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661B1 -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5661B1 KR101225661B1 KR1020110128442A KR20110128442A KR101225661B1 KR 101225661 B1 KR101225661 B1 KR 101225661B1 KR 1020110128442 A KR1020110128442 A KR 1020110128442A KR 20110128442 A KR20110128442 A KR 20110128442A KR 101225661 B1 KR101225661 B1 KR 101225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ar key
- concrete
- bottom plate
- precast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4 epoxy coating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e, 도 1f, 도 1g는 종래 바닥판 이음부 들의 예들에 대한 예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의 구성 및 결합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의 연결구성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의 시공 순서도이다.
110,210: 주인장 빔
120,220: 중간판
130,230: 상부바
131,231: 가로바
132,232: 세로바
140,240: 연결슬리브
150,250: 상부콘크리트
160,260: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
300: 연결부재
400: 그라우트재
500: 거더
A,B: 관통홀, C: 연결홀
Claims (11)
- 두께(T)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이사이에 중간판(120)들이 형성된 주인장 빔(110);
상기 주인장 빔(110) 상부에 주인장 빔(110)과 직각으로 교차 형성된 가로바(131)를 포함하는 상부바(130);
상기 주인장 빔(110)과 상부바(130) 측방에 이격되어 이음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인장 빔(110)의 저면과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상면까지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
상기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를 측면 마감판으로 하고 중간판(120)을 하부거푸집으로 하여 상부바(130)가 매립되도록 타설된 상부콘크리트(150);
상기 주인장 빔(110)과 중간판(120) 및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 사이에 형성된 콘크리트 전단키(151); 및
상기 노출된 주인장 빔(110)의 하부와 콘크리트 전단키(151),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는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의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260)와 서로 암수 형태로 접합되어 에폭시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는 스터드 철근으로 콘크리트 전단키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인장 빔(110)은 하부플랜지(111)와 하부플랜지 상면 중앙에 상부로 연장된 복부(112)로 형성된 T형 빔으로서 상기 복부(112)에는 관통홀(A)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130)는 주인장 빔(110)에 직각으로 교차 형성된 가로바(131)를 포함하는 세로바(132)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가로바(131)와 세로바(132)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 제 1항에 있어서,
이음부에 노출되는 가로바(131)의 단부에는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의 가로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그라우팅홀(141)이 형성된 관부재인 연결슬리브(14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홀(141)에는 수직관(142)의 하단이 미리 연결되어 있어 상부콘크리트(150) 타설에 의하여 그라우팅홀(141)이 폐색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수직관(142)은 상부콘크리트(150) 상면과 동일한 상면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수직관(142)을 통해 그라우트재(400)를 충전시키면 연결슬리브(140) 내부에 그라우트재(400)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연결볼트로서 콘크리트 전단키(151)와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에는 관통홀(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B)에 대응하여 수평관(162)이 콘크리트 전단키(151)에 미리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연결부재(300)이 상기 관통홀(B), 수평관(162)를 관통하여 단부가 외부에 노출된 주인장 빔(110)의 복부(112)에 형성된 연결홀(C)를 관통하여 상기 복부(112)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 제 1항의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100)과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200)을 서로 인접하여 세팅하고,
스터드 철근으로 콘크리트 전단키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판들(100,200)의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260)를 에폭시를 이용하여 서로 암수 접합시켜 전단키에 의하여 바닥판들(100,200)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바닥판들(100,200)의 상기 노출된 주인장 빔(110)의 하부와 콘크리트 전단키(151,251),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260)의 하부를 관통하는 연결부재(300)의 양 단부를 상기 주인장 빔(110)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와 콘크리트 전단키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재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의 이음부가 전단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시공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131)는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200)의 가로바(2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그라우팅홀(141)이 형성된 관부재인 연결슬리브(14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200)의 가로바(231)는 상기 연결슬리브(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음부를 경유하여 연장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시공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홀(141)에는 수직관(142)의 하단이 미리 연결되어 있어 상부콘크리트(150) 타설에 의하여 그라우팅홀(141)이 폐색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수직관(142)은 상부콘크리트(150) 상면과 동일한 상면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수직관(142)을 통해 그라우트재(400)를 충전시키면 연결슬리브(140) 내부에 그라우트재(400)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서 다른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200)의 가로바(260)가 연결슬리브(140)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시공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은 연결볼트로서 콘크리트 전단키(151)와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키보강용 강재 플레이트(160)에는 관통홀(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B)에 대응하여 수평관(162)이 콘크리트 전단키(151)에 미리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연결부재(300)이 상기 관통홀(B), 수평관(162)를 관통하여 단부가 외부에 노출된 주인장 빔(110)의 복부(112)에 형성된 연결홀(C)를 관통하여 상기 복부(112)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8442A KR101225661B1 (ko) | 2011-12-02 | 2011-12-02 |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8442A KR101225661B1 (ko) | 2011-12-02 | 2011-12-02 |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5661B1 true KR101225661B1 (ko) | 2013-01-25 |
