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078B1 - Recovering Structure and Method of Base Displacement by side injection of wedge - Google Patents
Recovering Structure and Method of Base Displacement by side injection of we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2078B1 KR101222078B1 KR1020100068075A KR20100068075A KR101222078B1 KR 101222078 B1 KR101222078 B1 KR 101222078B1 KR 1020100068075 A KR1020100068075 A KR 1020100068075A KR 20100068075 A KR20100068075 A KR 20100068075A KR 101222078 B1 KR101222078 B1 KR 1012220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toration
- pile
- package
- restoring
- sett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26 mechan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4—Lifting or levelling of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5/00—Straightening, lifting, or lowering of foundation structures or of constructions erected on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갈도상궤도 하부의 노반과 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철도 도상 등의 포장체가 부설되어 있는 지반에서 침하가 발생할 경우, 압입쐐기를 압입하여 수직변위가 발생한 포장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래의 높이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측면 쐐기의 압입에 의한 침하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원말뚝(10)과 압입쐐기(20)로 이루어져 포장체(3)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원모듈(1)이, 지반(2)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지반(2)과 상기 복원모듈(1) 위로 포장체(3)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원모듈(1)은, 섬유외피(11)로 외부가 감싸져 있고 내부에는 채움재가 채워진 기둥형태의 복원말뚝(10)과, 횡방향으로 복원말뚝(10)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복원말뚝(10)의 중심방향으로 끼워지되 복원말뚝에 끼워지는 측면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압입쐐기(20)를 포함하며; 복원모듈(1) 아래에서의 지반침하에 의해 포장체(3)의 하향 수직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압입쐐기(20)가 복원말뚝(10)의 중심 방향으로 더 박히게 되어 복원말뚝(10)의 단면적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체(3)에 상향 수직변위를 가하여 침하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 복원구조와 복원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ttlement occurs in the ground where the pavement such as asphalt pavement or concrete railroad is laid on the roadbed and the lower part of the gravel trajectory, the pavement in which vertical displacement occurs by press-fitting the wedge is quickly and easily the original height. It relates to a settlement restoring structure and restoration method by indentation of the side wedge to be restored to th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oring module (1) consisting of the restoring pile (10) and the press-fitting wedge (20) to support the load on the upper part of the package (3) is continuously arranged in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2). There is; A package 3 is installed on the ground 2 and the restoration module 1; The restoration module 1 has a column-shaped restoration pile 10 which is wrapped with a fiber shell 11 and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therein, and restoration piles 10 from both ends of the restoration pile 1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ide fitted to the center of the center but fitted to the restoration pile includes a press-fitting wedge 20 configured to have a tapered shape; When the downward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ackage 3 is caused by the ground subsidence under the restoration module 1, the press-fit wedge 20 is further stuck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pile 10, so that the restoration pile 10 There is provided a settlement resto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restoring settlement by applying an upward vertical displacement to the package 3 by causing the cross-sectional area to exp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갈도상궤도 하부의 노반과 콘크리트 철도 도상 또는 아스팔트 포장 등의 포장체 하부에서 지반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침하된 노반 및 포장체를 복원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자갈도상궤도 하부의 노반과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철도 도상 등의 포장체가 부설되어 있는 지반에서 침하가 발생할 경우, 압입쐐기를 압입하여 수직변위가 발생한 포장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래의 높이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방식의 측면 쐐기의 압입에 의한 침하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and a method for restoring the submerged subgrade and pavement when ground subsidence occurs in the subbed of the gravel under the orbit and concrete pavement or asphalt pavement, specifically, If settlement occurs in the subsurface under the gravel road track, or in the ground where pavement such as asphalt pavement or concrete rail road is laid, press-fit wedge can be pressed to restore the pavement with vertical displacement to original height quickly and easily. It relates to a settlement restoring structure and restoration method by indentation of the side wedge of a new way.
교량의 상부구조와 이어지게 되는 도로의 교량접속부 등과 같이, 지반 상부의 강성이 변화되는 구간에서는 강성 변화에 따른 충격에 의해 지반에 과대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간이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일상적인 차량의 통행하중으로 인해서도 국부적으로 지반의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포장 도로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철도 도상과 자갈도상궤도의 노반에서도 발생한다. In a section in which the rigidity of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changes, such as a bridge connecting part of a road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excessive settlement may occur in the ground by an impact caused by the change of the rigidity. In addition, when some sections are made of soft ground, the ground may be settled locally due to the daily traffic load of the vehicle. This phenomenon occurs not only on ordinary concrete or asphalt pavement but also on roadbeds of concrete railroad tracks and gravel tracks.
