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5742B1 -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742B1
KR101225742B1 KR1020090073220A KR20090073220A KR101225742B1 KR 101225742 B1 KR101225742 B1 KR 101225742B1 KR 1020090073220 A KR1020090073220 A KR 1020090073220A KR 20090073220 A KR20090073220 A KR 20090073220A KR 101225742 B1 KR101225742 B1 KR 10122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bearing members
bearing
ball joint
joint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813A (ko
Inventor
권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09007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742B1/ko
Priority to US12/581,315 priority patent/US20110033227A1/en
Priority to EP09174935.8A priority patent/EP2284408B1/en
Publication of KR2011001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742B1/ko
Priority to US13/894,509 priority patent/US20130247380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45/14491Injecting material between coaxial articles, e.g. between a core and an outside sleeve for making a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4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of the joint being open on two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3/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 F16C23/043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with spherical surfaces, e.g. spherical plain bearings
    • F16C23/045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with spherical surfaces, e.g. spherical plain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e.g. radial spherical plain bearings
    • F16C23/046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with spherical surfaces, e.g. spherical plain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e.g. radial spherical plain bearings with split out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4Bearings
    • B29L2031/045Bush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F16C11/0671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allowing operative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flexing of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43Rotary bearing
    • Y10T29/49647Plain bearing
    • Y10T29/49648Self-adjusting or self-aligning, including ball and socket type, bearing and component making
    • Y10T29/49657Socket making
    • Y10T29/49659Socket making by molding or ca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37Universal ball and socket including liner, shim, or discret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중공형 축 상에 구형부를 형성하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 스터드의 구형부와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과, 상기 베어링부재들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감싸는 아웃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베어링부재들이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재가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들 사이에서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몰딩부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몰딩부에 의해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베어링부재들이 일체로서 제작될 수 있다.
필로우 볼 조인트, 아웃터, 케이스, 베어링, 인서트 몰딩

Description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암 또는 아암 연결부의 상대품에 연결 장착되는 필로우(pillow)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해 주는 서스펜션에서는 아암류나 링크 등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무 부시 또는 볼 조인트 어셈블리를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고무 부시는 인너 튜브와 아웃터 튜브 사이에 방진 고무를 개재시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서스펜션에서 어퍼 아암(upper arm)과 로워 아암(lower arm), 그리고 로워 아암과 측부 아암의 결합 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볼 조인트 어셈블리로서, 필로우(pillow) 볼 조인트 어셈블리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도 3에서와 같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중앙부가 구형으로 형성된 중공의 볼 스터드(110)와, 볼 스터드(110)의 구형 외표면에 구름 가능하게 밀착되는 베어링(120)과, 베어링(120)을 감싸며 장착되는 아웃터 케이스(130)와, 아웃터 케이스(130)의 내경면에 장착되는 스틸 소재의 시트(140)와, 아웃터 케이스(130)의 양측에 끼워져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1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볼 스터드(110)의 구형 외표면과 베어링(20) 간에 구름 운동이 일어나게 되는 바, 볼 스터드(110)가 축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베어링(120)이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볼 스터드(110)의 외표면이 베어링(120)의 내경면에 대하여 구름 마찰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아웃터 케이스(130)의 내부로 베어링(120)이 압입되고, 시트(140)가 베어링(120)의 일측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아웃터 케이스(130)의 내측면으로 압입되는 코오킹 공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기존의 고무 부시에 비해 부품 수가 많고,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제작원가 측면에서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제작 원가가 고무 부시에 비해 비싸기 때문에, 고급 차종에는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를 주로 채용하고, 소형 차종에는 고무 부시를 주로 채용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의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코오킹 공정을 통하여 제작되므로, 볼 스터드(110)의 외표면이 베어링(120)의 내경면에 대하여 구름 마찰을 할 때, 베어링(120)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볼 스터 드(110)의 구름 회전 시 베어링(120)이 요동을 하거나 볼 스터드(110)와 함께 회전될 염려가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는 전체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성능이 저하되고, 베어링(120)이 파손되고 아웃터 케이스(130)가 손상되는 등의 폐단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체 어셈블리의 제작 공정을 개선하여 제작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면서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ⅰ)중공형 축 상에 구형부를 형성하는 볼 스터드와, ⅱ)상기 볼 스터드의 구형부와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과, ⅲ)상기 베어링부재들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시트부재와, ⅳ)상기 시트부재를 감싸는 아웃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 상기 시트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들이 일체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들은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들 사이에서 인서트 몰딩된 몰딩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들은 상기 몰딩부를 통해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널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링부재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들에 대응하는 홈들을 내주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은 상기 구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공형 축의 양측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은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가장자리단에 상호 대응하는 결합홈과 결합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시트부재를 인서트 몰딩 성형함에 따라 아웃터 케이스와 베어링부재들을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전체 어셈블리의 제작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고, 단품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작 원가 및 중량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구성 및 제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서스펜션에 적용된다.