Family
ID=4784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84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5661B1 (ko) | 2011-12-02 | 2011-12-02 |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5661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9613B1 (ko) * | 2014-04-25 | 2015-01-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스형 연결보를 이용하여 바닥판 이음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연결 방법 |
CN106835948A (zh) * | 2017-03-01 | 2017-06-13 | 华汇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组合梁桥的井式钢板剪力键构造及其施工方法 |
CN109778595A (zh) * | 2017-11-14 | 2019-05-21 | 北京九州一轨隔振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浮置板的剪力铰 |
CN109914226A (zh) * | 2019-02-22 | 2019-06-21 | 华侨大学 | 焊钉与孔板组合的钢混连接件 |
CN111622112A (zh) * | 2020-05-06 | 2020-09-04 | 中交二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 一种钢混组合梁混凝土现浇桥面板无支架施工方法 |
CN112227200A (zh) * | 2020-09-22 | 2021-01-15 | 浙江大学 | 一种无栓钉韧性组合桥面板体系 |
CN113202211A (zh) * | 2021-05-11 | 2021-08-03 | 陕西省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 装配式斜向钢板网片现浇混凝土剪力墙的施工方法 |
KR20210109242A (ko) * | 2020-02-27 | 2021-09-06 | (주)자연과환경 | 프리스트레스 도입의 단차 보정이 가능한 ps슬래브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CN113463495A (zh) * | 2021-07-21 | 2021-10-01 | 台州市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 双主梁纵向单向板的现浇钢混组合梁的施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64910A (en) | 1997-01-27 | 1999-02-02 | Mangone; Ronald W. | Concrete composite weldless grating |
KR100554342B1 (ko) | 2004-11-02 | 2006-03-03 | 오수철 |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
-
2011
- 2011-12-02 KR KR1020110128442A patent/KR10122566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64910A (en) | 1997-01-27 | 1999-02-02 | Mangone; Ronald W. | Concrete composite weldless grating |
KR100554342B1 (ko) | 2004-11-02 | 2006-03-03 | 오수철 |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9613B1 (ko) * | 2014-04-25 | 2015-01-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스형 연결보를 이용하여 바닥판 이음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연결 방법 |
CN106835948A (zh) * | 2017-03-01 | 2017-06-13 | 华汇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组合梁桥的井式钢板剪力键构造及其施工方法 |
CN109778595A (zh) * | 2017-11-14 | 2019-05-21 | 北京九州一轨隔振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浮置板的剪力铰 |
CN109778595B (zh) * | 2017-11-14 | 2023-12-15 | 北京九州一轨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浮置板的剪力铰 |
CN109914226A (zh) * | 2019-02-22 | 2019-06-21 | 华侨大学 | 焊钉与孔板组合的钢混连接件 |
KR20210109242A (ko) * | 2020-02-27 | 2021-09-06 | (주)자연과환경 | 프리스트레스 도입의 단차 보정이 가능한 ps슬래브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2339464B1 (ko) * | 2020-02-27 | 2021-12-15 | (주)자연과환경 | 프리스트레스 도입의 단차 보정이 가능한 ps슬래브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CN111622112A (zh) * | 2020-05-06 | 2020-09-04 | 中交二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 一种钢混组合梁混凝土现浇桥面板无支架施工方法 |
CN112227200A (zh) * | 2020-09-22 | 2021-01-15 | 浙江大学 | 一种无栓钉韧性组合桥面板体系 |
CN113202211A (zh) * | 2021-05-11 | 2021-08-03 | 陕西省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 装配式斜向钢板网片现浇混凝土剪力墙的施工方法 |
CN113463495A (zh) * | 2021-07-21 | 2021-10-01 | 台州市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 双主梁纵向单向板的现浇钢混组合梁的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5661B1 (ko) |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25662B1 (ko) | 조립식 프리캐스트 격자형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
CN111622374B (zh) | 复合结构壁及其构造方法 | |
CN106836479B (zh) | 一种装配式预应力混凝土框架结构 | |
US9518401B2 (en) |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 |
KR101767677B1 (ko) | 스틸 콘크리트 합성기둥구조 | |
CN108729564B (zh) | 装配式建筑体系 | |
CN103388357B (zh) | 耐震、预制的钢管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 |
KR101182536B1 (ko) |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 |
CN202831296U (zh) | 装配式混凝土框架-剪力墙拼装连接结构及建造的结构物 | |
KR101652664B1 (ko) | 프리캐스트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 |
KR100946940B1 (ko) |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 |
KR100830240B1 (ko) | 어댑터를 이용한 경량 합성구조 시스템의 상하층 경량합성벽체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의 복합화방법 | |
JP2011231543A (ja) | 床組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版及びその施工方法、合成床版、及び耐火建築物 | |
KR20090068536A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 |
KR101429430B1 (ko) |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더블 피씨거더 | |
KR100939970B1 (ko) |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 구조 | |
CN108571169B (zh) | 工厂预制钢砼叠合剪力墙装配式建筑施工方法 | |
RU2416007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жесткости для несущих плит перекрытий в зданиях | |
KR101216126B1 (ko) | 축방향 및 종방향 연결철근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178168B1 (ko) |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 |
JP2006316580A (ja) |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 |
KR20200136127A (ko) |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 |
KR102204561B1 (ko) | 투-웨이 로우 피씨 거더를 이용한 초스피드 피씨 구조물 시공방법 | |
JP7665807B2 (ja) | Cltを用いた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