특히, 이러한 강성변화구간이나 연약지반구간과 같은 특정 구간에서의 국부적인 지반침하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지반 위에 설치되는 포장체가 연성을 가진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경우, 지반에 과대 침하가 발생하면 아스팔트 포장체에 수직변위가 발생하면서 아스팔트에 균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도로 표면에 구배가 생겨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위협하게 된다. 포장체가 강성을 가진 콘크리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철도 도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직변위 발생으로 인하여 줄눈 접속부에 단차가 발생하여 레일의 변형 등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 주행하는 열차의 안정성에 큰 장애가 된다. 자갈도상궤도의 노반면 침하는 자갈도상과 레일의 침하를 유발함에 의해 열차의 승차감과 주행안전성을 저해하며 유지관리비용의 증가를 유발시킨다. In particular, local ground sedimentation tends to occur frequently in certain sections, such as stiffness change zones and soft ground zones. When the pavement installed on the ground is made of soft asphalt, As the vertical displacement occurs on the asphalt pavement, cracks occur on the asphalt and at the same time, a gradient occurs on the road surface, which threatens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When the pavement is made of concrete pavement or concrete railroad, the step is generated due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concrete slab, resulting in the deformation of the rail, resulting in a deformation of the rail, which is a great obstacle to the stability of the running train. The subsidence of the gravel road track causes the gravel road and rail to settle down, which impairs the ride and driving safety of the train and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종래에는 이와 같이 지반침하로 인한 상부의 포장체의 수직변위 즉,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포장체의 침하를 복원하는 방법으로서 약액을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침하가 발생된 지반 내로 약액을 주입하여 포장체가 다시 돋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약액 주입을 통한 종래의 침하 복원방법은 약액의 팽창 및 경화를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도로나 철도의 통행이 일정기간 중단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무분별한 주입으로 인하여 지반 자체가 오염되는 등 환경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동일한 구간에 반복적으로 지반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미 지반의 공극에 약액이 주입된 상태에서는 다시 약액을 주입하기가 어려우며 약액 주입에 의한 침하 복원 효과도 미약하게 된다. 즉, 약액 주입을 통한 침하 복원 기술은 침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구간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Conventionally, when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upper package body due to the ground subsidence, that is, settlement occurs, a method of injecting a chemical solution is used as a method of restoring the settlement of such a package. That is, by injecting the chemical liquid into the ground where settlement occurs, the package is raised again. However, the conventional settlement restoration method through the injection of such a chemical solution requires a considerable time for the expansion and curing of the chemical solu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road or railway traffic is interrup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soil contamination due to indiscriminate injection. In addition, when ground subsidence occurs repeatedly in the same section, it is difficult to inject the chemical liquid again while the chemical liquid is already injected into the pores of the ground, and the effect of restoring settlement by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is also weak. In other words, the restorative restoration technique through the injec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s difficult to apply in the section in which the settlement occurs repeatedly.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반 상부의 강성이 변화되는 구간이나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구간에서 발생하는 지반 침하로 인한 상부 구조체 및 포장체의 침하 복원대책으로서, 지반침하로 인하여 상부 구조체 및 포장체의 침하가 발생할 때, 신속하게 침하된 상부 구조체 및 포장체를 원래의 높이로 복원할 수 있으며, 지반내로의 약액 주입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피해를 줄이고 반복되는 지반 침하에도 용이하게 대응하여 침하된 포장체를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침하 복원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settlement of restora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package due to the ground subsidence that occurs in the section consisting of a soft ground or a section in which the stiffness of the upper ground changes As the subsidence of the superstructure and package due to the ground subsidenc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tore the submerged superstructure and package to the original height, reducing the environmental damage by minimizing the injection of chemical liquid into the ground and repea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ttlement resto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easily restoring a submerged package in response to ground settlement.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반의 침하에 따른 포장체의 침하를 복원하는 구조로서, 복원말뚝과 압입쐐기로 이루어져 강성을 가짐으로써 포장체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원모듈이, 상기 복원말뚝의 길이 방향이 포장체의 횡방향과 일치하도록 지반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반과 상기 복원모듈 위로 포장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원모듈은, 섬유외피로 외부가 감싸져 있고 내부에는 채움재가 채워져서 포장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둥형태의 복원말뚝과, 횡방향으로 상기 복원말뚝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복원말뚝의 중심방향으로 끼워지되 일측은 복원말뚝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압입쐐기를 포함하며; 복원모듈 아래에서의 지반침하에 의해 포장체의 하향 수직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복원말뚝의 양단에 끼워져 있던 상기 압입쐐기가 복원말뚝의 중심 방향으로 더 박히게 되어 섬유외피에 채워져 있던 채움재를 복원말뚝의 중심방향과 위쪽 방향으로 움직여서 복원말뚝의 단면적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체에 상향 수직변위를 가하여 침하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 복원구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ructure for restoring the settlement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the restoration module for supporting the load on the upper package by having a rigidity consisting of a restoration pile and the press-fitting wedge, the A plurality of consecutively arranged longitudin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pile coincides with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A package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restoration module; The restoring module has a column-shaped restoring pile which is wrapped in a fiber shell and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therein