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022B1 - The elecric mobile car for harvesting-carring of a shorter plant in greenhouse - Google Patents
The elecric mobile car for harvesting-carring of a shorter plant in greenho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4022B1 KR101224022B1 KR1020100121419A KR20100121419A KR101224022B1 KR 101224022 B1 KR101224022 B1 KR 101224022B1 KR 1020100121419 A KR1020100121419 A KR 1020100121419A KR 20100121419 A KR20100121419 A KR 20100121419A KR 101224022 B1 KR101224022 B1 KR 1012240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car
- skid
- plant
- main body
- 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전동카에 앉은 채 곰취나 시설 딸기 등 시설 저상작목의 이랑 표층에까지 작업자의 손이 닿아 전동카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수확작업과 수확물 운반 및 수확지점 이동이 용이하도록 전동카의 높이 및 중량을 제한하고 시설 하우스 고랑에 레일을 설치하며, 작업자가 전동카에 앉은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신체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의자를 장착함으로써 좁은 고랑적 특성에 적용가능한 수확물을 이송하는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설 저상작목 재배 이랑 표층에 작업자의 손이 닿을 수 있도록 전동카의 높이를 12cm 이하로 최소화하고, 40rpm 속도, 폭이 좁은 고랑에서 최적의 효용을 고려하여 레일과 레일 간 안쪽에 안착된 이탈방지바퀴, 앉은 상태에서 좌우 신체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회전의자 등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ar with a shifting movement of a plant low-floor crop, and more specifically, the work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plant with a plant or plant strawberry, such as a bear or plant strawberry, while the worker reaches the surface of the plant with the worker sitting on the electric car. Restricting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electric car and installing rails in the furrow of the facility house to facilitate the work, transport of the harvest and movement of the harvesting point, and the swivel chair to allow the operator to move back and forth or adjust the direction of the body from side to side while sitting on the electric car. Equipped with an electric car, the harvest transfer side of the plant low-level crops transports the crops applicable to narrow furrow characteristics.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minimizes the height of the electric car to less than 12cm so that the operator's hands can reach the surface of the plant cultivation of low-level crops, 40rpm speed, in the narrow furrow in consideration of the optimum utility in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The separation prevention wheel seated 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swivel chair that can adjust the left and right body direction in a sitting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전동카에 앉은 채 곰취나 시설 딸기 등 시설 저상작목의 이랑 표층에까지 작업자의 손이 닿아 전동카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수확작업과 수확물 운반 및 수확지점 이동이 용이하도록 전동카의 높이 및 중량을 제한하고 시설 하우스 고랑에 레일을 설치하며, 작업자가 전동카에 앉은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신체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의자를 장착함으로써 좁은 고랑적 특성에 적용가능한 수확물을 이송하는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ar with a shifting movement of a plant low-floor crop, and more specifically, the work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plant with a plant or plant strawberry, such as a bear or plant strawberry, while the worker reaches the surface of the plant with the worker sitting on the electric car. Restricting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electric car and installing rails in the furrow of the facility house to facilitate the work, transport of the harvest and movement of the harvesting point, and the swivel chair to allow the operator to move back and forth or adjust the direction of the body from side to side while sitting on the electric car. By means of a harvesting transfer side of a plant low-level crop, which transports crops applicable to narrow furrow characteristics, relates to an electric car.
보통의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작업은 하우스 내의 덥고 습한 환경 내에서 고랑에 쭈그리고 앉거나 엎드린 자세로 하며, 수확물 운반은 손을 이용해 일일이 들어 나르거나 혹은 간단한 운반 편이 기구를 이용한다. 쭈그리고 앉거나 엎드린 자세로 장시간 덥고 습한 시설하우스 내에서 일하게 될 때 무릎이나 발목, 허리와 같은 관절 부위에 부담을 초래하여 관절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과도한 피로감을 유발해서 질병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총체적인 작업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Common facilities Harvesting of low-rise crops involves squatting in the furrows or lying down in a hot and humid environment in the house, and harvesting is carried out by hand or by simple transporting equipment. When working in a hot and humid facility house for a long time while squatting or lying down, it causes strain on joints such as knees, ankles, and lower back, causing arthritis, and causing excessive fatigue and causing disease. As a result, the overall work efficiency is relatively low.
