에 사용하는 조명을 갖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기존의 유리온실은 투명한 유리로 외피를 구성하기 때문에 태양광 투과율이 약 90%를 나타낸다. 유리온실의 단점으로는 단열성이 우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실내 냉난방 에너지 비용이 높으며, 실내 환경변수인 광원,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심한 단점이 있다. 또한, 다층화가 어렵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장점으로는 낮에는 주로 태양광을 사용하고 인공조명을 보조로 사용하며, 밤에는 인공광만을 사용함으로써, 광원설치 비용을 줄일수 있다. 기존의 태양광병용형은 단층형 건물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겨울철에는 난방비가 높고 여름철에는 냉방비가 높아 에너지 비용이 높은 구조적 문제점들이 있었다. The solar combined type is a fusion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existing glass greenhouse and the plant factory, and ha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lighting using artificial lighting and sunlight at the same time. Conventional glass greenhouses are made of transparent glass, so the solar transmittance is about 90%. The disadvantages of glass greenhouses are that they do not have good thermal insulation, so they have high indoor and heating energy costs in summer or wint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space efficient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multilayer. The advantage is that daylight mainly uses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ing as a supplement, and at night only artificial light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light source. Conventional solar photovoltaic panels are mostly single-story buildings, and thus the space is not effectively utilized, and heating costs are high in winter and cooling costs are high in summer, resulting in high energy cost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외피구조와 차별화할 수 있도록 판유리를 단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이중구조를 갖는 대형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으로 대체하고, 그 사이에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외피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식물공장의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식물공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the plate glass with a large polycarbonate plate having a double structure, which is a kind of high thermal insulation plastic, to distinguish it from the existing shell structure,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betwee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factory system for effectively controlling the indoor temperature of a plant factory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kin by introducing air.
또한, 본 발명은 채광성이 우수한 다층의 태양광 병용형 건축구조, 열에너지 손실이 적은 외피구조, 재배 셀 단위의 스마트 조명, 재배 셀의 경작지 자동이송, 식물단위별 양액공급 및 관리체계로 구성된 고효율 태양광 병용형의 식물공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efficiency consisting of a multi-layered solar combined building structure with excellent light efficiency, low heat energy loss shell structure, smart lighting of cultivation cell unit, automatic transfer of arable land of cultivation cell, nutrient solution supply and management system per plant uni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factory system of a solar combined use type.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는 셀부의 측면을 구성하는 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는 플라스틱 시트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외측의 외부판 및 내측의 내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의 사이에는 공기가 순환된다.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외부판 및 내부판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 공조시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순환시키면, 실내 및 실외로 열에너지의 유입 및 유출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게 되어 냉난방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pla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는 셀부의 측면을 구성하는 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는 유리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외측의 외부판 및 내측의 내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는 공기가 순환된다.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the plant plant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외부판 및 내부판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 공조시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순환시키면, 실내 및 실외로 열에너지의 유입 및 유출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게 되어 냉난방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pla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by arranging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formed of plastic shee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circulate the air flowing from the air conditioning facility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the heat energy to the indoor and outdo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of oil inlet and reduce the heating and cooling costs.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은 상기 셀부의 측면에 격자모양으로 부착된다.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외피부재를 셀부의 측면에 격자모양으로 부착시켜 셀부를 구성하는 외피부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shell member can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ell portion in a lattice shape to further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outer skin portion constituting the cell portion.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외피부의 외면을 따라 상기 외피부의 하단으로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외부판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수단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및 상기 외피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흘러내리는 물을 받는 물받이를 더 포함한다.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claim 4 is the plant plant system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외피부재 표면에 물을 직접 접촉시켜 가열된 외피부재로부터 열을 직접 빼앗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물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열(흡열)이 외피부재로부터 열을 빼앗을 수 있다. 또한, 외피부의 상단에서 물을 공급할 때 물이 가이드 아래쪽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물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흐르지 않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pla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heat of evapor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rectly evaporating water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shell member as well as directly taking heat from the heated outer shell member by directly contacting water on the outer shell member surface. (Heat absorption) can take heat away from the shell member. In addition, since water is guided under the guid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skin, water does not flow to either side.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외부판은 상기 내부판보다 투과성이 크고, 상기 내부판은 상기 외부판보다 단열성이 크다.The plant factory system which is an invention of Claim 5 is a plant factory system which is an invention of Claim 1 WHEREIN: The said outer board is larger in permeability than the said inner board, and the said inner board is larger in heat insulation than the said outer board.