and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and the center of the restoring pile from both ends of the restoring pi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e side includes a press-fitting wedge configured to have a tapered shape, the cross section of which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but becomes smaller in the direction fitted to the restoration pile; When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ackage occurs due to the ground subsidence under the restoration module, the press-fitting wedges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restoration pile are further stuck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pile, thereby restoring the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fiber jacket. The settlement restoring structure is provided by moving the center direction and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storing pile is expanded to apply the upward vertical displacement to the package to recover settlem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반의 침하에 따른 포장체의 침하를 복원하는 방법으로서, 섬유외피로 외부가 감싸져 있고 내부에는 채움재가 채워져서 포장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둥형태의 복원말뚝과, 횡방향으로 상기 복원말뚝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복원말뚝의 중심방향으로 끼워지되 일측은 복원말뚝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압입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강성을 가짐으로써 포장체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원모듈을, 상기 복원말뚝의 길이 방향이 포장체의 횡방향과 일치하도록 지반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지반과 상기 복원모듈 위로 포장체를 설치하는 단계; 및 복원모듈 아래에서의 지반침하에 의해 포장체의 하향 수직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복원말뚝의 양단에 끼워져 있던 상기 압입쐐기를 복원말뚝의 중심 방향으로 더 박아서, 섬유외피에 채워져 있던 채움재를 복원말뚝의 중심방향과 위쪽 방향으로 움직여서 복원말뚝의 단면적이 팽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포장체에 상향 수직변위를 가하여 침하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 복원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restoring the settlement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a column-type restoration pile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is wrapped in the outer side with a fiber jacket and the fill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ransver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fitting wedge configured to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 becomes smaller from both sides of the restoration pil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pile, respectively, and toward the direction of being fitted into the restoration pile. Thereby restoring a plurality of restoring modules for supporting the load on the upper part of the packa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toring pile coincides with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Installing a package over the ground and the restoration module; And when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ackage is caused by the ground subsidence under the restoration module, the press-fitting wedges, which are fitted at both ends of the restoration pile, are further pushed toward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pile to restore the fillers filled in the fiber jacket. Moving to the center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ile to exp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storation pile, thereby providing a settlement resto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restore the settlement by applying an upward vertical displacement to the package.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압입쐐기의 테이퍼진 형상의 일측은, 그 하면은 기울어지지 않고 직선을 유지하되 상면이 기울어져 테이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복원모듈(1)의 섬유외피에 채워져 감싸지는 채움재는 쇄석, 토사, 소일시멘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tapered shape of the press-fitting wedge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not inclined but the straight surface is inclined and the upper surface is inclined and tapered to the fiber jacket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채움재가 섬유외피에 담겨서 말뚝 내지 보 형상으로 만들어진 복원모듈이 포장체 아래에 놓이게 되고, 이러한 복원모듈은 휨과 인장에 대해 지반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포장체 위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복원모듈이 강성이 이러한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지반의 침하가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ing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fiber shell so that the restoring module made of piles or beams is placed under the package, and since the restoring module has greater rigidity than the ground against bending and tensioning, the load is applied to the package. Even if the restoration module is to support this load of rigidity,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is reduced by that much.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원모듈에서 압입쐐기가 복원말뚝 내부로 더 박히게 됨에 따라 복원말뚝의 단면크기가 더 커지도록 팽창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복원말뚝이 포장체를 위로 밀어내어 상향 수직변위를 발생시킴으로써 포장체에 발생하였던 하향의 수직변위가 회복되어 포장체의 상면이 다시 평평하게 만들어져 포장체의 침하가 다시 복원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dentation wedge in the restoring module is further embedded into the restoring pile,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restoring pile is expanded so that the restoring pile pushes the package upwards to generate an upward vertical displacement. The downward vertical displacement that occurred in the sieve is recover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e is made flat again, so that the settlement of the package is restor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침하 복원 작업이 압입쐐기의 압입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복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ttlement resto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press-fitting of the indentation wedge, the resto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계적인 과정을 통해 침하를 회복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만큼 지반 내로의 약액 주입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침하 복원작업을 그만큼 더 친환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recover the settlement through the mechanical proces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jec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nto the ground by that muc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erformed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settlement restoration work.