일반적으로 통상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는 차체와, 상기 차체 하면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륜 및 후륜으로 구성되는 구동륜과, 상기 차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a rail motorized vehicle for general operation includes a vehicle body, an axle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a pair of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xle, and a drive for driving the ax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and an operation unit.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레일 전동카는 하우스 내에 설치된 레일에 설치 구비되며, 작업자가 차체에 탑승한 후 조작부를 통해 전·후진하면서 과수를 관리하거나 수확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rail electric ca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rail installed in the house, and the operator manages or harvests the fruit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operation unit after boarding the vehicle body.
최근에 레일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수확물을 이송하는 수레형 장치가 일부 아주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동형이 아니어서 여전히 작업자의 작업위치 변경이나 수확물 운반에 따른 노동부담이 크며, 쭈그리고 앉거나 엎드린 자세로 일하는 기존의 작업방식을 개선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cently, a wagon-type device that uses rails to transport crops by human personnel has been used in some very limited ways. However, because it is not electric type, it is still a large labor burden due to the change of worker's working position or the transport of harvest, and it is not helpful for improving the existing working method of squatting or lying down.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주행 시의 방향전환 기능 이외에도 운전자의 생명보호를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이 많지만, 조작이 쉽고 방향전환이 원활하며 주행 중에 충돌하는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등의 기본적인 구비요건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steering system has many requirements to protect driver's life in addition to turning function when driving, but it requires basic requirements such as easy operation, smooth turning and not affected by collision obstacles while driving. Shall be.
한편, 종래의 다른 전동카는 좌우의 전륜이 하나의 차축으로 연결되고 조향축을 매개로 핸들과 연결되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축을 중심으로 전륜의 차축을 회전시켜서 차의 방향을 전환하는 피벗 방식인데, 이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conventional electric car is a pivot method that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are connected to one axle and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via the steering shaft to rotate the front axle around the steering shaft by the steering wheel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car. This raises the following usage problems.
첫째, 운전자에게 용이한 조종을 제공하지 못한다. 보통 농작물의 작물은 손놀림이 섬세한 여성이거나 또는 시골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대부분 노인들에 의해 작목되고 있고, 생산품목의 특성상 주행 바닥 면이 울퉁불퉁한 비포장의 작업장 바닥이어서 비교적 육체적인 힘이 적은 여성이나 노인에게는 주행 시 방향전환을 위한 핸들의 조작이 무척이나 힘겹고, 또한 양손을 모두 핸들의 조종에 사용하여도 핸들조작이 수월하지 못하여 차체의 선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수확한 과수를 적재하였을 경우엔 적재하중에 의한 전륜과 주행 바닥 면의 마찰을 비롯한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방향전환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First, it does not provide the driver with easy control. Usually crops are women who are sensitive to hand movements or are mostly cultivated by the elderly due to the aging of the rural population.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steering wheel to change direction during driving, and even if both hands are used for steering, the steering wheel is not easy to turn and the body is not smoothly turned. In this cas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friction between the front wheels and the driving floor surface due to the load, increases until the change of direction is almost impossible.
둘째, 장애물에 대한 저항력이 적다. 주행 중에 각종 장애물과 충돌 시에 바퀴의 진로가 방해를 받게 되는데, 한쪽 바퀴가 우묵한 곳에 빠지거나 불룩한 곳에 올라서면 상대편 바퀴는 전진을 서두르게 되고 조향축의 갑작스러운 선회를 유발하게 되어 안정된 직진이 불가능하게 된다.Second, they are less resistant to obstacles. The wheels' paths will be disturbed when they collide with various obstacles while driving.If one wheel falls into a hollow or climbs into a bulge, the other wheel will rush forward and cause a sudden turn of the steering shaft, making it impossible to go straight. do.
