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432B1 - 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 Google Patents
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1432B1 KR101221432B1 KR1020110003961A KR20110003961A KR101221432B1 KR 101221432 B1 KR101221432 B1 KR 101221432B1 KR 1020110003961 A KR1020110003961 A KR 1020110003961A KR 20110003961 A KR20110003961 A KR 20110003961A KR 101221432 B1 KR101221432 B1 KR 1012214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fluid flow
- flow passage
- bent
- position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는 유체유동통로를 가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1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2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유체유동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며, 그 측방에는 파여진 홈인 핸들삽입홈이 형성된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사이에 위치 고정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된 구멍인 위치결정공이 형성된 스톱플레이트와, 상기 핸들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굴곡부를 가지며, 그 끝단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에 삽입되며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에 삽입되지 않는 와이어스프링부재와, 상기 핸들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의 굴곡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의 끝단를 제2위치에 있게 하여 상기 핸들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터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고장의 발생이 억제되며,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며, 진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시건 장치를 첨가하여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 body member having a fluid flow passag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nd a first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member,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flow passage A fluid flow passage, the second fluid flow passag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member,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flow passage, and positioned in the fluid flow passage of the body member, rotated in the fluid flow passage to rotate the fluid flow passage.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allowing and blocking the flow of the fluid,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to rotate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a handle member having a handle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side thereof, the handle member and the main body member. A stop plate having a positioning hole, which is fixed between and has a plate shape, and has a positioning hole, which is a hole penetrating downward from above, and the handle member And a bent portion, th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when in the first position and not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when in the second position, into the handle insertion groove. And a master key inserted into and pushing up the bent portion of the wire spring member so that the end of the wire spr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reby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member. Occurrence is suppressed, maintenance and repair is easy, and even if it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vibration occurs frequently, arbitrary change of fluid flow can be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trictly limit the operation of the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동을 각 단계별 유동량으로 고정하여 허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편리하고, 밸브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허가된 작업자만에 밸브를 조작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fix and allow fluid flow at each stage flow rate, which is convenient for its use and prevents arbitrary operation of the valve. It relates to a handle malfunction and release valve that can be safely used by allowing the valve to be operated.
일반적으로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밸브는 각종의 산업 현장에서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valve that allows and blocks the flow of the fluid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industrial sites.
또한, 유체 유동의 극단적인 차단이나 극단적인 허용만을 위해서 사용하는 밸브가 아니라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amount of the fluid is widely used, not a valve used only for the extreme blocking or the extreme tolerance of the fluid flow.
예를 들어, 흔히 집이나 아파트 등지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경우는 주로 가스 흐름의 극단적인 허용이나 차단만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며, 그 외 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밸브는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것이 널리 사용된다. For example, the gas commonly used in homes or apartments is mainly used for the extreme permitting or blocking of gas flow, and the valves mainly used in industrial sites are widely used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do.
그런데,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사용하면서 그 밸브의 사용 위치가 진동이 꾸준히 발생하는 곳이거나, 유체의 유동량의 조그마한 변화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곳일 경우에는, 밸브의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부위가 임의적인 움직임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밸브가 개발되지 않아 그러한 밸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By the way, when using the valve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while the position of use of the valve is a place where the vibration occurs steadily, or a fatal result even a slight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flui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andom movement of the site, such a valve is not developed is the development of such a valve is urgent situation.
또한, 상술한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를 구현하면서 각종 전자 장치를 사용하면 그 밸브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어며,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i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used while implementing a valve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a random change in the fluid flow amount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of the valve is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or repair thereof is not easy. .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면서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의 개발이 시급한 것이다.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valv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a random change in the fluid flow amount while being easy to be repaired or repaired because a failure does not occur.
특히 반도체의 생산 공장에서 사용되는 밸브의 경우는 그 통과되는 유체의 중요성으로 인해서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사용함은 물론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valve used in a semiconductor production plant,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it,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often used, and the operation of the valve is strictly limited unless an authorized operator is used.