한편, 위와 같은 침하 복원작업을 수행한 후에 또다시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압입쐐기를 복원말뚝의 내부로 더욱 깊게 박아서 복원말뚝의 단면적을 더욱 팽창시켜 추가적인 침하를 복원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구간에 침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위와 같이 압입쐐기의 추가 압입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침하복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ttlement occurs again after performing the above settlement restoration work, the indentation wedge can be driven deeper into the restoration pile to further exp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storation pile to restore additional settlement. Even if the settlement occurs repeatedly by repeating the additional indentation operation of the indentation wedg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settle restoration.
본 발명에 따른 복원모듈의 채움재는 쇄석이나 모래와 같이 친환경적이고 배수가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원모듈이 배수공(drain hole)으로서도 기능하여 유입 지표수 등이 용이하게 배수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iller of the resto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asy to drain material, such as crushed stone or sand, and thus the restoration module also functions as a drain hole, so that the inflow surface water is easily drained. do.
도 1은 지반에 본 발명에 따른 복원모듈이 설치되고 그 위에 포장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포장체와 복원모듈과 지반의 종방향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포장체와 복원모듈과 지반의 횡방향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모듈에서 복원말뚝에 압입쐐기가 끼워지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응되는 종방향 단면도로서 지반이 침하되어 포장체에 하향의 수직변위가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압입쐐기가 복원기둥 내부로 더 압입 진출하여 포장체의 침하 복원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6의 선 C-C와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sto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ground and a package is installed there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show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ackage, the restoration module, and the ground.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ackage, the restoration module, and the ground in the lateral direc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ress-fitting wedge is fitted to the restoration pile in the resto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2, which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round is subsided and a vertical vertical displacement occurs in a package.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tate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fit wedge is further push-ined into the restoration column to restore settlement of the package. FIG.
7 and 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CC and the line DD of FIG. 6,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에는 지반에 본 발명에 따른 복원모듈이 설치되고 그 위에 포장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포장체와 복원모듈과 지반의 종방향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포장체와 복원모듈과 지반의 횡방향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모듈에서 복원말뚝(10)에 압입쐐기(20)가 끼워지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sto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ground and a package is installed thereon, and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odule and the ground is shown, and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showing a cross-section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ackage, the restoration module and the ground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s show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ress-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침하 복원구조에서는, 지반(2)과 포장체(3) 사이에 복원말뚝(10)과 압입쐐기(20)로 이루어진 복원모듈(1)이 설치된다. 즉, 지반(2)의 상면에 복원모듈(1)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원모듈(1) 위로 자갈도상 궤도와 같은 구조체가 설치되거나,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철도 도상과 같은 포장체(3)가 설치되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settlement restor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복원모듈(1)은, 지오그리드나 와이어 매쉬 등과 같은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외피(11)로 외부가 감싸져 있고 내부에는 쇄석, 토사, 소일시멘트 등의 채움재가 채워져서 포장체(3)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기둥형태의 복원말뚝(10)과, 횡방향으로 상기 복원말뚝(10)의 단부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끼워지는 압입쐐기(20)로 구성된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복원말뚝(10)은 지오그리드나 와이어 매쉬 등과 같은 토목섬유의 섬유망으로 이루어진 섬유외피(11)가 쇄석, 토사, 소일시멘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채움재를 감싸고 있는 구성을 가지는데, 원형이나 타원형 내지 기타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있고 포장체(3)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누워서 설치된다. 