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0999B1 -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 Google Patents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99B1
KR101220999B1 KR1020110023916A KR20110023916A KR101220999B1 KR 101220999 B1 KR101220999 B1 KR 101220999B1 KR 1020110023916 A KR1020110023916 A KR 1020110023916A KR 20110023916 A KR20110023916 A KR 20110023916A KR 101220999 B1 KR101220999 B1 KR 10122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r
pliers
semi
circu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067A (ko
Inventor
김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2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9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22Pliers provided with auxiliary tool elements, e.g. cutting edges, nail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에 관한 것으로, 반원 형상부(111)와; 바아 형상부(112); 힌지축(113); 파지부(114); 및 걸림쇠(115);로 구성된 상부 전선분리대(110)를 상부 집게부(10)와 나란하게 배열하고, 반원 형상부(121)와; 바아 형상부(122); 힌지축(123); 및 오목부;로 구성된 하부 전선분리대(120)를 하부 집게부(10)와 나란하게 배열하여, 파지부(114)의 선회이동을 통해 상부 전선분리대(110)와 하부 전선분리대(120)를 회동시키고, 각각의 전선지지부(11)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확장부(14)를 전개시켜 그 내부에 전선의 동선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Pincers capable of detaching electric wire from 3-Phase electric type watt-hour-meter in the live wire state}
본 발명은 전력량계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는 펜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량계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활성상태 하에서도 분리가능하게 하는 펜치에 관한 것이다.
3상 전력량계를 교체할 경우에, 작업자들은 1차측 인입구 배선 접속접을 분리하고 사선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사선상태 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집합계기 등이 부설되어 있는 빌딩에서 1차측 인입구 배선을 차단(혹은 절단)할 경우, 빌딩 전체가 정전될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빌딩 관리책임자와의 정전협의 자체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활선상태 하에서 전력량계를 교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3상 전력량계를 활선상태에서 교체하는 과정은 숙련된 작업자들만이 가능하며, 이 또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만한 안전장구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의지할 수 밖에는 없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아래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결선된 전력량계를 교체하였다.
즉, 작업자는 각각의 전력량계 부하측 배선을 전력량계 단자에서 분리하고, 배선의 동선을 테이핑한다. 그런 다음에, 작업자는 다른 전력량계 부하측 배선을 분리하고 배선을 테이핑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각 선간 혼촉을 예방조치한 다음에, 전력량계를 교체하게 된다.
이러한 교체 과정 도중에, 작업자가 배선을 전력량계 단자에서 분리하는 과정 혹은 분리 후에라도 활선상태 하에서 약간의 부주의로 인해 선간 혼촉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상치 못한 혼촉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아크가 발생되고, 작업자는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에 노출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활선상태 하에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전력량계에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2개의 집게부의 끝단에는 반원형상의 전선 지지부를 서로 마주보게 배열하고,
전선을 수용하는 반원 형상부와; 반원 형상부에서 길이연장된 바아 형상부; 상부 집게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바아 형상부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바아 형상부의 단부에서 길이연장된 파지부; 및 바아 형상부의 하부면에서 돌출된 걸림쇠;를 구비한 상부 전선분리대를 상기 상부 집게부와 나란하게 배열하며,
전선을 수용하는 반원 형상부와; 반원 형상부에서 길이연장된 바아 형상부; 하부 집게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바아 형상부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및 바아 형상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걸림쇠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한 하부 전선분리대를 상기 하부 집게부와 나란하게 배열하며,
파지부에 악력을 가하게 되면 레버의 원리를 매개로 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 전선분리대가 회동하면서 하부 전선분리대도 회동가능하게 되고,
전선지지부 내부에 수용된 확장부가 전선분리대의 반원 형상부의 회동을 통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력량계 교체시 활선상태로도 작업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활선상태 하에서도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간 혼촉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정성도 확보한다.
본 발명은 사선상태로 작업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량계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정전을 방지할 수 있고 교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치의 배면도이다.
도 3a는 전선 분리하기 전에 펜치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전선을 분리한 후에 펜치의 평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펜치(1)는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펜치와 유사하게 한쌍의 펜치 본체로 이루어지는바, 펜치 본체는 몸통부(20)를 중심으로 일측 단부에는 집게부(10)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는 손잡이부(30)를 구비하여 길이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펜치 본체는 상호 맞물려 있는 2개의 몸통부(20)를 관통한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펜치(1)는 2개의 손잡이부(30)를 파지하여 악력을 가하게 되면 레버(lever)의 원리를 매개로 하여 축핀을 중심으로 펜치 본체가 회동하여 2개의 집게부(10)를 오므리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펜치(1)는 각 집게부(10)의 끝단에 전선 지지부(11,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집게부(10)에 구비된 각각의 전선 지지부(11,12)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서로 대향되게 배열된 2개의 전선 지지부(11,12)는 그 내부에 전력량계에 배선된 전선을 충분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선 지지부(11,12)는 활선상태의 전선을 파지할 수 있게 절연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 지지부(11)는 그 내부 원주면에 완충부재(13)를 장착하여 전선과의 접촉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완충부재도 절연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선 지지부(11,12)와 완충부재(13)는 절연소재로 제작되는바, 이 절연소재는 고무 혹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펜치(1)는 일 측면 상에,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집게부(10)의 일 측면 상에서 선회가능한 전선분리대(110,120)를 장착한다.