이러한 경우에는 허가된 작업자만이 그 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In such cases, a device is needed that allows only authorized personnel to operate the valv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의 발생이 억제되어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며, 진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시건 장치를 첨가하여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할 수 있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have a simple structure, the occurrence of failure is suppressed, easy to repair or repair, even if installed in a place where vibration frequently occu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which can prevent an arbitrary change and add a locking device that can operate the valve to strictly limit the operation of the valve unless an authorized operator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는,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는 유체유동통로를 가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1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2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유체유동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며, 그 측방에는 파여진 홈인 핸들삽입홈이 형성된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사이에 위치 고정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된 구멍인 위치결정공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 수개 형성된 스톱플레이트와, 상기 핸들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굴곡부를 가지며, 그 끝단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에 삽입되며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에 삽입되지 않는 와이어스프링부재와, 상기 핸들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의 굴곡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의 끝단를 제2위치에 있게 하여 상기 핸들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터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member having a fluid flow passag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therein,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member, and the fluid flow passage and A first fluid flow port communicated with the other end of the body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flow path, and positioned in a fluid flow path of the body member, and rotated in the fluid flow path,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allowing and blocking the flow of fluid into the fluid flow passage, coupled with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rotat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 handle member having a handle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side thereof, the handle member; Positionally fixed between the main body member, the side shape has a plate shape, the positioning hole, which is a hole penetr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s resto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stop plates formed inside the handle member and having a bent portion, the end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when in the first position and not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when in the second position; And a master key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ng groove to push up the bent portion of the wire spring member so that the end of the wire spr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to enable rotation of the handle member.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로부터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수평부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로부터 굴곡되어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키가 상기 핸들삽입홈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2수직부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마스터기가 상기 핸들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마스터키가 상기 굴곡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굴곡부를 상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제2수직부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회전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ire spring member of the handle malfunction and loosening prevent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clined portion extending inclined downwar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is bent from the inclined portion An extended bent portion,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bent portion, a second horizontal portion bent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 second vertical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horizontal portion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s, wherein the end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if the master key is not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on groove, Rotation is prevented, and when the master device is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ng groove, the master key is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and pushes the bent portion upward. The end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position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f the handle member is allowed.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의 발생이 억제되어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며, 진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시건 장치를 첨가하여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andle malfunction and loosening prevent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simple structure, the occurrence of failure is suppressed, easy to repair or repair, and even when installed in a place where vibration frequently occurs, it is possible to prevent arbitrary changes in fluid flow rate. In addition, the addition of a locking device to operate the valve has the effect of strictl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unless authorized personnel are presen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스톱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malfunction and release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stop plate of the handle malfunction and release valve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shown in Figure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스톱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1 to 3 illustrate a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lan view of a stop plate of the handle malfunction and release valv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handle malfunction and release valve shown in FIG. 1, respectively.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100)는 본체부재(10)와, 제1유체유동구(20)와, 제2유체유동구(30)와, 개폐부재(40)와, 핸들부재(50)와, 스톱플레이트(60)와, 와이어스프링부재(70)와, 마스터키(8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handle malfunction and loosening prevention valv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본체부재(10)는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는 유체유동통로(12)를 가진다. The
상기 제1유체유동구(20)는 상기 본체부재(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것이다. The first
상기 제2유체유동구(30)는 상기 본체부재(1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것이다. The second
상기 개폐부재(40)는 상기 본체부재(10)의 유체유동통로(12)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12)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것이다. The opening and clos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재(40)는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볼로 구성되며, 이는 기존의 볼 밸브에서 채택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핸들부재(50)는 상기 개폐부재(40)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4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The
상기 스톱플레이트(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50)와 상기 본체부재(10)에 사이에 위치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이며 평면적인 형상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파여진 관통공인 위치결정공(62)이 복 수개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위치결정공(60)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의 사용 환경이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용도에 적합하도록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는 상기 핸들부재(50)의 내부에 위치되며, 굴곡부(73)를 가지며, 그 끝단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며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지 않는 것이다. The
상기 마스터키(80)는 상기 핸들삽입홈(52)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의 굴곡부(73)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의 끝단를 제2위치에 있게 하여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는, 제1수평부(71)와, 경사부(72)와, 굴곡부(73)와, 제1수직부(74)와, 제2수평부(75)와, 제2수직부(76)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제1수평부(71)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The first
상기 경사부(72)는 상기 제1수평부(71)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다. The
상기 굴곡부(73)는 상기 경사부(72)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것이다. The
상기 제1수직부(74)는 상기 굴곡부(73)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The first
상기 제2수평부(75)는 상기 제1수직부(74)로부터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수평부(71)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The second
상기 제2수직부(76)는 상기 제2수평부(75)로부터 굴곡되어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The second
따라서, 상기 마스터키(80)가 상기 핸들삽입홈(52)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마스터기(80)가 상기 핸들삽입홈(52)에 삽입되면 상기 마스터키(80)가 상기 굴곡부(73)와 접촉되면서 상기 굴곡부(73)를 상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6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이 허용되는 것이다. Therefore, i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Handle malfunction and loosening prevention valv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먼저, 상기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100)가 유체의 유동을 어느 일정한 양에서 허용하는 상태라 가정한다.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handle malfunction and anti-loosening valve 100 allows a certain amount of flow of the fluid.