즉, 인장강도를 가지는 토목섬유로 만들어진 섬유망이나 직물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 형상의 자루 형태로 섬유외피(11)를 형성하고 상기 섬유외피(11)의 내부에 채움재를 채운 형태로 복원말뚝(10)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압입쐐기(20)는 복원말뚝(10)의 양단부에서 복원말뚝(10)의 길이방향(복원말뚝(10)이 지반 위에 놓인 상태에서는 횡방향)으로 복원말뚝(10)의 중심을 향하여 복원말뚝(10) 내부로 끼워져서, 섬유외피(11)에 채워진 채움재가 가압되도록 하여 복원말뚝(10)의 단면이 팽창하게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압입쐐기(20)는 외측면으로부터 복원말뚝(10)에 끼워지는 방향의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한쪽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압입쐐기(20)는 목재,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하여 테이퍼진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압입쐐기(20)의 테이퍼진 부분을 형성할 때, 압입쐐기(20)의 하면은 직선을 유지하여 일정하되 상면이 기울어져 테이퍼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활한 침하 복원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복원말뚝(10)의 양단에 상기 압입쐐기(20)가 박혀 있는 상태로 복원모듈(1)이 제작되는데, 상기 압입쐐기(20)는 복원말뚝(10)에 완전히 박혀 있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것처럼 침하 발생시 이를 복원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압입쐐기(20)가 복원말뚝(10)의 내부로 더 압입되어 진출할 수 있는 정도의 여유는 남겨두고 박혀 있는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압입쐐기(20)의 타측은 복원말뚝(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복원말뚝(10)의 양측에 압입쐐기(20)가 박혀 있는 상태에서, 양측 압입쐐기(20)의 복원말뚝(10) 내부 방향의 테이퍼진 일측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여, 압입쐐기(20)가 복원말뚝(10)의 내부로 더 진출할 수 있을 정도로만 박혀 있는 것이다.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복원모듈(1)은 그 길이방향이 포장체(3)의 횡방향과 일치하도록 지반(2)의 지면에 놓이는데, 침하 복원구조가 필요한 구간에 걸쳐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복원모듈(1)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복원모듈(1)이 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원모듈(1)의 상면과 지반(2)의 다른 부분 상면은 그 높이가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면에 복원모듈(1)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복원모듈(1)이 종방향으로 복수개 연속배치된 상태에서 지반(2)과 상기 복원모듈(1) 위로 포장체(3)가 시공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침하 복원구조가 이루어진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복원모듈(1) 위에 토사를 덮은 상태에서 그 위에 포장체(3)를 설치하여, 복원모듈(1)의 상면과 포장체(3)의 하면 사이에 토사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Restoration module (1) made to have such a configuration is placed on the ground of the ground (2)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3), a plurality of longitudin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 the section that needs the settlement restoring
이와 같이, 지반(2)에 복원모듈(1)이 놓이고 그 위에 포장체(3)가 시공된 구조에서는 우선 복원모듈(1)의 존재로 인하여 포장체(3)의 침하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발휘된다. 채움재가 섬유외피(11)에 담겨서 말뚝 내지 보 형상으로 만들어진 복원모듈(1)이 포장체(3) 아래에 놓이게 되고, 이러한 복원모듈(1)은 휨과 인장에 대해 지반(2)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포장체(3)는 지반(2)보다 강성이 큰 복원모듈(1)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포장체(3) 위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복원모듈(1)이 강성이 이러한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지반(2)의 침하가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도 5는 도 2에 대응되는 종방향 단면도로서 지반(2)이 침하되어 포장체(3)에 하향의 수직변위가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1 내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6은 압입쐐기(20)가 복원기둥(10) 내부로 더 압입진출하여 포장체(3)의 침하 복원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6의 선 C-C와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2, which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침하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이며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침하가 발생한 상태인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지반(2) 자체의 추가 압밀이나 포장체(3) 상부의 상재 하중 등으로 인하여 복원모듈(1) 아래에서 지반의 침하가 발생하게 되면 포장체(3)에도 하향의 수직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The dotted line in FIG. 5 is a state before settlement occurs and the solid line is a settlement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additional consolidation of the
