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2917B1 -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917B1
KR101222917B1 KR1020120095587A KR20120095587A KR101222917B1 KR 101222917 B1 KR101222917 B1 KR 101222917B1 KR 1020120095587 A KR1020120095587 A KR 1020120095587A KR 20120095587 A KR20120095587 A KR 20120095587A KR 101222917 B1 KR101222917 B1 KR 101222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etal strip
roller
roller part
spiral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헌
Original Assignee
최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8419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229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태헌 filed Critical 최태헌
Priority to KR102012009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9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8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with die parts on rotating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스트립에 대칭되는 나선홈을 성형하여 전체적인 금속관의 강도를 보강하는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 금속홈 성형장치는 금속관으로 가공될 금속 스트립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내주면에 나선홈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반복 형성하는 금속관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소정 높이의 작업면을 제공하는 작업 테이블과, 상기 작업 테이블 상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압연롤러부와, 상기 압연롤러부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을 반복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부와, 상기 제1 성형롤러부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을 반복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부 및 상기 제2 성형롤러부에 의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을 당겨 인출하는 인출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Apparatus for forming spiral groove with symmetrically structured}
본 발명은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스트립에 대칭되는 나선홈을 성형하여 전체적인 금속관의 강도를 보강하는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관은 내,외주면의 표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기관, 하수관, 폐수관, 급수관, 건축자재 등으로 사용되며, 통상의 얇은 금속판을 둥글게 굽혀서 제작되고, 인접한 모서리를 용접하여 금속관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금속관은 내,외주면이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금속관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나선 금속관에 비교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밋밋한 형태의 금속관은 성형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금속관의 외관에 나선이 형성하거나 내주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나선 금속관은 나선홈의 방향에 따라서 왼쪽 또는 오른쪽 비틀림 각도에 의해 금속관에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서 금속관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기가 어렵고, 용접선이 일정하지 않아 용접불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나선 금속관의 성형장치는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나선홈을 성형시키는 성형롤러가 외주면 둘레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나선홈의 방향을 따라서 왼쪽 또는 오른쪽 한쪽으로 치우치는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축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축이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서 모터 및 감속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기계장치의 축, 베어링 및 롤러 표면에 형성되는 무늬가 파손되어 생산성 감소는 물론이고 생산설비 유지비용이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나선 금속관은 왼쪽방향과 오른쪽 방향이 복합되는 비틀림 각도를 갖는 나선홈에 의해서는 소재의 외주면에 굴곡 현상이 발생하여 매끈한 면이 아닌 울툴불퉁한 굴곡면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금속관의 강도를 보강하며 제1 및 제2 성형롤러의 축이 성형과정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자 나선홈이 먼저 성형되고, ∧자 나선홈이 다른 비틀림 각도로 나중에 성형되어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교차점이 골고루 분포되는 다이아몬드 나선홈을 형성시키는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관으로 가공될 금속 스트립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내주면에 나선홈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반복 형성하는 금속관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소정 높이의 작업면을 제공하는 작업 테이블과, 상기 작업 테이블 상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압연롤러부와, 상기 압연롤러부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을 반복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부와, 상기 제1 성형롤러부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을 반복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부 및 상기 제2 성형롤러부에 의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롤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제1 성형롤러부는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1 성형돌기선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와, 상기 제1 성형롤러를 지지하며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성형돌기선의 비틀림 각도는 0°내지 90°사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성형롤러부는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2 