이러한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는 서스펜션의 어퍼 아암(upper arm)과 로워 아암(lower arm), 그리고 로워 아암과 측부 아암의 결합 부분에 장착되며, 이들 부 품과 차체를 상호 연결하는 필로우 볼 조인트(pillow ball joint)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는 전체 제작 공정을 축소할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작 원가와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는 기본적으로, 볼 스터드(10)와, 베어링부재(30)와, 시트부재(50)와, 아웃터 케이스(70)와, 더스트 커버(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이들 구성 요소들 중 아웃터 케이스(70), 시트부재(50), 및 베어링부재(30)가 일체로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2를 기본으로 하면서 도 1a 내지 도 1d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의 제작 과정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 요소들 및 이들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볼 스터드(10)는 마운트 볼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차체에 연결되는 회전축으로서, 도 1a에서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 축(11)과, 그 중공형 축(11) 상에 일체로서 형성된 구형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형부(13)는 중공형 축(11)의 중앙 부분에 구형으로 볼록한 볼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공형 축(11)에 대하여 그 축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특성, 및 축의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특성을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부재(30)는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중공형 축(11)의 원주 방향 회전 및 상하 방향 유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한 쌍으로서 이루어지며, 구형부(13)의 외표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한 쌍의 베어링부재(30)는 볼 스터드(10)의 구형부(13)를 사이에 두고 중공형 축(11)의 양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 끼워지며, 그 구형부(13)의 외표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각각의 베어링부재(3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개방된 환형을 취하며, 구형부(13)의 외표면에 구름 접촉 가능한 구면(31)을 내표면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베어링부재(30)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들(33)을 형성하는 바, 이 돌기들(33)은 베어링부재(3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재(30)는 구형부(13)의 외표면에 구름 접촉하며 마주하는 가장자리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서로 마주하는 각 베어링부재들(30)의 가장자리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결합홈(35)과 결합 돌기(37)를 형성하고 있다.
즉,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30) 중 어느 하나(도면에서의 좌측)는 그 가장자리단의 외주연에 단차로서의 결합홈(35)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35)에 의해 이루어지는 결합 돌기(37)를 형성한다.
그리고, 베어링부재들(30) 중 나머지 하나(도면에서의 우측)는 그 가장자리단의 내주연에 단차로서의 결합홈(35)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35)에 의해 이루어지 는 결합 돌기(37)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30)은 볼 스터드(10)의 구형부(13)를 사이에 두고, 중공형 축(11)의 양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 끼워지며,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단의 결합홈(35)에 결합 돌기(37)가 결합되면서 구형부(13)의 외표면에 구름 가능하게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부재(50)는 도 1c에서와 같이 베어링부재들(30)의 외표면을 지지하며, 그 베어링부재들(30)을 볼 스터드(10)의 구형부(13) 외표면에 더욱 밀착되게 밀봉하는 베어링 시트로서 구비된다.
이러한 시트부재(50)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성형된다.