이 경우, 포장체(3)의 하향 수직변위 상태 즉, 포장체(3)의 침하를 복원하기 위하여,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복원말뚝(10)의 양단에 끼워져 있던 압입쐐기(20)는 복원말뚝(10)의 중심 방향으로 더 끼워진다. 즉, 타격이나 기타 방법을 통해서 압입쐐기(20)를 복원말뚝(10) 내부로 더 박게 되는 것이다. 도로 포장의 경우, 압입쐐기(20)의 타격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때에는 압입쐐기(20)를 짧게 나누어서 제작하고, 이렇게 분할된 상태로 제작된 압입쐐기를 볼트 결합시키면서 회전함으로써, 압입쐐기(20)를 압입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restore the downward vertical displacement state of the
압입쐐기(20)의 내측 단부는 테이퍼져 있으므로, 압입쐐기(20)가 복원말뚝(10)의 내부를 향하여 더 박히게 되면, 복원말뚝(10)의 섬유외피(11)에 채워져 있던 채움재는 양측으로 가압력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복원말뚝(10)은 그 단면적이 커지는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또한 압입쐐기(20)의 테이퍼진 부분의 위쪽에 있던 채움재는 복원말뚝(10)의 중심방향과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복원말뚝(10)의 단면적이 팽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압입쐐기(20)가 더 박히게 됨에 따라 복원말뚝(10)은 그 단면크기가 더 커지도록 팽창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복원말뚝(10)이 포장체(3)를 위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포장체(3)에 발생하였던 하향의 수직변위가 회복되어 포장체(3)의 상면이 다시 평평하게 만들어진다. 즉, 지반침하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포장체(3)에 대해 상향의 수직변위를 발생시켜 포장체(3)의 침하가 다시 복원되는 것이다. Since the inner end of the press-fit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반침하로 인하여 포장체(3)에 하향 수직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압입쐐기(20)를 복원말뚝(10)의 내부로 더 깊게 박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쉽게 포장체(3)의 수직변위를 복원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침하를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종래와 같이 지반에 약액을 주입하는 방법을 병행할 수 있는데, 앞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해서 침하의 상당부분을 회복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만큼 약액 주입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침하 복원작업을 그만큼 더 친환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downward vertical displacement occurs in the
한편, 위와 같은 침하 복원작업을 수행한 후에 또다시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압입쐐기(20)를 복원말뚝(10)의 내부로 더욱 깊게 박아서 복원말뚝(10)의 단면적을 더욱 팽창시켜 추가적인 침하를 복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구간에 침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위와 같이 압입쐐기(20)의 추가 압입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침하복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settlement occurs again after performing the settlement restor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by pushing the
본 발명에 따른 복원모듈(1)은 위와 같은 침하복원 기능 이외에 배수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데, 복원모듈(1)의 섬유외피(11)에 채워진 채움재로서 쇄석이나 모래와 같이 친환경적이고 배수가 용이한 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복원모듈(1)이 배수공(drain hole)으로서도 기능하여 유입 지표수 등이 용이하게 배수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Restoration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drainage function in addition to the restorative restora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is an eco-friendly and easy drainage, such as crushed stone or sand as a filler filled in the
1: 복원모듈, 2: 지반, 3: 포장체, 10: 복원말뚝, 20: 압입쐐기1: restoration module, 2: ground, 3: package, 10: restoration pile, 20: press-fit wedge
Claims (4)
복원말뚝(10)과 압입쐐기(20)로 이루어져 강성을 가짐으로써 포장체(3)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원모듈(1)이, 상기 복원말뚝(10)의 길이 방향이 포장체(3)의 횡방향과 일치하도록 지반(2)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반(2)과 상기 복원모듈(1) 위로 포장체(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원모듈(1)은, 섬유외피(11)로 외부가 감싸져 있고 내부에는 채움재가 채워져서 포장체(3)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둥형태의 복원말뚝(10)과, 횡방향으로 상기 복원말뚝(10)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복원말뚝(10)의 중심방향으로 끼워지되 일측은 복원말뚝(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압입쐐기(20)를 포함하며;
복원모듈(1) 아래에서의 지반침하에 의해 포장체(3)의 하향 수직변위가 발생한 상태가 되면, 복원말뚝(10)의 양단에 끼워져 있던 상기 압입쐐기(20)를 인위적으로 복원말뚝(10)의 중심 방향으로 더 밀어 넣어 상기 압입쐐기(20)를 복원말뚝(10)에 더 깊게 박음으로써, 복원말뚝(10)의 섬유외피(11)에 채워져 있던 채움재가 상기 압입쐐기(20)의 가압력을 받아 복원말뚝(10)의 중심방향과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복원말뚝(10)이 단면적이 커지도록 팽창하게 되어, 포장체(3)에 상향 수직변위를 가하여 침하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 복원구조.