따라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판은 투과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태양광의 유입을 최대화하고, 내부판은 투과성은 떨어지나 단열성능을 최대화하여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the outer plate maximizes the inflow of sunlight by us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permeability, and the inner plate is inferior in permeability but maximizes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o maximiz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은 스페이서에 의하여 확보된다.In 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claim 6, in 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스페이서에 의하여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 간격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gap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can be stably secured by the spacer, so that air can flow.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는 가이드 격막을 더 구비한다.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claim 7 is the plant plant system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가이드 격막을 구비하여 외부판 및 내부판의 면적을 각각 구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the area of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can be distinguished by providing a guide diaphragm.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부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제1 공기구멍, 제2 공기구멍을 가지는 제1 공기관; 및 상기 외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부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제3 공기구멍, 제4 공기구멍을 가지는 제2 공기관;을 포함한다.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is 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제1 공기관 및 제2 공기관을 통하여 외피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외피부 내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 the outer skin through the first air pipe and the second air pipe, so that the temperature in the outer skin can be properly maintained.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8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 및 상기 내부판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 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을 때 상기 유량을 변화시켜 상기 공기의 온도를 제어한다.A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외피부의 온도가 목표치(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으면 유량계의 공기유량을 증가시켜 외피부의 온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3 공기구멍에 상기 소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냉각 공기는 상기 제4 공기구멍을 통해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를 흘러, 상기 제2 공기구멍을 거쳐 상기 제1 공기구멍 통해 상기 외피부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공기구멍에 상기 소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가열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가열 공기는 상기 제2 공기구멍을 통해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를 흘러, 상기 제4 공기구멍을 거쳐 상기 제3 공기구멍 통해 상기 외피부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외피부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콤프레셔를 더 포함한다.The plant factory syste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1 is the plant plant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따라서,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콤프레셔를 통하여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외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which concerns on Claim 11, since the pressure of air can be adjusted through a compressor, it can supply the air whos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the outer skin.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판 및 상기 내부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셀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을 더 포함한다.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is the plant plant system according to
따라서,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식물공장 시스템에 의하면, 팬을 통하여 셀부 내부의 공기를 신속히 셀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factory system which concerns on Claim 12, the air inside a cell part can be discharged | emitted to the exterior of a cell part quickly through a fan.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외피구조와 차별화할 수 있도록 판유리를 단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이중구조를 갖는 대형의 폴리카보네이트 판으로 대체하고, 그 사이에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외피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식물공장의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glass is replaced with a large polycarbonate plate having a double structure, which is a kind of high heat insulating plastic, to distinguish it from the existing skin structure, and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introducing a temperature-controlled air therebetween.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plant factory can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셀부 내부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단위 셀부 당 작물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ultivate crops in the cell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crop yield per unit cell portion as space is efficiently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공장 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부가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부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부의 내부판 측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부의 외부판 측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셀부의 상면을 기하학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식부가 배치된 작물 재배 단위 의 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명부의 밑면을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식 라인 군의 이동된 작물 재식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a의 제3 사분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a의 작물 재식부의 밑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식부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식부 하부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ll unit conn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outer sk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inner plate side of the outer shel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outer plate side of the outer shel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geometrically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of the cell unit of FIG. 2.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ll unit of a crop cultivation unit having a crop pla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9A to 9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moved crop planting of the planting line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quadrant of FIG. 9A.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nderside of the crop planting part of FIG. 9A.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rop pla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crop pla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공장 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물공장 시스템은, 건물부(10), 외피부(115), 셀부(100), 조명부(200), 작물 재식부(300), 양액 공급부(40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lant facto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lant factory system includes a
건물부(10)는 셀부(10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건물부(10)는, 수평으로 연결하는 경우 셀부(100)의 일측면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수직으로 연결하는 경우 셀부(100)의 상하면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된다.The