이때는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의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스톱플레이트(60)의 위치결정공(6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62)에 삽입이 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움직임이 방지된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부재(50)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상기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핸들부재(5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조작이 방지되는 것이다. In the above state, even if the
이어서, 상기 핸들부재(50)를 회전시켜 통과되는 유체의 유동량을 변화시키려고 하면, 허가받은 작업자가 상기 마스터키(80)를 상기 핸들부재(50)의 핸들삽입홈(52)에 삽입한다. Subsequently, when attempting to change the flow amount of the fluid passing by rotating the
이에 따라, 상기 마스터키(80)가 상기 굴곡부(73)와 접촉되면서 상기 굴곡부(73)를 상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6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이 허용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이렇게 상기 핸들부재(50)를 다시 조작하여 상기 핸들부재(50)를 원하는 위치에 놓고 나서 상기 마스터키(80)를 상기 핸들부재(50)로부터 분리시킨다. By operating the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62)에 다시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end of the second
10. 본체부재 12. 유체유동통로
20. 제1유체유동구 30. 제2유체유동구
40. 개폐부재 50. 핸들부재
52. 핸들삽입홈 60. 스톱플레이트
62. 위치결정공 70. 와이어스프링부재
71. 제1수평부 72. 경사부
73. 굴곡부 74. 제1수직부
75. 제2수평부 76. 제2수직부10.
20. Fluid flow zone 1 30. Fluid flow zone 2
40. Opening and closing
52. Handle
62.
71. The first
73.
75.
Claims (2)
상기 본체부재(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제1유체유동구(20);
상기 본체부재(1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제2유체유동구(30);
상기 본체부재(10)의 유체유동통로(12)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12)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40);
상기 개폐부재(40)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40)를 회전시키며, 그 측방에는 파여진 홈인 핸들삽입홈(52)이 형성된 핸들부재(50);
상기 핸들부재(50)와 상기 본체부재(10)에 사이에 위치 고정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된 구멍인 위치결정공(62)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 수개 형성된 스톱플레이트(60);
상기 핸들부재(50)의 내부에 위치되며, 굴곡부(73)를 가지며, 그 끝단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며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지 않는 와이어스프링부재(70);
상기 핸들삽입홈(52)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의 굴곡부(73)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의 끝단를 제2위치에 있게 하여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터키(8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스프링부재(70)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수평부(71)와,
상기 제1수평부(71)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72)와,
상기 경사부(72)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부(73)와,
상기 굴곡부(73)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74)와,
상기 제1수직부(74)로부터 굴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수평부(71)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제2수평부(75)와,
상기 제2수평부(75)로부터 굴곡되어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부(76)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키(80)가 상기 핸들삽입홈(52)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마스터키(80)가 상기 핸들삽입홈(52)에 삽입되면 상기 마스터키(80)가 상기 굴곡부(73)와 접촉되면서 상기 굴곡부(73)를 상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제2수직부(76)의 끝단이 상기 위치결정공(6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A main body member 10 having a fluid flow passage 12 through which fluid flows;
A first fluid flow port 20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member 10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flow path 12;
A second fluid flow port 3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member 10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flow path 12;
An opening / closing member (40) positioned in the fluid flow passage (12) of the main body member (10) to rotate in the fluid flow passage (12) to allow and block the flow of fluid to the fluid flow passage (12);
A handle member 50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0 to rotate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0 and a handle insertion groove 52 formed at a side thereof to be a recessed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handle member 50 and the main body member 10, the side shape has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62 which are holes penetrated downward from the top Formed stop plate 60;
It is located inside the handle member 50 and has a bent portion 73, th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62 when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positioning hole 62 when in the second position. A wire spring member 70 not inserted into the wire spr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on groove 52 to push up the bent portion 73 of the wire spring member 70 to bring the end of the wire spring member 70 in the second position to rotate the handle member 50 It includes; master key 80 to enable,
The wire spring member 70,
A first horizontal portion 71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inclined portion 72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71;
A bent portion 73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inclined portion 72;
A first vertical portion 74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bend 73;
A second horizontal portion 75 that is bent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74 and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71;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76 that is bent from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75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s.