상부 전선분리대(110)는 반원 형상부(111)와, 바아 형상부(112), 힌지축(113), 파지부(114), 및 걸림쇠(115)로 이루어지는 한편, 하부 전선분리대(120)는 반원 형상부(121)와, 바아형상부(122), 힌지축(123), 및 오목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선분리대(110)는 본 발명의 펜치(1) 중 상부 집게부(10) 측면에서 나란히 배열되고, 하부 전선분리대(120)는 하부 집게부(10) 측면에서 나란히 배열된다.
상부 전선분리대(110)는 상부 집게부(10)에서 소정의 각도로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바아 형상부(112)에 힌지축(113)을 구비하고, 이 힌지축(113)은 집게부(1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확실하게 고정된다.
바아 형상부(112)의 전단부에는 반원 형상부(111)를 구비하며, 이 반원 형상부(111)는 집게부(10)의 전단부에 장착된 전선지지부(11)와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또한, 바아 형상부(112)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파지부(114)로 길이연장되어 있다. 특히, 파지부(114)는 외부를 향하면서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바아 형상부(112)는 반원 형상부(111)와 파지부(114)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파지부(114)를 안쪽으로 가압하면, 즉 본 발명의 손잡이부(30)와 밀착되게 힘을 가하게 되면, 힌지축(113)을 매개로 하여 상부 전선분리대(110)의 바아 형상부(112)가 선회되면서, 전선지지부(11)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던 반원 형상부(111)는 전선 지지부(11)와 떨어지게 된다.
하부 전선분리대(120)는 하부 집게부(10)에서 소정의 각도로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바아 형상부(122)에 힌지축(123)을 구비하고, 이 힌지축(123)은 집게부(1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확실하게 고정된다.
바아 형상부(122)의 전단부에는 반원 형상부(121)를 구비하며, 이 반원 형상부(121)는 집게부(10)의 전단부에 장착된 전선지지부(12)와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바아 형상부(122)는 반원 형상부(121)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파지부(114)를 안쪽으로 가압하면, 즉 본 발명의 손잡이부(30)를 향해 힘을 가하게 되면, 전술된 바와 같이 힌지축(113)을 매개로 하여 상부 전선분리대(110)가 선회되면서, 전선지지부(11)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던 반원 형상부(111)는 전선 지지부(11)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바아 형상부(112)가 각운동하면서 집게부(10)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바아 형상부(112) 하부에 구비된 걸림쇠(115)는 바아 형상부(122)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바아 형상부(122)는 앞서 기술된 걸림쇠(115)와 오목부의 체결을 통해 바아 형상부(112)의 이동에 종속되어져 바아 형상부(122)도 자동적으로 각운동을 하면서 집게부(10)와 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사용자가 상부 전선분리대(110)의 파지부(114)를 안쪽으로 가압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펜치(1)에 악력을 쉽게 취할 수 있도록 상부 손잡이부(30)에서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고정 손잡이부(31)를 구비한다. 즉, 사용자는 고정 손잡이부(31)와 파지부(114)를 파지한 후에, 악력을 가하면 파지부(114)는 그 힘을 통해 펜치(1)와 점점 근접하게 배치될수록 레버의 원리를 매개로 하여 힌지축(113,123)을 중심으로 바아 형상부(112,122)는 펜치(1)와 점점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펜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선을 분리하기 전에 펜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14)는 본 발명에 따른 펜치(1)의 손잡이부(30) 및/또는 고정 손잡이부(31)와 소정의 각도로 벌어져 있는 반면에, 반원 형상부(111)와 바아 형상부(112)는 집게부(10)와 상부 전선지지부(11)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펜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선을 분리한 후에 펜치의 평면도이다.