외피부(115)는 셀부(100)의 측면을 구성한다. 외피부(115)는 PMMA(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투명성과 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복수의 외피부재(115)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피부재(115)를 셀부(100) 측면에 격자모양으로 부착하여 외피부(115)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외피부재(115)를 셀부(100)의 측면에 격자모양으로 부착시켜 셀부(100)를 구성하는 외피부(115)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부재(115)로 플라스틱 시트가 사용되었으나, 플라스틱 시트 이외에도 유리가 외피부재(115)로 사용될 수 있다.The
셀부(100)는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된다. 셀부(100)의 상면 및 하면은 육각형 형상이고, 셀부(100)는 육각기둥형상이다.The
조명부(200)는 셀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광을 조사하고, 조명램프(221)로 구현될 수 있다. 셀부(100)의 중앙에는 주지지대가 배치되어 있는데, 조명부(200)는, 주지지대에 끼워져 회전하고 주지지대에 의해 그 중심이 지지되고, 작물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램프(221)를 갖는 회전체를 포함한다.The
작물 재식부(300)는 셀부(100)의 내부 공간에 2층 이상으로 배치되고, 작물이 심어져 재배되고, 조명부(200)로부터의 광이 조사된다. 작물 재식부(300)는, 선형의 직사각형 형태의 단위 재식 라인들이 평행하게 배열된 재식 라인 군을 포함하고, 작물 재식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양액 공급부(400)는 셀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작물 재식부(300)에 구비된 양액흐름통로(340)에 양액을 공급한다. 양액 공급부(40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1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또한, 조명부(200)의 회전 동작 및 광 조사 동작과, 양액 공급부(400)의 양액 공급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mea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the light irradiation operation of the
한편, 상술한 조명부(200) 대신에, 작물 재식부(300)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작물의 위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 또는 작물 재식부(300)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작물에 광을 조사하고 광을 조사하지 않으면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작물의 위 부분을 자르는 조명부(200), 회전하면서 작물의 생육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센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부(200)는 작물 재식부(300)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작물에 광을 조사하는 기능과, 광의 조사 없이 회전하면서 작물의 위 부분을 자르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조명램프(221)는 조명부(200)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작물에 필요한 일정한 광량에 따라서 광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점등하고, 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등된다. 조명램프(221)의 점등 또는 소등은 스위치나 광량센서(센서의 일종)를 이용한 자동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above-described
이하, 건물부(10), 외피부(115), 셀부(100), 조명부(200), 작물 재식부(300), 양액 공급부(400)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14를 통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부가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부(115)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부의 내부판 측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부의 외부판 측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ll unit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또한, 도 5는 도 2의 셀부의 상면을 기하학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셀부(100)는 다면체 형상이고, 육각기둥형상이다. 셀부(100)는 복수 개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셀부(100) 복수 개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은, 셀부(100)의 일측면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셀부(100) 복수 개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은, 셀부(100)의 상하면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된다.5 is a plan view geometrically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of the cell unit of FIG. 2. Referring to FIG. 2, the
태양광을 직접 받는 셀부(100)는 일사량이 높지만,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나머지 셀부(100)는 태양광을 직접 받는 작물 재배 단위의 셀부 (100)에 비하여 일사량이 낮다. 이는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명부(200)로 보완할 수 있다.The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셀부(100)는 주지지대(110), 다수 개의 수직부재(120), 다수 개의 수평부재(130), 다수 개의 보(140)를 포함한다.2 and 5, the
주지지대(110)는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셀부(100)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부(100)의 상면이 정육각형 형상인 경우, 셀부(100)가 수평으로 연결되어 이루는 형태는, 중앙의 정육각형의 각 변에 6개의 정육각형이 맞닿아 연결된 형태이고, 셀부(100)의 주지지대(110)를 연결하면 또 하나의 정육각형 형상이 형성된다.The
다수 개의 수직부재(120)는 주지지대(1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수직부재 (120)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평면 상에서 주지지대 (110)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다.The plurality of
다수 개의 수평부재(130)는 서로 인접한 수직부재(120)의 상단 사이 및 하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수평부재(130)는 동일한 평면 상에서 주지지대(110)의 중앙으로부터 그 양단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다.The plurality of
다수 개의 보(140)는 주지지대(110)의 상단과 수직부재(120)의 상단, 및 주지지대(110)의 하단과 수직부재(120)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보(140)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수평부재(130)와 이루는 각도는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부(100)의 상면이 정육각형 형상인 경우, 동일한 평면 상에서 수평부재(130)와 이루는 각도는 60도이고, 주지지대(110)를 중심으로 보(140)끼리 이루는 각도도 60도이다.The plurality of
또한, 이와 같은 셀부(100)는 중앙에 배치된 주지지대(110)를 중심으로 건식기반의 보(140)로 각각의 허니컴형 구조요소로 결합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화를 이룬다. 다층으로 이루어진 셀부(100)는 프리캐스트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PCaPC) 구조형식으로 이루어져 경량화 및 품질 균일화, 시공기간 단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중앙에 주지지대 (110)를 배치함으로써 주지지대(110) 및 보(140)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건축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상술한 셀부(100)는 최소한의 구조요소인, 주지지대(110), 다수 개의 수직부재(120), 다수 개의 수평부재(130), 다수 개의 보(140)를 갖는 구조체로서, 인접한 셀부(100)와 연결된 고리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체는 단순한 입방체 구조를 갖는 종래의 구조체와는 차이점을 갖는데, 낮시간 동안에는 태양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태양광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여 셀부(100) 내부의 일사량을 높게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농촌의 경우에는 셀부(100)를 높게 설치하고, 도시의 경우에는 셀(100)부를 넓게 설치한다.The
또한, 주지지대(110), 수평부재(130), 보(140)로 둘러싸인 평면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데, 보(140)는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가하여 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셀부(100)에 긴장력이 가해져 일체화된 구조체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e surrounded by the
한편, 셀부(100)의 측면을 구성하는 외피부(115)는, 서로 인접한 수직부재(120)와 수평부재(130)가 이루는 평면, 수직부재(120)의 상단을 잇는 다각형이 이루는 평면, 및 수직부재(120)의 하단을 잇는 다각형이 이루는 평면에 구비된다. 수직부재(120)의 상단을 잇는 다각형의 형상, 및 수직부재(120)의 하단을 잇는 다각형의 형상은, 주지지대(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형상과 동일하며, 정육각형 형상일 수 있다. 외피부재(115)는 광이 잘 통과되는 다중의 플라스틱 시트(또는 유리)로 형성되고, 플라스틱 시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외피부재(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이중 창호(또는 더블 스킨(double skin))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외피부재(115)에 공기(155)를 순환시켜 셀부(100)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작물의 성장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외피부(115)는 PMMA(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투명성과 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복수의 외피부재(115)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외피부재(115) 사이에 공조시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순환시키면, 실내 및 실외로 열에너지의 유입 및 유출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게 되어 냉난방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외피부재(115)는 복수의 유리(예를 들어, 이중의 유리)일 수 있다. 이때, 외부와 면하는 유리는 투과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태양광의 유입을 최대화하고, 내부와 면하는 유리는 투과성은 떨어지나 단열성능을 최대화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유리가 이중의 유리일 경우, 이중의 유리 중에서, 외부와 면하는 유리는 내부와 면하는 유리보다 투과성이 크고, 내부와 면하는 유리는 외부와 면하는 유리보다 단열성이 크다. 또한, 외피부재(115)는 계절별로 온열환경의 차이를 이용하여 셀부(100) 내의 온도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즉, 작물에 바람을 직접적으로 가하게 되면 건조한 환경으로 인하여 작물 성장의 장애요소가 되는데, 이중 창호(115a, 115b)로 이러한 장애요소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중 구조의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외피 속에 공기를 순환시켜 식물공장 실내의 열에너지의 유출 및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동절기에는 실내로 유입된 공기나 폐열을 외피 사이로 순환시키면 외부로 유출되는 열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하절기에는 공조설비를 통해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를 같은 방식으로 순환시켜 외부로부터 플라스틱 외피를 통한 열전달을 감소시킴으로써 실내의 냉방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이중구조의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외피 사이에 공조시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순환시키면 실내외로의 열에너지 유출입을 적절히 통제하게되어 식물공장내의 냉난방비용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외피부재(115)를 통하여 자연채광이 가능하며, 자연채광으로 부족한 광은 조명램프(221)(형광등 또는 LED)로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다.Natural light is possible through such an