셋째, 핸들이 차체에 고정적으로 결합 되어 있다. 작업용 전동카는 작업의 특성상 승강장치를 구비하고 운전자는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판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종래의 전동카는 승강판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핸들이 차체에 대해 고정적인 고도를 유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자세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불안정한 운전자세를 유발시킨다.
Third, the steering wheel is fixed to the body. The work car is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driver performs the work on the lifting plate to move up and down.In the conventional electric car, the steering wheel maintains a fixed altitude with respect to the body despite the rising of the lifting plate. It will tip forward, causing unstable driver post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곰취, 시설 딸기와 같은 저상작목 재배 이랑의 표층상부토양까지 손이 닿아 전동카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수확작업과 수확물 운반 및 수확지점 이동이 가능하고 좁은 고랑적 특성에 적용가능한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reach the top surface soil of cultivation of low-rise crops such as bear odor, facility strawberry, harvesting and harvest transport and harvesting point movement while the worker is sitting in the electric car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for the harvesting movement of the plant low-level crops applicable to narrow furrow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 저상작목의 이랑 표층까지 손이 닿을 수 있도록 전동카의 높이를 12cm 이하, 총 중량을 30kg 이하로 구성하여 여성작업자의 관리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지원하는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rvest the plant low-level crops to support the management and transport of female workers by configuring the height of the electric car to less than 12cm, the total weight of 30kg or less to reach the ridge surface of the plant low-level crops The mobile side provides the electric ca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을 따라 전동 이동하다가 수확 적정 지점에서 멈추어서서 수확작업을 한 후 다시 수확 적정 지점으로 전동 이동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전동카의 이동속도를 40rpm으로 구성, 메인 바디에 360°, 35prm 회전의자를 부착하여 수확작업시 상체의 좌우 이동이 용이한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electric motor along the rail to stop at the harvesting point and harvesting work after the operation to be repeated to move the motor back to the harvesting point is configured for this, the movement speed of the electric car 40rpm, The 360 °, 35prm swivel chair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to provide an electric car for the harvesting movement of low-floor crop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는 저상작목의 수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일 위로 이동하는 편이 전동카에 있어서, 판 부재로 형성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의자;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키드 다리; 상기 다수의 스키드 다리의 측면에 체결되어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바퀴; 상기 이탈방지바퀴의 측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드럼; 상기 드럼의 측면에 체결되는 스프라켓; 상기 드럼의 일측에 위치하는 이송모터; 상기 스프라켓과 이송모터를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다수의 이탈방지바퀴 및 상기 다수의 드럼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드럼 회전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레일 위로 이탈방지바퀴가 위치하고, 상기 이송모터가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에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lant movement shifting movement of the low-rise crops of the electric car is to move over one or more rails for facilitating the harvest of low-rise crops,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plate member; A rotatable chair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rotatable; A plurality of skid leg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 separation prevention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skid legs; A plurality of drums fastened to the side of the departure preventing wheel; A sprocket fastened to the side of the drum; A transfer motor located at one side of the drum; A chain connecting the sprocket and the transfer motor; And one or more drum rotation shaft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anti-separation wheels and the plurality of drums, wherein the anti-separation wheels are positioned on the rails, an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hain while the transfer motor rotates. By rotating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카의 높이는 12cm 이하, 총 중량은 30kg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eight of the electric car is 12 cm or l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weight is composed of 30 kg or l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는, 스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키드는 상기 메인 바디를 둘러싸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hift-shifting electric car of the plant low-floor crop further comprises a skid, wherein the skid is fastened surrounding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키드는 전면 스키드 및 측면 스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 스키드는 모서리와 절단부위를 전체적으로 라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kid further comprises a front skid and a side skid, the front sk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ed corners and cuts as a w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arvest movement shift electric car of the plant low-floor crop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는, 안전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망은 상기 체인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harvest movement shift electric car of the plant low-floor crop further comprises a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net surrounds the chai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동카의 높이를 12cm 이하로 낮춰 곰취, 시설 딸기와 같은 시설 저상작목에 적용할 수 있어 1일 평균 8시간 이상을 쭈그리고 앉거나 엎드려서 수행해 오던 시설 저상작목 재배 및 수확이동 작업과정의 전동화가 가능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electric car to less than 12cm can be applied to plant low-rises such as bear odor, facility strawberry, plant low-level crops cultivation and harvesting work that has been performed by squatting or lying down on average for more than 8 hours per day By enabling the motorization of the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ceed easi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확 이동작업 수행시 작업자가 차체에 앉아서 수확하면서 작업자의 작업지점을 전동 이동하고, 회전의자를 통해 작업방향을 전동 변경하며, 동시에 수확물을 전동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move the working point of the worker while harvesting sitting on the vehicle body while performing the harvest moving operation, and the motor to change the working direction through the rotary chair,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transfer of the harvest.