As a structure for restoring the settlement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package (3) according to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2),
Restoration module (10) supporting the load on the package 3 by having a rigidity consisting of a restoration pile 10 and the press-fitting wedge 20,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pile 10 is the package (3) A plurality of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2) to coincide with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A package 3 is installed on the ground 2 and the restoration module 1;
The restoring module 1 has a column-shaped restoring pile 10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3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ber shell 11 and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therei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ress-fitting wedges configured to have a tapered shape, each of which is f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restoring pile 10 from both end portions of the restoring pile 10, the one end of which is smaller in cross-section toward the restoring pile 10 ( 20);
When the downward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ackage 3 occurs due to the ground subsidence under the restoration module 1, the press-fitting wedges 20, which are fitted to both ends of the restoration pile 10, are artificially restored. By further push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press the wedge 20 deeper into the restoring pile 10, the filling material that was filled in the fiber jacket 11 of the restoring pile 10 is the pressing force of the indenting wedge 20 Receiv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nd the upward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pile 10, the restoration pile 10 is expand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by applying an upward vertical displacement to the package (3) to recover the settlement Settlement Restoration Structure.
상기 압입쐐기(20)의 테이퍼진 형상의 일측은, 그 하면은 기울어지지 않고 직선을 유지하되 상면이 기울어져 테이퍼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 복원구조.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tapered shape of the press-fit wedge 20, the lower surface is not tilted to maintain a straight line, but the upper surface is inclined restoring restor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ed shape.
상기 복원모듈(1)의 섬유외피(11)에 채워져 감싸지는 채움재는 쇄석, 토사, 소일시멘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 복원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illing material to be filled and wrapped in the fiber jacket 11 of the restoration module 1, the settlement resto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rushed stone, earth and sand, soil cement or a mixture thereof.
섬유외피(11)로 외부가 감싸져 있고 내부에는 채움재가 채워져서 포장체(3)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둥형태의 복원말뚝(10)과, 횡방향으로 상기 복원말뚝(10)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복원말뚝(10)의 중심방향으로 끼워지되 일측은 복원말뚝(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압입쐐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강성을 가짐으로써 포장체(3)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원모듈(1)을, 상기 복원말뚝(10)의 길이 방향이 포장체(3)의 횡방향과 일치하도록 지반(2)의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지반(2)과 상기 복원모듈(1) 위로 포장체(3)를 설치하는 단계; 및
복원모듈(1) 아래에서의 지반침하에 의해 포장체(3)의 하향 수직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복원말뚝(10)의 양단에 끼워져 있던 상기 압입쐐기(20)를 복원말뚝(10)의 중심 방향으로 더 박아서, 섬유외피(11)에 채워져 있던 채움재를 복원말뚝(10)의 중심방향과 위쪽 방향으로 움직여서 복원말뚝(10)의 단면적이 팽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포장체(3)에 상향 수직변위를 가하여 침하를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 복원방법. As a method of restoring the settlement of the package (3) in accordance with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2),
The outer shell is surrounded by the fiber shell 11 and the filling material is filled therein so that the pillar-shaped restoration pile 10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3 and both sides of the restoration pile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Each end is fitted into the center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pile 10, one s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fitting wedge 20 configured to have a tapered shape that the cross-section becomes smaller toward the direction fitted to the restoration pile 10 is rigid By having a restoring module (1)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ackage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2)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pile 10 coincides with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ckage (3), Sequentially placing a pluralit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talling a package (3) over the ground (2) and the restoration module (1); And