외피부(115)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여 외피부(115)의 외면을 따라 외피부(115)의 하단으로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판(도 4a의 115b 참조)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물공급수단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117), 및 외피부(115)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이드(117)에 의해 가이드되어 흘러내리는 물을 받는 물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는 여름철에 과열된 외피부 (115)를 물로 냉각시킬 때 외피부(115)를 타고 흐른 물의 회수를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중구조를 갖는 외피부재(115)의 바깥 부분에 하절기에 물을 흘려줌으로써 외피부재(115)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절기에 외피부재(115) 표면에 물을 직접 접촉시켜 가열된 외피부재(115)로부터 열을 직접 빼앗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부재(115)의 표면으로부터 물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열(흡열)이 외피부재(115)로부터 열을 빼앗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17)가 아래쪽으로 뻗어있으므로 외피부(115)의 상단에서 물이 공급될 때 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가이드(117) 아래쪽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물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흐르지 않게 된다.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end of the
도 4a에서 외피부(115)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외피부(115)는 플라스틱 시트(또는 유리)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외측의 외부판(115b) 및 내측의 내부판(115a)을 구비하고, 외부판(115b)과 내부판(115a) 사이에는 공기가 순환된다. 외부판(115b)과 내부판(115a)은 셀부의 측면에 격자모양으로 부착된다. 상술한 이중 창호는 외부판(115a)과 내부판(115b)을 의미한다.The
또한, 투과성 및 단열성과 관련하여, 외부판(115b)은 내부판(115a)보다 투과성이 크고, 내부판(115b)은 외부판(115a)보다 단열성이 크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permeability and thermal insulation, the
또한, 외부판(115a)과 내부판(115b) 사이의 소정 간격은 스페이서(116a)에 의하여 확보된다. 스페이서(116a)에 의하여 외부판(115b)과 내부판(115a) 사이에 간격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또한, 외부판(115a)과 내부판(115b)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판(115a)과 내부판(115b)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는 가이드 격막(116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격막(116b)을 구비하여 외부판(115a) 및 내부판(115b)의 면적을 각각 구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또한, 외피부(115)는 외피부(115)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피부(115)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제1 공기구멍(보이지 않음), 제2 공기구멍(116l)을 가지는 제1 공기관(116c), 및 외피부(115)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및 상측에 배치되고 외피부(115)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제3 공기구멍(보이지 않음), 제4 공기구멍(116m)을 가지는 제2 공기관(116d)을 포함한다. 온도센서(116h)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3 공기구멍에 소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 공기를 유입시키고, 냉각 공기는 제4 공기구멍(116m)을 통해 외부판(116a)과 내부판(116b) 사이를 흘러, 제2 공기구멍(116l)을 거쳐 제1 공기구멍 통해 외피부(115)의 외부로 배출되고, 온도센서(116h)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1 공기구멍에 소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가열 공기를 유입시키고, 가열 공기는 제2 공기구멍을 통해 외부판(116a)과 내부판(116b) 사이를 흘러, 제4 공기구멍(116m)을 거쳐 제3 공기구멍 통해 외피부(115)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소정 온도는 후술하는 설정 기준값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외피부(115)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공기관(116c)은 제1 밸브(116e)에 연결되고, 제2 공기관(116d)는 제2 밸브(116f)에 연결된다. 제1 밸브(116e) 및 제2 밸브(116f)는 후술하는 온도센서(116h)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제1 밸브(116e) 및 제2 밸브(116f)의 조절에 의해 제1 공기관(116c) 및 제2 공기관(116d)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공기관(116c) 및 제2 공기관(116d)을 통하여 외피부(115) 내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외피부(115) 내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외피부(115)는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116g), 내부판(115b)에 배치되고 외부판(115a)과 내부판(115b) 사이에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 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을 때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켜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센서(116h), 유량계(116g)에 연결되고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콤프레셔(compressor, 116k), 외부판(115a) 및 내부판(115b)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셀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116j)을 더 포함한다. 팬(116j)의 설치위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팬(116j)을 통하여 셀부 내부의 공기를 신속히 셀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준값은 특정한 온도값이 될 수 있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외피부(115)는 식물공장의 실내온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공기순환형 외피구조를 기초로 한다. 겨울철에는 식물공장 내부보다 외부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외피부(115)를 통해 내부의 열이 급격히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는 식물공장 내부보다 외부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외피부(115)를 통해 외부의 열이 실내로 전달되기 쉽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열의 출입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온도가 낮을 때(예를 들어, 겨울철)는 제1 공기관(116c)을 통해 더운 공기가 외부판(115b)과 내부판(115a) 사이로 유입된다. 이들은 제2 공기관(116d)을 통해 흐르며 다시 상부에 설치된 제2 공기관(116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판(116a)과 내부판(116b) 사이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며 실외로의 열전달은 느려진다. 제1 공기관(116c) 및 제2 공기관(116d)은 유입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외부판(116a)과 내부판(116b) 사이에서 흐르게 한다. 외부의 온도가 높을 때(예를 들어, 여름철)는 제2 공기관(116d)을 통해 찬 공기가 외부판(115b)과 내부판(115a) 사이로 유입된다. 이들은 제2 공기관(116d)을 통해 흐르며 다시 하부에 설치된 제1 공기관(116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판(115b)과 내부판(115a) 사이의 공기온도가 감소되어 실내로의 열전달이 감소된다. 외부판(115b)과 내부판(115a) 사이로의 공기의 유출입은 내부판(115a)에 설치된 온도센서(116h)에 의해 통제된다. 즉, 외피부(115)의 온도가 목표치(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으면 유량계(116i)의 공기유량을 증가시켜 외피부(115)의 온도를 적절히 제어한다. 유량계(116g)에는 콤프레셔(116i)가 연결되어 공기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데, 콤프레셔(116i)는 냉난방기(116k)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외피부에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온도 제어에 의해 외부판(116a)과 내부판(116b) 사이에 흐르는 공기는 외피부(115)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셀부의 내부로 회수되어 제1 공기관(116c) 또는 제2 공기관(116d)에 유입되도록 재활용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식물공장 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외피부의 열전달을 조절하기 위한 외피구조에 관한 것로써, 열전달이 느린 이중구조의 플라스틱판(예로, 폴리카보네이트) 사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형 이중 외피구조를 갖는다. 