따라서, 본 발명은 농작업자의 무릎, 발목, 허리, 골반 등의 관절통과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피로를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 총체적인 작업효용성이 향상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joint pain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such as knee, ankle, waist, pelvis, etc. of farmers, reduces fatigue, and improves overall work efficiency.
또한, 전동카의 총 중량이 30kg 이하로써 여성 작업자가 관리 및 운반이 용이하여 실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ic car is less than 30kg, the female worker is easy to manage and transport, thereby increasing the practica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300)의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300)의 일 방향에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키드를 제외한 A-A'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4는 도 3의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direction of the harvest movement shiftin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one direction of the harvest movement shiftin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except for the skid of FIG. 2, and
4 is a side view in one direction of FIG. 3.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3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arvesting shift
본 발명에서 "배터리"라는 용어는 자동차 시동을 걸 때 기동전동기와 점화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자동차의 필수 부품으로, 자동차용 축전지라고도 불리며, 배터리는 쉽게 말해 전기를 모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전기를 인가받아 이용하는 전기 저장소를 가리키므로, 이에 적용되는 분야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battery" is an essential part of a vehicle that serves to supply power to a starting motor and an ignition device when starting a vehicle, and is also called a battery for an automobile, and a battery is easily stored when electricity is collected, when necessary Note that since it refers to an electrical storage used for receiving electricity every time, any field applicable thereto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300)는 하나 이상의 레일(10), 레일(10)을 지지하는 받침대(20), 받침대(20)의 상부에 위치하고 판 부재로 형성되는 메인 바디(100), 메인 바디(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0), 회전의자(2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의자모터(140), 메인 바디(100)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스키드(200), 메인 바디(100)의 중앙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전의자(240) 및 전원공급부(250)로 이루어지며, 총 중량은 30kg 이내, 높이 12cm 이하인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The harvest movement shift
이하, 상술한 레일(10), 받침대(20), 메인 바디(100), 배터리(130), 회전의자모터(140), 회전의자(240)의 순서대로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레일(10)은 환형의 봉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이탈방지바퀴(116)를 지지함에 있어 휨, 찌그러짐 및 파손 등의 외압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강도 및 경도가 높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일(10)은 조립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곰취 수확 후 타 작목의 이송에 적용되는 등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우스 내에서 이루어지는 거름주기나 고랑 타기 등의 작업에서 생기는 불편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 1회 정도 철거 후 재설치한다.The
더욱이, 레일(10)은 2개로 하여 메인 바디(100)에 체결되는 이탈방지바퀴(116)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받침대(20)은 레일(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10)을 받쳐주며, 이러한 받침대(20)는 레일(1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적 제한이 없음에 유의한다.The
메인 바디(100)는 드럼(116), 체인(111), 이송모터(112), 스프라켓(113), 스키드 다리(114), 드럼 회전축(115), 이탈방지바퀴(110), 안전망(117)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메인 바디(100)는 소정의 형상물로 형성되는 구조물로써 장방형의 형태일 수 있다. 전후방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방에 설치될 메인 바디(100)에는 이송모터(112)와 체인(111)으로 연결될 스프라켓(113)이 부착된다.The
드럼(116)은 원판으로 형성되며, 이탈방지바퀴(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다.The
체인(111)은 이송모터(112)와 스프라켓(113)을 연결함으로써 이송모터(112)에서 인가되는 동력을 스프라켓(113)에 전달하고 스프라켓(113)과 일체로 체결되는 드럼(116)을 회전시켜 메인바디(100)가 움직이게 된다.The