When downward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package 3 occurs due to ground subsidence under the restoration module 1, the press-fit wedges 20 fitted to both ends of the restoration pile 10 may be centered on the restoration pile 10.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moving the filler material filled in the fiber jacket 11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nd the upward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pile 10 so as to exp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storation pile 10. Settlement resto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recover the settlement by applying an upward vertical displac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075A KR101222078B1 (en) | 2010-07-14 | 2010-07-14 | Recovering Structure and Method of Base Displacement by side injection of we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075A KR101222078B1 (en) | 2010-07-14 | 2010-07-14 | Recovering Structure and Method of Base Displacement by side injection of wed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353A KR20120007353A (en) | 2012-01-20 |
KR101222078B1 true KR101222078B1 (en) | 2013-01-15 |
Family
ID=4561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8075A Active KR101222078B1 (en) | 2010-07-14 | 2010-07-14 | Recovering Structure and Method of Base Displacement by side injection of we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207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7422A (en) | 2015-12-08 | 2017-06-1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elf-recovery modu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KR102429100B1 (en) * | 2022-03-16 | 2022-08-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recovering roadbed settlement of non-ballast track using non-curable grouting material and method for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443U (en) * | 1999-05-06 | 2000-12-05 | 박종근 | rock drilling device |
KR100913423B1 (en) | 2008-04-24 | 2009-08-21 | (주)대한콜크 |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
KR20090124056A (en) * | 2008-05-29 | 2009-12-03 | 서동수 | Sidewalk pavement |
JP2010163769A (en) | 2009-01-14 | 2010-07-29 | Tokyo Geotech Kk | Step preventiv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paved road |
-
2010
- 2010-07-14 KR KR1020100068075A patent/KR1012220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443U (en) * | 1999-05-06 | 2000-12-05 | 박종근 | rock drilling device |
KR100913423B1 (en) | 2008-04-24 | 2009-08-21 | (주)대한콜크 |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
KR20090124056A (en) * | 2008-05-29 | 2009-12-03 | 서동수 | Sidewalk pavement |
JP2010163769A (en) | 2009-01-14 | 2010-07-29 | Tokyo Geotech Kk | Step preventiv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paved roa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7422A (en) | 2015-12-08 | 2017-06-1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elf-recovery modu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KR102429100B1 (en) * | 2022-03-16 | 2022-08-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recovering roadbed settlement of non-ballast track using non-curable grouting material and method for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353A (en) | 2012-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8992B1 (en) | Method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fixed rail carriageway | |
CN105002835B (en) | Underpinning method for lower bridge of open-cut tunnel | |
CN112048955B (en) | Construction method for backfilling gravel roadbed | |
KR101260397B1 (en) | Single Pile Concrete Track Structure and Its Settlement Recovering Device | |
KR101507523B1 (en) | Slab track structure for railway with lattice approach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CN103194962B (en) |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ducing abutment staggering based on flexible pile | |
KR20150073819A (en) | Reinforced railway roadb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improving construction speed in soft ground | |
KR20180082226A (en) | Track bearing pile structure for strengthening end bearing capacity to restrain subsidence of soft soi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CN203295966U (en) | Structure for reducing bumping of bridge abutment based on flexible piles | |
KR101187282B1 (en) | Railway bridge constructing method using 2 post type abutment structure | |
KR101222078B1 (en) | Recovering Structure and Method of Base Displacement by side injection of wedge | |
KR20080025478A (en) | Non-adhesive tunnel excavation method and tunnel structure installed by the method | |
CN103821038B (en) | High-speed railway subgrade arch repairing and reinforcement structure | |
EP2744942B1 (en) | Railway track support system | |
CN212316575U (en) | Be used for highway to expand ground processing structure | |
KR100603888B1 (en) | Alternating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by Post Tension | |
RU2536538C1 (en) | Method for reduction of deformations of motor and railway roads on permafrost soils that thaw out in process of operation | |
JP2004169381A (en) | Method for repairing existing railway track | |
RU2043455C1 (en) | Method for building road bed | |
CN105887795B (en) | The long counter-force loading preloading method of Abutment Back soft soil foundation gradual change stake | |
CN210458818U (en) | Subgrade structure that bridge head prevented subsiding | |
CN211312037U (en) | Roadbed and pavement structure for preventing uneven settlement of motor vehicle lane under viaduct | |
KR101889308B1 (en) | Safety fence of structure and establishment method for a use and Steel-concrete | |
KR102430057B1 (en) | Method for restoring the settlement of railroad concrete ballast | |
CN107858886B (en) | Viaduct foundation peripheral ground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