기존의 판유리에 비해 면적을 대형화하기 유리하며, 기존의 금속제 프레임(frame)의 예로써 알루미늄의 면적을 감소시켜 열전달을 감소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또한, 외부판(115a)과 내부판(115b) 사이에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순환시켜 외부판(115a)과 내부판(115b) 및 공기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열전달을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겨울철에 계측온도(순환하는 공기 및 내부판(115b)의 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온도센서(116h)를 통해 더운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여름철에 계측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찬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켜, 공기 및 외부판(115a) 및 내부판(115b)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열전달을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식물공장 내의 실내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는 식물생장에 필요한 적정 수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 비용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shell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heat transfer of the outer shell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plant factory, the air circulation type double circulating air between the plastic plate (eg polycarbonate) of a slow heat transfer It has an outer shell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to enlarge the area compared to the existing plate glass, and there is a side effect of reducing the heat transfer by reducing the area of aluminum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etal frame (fram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betwe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식부가 배치된 작물 재배 단위의 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부(100)의 내부에는 다층구조의 작물 재식부(300)를 갖는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부(100)의 내부에는 중앙에 주지지대(110)가 있고, 주지지대(110)를 기준으로 아래로부터 작물 재식부(300), 조명부(200), 작물 재식부(300), 조명부(200)가 각각 배치된다. 도 6의 경우는 작물 재식부(300)가 2층으로 구성된 경우인데, 2층으로 구성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설계방법을 달리하여 3층 이상으로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ll unit of a crop cultivation unit having a crop pla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셀부(100)의 중앙에는 주지지대(110)가 배치되어 있고, 조명부(200)는 주지지대(110)에 끼워져 회전하고 주지지대(110)에 의해 그 중심이 지지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the
회전체는, 주지지대(110)에 끼워진 회전 프레임(210)과, 회전 프레임(2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탈착 가능한 회전날개(220)를 가진다. 회전날개(220)는 3개로 구성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rotating body has a
또한,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명부(200)의 설치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조명램프(22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점멸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작물에 필요한 일정한 광량에 따라서 광이 필요할 때에는 광이 조사되게 하고, 작물에 광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광이 조사되지 않게 함으로써, 광 조사에 의한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rotating body, it is possible to lower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또한, 회전체는 회전속도가 조절되어 작물에 광이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면, 조명부(200)의 점멸시간도 조절되며, 조명부(200)에 구비되는 조명램프(221)의 개수 조절로 광강도 및 광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speed is controlle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crop.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body is adjusted, the blinking time of the
또한, 회전체의 크기와 조명램프(221)의 개수도 조명조건의 변수가 된다. 회전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회전체의 구동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명비용을 조명시설비용과 조명운용비용으로 나누어 최적화하면 조명비용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number of the
또한, 회전체의 작물 재식부(300)와의 거리도 조절 가능하다. 이때, 회전체는 주지지대(110)를 축으로 하여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체가 위로 이동하면 작물 재식부(300)와의 거리는 길어지고, 회전체가 아래로 이동하면 작물 재식부(300)와의 거리는 짧아진다.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the
회전 프레임(210)은 회전체의 중앙이며, 중공형태를 갖는다. 회전 프레임(210)은 회전시에도 주지지대(110)에 끼워진 채로 회전한다.The
또한, 회전날개(220)의 위에는 조명램프(221)에서 발생한 열을 회전날개(220)의 외부로 순환시키는 팬(2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팬(230)의 설치로 인하여, 조명램프(221)로 인한 열을 방출시키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a
또한, 회전날개(220)는 회전 프레임(210)의 반대측의 단이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한편, 조명부(200)는 원격제어수단을 통하여 회전 동작 및 광 조사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물재배자가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수단을 통하여 누름버튼을 온 동작시켜 조명부(200)가 회전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작물재배자가 조명부(200)를 일일이 동작시키지 않고도 원격으로 제어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물재배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추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부(200) 대신에, 작물 재식부(300)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작물의 위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 또는 작물 재식부(300)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작물에 광을 조사하고 광을 조사하지 않으면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작물의 위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명부(200) 대신에 절단수단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광 조사와 관련한 구성요소는 포함되지 않는다.As illustrated in FIG. 1, instead of the
상술한 조명부(200) 또는 절단수단은 상술한 회전날개(220)의 구조를 달리하여 회전 프레임(210)에 삽입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절단수단으로 인하여 작물의 위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도 8은 도 7의 조명부의 밑면을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지지대(110)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회전날개(220)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되고, 회전날개(220)에는 작물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램프(221)와, 조명램프(221)에 장착되어 조명램프(221)에서 발광된 광을 작물이 있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Referring to FIG. 8, a motor is installed in the
조명램프(221)는 형광등으로 또는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형광등 및 LED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LED로 구성되는 경우, 파란색 LED와 빨간색 LED를 조합하여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작물 생장의 필수적인 광을 조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LED, by combining the blue LED and the red LED in various configurations, it is possible to irradiate the essential light of the crop growth.
형광등과 LED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경우, 점멸시 수명이 급속히 감소하며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는 형광등만을 사용하는 경우나,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LED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luorescent lamp and the LED,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using only a fluorescent lamp that is rapidly reduced in life and increase the use of electricity when flashing, or using only expensive LED installation.
반사판은 조명램프(221)에서 조사되는 광을 작물이 위치한 곳으로 모아준다. The reflector collect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즉, 반사판은 태양의 고도와 이동에 따른 태양광의 입사각을 60도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해 광유기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광유기 반사판은 건물부(10) 내로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That is, the reflective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light-organic reflector in order to ensure the incident angle of the sunlight according to the altitude and movement of the sun to 60 degrees or more. The mineral organic reflector may effectively introduce sunlight into the
이로 인하여, 작물에 더욱 많은 광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반사판은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 스텐레스,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more light can be efficiently distributed to the crop. The reflect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reflectance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plastic.