이송모터(112)는 메인 바디(100)에 부착되며, 체인(111)을 매개로 메인 바디(100)의 스프라켓(113)과 연결되어 드럼 회전축(115)을 회동시킨다. 이송모터(112)는 정방향은 물론이고 역방향으로도 회동가능하며, 부착된 감속기로 18:1로 감속하여 40rpm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유효하며, 메인 바디(100)의 높이를 12cm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이송모터(112)는 12V(50WH) 이하의 규격으로 제작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스프라켓(113)는 드럼(116)과 체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체인(111)과 대응하도록 일정한 치형이 형성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드럼(116)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스키드 다리(114)는 메인 바디(100)의 측면으로부터 하부로 전후부에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며, 메인 바디(100)를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으로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로 형성되어 총 4개의 스키드 다리(114)가 형성된다. 상기 스키드 다리(114)의 중앙에는 스키드 다리홀(114a)이 형성되어 이송모터(112)가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스키드 다리(114)는 이송모터(112) 및 스프라켓(113)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드럼 회전축(115)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드럼(116) 및 이탈방지바퀴(110)와 체결되어 일체로 회전한다.The drum rotating shaft 115 is formed in a cylinder, and is integrally rotated by being fastened with the
이탈방지바퀴(110)는 드럼 회전축(115)과 체결되어 드럼(116)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바퀴(110)는 회전축(115)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되며, 전방 측과 후방 측에 부착되는 이탈방지바퀴(110)는 전동카의 작동시 레일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탈방지바퀴(110)의 위치는 메인 바디(100)의 너비가 31cm 이하로 제작되고 시설 저상작목 재배 고랑의 밑바닥 부위의 너비가 윗부분의 너비보다 좁다는 점을 감안하여 각각의 레일(10)과 레일(10)의 안쪽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안전망(1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의 작동시 저상작목에 의하여 체인(111)이 걸리거나 엉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안정망(117)은 망의 격자가 조밀하게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배터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16)과 회전의자(240) 사이에 장착되며, 이송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130)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의 형태이며, 전동카의 높이를 12cm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축전지는 12V 12AH 이하의 규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회전의자모터(140)는 회전의자모터축(141) 및 회전의자모터개구(142)로 이루어진다.The
회전의자모터축(141)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일정한 치형이 형성되어 회전의자(240)과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Rotating
회전의자모터개구(142)는 회전의자모터축(141)이 통과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100)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Rotating
스키드(200)는 전면 스키드(210) 및 측면 스키드(220)로 이루어진다.The
여기서, 스키드(200)는 화물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목제 또는 금속제의 다리가 달린 짐받이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공장 내의 자재운반이나 화물차로부터의 화물운반에 사용된다. Here, the
전면 스키드(210)는 모서리와 절단부위를 전체적으로 라운딩하여 형성됨으로써 작동시 저상작목과의 엉킴 현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면 스키드(210)는 전후방에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측면 스키드(220)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전면 스키드(210)의 일측 모서리와 측면 스키드(220)의 일측 모서리가 결합된다. 결합하는 방식은 맞대기용접이 가능하나, 결합방식에 있어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회전의자(240)에는 회전의자개구(242)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의자(240)는 원형으로 메인 바디(100)에 부착되며, 별도의 이송모터(12V, 7.5Wh 이하의 규격)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의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회전의자(240)는 이송모터에 부착된 감속기로 140:1로 감속하여 35rpm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회전의자개구(242)는 스키드(200)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의자개구(242)로 회전의자모터축(141)이 삽입된다. 이러한 회전의자개구(242)는 회전의자모터개구(142)와 대응되도록 원의 중심 및 크기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전원공급부(250)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육면체로 형성되는 상기 전원공급부(250)의 상부에는 전원공급버튼(251)이 형성된다.The
전원공급버튼(251)은 전원공급부(25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버튼(251)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전원이 공급(On)되고, 전원공급버튼(251)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전원의 공급이 차단(Off)된다.The