성형돌기선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와, 상기 제2 성형롤러를 지지하며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성형돌기선의 비틀림 각도는 0°내지 90°사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성형돌기선과 상기 제2 성형돌기선의 비틀림 각도를 반드시 불일치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에 의하면,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를 통하여 원통형으로 압출 성형되는 금속관의 내주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금속관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등의 내구성이 보강되며, 그로 인하여 관체 성형이 용이하여 용접선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에 의하면, 금속관의 내주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기계장치의 축 하중이 나선홈 방향의 축 중심으로 집중되어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회전되는 축을 보호하고, 기계장치의 파손 및 결함을 예방함은 물론이고 생산성 향상으로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에 의하면, ∨자 형상과 ∧자 형상이 서로 다른 비틀림 각도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나선홈은 교차점이 골고루 분포되어 금속관의 외주면이 매끈한 면으로 형성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성형롤러부 및 제2 성형롤러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1)는 금속관으로 가공될 금속 스트립(3)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내주면에 나선홈(3a)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반복 형성하는 나선홈 성형장치(1)에 있어서, 소정 높이의 작업면을 제공하는 작업 테이블(10)과, 작업 테이블(2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3)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부(20)와, 가이드롤러부(20)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3)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압연롤러부(30)와, 압연롤러부(30)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을 반복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부(40)와, 제1 성형롤러부(40)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을 반복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부(50) 및 제2 성형롤러부(50)에 의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3)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롤러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작업 테이블(10)은 추후에 설명될 가이드롤러부(20), 압연롤러부(30), 제1성형롤러부(40), 제2 성형롤러부(50) 및 인출롤러부(60)가 금속관으로 가공될 금속 스트립(3)을 가공할 수 있도록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 높이의 평평한 작업면을 갖는다. 이때 가이드롤러부(20), 압연롤러부(30), 제1 성형롤러부(40), 제2 성형롤러부(50), 인출롤러부(60)가 소정의 간을 두고 차례대로 작업테이블(10)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 테이블(10) 상에는 나선홈 성형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작업 테이블(10) 상에는 가이드롤러부(20)가 맨 처음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롤러부(20)는 추후에 설명될 압연롤러부(30)에 일정한 속도로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받는 금속 스트립(3)을 직선상태로 유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작업 테이블(10)의 상부에 양측으로 평행하게 한 쌍의 고정판(11)이 설치되고, 고정판(13)의 사이에는 한 쌍의 상,하부 가이드롤러(21,22)가 회전축에 의해 지지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양측으로 평행하는 고정판(11)의 전면에는 한 쌍의 보조롤러(23)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받는 금속 스트립(3)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킨다.
전술한 가이드롤러부(20)에 의해서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3)은 압연롤러부(30)로 이송되는데, 이 압연롤러부(30)는 전술한 금속 스트립(3)에 진동이나 휘어짐이 발생시키지 않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속 스트립(3)에 압력을 가하며 회전하며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표면을 형성하고 회전축을 갖는 한 쌍의 상,하부 압연롤러(31,32)가 각각 구비되고, 상,하부 압연롤러(31,32)가 회전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롤러지지대(13)가 작업테이블(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롤러지지대(15)의 전면에 금속 스트립(3)의 이동을 방지하며 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롤러(33)가 횡방향으로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세 쌍이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지지대(13)의 상부에는 한 쌍의 압연롤러(31,32)가 금속 스트립(3)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장치(15)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압력조절장치(15)는 종래기술에 따른 압력조절장치(15)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인발롤러부(30)에 의해서 압출되는 금속 스트립(3)은 제1 성형롤러부(40)로 이송되는데, 제1 성형롤러부(40)는 전술한 압연롤러부(31,32)로부터 압입된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을 반복 형성하는 것으로,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1 성형돌기선(41a)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41)가 구비되고, 제1 성형롤러(41)를 지지하는 동시에 함께 회전하며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롤러(42)로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제1 성형롤러(41)에 ∨자 형상으로 반복 형성하는 제1 성형돌기선(41a)의 비틀림 각도는 중앙을 기준으로 0 °내지 90°사이에서 대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제1 성형롤러(41)와 제1 지지롤러(42)는 작업테이블(10) 상에 고정 설치되는 롤러지지대(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그사이로 금속 스트립(3)을 통과시켜 제1 성형롤러(41)는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을 반복 형성하도록 압력을 가하며 회전하게 설치되고, 제1 지지롤러(42)는 금속 스트립(3)의 밑면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성형롤러(41)의 