회전날개(220)에는 회전날개(220)가 회전할 때 작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작물 생장에 적합한 온도, 습도 및 광량 등을 감지하는 센서(222)(도 7 참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와 센서(222)는 1개의 회전날개(220)에만 설치되어도 되며, 회전날개(220)가 회전할 때 작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므로, 작물 재배자는 카메라와 센서(222)를 통하여 작물이 성장하는 과정이나 작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카메라와 센서(222)를 설치함으로써, 작물 재배자는 작물의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The
한편, 조명부(200)의 회전 동작 및 광 조사 동작은 원격제어수단으로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operation and the light irradiation operation of the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식 라인 군의 이동된 작물 재식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a의 제3 사분면의 확대 사시도이다.9A to 9B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ved crop planting unit of the planting line grou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quadrant of FIG. 9A.
작물 재식부(300)는, 선형의 직사각형 형태의 단위 재식 라인들(line, l)이 평행하게 배열된 재식 라인 군을 포함하고, 제1 사분면(310a) 내지 제4 사분면으로 구분한다. 즉, 작물 재식부(300)는 모듈화가 가능하다. 재식 라인 군은 제1 사분면(310a) 내지 제4 사분면에 하나씩 배치되고, 단위 재식 라인들(l) 사이의 간격은 조절 가능하다.The
작물 재식부(300)는, 단위 재식 라인(l)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단위 재식 라인(l)을 관통하고 그 일단은 가이드 장치(320a, 320b)에 형성된 홈(groove, g)에 삽입된 반원형태의 가이드 봉(350)이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 장치(320a, 320b)가 이동하면 재식 라인 군이 가이드 장치(320a, 320b)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작물 재식부(300)에는 작물을 심을 수 있는 용기(c, 도 13에 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홈(g)이 형성된다. 홈(g)은 동일한 간격으로 단위 재식 라인(l)을 따라 배치된다.The
작물 재식부(300)는 정사각형 형태이고,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작물 재식부(300)의 외측에는 단위 재식 라인(l)과 길이방향이 동일한 가이드 장치(320a, 320b)가 배치된다. 재식 라인 군의 양측에는 롤러형 벨트 (330)(도 11 참조)가 배치된다.The
재식 라인 군은 작물 재식부(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310a) 내지 제4 사분면 중에서 인접한 사분면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사분면(310a)에 배치된 재식 라인 군은 가이드 장치(320a, 320b)에 의해 제4 사분면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3 사분면에 배치된 재식 라인 군은 가이드 장치(320a, 320b)에 의해 제2 사분면(310b)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2 사분면(310b)에 배치된 재식 라인 군은 롤러형 벨트(330)에 의해 제1 사분면(310a)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4 사분면에 배치된 재식 라인 군은 롤러형 벨트(330)에 의해 제3 사분면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각 사분면에 배치된 재식 라인 군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각각 (1) 원위치, (2) 시계 방향으로 1번 이동한 위치를 보이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 3a에서 시계 방향으로 4번 이동한 위치는 원위치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식 라인 군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하였으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anting line group may move to the adjacent quadrants among the
이와 같은 재식 라인 군의 이동으로 인하여, 작물 재배자가 일일이 이동하지 않고 작물을 재배할 수 있고, 한 곳의 작업장소에서 육묘작업 및 수거작업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재식 라인 군은 최소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재식 라인 군에 따라 광의 조절을 따로 할 필요가 없다.Due to the movement of the planting line group, crop growers can grow the crops without moving one by one, and can carry out seedling work and collection work in one place. In addition, since the planting line group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minimum distanc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adjust the light according to each planting line group.
도 11은 도 9a의 작물 재식부의 밑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작물 재식부(300)에는 일측방향으로 중앙을 기준으로 양액배수부(360a, 360b) 2개가 서로 대칭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대칭된 양액배수부(360a, 360b)의 경사면은 V자형이며, 경사면의 최하부에 양액이 모이게 된다. 최하부에 모인 양액은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양액회수라인을 통하여 양액탱크(410a, 410b)로 보내어진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nderside of the crop planting part of FIG. 9A. FIG. Referring to FIG. 11, two crop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양액 공급부(400)는, 양액탱크(410a, 410b, 도 9a 및 도 9b 참조), 배관(420), 제1 양액공급노즐(430), 제2 양액공급노즐을 포함한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00 includes a
양액탱크(410a, 410b)는 양액을 저장하고, 배관(420)은 양액탱크(410a, 410b)에 연결되어 양액이 통과한다. 제1 양액공급노즐(430)과 제2 양액공급노즐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형태로 양액흐름통로(340)에 탈부착 가능하다. 제1 양액공급노즐(430)은 배관(420)과 양액흐름통로(340) 사이에 연결되어 배관(420)을 통과하는 양액을 양액흐름통로(340)로 공급한다. 식물에게 공급된 양액이 홈(g)의 아래부분으로 배출되어 양액이 모아지는데, 이때 모아진 양액이 양액회수통로(370) 중앙부에배치된 홀을 통하여 양액배수부(360a, 360b, 도 11 참조)로 배출된다. 제1 양액공급노즐 (430)과 제2 양액공급노즐을 작물 재식부(300)와 분리하게 되면, 도 9a 내지 도 9b에서와 같이 작물 재식부(300)가 인접한 사분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양액흐름통로(340)는 단위 재식 라인(l) 내부 상부에 형성되고, 단위 재식 라인(l) 내부 작물을 심을 수 있는 용기(c)에 설치된 스펀지로 양액을 공급한다. 양액이 공급되는 스펀지는 양액흐름통로(340)보다 아래로 위치되어 있어 높이 차이로 인한 경사를 이용하여 양액을 자중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nutrient
한편, 양액 공급부(400)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펌프는 제2 양액공급노즐로부터 배출되어 상술한 도 11에 도시된 경사면의 최하부에 모인 양액을 펌핑하여 양액회수탱크로 보낸다.On the other h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pump, the pump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 pumps the nutrient solution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shown in Figure 11 and sent to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tank.