상기한 전원공급부(250) 및 전원공급버튼(251)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방식에는 국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에 전후진 버튼과 멈춘 버튼이 양쪽 상단에 대각선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손으로 차체의 전후진 이동과 멈춤을 조작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Although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300)는 전동카의 본체의 높이를 12cm 이하로 낮게 하고 여성 작업자의 관리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전동카의 총 중량을 30kg 이하로 구성하여 시설 저상작목의 이랑 표층까지 손이 닿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harvest movement shift
또한, 전동카의 이동속도를 40rpm으로 하고, 메인 바디(100)에 360°회전 가능하고 회전속도가 35prm인 회전의자(240)를 부착하여 수확작업시 상체의 좌우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레일을 따라 전동 이동하다가 수확 적정 지점에서 멈춰서서 수확작업을 한 후 다시 수확 적정 지점으로 전동 이동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ovement speed of the electric car to 40rpm, and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 : 레일
20 : 받침대
100 : 메인 바디
110 : 이탈방지바퀴
111 : 체인
112 : 이송모터
113 : 스프라켓
114 : 스키드 다리
115 : 드럼 회전축
116 : 드럼
117 : 안전망
130 : 배터리
140 : 회전의자모터
141 : 회전의자모터축
142 : 회전의자모터개구
200 : 스키드
210 : 전면 스키드
220 : 측면 스키드
240 : 회전의자
242 : 회전의자개구
250 : 전원공급부
251 : 전원공급버튼
300 :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10: rail
20: pedestal
100: main body
110: departure prevention wheel
111: chain
112: feed motor
113: Sprocket
114: skid bridge
115: drum rotating shaft
116: drum
117: safety net
130: battery
140: rotating chair motor
141: rotating chair motor shaft
142: opening the rotating chair motor
200: skid
210: front skid
220: side skid
240: swivel chair
242: swivel chair opening
250: power supply
251: Power Supply Button
300: electric car with shifting movement of plant low-level crops
Claims (6)
31cm 이하의 너비인 판 부재로 형성되며 12cm 이하의 높이로 구성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의자;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키드 다리;
상기 다수의 스키드 다리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드럼;
상기 다수의 스키드 다리의 내측면에 체결되어 회전가능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이탈방지바퀴;
상기 드럼의 측면에 체결되는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과 이송모터를 연결하는 체인;
상기 다수의 이탈방지바퀴 및 상기 다수의 드럼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드럼 회전축; 및
상기 메인 바디에 부착되며, 상기 체인을 매개로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기 이송모터;
상기 체인을 둘러싸는 안전망; 및
상기 메인 바디를 둘러싸면서 체결되는 스키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스키드는,
모서리와 절단부위가 라운딩되는 전면 스키드; 및
상기 전면 스키드와 접하는 측면 스키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모터 및 상기 스프라켓은 상기 체인과 상기 레일이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바퀴는 저상작목을 재배하는 고랑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너비보다 좁게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레일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수의 드럼과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이송모터는 18:1로 감속하여 12V(50WH) 이하로 운용됨으로써 40rpm의 속도를 유지하며,
상기 이송모터가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에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망에 의해 저상작목이 상기 체인에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저상작목의 수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
In an electric car, it moves on a pair of rails installed in the furrow to facilitate harvesting of low-rise crops.
A main body formed of a plate member having a width of 31 cm or less and configured to a height of 12 cm or less;
A rotatable chair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rotatable;
A plurality of skid leg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drums fastened to inn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kid legs;
An anti-separation wheel which is fasten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kid legs and is rotatable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sprocket fastened to the side of the drum;
A chain connecting the sprocket and the transfer motor;
One or more drum rotation shaft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anti-separation wheels and the plurality of drums; And
The transfer motor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sprocket via the chain to rotate the drum rotation shaf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safety net surrounding the chain; And
And a skid fastened to surround the main body.