즉, 시트부재(50)는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과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 사이에서 이들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을 일체로 지지하는 몰딩부(51)로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은 몰딩부(51)를 통해 일체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몰딩부(51)는 베어링부재들(30)이 볼 스터드(10)의 구형부(13)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 측에 아웃터 케이스(70)가 그 베어링부재들(30)과 별개로 구비된 상태에서,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 성형수지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성형된다.
이러한 몰딩부(51)의 성형 과정은 사출 금형을 통한 공지 기술의 인서트 몰딩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트부재(50)가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과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 사이에서 인서트 몰딩 성형됨에 따라, 그 시트부재(50)의 내주면에는 베어링부재들(30)의 돌기들(33)에 대응하는 다수의 홈들(53)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서 시트부재(50)가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바, 베어링부재들(30)의 돌기들(33)에 의해 시트부재(50)의 내주면에 홈들(53)이 형성되면서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과 시트부재(50)의 내주면을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시트부재(50)의 내주면에 다수의 홈들(53)을 표현하기 위해 편의 상 그 시트부재(50)를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로부터 분리한 것처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구속되지 않고, 시트부재(50)가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서 인서트 몰딩 성형됨에 따라,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이 그 시트부재(50)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아웃터 케이스(70)는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이루며, 시트부재(50)의 외주면을 감싸는 아웃터 파이프로서 구비된다.
아웃터 케이스(70)는 도 1b 및 도 1c에서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를 취하며, 스틸 소재로서 이루어지고, 몰딩부(51)로서 이루어지는 시트부재(50)와 일체로 구성된다.
이 경우, 시트부재(5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에는 빗살 무늬 형태로 널링(knurling) 가공된 널링부(71)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널링부(71)는,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과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 사이에서 시트부재(50)가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바,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과 시트부재(50)의 외주면 간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시트부재(50)의 외주면이 편평한 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구속되지 않고,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과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 사이에서 시트부재(50)가 인서트 몰딩 성형됨에 따라, 그 시트부재(50)의 외주면에 아웃터 케이스(70)의 널링부(71)에 대응하는 형태의 널링부를 형성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더스트 커버(90)는 도 1d에서와 같이 아웃터 케이스(70)의 양측 단부와 볼 스터드(10)의 양측 단부를 커버링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더스트 커버(90)는 아웃터 케이스(7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바, 시트부재(50)의 양측 단부와 볼 스터드(10)의 양측 단부에 스웨이징 방식으로서 압입되며 장착된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아웃터 케이스(70)의 양측 단부와 볼 스터드(10)의 양측 단부를 커버링 하는 더스트 커버(90)를 구비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실링부재를 사용하여 아웃터 케이스(70)의 양측 단부와 볼 스터드(10)의 양측 단부를 실링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의 제작 방법을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a에서와 같이, 중공형 축(11)의 중앙 부분에 구형부(13)가 형성된 볼 스터드(10)를 준비하고, 그 구형부(13)를 사이에 두고 베어링부재(30)를 중공형 축(11)의 양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 끼운다.
이어서, 도 1b에서와 같이, 양쪽의 베어링부재(30)를 구형부(13)의 외표면에 구름 가능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베어링부재들(30)의 결합홈(35)에 결합 돌기(37)를 끼워 이들 베어링부재들(30)을 구형부(13)의 외표면 상에서 결합한다.
다음, 도 1b에서와 같이, 베어링부재들(30)이 결합된 볼 스터드(10)를 인서트 사출 금형(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고, 아웃터 케이스(70)를 베어링부재들(30)과 별개로서 그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 측에 셋팅한다.
즉, 볼 스터드(10)가 아웃터 케이스(70)의 내부에 위치하며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과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게 그 아웃터 케이스(70)를 금형에 셋팅한다.
이어서, 도 1c에서와 같이,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 소정의 인서트 사출 영역을 설정하고, 그 인서트 사출 영역으로 성형수지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의한 몰딩부(51)로서의 시트부재(50)를 성형한다.