한편, 양액 공급부(400)는 원격제어수단을 통하여 양액공급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물 재배자가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수단을 통하여 동작시켜 양액 공급부(400)의 양액탱크(410a, 410b)로부터 제1 양액공급노즐을 통하여 양액흐름통로(340)로 양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작물 재배자가 양액 공급부(400)를 일일이 동작시키지 않고도 원격으로 제어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물재배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추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00 may enable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operation through a remote control means. That is, the crop grower may be operated through a remote control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supplied to the nutrient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식부 하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작물 재식부(300)의 재식 라인 군에 형성된 홈(g)을 통하여, 스펀지(m)에 심어진 작물이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액흐름통로(340)는 단위 재식 라인(l) 내부 윗쪽에 형성되고, 단위 재식 라인(l) 내부 작물을 심을 수 있는 용기(c)에 설치된 스펀지(m)로 양액을 공급한다. 홈(g)에 삽입된 용기(c)의 내벽에는 스펀지가 구비되어 공급된 양액을 효과적으로 빨아들여 공급받을 수 있고, 스펀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스펀지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탈착 가능하다. 이때, 양액흐름통로(340)는 스펀지의 높이 차이로 인한 경사를 이용하여 양액을 자중으로 공급한다. 13 and 14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crop pla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it can be seen that the crops planted in the sponge m may be located through the grooves g formed in the planting line group of the
이와 같이, 작물의 뿌리에 위치한 스펀지(m)에 양액을 흘려주므로, 양액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양액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작물에 공급되는 양액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양액공급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nutrient solution is poured into the sponge (m) located at the root of the crop, unnecessary nutrient solution may not be supplied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rop, and reducing the nutrient supply cost. This can be reduced to a minimum.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 건물부
100 : 셀부
110 : 주지지대
115 : 외피부
115a: 내부판
115b: 외부판
116a : 스페이서
116b: 가이드 격막
116c : 제1 공기관
116d : 제2 공기관
116e : 제1 밸브
116f : 제2 밸브
116g : 유량계
116h : 온도센서
116i : 콤프레셔
116j : 팬
116k : 냉난방기
117 : 가이드
155 : 공기
120 : 수직부재
130 : 수평부재
140 : 보
200 : 조명부
210 : 회전 프레임
220 : 회전날개
221 : 조명램프
222 : 센서
230 : 팬
300 : 작물 재식부
310a : 제1 사분면
310b : 제2 사분면
320a, 320b : 가이드 장치
330 : 롤러형 벨트
340 : 양액흐름통로
350 : 가이드 봉
360a, 360b : 양액배수부
370 : 양액회수통로
400 : 양액 공급부
410a, 410b : 양액탱크
420 : 배관
430 : 제1 양액공급노즐10: building part
100: cell part
110: Governor Zone
115: outer skin
115a: inner plate
115b: outer plate
116a: spacer
116b: guide diaphragm
116c: first air pipe
116d: second air pipe
116e: first valve
116f: second valve
116g: flow meter
116h: Temperature sensor
116i: Compressor
116j: fan
116k: Air conditioner
117 Guide
155: air
120: vertical member
130: horizontal member
140: Bo
200: lighting unit
210: rotating frame
220: rotating blade
221: lighting lamp
222: sensor
230: fan
300: crop planting
310a: first quadrant
310b: second quadrant
320a, 320b: guide device
330: Roller type belt
340: nutrient solution flow passage
350: guide rod
360a, 360b: Nutrient Drainage
370: nutrient return passage
400: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10a, 410b: nutrient solution tank
420: piping
430: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
Claims (12)
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는 플라스틱 시트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외측의 외부판 및 내측의 내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의 사이에는 공기가 순환되는,
식물 공장 시스템.Outer skin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ell portion consisting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lygonal shape and the side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cluding,
The outer shell portion includes an outer outer plate and an inner inner plate formed by arranging plastic shee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ir is circulated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Plant factory system.
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는 유리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외측의 외부판 및 내측의 내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의 사이에는 공기가 순환되는,
식물 공장 시스템.Outer skin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ell portion consisting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lygonal shape and the side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cluding,
The outer shell portion has an outer outer plate and an inner inner plate formed by arranging the glas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ir is circulated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은 상기 셀부의 측면에 격자모양으로 부착된,
식물 공장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ell in a grid shape,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외피부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외피부의 외면을 따라 상기 외피부의 하단으로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외부판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수단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및
상기 외피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흘러내리는 물을 받는 물받이
를 더 포함하는, 식물 공장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an upper end of the outer skin part to allow water to flow down the lower end of the outer skin par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kin part;
A guide disposed outside the outer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ater supply means downward; And
The drip tray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hell and receives water flowing down by the guide.
Further comprising, a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외부판은상기 내부판보다 투과성이 크고, 상기 내부판은 상기 외부판보다 단열성이 큰,
식물공장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plate has a greater permeability than the inner plate, and the inner plate has a higher thermal insulation than the outer plate,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은 스페이서에 의하여 확보되는,
식물공장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is secured by a spacer,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는 가이드 격막을 더 구비하는,
식물공장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nd a guide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to divide a space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외피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부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제1 공기구멍, 제2 공기구멍을 가지는 제1 공기관; 및
상기 외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부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제3 공기구멍, 제4 공기구멍을 가지는 제2 공기관;을 포함하는,
식물공장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air pipe disposed below the outer skin and having a first air hole and a second air hole o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part, respectively; And
And a second air pipe disposed above the outer skin part and having a third air hole and a fourth air hole o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part, respectively.