The skid,
A front skid with rounded corners and cuts; And
It includes a side skid in contact with the front skid,
The transfer motor and the sprocket are arranged so that the chain and the rail at an acute angle,
The escape preventing wheel is arrang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ain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rails installed in the furrows for planting low-level crops, and is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drums to be located inside the pair of rails, and
The transfer motor decelerates to 18: 1 and operates below 12V (50WH) to maintain a speed of 40 rpm.
As the transfer motor rotates,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hain to rotate the sprocket, so that the low-rise crops can be harvested while the main body is moved and the low-rise crops are entangled in the chain by the safety net. Made,
Electric car which is one side of harvest movement of facility low-rise crop.
상기 전동카의 총 중량은 30kg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
The method of claim 1,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ic ca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less than 30kg,
Electric car which is one side of harvest movement of facility low-rise crop.
상기 전동카는,
상기 드럼과 상기 회전의자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 car,
It is mounted between the drum and the swivel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fer motor to supply power,
Electric car which is one side of harvest movement of facility low-rise cro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419A KR101224022B1 (en) | 2010-12-01 | 2010-12-01 | The elecric mobile car for harvesting-carring of a shorter plant in greenho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419A KR101224022B1 (en) | 2010-12-01 | 2010-12-01 | The elecric mobile car for harvesting-carring of a shorter plant in greenhou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9915A KR20120059915A (en) | 2012-06-11 |
KR101224022B1 true KR101224022B1 (en) | 2013-01-24 |
Family
ID=4661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1419A Active KR101224022B1 (en) | 2010-12-01 | 2010-12-01 | The elecric mobile car for harvesting-carring of a shorter plant in greenho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402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8595B1 (en) * | 2020-07-31 | 2023-01-13 | 이정수 | Working car for greenhouse cul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9467A (en) * | 1996-10-31 | 1998-05-19 |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 Safety device of monorail |
-
2010
- 2010-12-01 KR KR1020100121419A patent/KR1012240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9467A (en) * | 1996-10-31 | 1998-05-19 |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 Safety device of monora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9915A (en) | 2012-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10467B1 (en) | Working vehicle | |
CN111201847B (en) | A weeding and obstacle avoidance robot | |
WO2019093303A1 (en) | Movement device provided with cylindrical rotating bodies | |
CN105682447B (en) | Lawn-care apparatus | |
EP3216679B1 (en) | Mobile vehicle | |
JP6824377B2 (en) | Work vehicle | |
CA2657383A1 (en) | Shoulder-belt-traction hand-push tool | |
KR101790572B1 (en) | Seedling transplantation apparatus | |
KR20160000385A (en) | Remote control Weeder | |
KR101224022B1 (en) | The elecric mobile car for harvesting-carring of a shorter plant in greenhouse | |
JP5894403B2 (en) | Seat work cart | |
KR20170126384A (en) |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 |
US20140223878A1 (en) | Lawn Mower Assemblies | |
CN204948744U (en) | Many flexible axles of profile modeling remote control lawn mower | |
CN202285647U (en) | Tea garden management machine standing support structure | |
KR101493153B1 (en) | Vehicle for farm work | |
CN205510878U (en) | Hand push mixes wheeled lift lawn mower | |
JP2019024402A (en) | Mowing machine and mowing method | |
KR102835820B1 (en) | Low floor type motor driven assist- vehicle for field work | |
KR101876287B1 (en) | Carriage with steering | |
KR20240077079A (en) | Low floor type motor driven assist- vehicle for field work | |
KR101361738B1 (en) | Rail transport | |
US12103619B2 (en) | Electric vehicle with movable operator's chair | |
US20230124920A1 (en) | Incredible Vehicle And Incredible Vehicle Four Wheel Version | |
JPH07110162B2 (en) | Cultivation management device for strawber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14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