이 과정에서, 베어링부재들(30)이 결합홈(35)과 결합 돌기(37)를 통해 구형부(13)의 외표면 상에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사출 영역으로 인서트 사출되는 성형수지가 베어링부재들(30)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들(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부재(50)의 내주면에 그 돌기들(33)에 대응하는 다수의 홈들(53)이 형성되면서 그 베어링부재들(30)과 시트부재(50)는 다수의 돌기들(33)과 홈들(53)에 의해 일체로서 상호 결속된다.
그리고,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에 널링부(7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아웃터 케이스(70)와 시트부재(50)는 널링부(71)에 의해 일체로서 상호 결속된다.
마지막으로, 도 1d에서와 같이, 시트부재(50)의 양측 단부와 볼 스터드(10)의 양측 단부에 스웨이징 방식으로서 더스트 커버(90)를 각각 압입하여 장착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100)는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 몰딩부(51)로서의 시트부재(50)를 인서트 몰딩 성형함에 따라, 그 몰딩부(51)를 통해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을 일체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코오킹 공정을 통해 부품들을 조립하는 종래 기술 과 달리, 베어링부재들(30)을 지지하는 시트로서의 몰딩부(51)를 통해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을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전체 어셈블리의 제작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고, 단품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작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고무 부시 제품 수준의 제작 원가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를 채용하는 고급 차종은 물론 소형 차종에 적용되는 고무 부시를 대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당 업계에서의 경쟁적인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부재들(30)의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들(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 시트부재(50)를 인서트 몰딩 성형함에 따라, 시트부재(50)의 내주면에 그 돌기들(33)에 대응하는 다수의 홈들(53)이 형성되면서 베어링부재들(30)과 시트부재(50)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 케이스(70)의 내주면에 널링부(7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웃터 케이스(70)와 베어링부재들(30) 사이에 시트부재(50)를 인서트 몰딩 성형함에 따라, 아웃터 케이스(70)와 시트부재(50)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부재(50)에 대하여 아웃터 케이스(70)와 시트부재(50)를 견고하게 일체로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시트부재(50) 또는 베어링부재들(30)이 이탈되거나 볼 스터드(10)의 경방향(축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축 의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베어링부재들(3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구성 및 제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볼 스터드 11... 중공형 축
13... 구형부 30... 베어링부재
33... 돌기들 35... 결합홈
37... 결합 돌기 50... 시트부재
51... 몰딩부 53... 홈들
70... 아웃터 케이스 71... 널링부
90... 더스트 커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중공형 축 상에 구형부를 형성하는 볼 스터드;
    상기 볼 스터드의 구형부와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
    상기 베어링부재들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를 감싸는 아웃터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들이 각각 별개로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들 사이에서 인서트 몰딩되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재들을 일체로 구성하는 몰딩부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널링부를 형성하며,
    상기 각 베어링부재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들을 형성하며,
    상기 시트부재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들에 대응하는 홈들을 내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재들은 상기 구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공형 축의 양측에 끼워지며,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가장자리단에 상호 대응하는 결합홈과 결합 돌기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73220A 2009-08-10 2009-08-10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Active KR10122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20A KR101225742B1 (ko) 2009-08-10 2009-08-10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US12/581,315 US20110033227A1 (en) 2009-08-10 2009-10-19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9174935.8A EP2284408B1 (en) 2009-08-10 2009-11-03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3/894,509 US20130247380A1 (en) 2009-08-10 2013-05-15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20A KR101225742B1 (ko) 2009-08-10 2009-08-10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13A KR20110015813A (ko) 2011-02-17
KR101225742B1 true KR101225742B1 (ko) 2013-02-12

Family