Plant factory system.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 및
상기 내부판에 배치된 온도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 기준값보다 높거나 낮을 때 상기 유량을 변화시켜 상기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식물공장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And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the inner plate;
Further comprising: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ir by changing the flow rate when higher or low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3 공기구멍에 상기 소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냉각 공기는 상기 제4 공기구멍을 통해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를 흘러, 상기 제2 공기구멍을 거쳐 상기 제1 공기구멍 통해 상기 외피부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공기구멍에 상기 소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가열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가열 공기는 상기 제2 공기구멍을 통해 상기 외부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를 흘러, 상기 제4 공기구멍을 거쳐 상기 제3 공기구멍 통해 상기 외피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식물공장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oling air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hole, and the cooling air is supplied to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ortion through the fourth air hole. Flows between the plate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hole to the outside of the shell por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eating air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hole, and the heating air is supplied to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ortion through the second air hole. Flows between the plat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ell through the third air hole,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유량계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콤프레셔를 더 포함하는,
식물공장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It is connected to the flow meter, and further comprising a compressor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air,
Plant factory system.
상기 외부판 및 상기 내부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셀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을 더 포함하는,
식물공장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installed through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fan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cell portion to the outside,
Plant factory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7300A KR101226031B1 (en) | 2011-08-03 | 2011-08-03 | Plant factory system |
PCT/KR2012/005823 WO2013012289A2 (en) | 2011-07-20 | 2012-07-20 | Plant factor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7300A KR101226031B1 (en) | 2011-08-03 | 2011-08-03 | Plant factory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6031B1 true KR101226031B1 (en) | 2013-01-24 |
Family
ID=4784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73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6031B1 (en) | 2011-07-20 | 2011-08-03 | Plant factory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603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616396C2 (en) * | 2015-09-24 | 2017-04-14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аборатория "Строй-Энерго" | Complex for the production of plant products |
KR20170138397A (en) * | 2015-04-15 | 2017-12-15 |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 Cultivation system and method |
KR20190086062A (en) | 2018-01-11 | 2019-07-22 | 농업회사법인에코그로잉주식회사 | plant factory with the sunlight generation |
KR20210107206A (en) | 2020-02-21 | 2021-09-01 | 에코트주식회사 | Method for cultivating barley sprout with high saponarin content in plant factor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56033A (en) * | 1992-03-11 | 1993-10-05 | Umezawa Sekkei:Kk | Collective housing with farm on roof |
JPH0686436U (en) * | 1992-10-30 | 1994-12-20 | 農林水産省東北農業試験場長 | Tube type house with environmental control mechanism |
JPH0724038Y2 (en) * | 1988-03-28 | 1995-06-05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Plant cultivation room |
KR20090033778A (en) * | 2007-10-01 | 2009-04-06 | 윤기선 | Energy saving house |
-
2011
- 2011-08-03 KR KR1020110077300A patent/KR1012260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4038Y2 (en) * | 1988-03-28 | 1995-06-05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Plant cultivation room |
JPH05256033A (en) * | 1992-03-11 | 1993-10-05 | Umezawa Sekkei:Kk | Collective housing with farm on roof |
JPH0686436U (en) * | 1992-10-30 | 1994-12-20 | 農林水産省東北農業試験場長 | Tube type house with environmental control mechanism |
KR20090033778A (en) * | 2007-10-01 | 2009-04-06 | 윤기선 | Energy saving hous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8397A (en) * | 2015-04-15 | 2017-12-15 |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 Cultivation system and method |
KR102597941B1 (en) | 2015-04-15 | 2023-11-02 |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 Cultivation systems and methods |
RU2616396C2 (en) * | 2015-09-24 | 2017-04-14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аборатория "Строй-Энерго" | Complex for the production of plant products |
KR20190086062A (en) | 2018-01-11 | 2019-07-22 | 농업회사법인에코그로잉주식회사 | plant factory with the sunlight generation |
KR20210107206A (en) | 2020-02-21 | 2021-09-01 | 에코트주식회사 | Method for cultivating barley sprout with high saponarin content in plant facto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415072A1 (en) | Agricultural sunlight transmission lighting system, supporting greenhouse and lighting method | |
AU200930404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a plant in an at least partly conditioned environment | |
JP2013535959A (en) | Solar energy module for greenhouse | |
KR101272532B1 (en) | Plant factory system | |
CA2882972A1 (en) | Vertically integrated industrial scale multilevel closed ecosystem greenhouse | |
KR101226031B1 (en) | Plant factory system | |
KR102613080B1 (en) | Vertical multi-layered plant cultivation system utilizing natural light and maintaining the optimum atmosphere for growth through the year | |
EP1071317B1 (en) | Greenhouse | |
KR101136032B1 (en) | Plant factory system | |
KR101538219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261965B1 (en) | Plant Factory System | |
KR102657513B1 (en) | A light beam system for supplementing the light source in the greenhouse | |
KR101293944B1 (en) | Plant factory system | |
KR101411647B1 (en) | plant factory for cultivating plants | |
KR101578808B1 (en) | Energy Supply System for Multi-Story Plant factory | |
EP4179870B1 (en) | Agricultural photovoltaic structure with controlled cooling | |
WO2021256147A1 (en) | Cultivation facility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 |
WO2023172120A1 (en) | Vertical hydroponic system with climate control for horticultural production | |
KR20120059754A (en) | Apparatus for plant-cultivation which can use the inner and outer light source, and generate electricity | |
KR102649588B1 (en) | Method for providing uniform light environment in natural light hybrid-type multi-layered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 |
KR200498054Y1 (en) | Module Scalable Smart Farm System with Multiple Container | |
SU1454313A1 (en) | Hothouse-heat exchanger | |
WO2013012289A2 (en) | Plant factory system | |
KR20250105535A (en) | Smart eco-friendly hydroponic system | |
KR20250027689A (en) | Solar Cells for Smart Fa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