파지부(114)는 외력(예컨대, 악력)을 통해 펜치를 향해 선회이동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펜치의 손잡이부(30) 및/또는 고정 손잡이부(31)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반면에, 반원 형상부(111)와 바아 형상부(112)는 집게부(10)와 상부 전선지지부(11)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게 된다. 물론, 상부 전선분리대(110)에 종속된 하부 전선분리대(1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전선분리대(110)와 동일한 각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반원 형상부(111)가 집게부(10)의 상부 전선 지지부(11)와 떨어지게 되면, 도시되었듯이 상부 전선지지부(11) 내에 수용되어 있던 확장부(14)가 반원 형상부(111)를 따라서 전개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부 전선지지부(11) 내에서 전개된 확장부(14)와 하부 전선지지부(12) 내에서 전개된 확장부(14;미도시)는 전력량계에서 분리된 전선의 동선을 완전히 에워싸게 되면서 활선상태에서도 작업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는 아래의 첨부도면과 이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1 ----- 펜치,
10 ----- 집게부,
20 ----- 몸통부,
30 ----- 손잡이부,
31 ----- 고정 손잡이부,
110 ----- 상부 전선분리대,
120 ----- 하부 전선분리대.

Claims (5)

  1. 몸통부(20)를 중심으로 일측 단부에는 집게부(10)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는 손잡이부(30)를 구비하여 길이 연장된 2개의 펜치 본체에서 상호 맞물려 있는 몸통부(20)를 관통한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펜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집게부(10)의 끝단에는 반원형상의 전선 지지부(11,12)를 서로 마주보게 배열하고,
    상기 상부 집게부(10)는 전선을 수용하는 반원 형상부(111)와, 상기 반원 형상부(111)에서 길이연장된 바아 형상부(112), 상기 상부 집게부(10)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기 바아 형상부(112)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113), 상기 바아 형상부(112)의 단부에서 길이연장된 파지부(114), 및 상기 바아 형상부(112)의 하부면에서 돌출된 걸림쇠(115)를 구비한 상부 전선분리대(110)를 측면에서 나란히 배열하며,
    상기 하부 집게부(10)는 전선을 수용하는 반원 형상부(121)와, 상기 반원 형상부(121)에서 길이연장된 바아 형상부(122), 상기 하부 집게부(10)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기 바아 형상부(122)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123), 및 상기 바아 형상부(112)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쇠(115)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한 하부 전선분리대(120)를 측면에서 나란히 배열하며,
    상기 파지부(114)에 악력을 가하게 되면 레버(lever)의 원리를 매개로 하여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전선분리대(110)가 회동하면서 상기 하부 전선분리대(120)도 회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전선지지부(11,12) 내부에 수용된 확장부(14)는 상기 전선분리대(110,120)의 반원 형상부(111,121)의 회동을 통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11,12) 내주면을 따라 완충부재(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11,12)와 완충부재(13)는 절연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14)는 상기 바아 형상부(112)에서 외부를 향하면서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중 상부 손잡이부(30)에서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고정 손잡이부(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치.
KR1020110023916A 2011-03-17 2011-03-17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Active KR10122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16A KR101220999B1 (ko) 2011-03-17 2011-03-17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16A KR101220999B1 (ko) 2011-03-17 2011-03-17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67A KR20120106067A (ko) 2012-09-26
KR101220999B1 true KR101220999B1 (ko) 2013-01-10

Family

ID=4711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16A Active KR101220999B1 (ko) 2011-03-17 2011-03-17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63A (ja) * 1992-03-25 1993-10-19 Bridgestone Corp パイプ差し込み治具
KR20020026022A (ko) * 2000-09-30 2002-04-06 윤종용 플라이어
KR20100006202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 동명 배관 체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63A (ja) * 1992-03-25 1993-10-19 Bridgestone Corp パイプ差し込み治具
KR20020026022A (ko) * 2000-09-30 2002-04-06 윤종용 플라이어
KR20100006202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 동명 배관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67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KR102228755B1 (ko)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CN207424014U (zh) 二次回路电压端子排夹具
KR102644279B1 (ko) 간접 활선 안전작업이 가능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용 탑다운 체결방식 전선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탄성 접속 방법
KR101869707B1 (ko) 활선작업용 검전기능을 갖는 단말캡
KR102650799B1 (ko)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101220999B1 (ko) 전력량계에서 활선상태로 전선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펜치
JP5946892B2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及びアダプター
CN106025960A (zh) 一种带电作业用绝缘护盒及其安装装置、安装方法
KR20130002631U (ko)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KR20150015353A (ko)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JP2018057198A (ja) 接地短絡器具
KR20200039179A (ko) 케이블 혼촉 방지캡
JP7206790B2 (ja) スリーブカバー
CN106684759A (zh) 一种电杆绝缘挡板
JP2018082519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ネクタカバー
CN106786165A (zh) 一种电杆横担绝缘挡板
CN105514868A (zh) 一种熔丝具上引线绝缘固定支架
KR102179905B1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CN103441352B (zh) 电柜用接地线
CN205363649U (zh) 一种操作简单多功能电力钳
JP4503919B2 (ja) 被覆架線の切分け工事における接地方法
CN211388390U (zh) 一种安全绝缘锂电池拆装夹手
KR200460582Y1 (ko) 첨선 고정기
KR102751687B1 (ko) 간접활선 방식의 현수애자 교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