ID=4171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20A Active KR101225742B1 (ko) 2009-08-10 2009-08-10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10033227A1 (ko)
EP (1) EP2284408B1 (ko)
KR (1) KR101225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378A (ko) * 2015-12-03 201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
WO2020111795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이를 포함하는 현가 장치, 및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575B4 (de) * 2004-11-23 2010-09-23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und/oder Lageranordnung
EP2278178B1 (en) * 2009-07-14 2013-02-27 Fulvio Orsolini Ball joint for connecting mechanical elements
KR101225742B1 (ko) * 2009-08-10 2013-02-12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KR101312710B1 (ko) * 2010-06-14 2013-10-01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샤시 부품 연결용 단일축 댐핑 조인트
US9958011B2 (en) 2011-04-01 2018-05-01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Bearing assembly having surface protrusions and a seal
US9316257B2 (en) 2011-04-01 2016-04-19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Spherical bearing with sealing member member
KR101293976B1 (ko) * 2011-07-29 201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저마찰 부시
DE102012207527B4 (de) 2012-05-07 2022-12-29 Zf Friedrichshafen Ag Hülsengelenk für ein Fahrzeug
KR101383266B1 (ko) * 2012-06-29 2014-04-10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US9562567B2 (en) 2014-02-07 2017-02-07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Spherical bearing with axially compressed annular seal
US9694637B2 (en) * 2015-02-13 2017-07-04 Douglas H. Powell Flexible joint for a suspension link with a threaded insert
KR102224010B1 (ko) * 2015-11-30 2021-03-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서스펜션용 미끄럼 부시
DE102018103780A1 (de) 2018-02-20 2019-08-22 THK RHYTHM AUTOMOTIVE GmbH Kugelgelenk, insbesondere für Fahrwerksteile eines Kraftfahrzeugs
TWI724387B (zh) 2019-03-19 2021-04-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旋轉球頭及萬向接頭組件
KR102405188B1 (ko) * 2020-09-16 2022-06-07 주식회사 센트랄 크로스 액시스 볼 조인트
KR20230142925A (ko) * 2022-04-04 2023-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321U (ko) * 1985-09-04 1987-04-04
JPH06280851A (ja) * 1993-03-25 1994-10-07 Bridgestone Corp 球面摺動型継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3085A (en) * 1956-01-31 Latzen
FR23138E (fr) * 1919-10-06 1921-10-04 Lorraine Anciens Ets Dietrich Dispositions particulières de roulements et de butées
US3250554A (en) * 1962-01-03 1966-05-10 Gen Motors Corp Plastic bearing means for the interface of a ball and socket joint
US3522976A (en) * 1968-10-08 1970-08-04 Rudolf A Spyra Self-aligning bearing unit
US3578366A (en) * 1969-11-28 1971-05-11 O & S Bearing & Mfg Co Ball joint self-sealing bearing
US3977740A (en) * 1974-11-13 1976-08-31 Borg-Warner Corporation Roller bearing improvement
US4447094A (en) * 1981-07-24 1984-05-08 O & S Manufacturing Company Prelubricated sealed bearings
GB2111589B (en) * 1981-10-23 1985-10-02 Nifco Inc Ball joint
JPS6263414U (ko) * 1985-10-11 1987-04-20
US4875794A (en) * 1987-12-23 1989-10-24 Dana Corporation Preloaded steering ball joint assembly and method
DE3933163A1 (de) * 1988-10-27 1990-05-03 Toyoda Gosei Kk Zylindrische daempfungsbuchse
US5092703A (en) * 1989-03-22 1992-03-03 Yorozu Manufacturing Corporation Bal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609433A (en) * 1995-08-01 1997-03-11 Maclean-Fogg Company Ball joint link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947627A (en) * 1996-02-14 1999-09-07 Chuouhatsu-Jo Kabushiki Kaisha Ball joint assembly having an integrally molded unitary or molded holder for the ball stud and link rod
US6109816A (en) * 1996-09-30 2000-08-29 Bridgestone Corporation Stabilizer link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273406B1 (en) * 1997-06-04 2001-08-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encapsulated bushing
US5915842A (en) * 1997-10-27 1999-06-29 Lord Corporation Elastomeric bearing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JP4052705B2 (ja) * 1998-01-14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液体封入ブッシュ
US6082721A (en) * 1998-03-18 2000-07-04 Kingsley; Richard J. Bushing