If the master key 80 is not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on groove 52, the end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76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62, thereby causing arbitrary rotation of the handle member 50. When the master key 8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ng groove 52, the master key 80 is in contact with the bent part 73 and the bent part 73 is pushed upwards to prevent the second key part from being pushed upward. A handle malfunction and loosening prevent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76) is separated from the positioning hole (62) to allow rotation of the handle member (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3961A KR101221432B1 (en) | 2011-01-14 | 2011-01-14 | 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3961A KR101221432B1 (en) | 2011-01-14 | 2011-01-14 | 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2595A KR20120082595A (en) | 2012-07-24 |
KR101221432B1 true KR101221432B1 (en) | 2013-01-11 |
Family
ID=4671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3961A Active KR101221432B1 (en) | 2011-01-14 | 2011-01-14 | 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143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7140A (en) | 2016-10-31 | 2018-05-10 | 아래스 주식회사 | Handle for the flow control valve |
KR20180130751A (en) | 2017-05-30 | 2018-12-10 | 아래스 주식회사 | Diaphragm valve with keylock handle for flow control |
KR20180137666A (en) | 2017-06-19 | 2018-12-28 | 아래스 주식회사 | Ball valve with keylock handle for flow control |
KR102486665B1 (en) | 2021-07-21 | 2023-01-11 | 주식회사 엠피테크 | Valve locking apparatus of double locking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6920Y1 (en) * | 1987-12-23 | 1990-08-02 | 김정남 | Card key for vehicle |
JP3148301U (en) * | 2008-08-14 | 2009-02-12 | 同一工業有限公司 | Valve device |
-
2011
- 2011-01-14 KR KR1020110003961A patent/KR1012214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6920Y1 (en) * | 1987-12-23 | 1990-08-02 | 김정남 | Card key for vehicle |
JP3148301U (en) * | 2008-08-14 | 2009-02-12 | 同一工業有限公司 | Valve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7140A (en) | 2016-10-31 | 2018-05-10 | 아래스 주식회사 | Handle for the flow control valve |
KR20180130751A (en) | 2017-05-30 | 2018-12-10 | 아래스 주식회사 | Diaphragm valve with keylock handle for flow control |
KR20180137666A (en) | 2017-06-19 | 2018-12-28 | 아래스 주식회사 | Ball valve with keylock handle for flow control |
KR102486665B1 (en) | 2021-07-21 | 2023-01-11 | 주식회사 엠피테크 | Valve locking apparatus of double lock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2595A (en) | 2012-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1432B1 (en) | 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 |
KR101218396B1 (en) | 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 |
JP5943980B2 (en) | Electric feedback device | |
US20140130917A1 (en) | Valve device and fluid coupling comprised thereof | |
KR101479295B1 (en) | Safety apparatus of gas valve | |
CN104976393B (en) | Emergency shut-off valve | |
CN204785009U (en) | Latching valve door subassembly | |
CN104806780A (en) |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with the same | |
CN102369382A (en) | Manual valve operators having a lockout device | |
JP6242500B2 (en) | Fire extinguishing fluid nozzle system for stationary fire extinguishing systems with a throttling ring, and throttling rings for fire extinguishing fluid nozzles and fire extinguishing fluid nozzles | |
KR20120004596U (en) | Valve for loose prevention | |
US8806906B1 (en) | Actuator lock-out bracket | |
CN105588613B (en) | Orifice flowmeter safety device | |
KR101314494B1 (en) | Valve nut locking apparatus | |
CN108591521B (en) | Novel multifunctional valve | |
TW201326583A (en) | Mounting device | |
CN106907503A (en) | The stop device of ball valve and ball-valve valve rod | |
KR101819460B1 (en) | Ball Valve Preventing Random Manipulation | |
US9217514B1 (en) | Actuator lock-out bracket | |
JP6144663B2 (en) | Fluid control valve | |
KR101223118B1 (en) | Valve locking device | |
JP6721375B2 (en) | Rotary valve | |
KR20120072588A (en) | Globe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using check valve with spring | |
KR101196190B1 (en) | hammer fluid distribute control valve | |
JP3149985U (en) | Valve misoperation preven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