일측에는 유니버셜 조인트(70)가 연결되어 감속기(80)와 서보모터(90)에 의해 회전하는데, 서보모터(90)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원하는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통상의 모터를 사용하고, 그 회전력은 감속기(80)를 통해 유니버셜 조인트(7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70)는 감속기(80)를 사용함으로써 서보모터(90)의 회전 토크가 저하됨 없이 제1 성형롤러(4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롤러지지대(13)의 상부에는 전술한 압연롤러부(30)와 마찬가지로 제1 성형롤러(41)와 제1 지지롤러(42)가 금속 스트립(3)에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15)가 구비되는데, 이 압력조절장치(15)는 전술한 압연롤러부(30)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장치(15)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한편, 제2 성형롤러부(50)는 전술한 제1 성형롤러부(40)에 의해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이 반복하여 형성된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자 형상으로 반복하는 나선홈(3a)을 교차시켜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나선홈(3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2 성형돌기선(51a)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51)가 구비되고, 제2 성형롤러(51)를 지지하는 동시에 함께 회전하며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롤러(52)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성형돌기선(41a)과 마찬가지로 제2 성형롤러(51)에 ∧자 형상으로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2 성형돌기선(51a)의 비틀림 각도는 중앙을 기준으로 0 °내지 90°사이에서 대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성형돌기선(51a)의 비틀림 각도는 제1 성형돌기선(41a)의 비틀림 각도와 반드시 불일치시켜 서로 다른 비틀림 각도로 교차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이 형성된 금속 스트립(3)에 교차점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형성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자 형상의 제1 성형돌기선(41a)의 비틀림 각도가 45°일 경우에 ∧자 형상의 제2 성형돌기선(51a)의 비틀림 각도는 45°를 제외한 0°내지 90°사이에서 대칭하여 교차점이 불일치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제2 성형롤러(51)와 제2 지지롤러(52)는 전술한 제1 성형롤러부(40)와 마찬가지로 작업 테이블(10) 상에 고정 설치되는 롤러지지대(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그사이로 금속 스트립(3)을 통과시켜 제2 성형롤러(51)는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을 반복 형성하도록 압력을 가하며 회전하게 설치되고, 제2 지지롤러(52)는 금속 스트립(3)의 밑면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제2 성형롤러(51)의 일측에는 제1 성형롤러(41)와 마찬가지로 유니버셜 조인트(70)가 연결되어 감속기(80)와 서보모터(90)에 의해 회전되는데, 유니버셜 조인트(70), 감속기(80), 서보모터(90)는 제1 성형롤러부(40)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롤러지지대(13)의 상부에는 제2 성형롤러(51)와 제2 지지롤러(52)가 금속 스트립(3)에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15)가 구비되는데, 이 압력조절장치(15)는 전술한 압력조절장치(15)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나선홈(3a)이 ∨자 형상에서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하는 공정의 제1 성형롤러부(40)와 제2 성형롤러부(50)가 복합되어 하나의 성형롤러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성형롤러(41)와 제2 성형롤러(51)가 복합되어 ∨자 형상과 ∧자 형상이 서로 다른 비틀림 각도로 교차하여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성형돌기선을 갖는 하나의 성형롤러와 지지롤러가 각각 구비되어 제1 성형롤러부(40)와 제2 성형롤러부(50)가 복합된 하나의 성형롤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인출롤러부(60)는 전술한 제2 성형롤러부(50)에 의해 나선홈(3a)이 다이아몬드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3)을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 전술한 가이드롤러부(20)와 마찬가지로 작업 테이블(10)에 양측으로 평행하게 한 쌍의 고정판(11)이 설치되고, 이 고정판(11)의 사이에 한 쌍의 상,하부의 인출롤러(61,62)가 회전축에 의해 지지하여 회전되어 다이아몬드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3)을 외부로 인출한다.
이하에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3)은 가이드롤러부(20)의 한 쌍의 보조롤러(23)의 안내를 받으며 회전하는 한 쌍의 상,하부 가이드롤러(21,22)를 통과하여 직선상태를 유지하며 횡방향으로 설치된 이송롤러(33)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며 이송된다.
그런 다음 매끈한 표면을 가진 한 쌍의 상,하부 압연롤러(31,32)가 전술한 금속 스트립(3)이 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을 가하여 회전하며 제1 성형롤러부(40)로 이송된다. 이때 제1 성형롤러부(40)는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1 성형돌기선(41a)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41)가 상부에서 회전하고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롤러(42)가 회전된다. 따라서 제1 성형롤러부(40)를 통과한 금속 스트립(3)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자 형상으로 나선홈(3a)을 형성하며 제2 성형롤러부(50)로 이송된다.
그런 다음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2 성형돌기선(51a)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51)가 상부에서 회전하고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롤러가 회전된다. 제2 성형롤러부에 의해 상면에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나선홈(3a)을 형성하는 금속 스트립(3)은 한 쌍의 인출롤러(61,62)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된다.
1 : 나선홈 성형장치 3 : 금속 스트립
3a : 나선홈 10 : 작업 테이블
11 : 고정판 13 : 롤러지지대
15 : 압력조절장치 20 : 가이드롤러부
21 : 상부 가이드롤러 22 : 하부 가이드롤러
23 : 보조롤러 30 : 압연롤러부
31 : 상부 압연롤러 32 : 하부 압연롤러
33 : 이동롤러 40 : 제1 성형롤러부
41 : 제1 성형롤러 41a : 제1 성형돌기선
42 : 제1 지지롤러 50 : 제2 성형롤러부
51 : 제2 성형롤러 51a : 제2 성형돌기선
52 : 제2 지지롤러 60 : 인출롤러부
61 : 상부 인출롤러 62 : 하부 인출롤러
70 : 유니버셜 조인트 80 : 감속기
90 : 서보모터