US6698963B1 (en) * 2000-10-12 2004-03-02 Illinois Tool Works Inc. Ball and socket joint and method therefor
BR0100428A (pt) * 2001-01-24 2004-06-22 Dana Industrial Ltda Construção de mancal e caixa para articulação esférica
DE10150189A1 (de) * 2001-10-12 2003-04-17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wingungsgedämpfes Gummilager
JP4097118B2 (ja) * 2001-10-29 2008-06-11 武蔵精密工業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
US7195416B2 (en) * 2003-09-18 2007-03-27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Ball-and-socket joint and ball-and-socket bearing shell
US20060171775A1 (en) * 2005-01-31 2006-08-03 Mclaughlin Ronald Articulated torque rod with elastomer retainer
GB2428752B (en) * 2004-10-06 2007-03-14 Minebea Co Ltd A bearing assembly
US7438493B2 (en) * 2005-11-03 2008-10-2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Cross axis ball and socket joint with sealing ring for cross axis sleeve ends
FR2918424B1 (fr) * 2007-07-05 2010-02-26 Skf Aerospace France Ensemble de joint mecanique, notamment ensemble rotulant, ainsi 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nsemble rotulant
EP2465713B1 (en) * 2009-08-10 2016-12-07 Iljin Co. Ltd.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25742B1 (ko) * 2009-08-10 2013-02-12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KR100948816B1 (ko) * 2009-11-04 2010-03-19 주식회사 센트랄 링크텍 인서트 몰딩 형식의 볼조인트
DE102010041306A1 (de) * 2010-09-24 2012-03-2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gelhülsengelenks
US8500333B2 (en) * 2011-05-24 2013-08-06 Siemens Industry, Inc. Self aligning oil film bearing
DE102012207527B4 (de) * 2012-05-07 2022-12-29 Zf Friedrichshafen Ag Hülsengelenk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321U (ko) * 1985-09-04 1987-04-04
JPH06280851A (ja) * 1993-03-25 1994-10-07 Bridgestone Corp 球面摺動型継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378A (ko) * 2015-12-03 201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
KR102261282B1 (ko) * 2015-12-03 2021-06-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필로우 볼 조인트 어셈블리
WO2020111795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이를 포함하는 현가 장치, 및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3227A1 (en) 2011-02-10
EP2284408A1 (en) 2011-02-16
KR20110015813A (ko) 2011-02-17
US20130247380A1 (en) 2013-09-26
EP2284408B1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742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KR101312710B1 (ko) 차량용 샤시 부품 연결용 단일축 댐핑 조인트
CN107530924B (zh) 混合臂及其制造方法
KR101293976B1 (ko) 차량용 저마찰 부시
KR101363089B1 (ko) 차량의 섀시에 배치된 부품들의 관절형 연결을 위한 연결부
CN103052516B (zh) 稳定器连杆及其制造方法
KR101886474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5410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7173B1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779786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632655B1 (ko)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888707B1 (ko)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JP5230390B2 (ja) 防振連結ロッド
KR20130059210A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및 그 조립방법
JP4587249B2 (ja) ばね脚支承部
JP5916574B2 (ja) 車両用ダストカバー組付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22426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KR2012001220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WO2011055713A1 (ja) ブッシュ
KR101002985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조인트
KR20190134489A (ko)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077632B1 (ko) 차량의 콘트롤암
JPS63270913A (ja) ゴムブツシユ付き連結ロツド
KR20100106733A (ko) 부시 일체형 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928B1 (ko) 세미가류 일체형 전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10322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412

Appeal identifier: 2012101001608

Request date: 201202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5

Effective date: 2012041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41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0215

Decision date: 20120412

Appeal identifier: 201210100160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