Claims (6)

  1. 금속관으로 가공될 금속 스트립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내주면에 나선홈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반복 형성하는 금속관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소정 높이의 작업면을 제공하는 작업 테이블과;
    상기 작업 테이블 상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압연롤러부와;
    상기 압연롤러부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을 반복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부와;
    상기 제1 성형롤러부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의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자 형상으로 나선홈을 반복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부; 및
    상기 제2 성형롤러부에 의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성형롤러부는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1 성형돌기선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1 성형롤러와, 상기 제1 성형롤러를 지지하며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형롤러부는 외주면이 ∧자 형상으로 제2 성형돌기선이 반복하여 돌출 형성하는 제2 성형롤러와, 상기 제2 성형롤러를 지지하며 외주면이 평평하게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성형돌기선과 상기 제2 성형돌기선의 비틀림 각도는 0°내지 90°사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형성되며 반드시 서로 다른 비틀림 각도를 사용하여 금속 스트립 나선홈의 교차점이 분산되게 골고루 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95587A 2012-08-30 2012-08-30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Active KR10122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87A KR101222917B1 (ko) 2012-08-30 2012-08-30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87A KR101222917B1 (ko) 2012-08-30 2012-08-30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917B1 true KR101222917B1 (ko) 2013-01-17

Family

ID=4784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587A Active KR101222917B1 (ko) 2012-08-30 2012-08-30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9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8924A (zh) * 2020-12-17 2021-04-30 天津市华油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管生产线上的压平机
KR102300109B1 (ko) * 2021-03-02 2021-09-08 (주)알엠에이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교정장치
KR102449098B1 (ko) 2022-01-21 2022-09-29 주식회사 선경시스템 나선홈 성형장치
KR102577739B1 (ko) * 2023-02-06 2023-09-12 향상기업주식회사 홈이 형성된 금속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38749B1 (ko) * 2024-05-10 2024-12-05 주식회사 풍산테크 금속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5196A (en) 1994-08-08 1999-11-02 Carrier Corporation Heat transfer tube
JP2003294385A (ja) * 2002-04-02 2003-10-15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内面溝付伝熱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525326A (ja) * 2004-02-27 2007-09-06 ウーティク・トレデー・アーベー 異形材を形成する生産ラインおよび方法
KR100874036B1 (ko) * 2008-06-12 2008-12-17 (주) 한양테크 나선 금속관 및 그 나선 금속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5196A (en) 1994-08-08 1999-11-02 Carrier Corporation Heat transfer tube
JP2003294385A (ja) * 2002-04-02 2003-10-15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内面溝付伝熱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525326A (ja) * 2004-02-27 2007-09-06 ウーティク・トレデー・アーベー 異形材を形成する生産ラインおよび方法
KR100874036B1 (ko) * 2008-06-12 2008-12-17 (주) 한양테크 나선 금속관 및 그 나선 금속관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8924A (zh) * 2020-12-17 2021-04-30 天津市华油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管生产线上的压平机
KR102300109B1 (ko) * 2021-03-02 2021-09-08 (주)알엠에이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교정장치
KR102449098B1 (ko) 2022-01-21 2022-09-29 주식회사 선경시스템 나선홈 성형장치
KR102577739B1 (ko) * 2023-02-06 2023-09-12 향상기업주식회사 홈이 형성된 금속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38749B1 (ko) * 2024-05-10 2024-12-05 주식회사 풍산테크 금속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917B1 (ko)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홈 성형장치
JP5044576B2 (ja) 巻取中にストリップを安定化させる方法及び装置
KR101727992B1 (ko) 인발유닛 및 그를 이용한 인발 장치 및 방법
US265519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round bars and tubes
CN103264074A (zh) 四辊卷板机及卷制圆管的方法
CN201906963U (zh) 黄铜棒线材矫直-滚光-调控应力的装置
US368533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elically coiling pipe
CN203197055U (zh) 四辊卷板机
WO2020087832A1 (zh) 桶身激光焊接机及其使用方法
CN106583518A (zh) 一种加工螺旋扭曲管的装置
KR200326241Y1 (ko) 자동 파이프 성형기
KR101443207B1 (ko) 마그네슘 파이프 교정기
US6351978B1 (en) Roller mount with three-axis freedom
WO2013145307A1 (ja) 成形装置
KR20030063269A (ko) 자동 파이프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제조방법
CN107052667A (zh) 焊接t型钢变形综合矫正装置
US4176537A (en) Method of and means for straightening bars and tubes
CN102101147A (zh) 具有延伸功能的压轮式钢筋调直方法及调直机
CN213944718U (zh) 预制钢筋混凝土管钢筋笼滚焊机的调直送丝装置
CN105033486B (zh) 直管与法兰半自动焊接流水线
CN101439369A (zh) 一种正反转多转毂圆材矫直装置
JP2002282945A (ja) H形鋼のローラ矯正装置
CN204975752U (zh) 短直管与法兰调速定面滚动手工焊接流水线
CN205217673U (zh) 碳滑板托架滚弯机
CN111922124A (zh) 一种具有差速输送结构的拉矫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1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1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80711

Appeal identifier: 201810000216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16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11

Effective date: 201908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908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80711

Decision date: 20190830

Appeal identifier: 201810000216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