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540B1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0540B1 KR101220540B1 KR1020120051722A KR20120051722A KR101220540B1 KR 101220540 B1 KR101220540 B1 KR 101220540B1 KR 1020120051722 A KR1020120051722 A KR 1020120051722A KR 20120051722 A KR20120051722 A KR 20120051722A KR 101220540 B1 KR101220540 B1 KR 101220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water
- pressurized water
- tank
- flo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6—Overpressure, high press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교반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교반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부상침전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기포발생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미세기포분사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고도산화처리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고도산화처리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110 : 급속교반부 120 : 완속교반부
121 : 응집조 122 : 제1응집조
123 : 제2응집조 124 : 격벽
124a : 유로 125 : 교반기
126 : 구동모터 127 : 교반축
128 : 수평패들 129 : 수직패들
200 : 부상침전조 210 : 배출부
220 : 스컴배출부 300 : 기포발생부
310 : 가압수공급부 312 : 펌프
314 : 가압탱크 316 : 콤프레셔
320 : 미세기포분사부 322 : 분기배관
323 : 가압수유입밸브 324 : 분사관
326 : 감압관 330 : 역세척부
332 : 역세밸브 334 : 수위센서
336 : 제어부 400 : 가이드부
410 : 부상안내경사부 420 : 사구역방지경사부
500 : 부상스컴제거부 510 : 블레이드
600 : 침전슬러지제거부 610 : 체인
620 : 스크레퍼 700 : 유출집수부
710 : 다공관 파이프 720 : 블록형 집수조
800 : 고도산화처리부 810 : 산화성가스공급부
812 : 오전발생기 814 : 오존저장탱크
816 : 오존가압기 820 : 자외선접촉부
Claims (7)
- 약품을 원수와 교반하여 처리대상수를 생성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에서 생성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오염물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부상침전조;
상기 부상침전조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대상수의 오염물이 부유하도록 고압의 가압수를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
상기 고압의 가압수를 고도산화처리하는 고도산화처리부; 및
상기 부상침전조에서 상기 오염물과 분리된 처리수를 처리하는 유출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침전조에는 상기 기포발생부에서 발생된 기포에 의해 부상하는 상기 오염물을 안내하고, 상기 부상침전조의 사구역을 제거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부상침전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기포발생부에 의해 상기 오염물이 부상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상안내경사부; 및
상기 부상안내경사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부상안내경사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구역방지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원수에 상기 약품을 주입하여 급속혼합하는 급속교반부; 및
상기 급속교반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원수와 상기 약품을 체류시켜 완속교반하는 완속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부는 고압의 가압수를 공급하는 가압수공급부; 및
상기 가압수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가압수가 상기 부상침전조로 배출되어 미세기포를 형성하는 미세기포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분사부는 상기 가압수공급부와 연결되고, 복수개로 분기되는 분기배관;
상기 분기배관의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수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가압수를 분사시키는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분사관을 통해 토출되는 고압의 가압수를 감압시키는 감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분사부는 상기 미세기포분사부의 폐색을 방지하는 역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배관에는 가압수유입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역세척부는 상기 분기배관에 구비되는 역세밸브;
상기 미세기포분사부의 폐색을 감지하도록 가압탱크에 구비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값에 의해 상기 가압수유입밸브와 상기 역세밸브를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산화처리부는 상기 가압수공급부에 산화성가스를 공급하는 산화성가스공급부; 및
상기 산화성가스공급부의 산화성가스에 광분해반응을 유도하는 자외선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1722A KR101220540B1 (ko) | 2012-05-15 | 2012-05-15 | 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1722A KR101220540B1 (ko) | 2012-05-15 | 2012-05-15 | 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0540B1 true KR101220540B1 (ko) | 2013-01-23 |
Family
ID=478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1722A Active KR101220540B1 (ko) | 2012-05-15 | 2012-05-15 | 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054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3210B1 (ko) * | 2021-11-12 | 2022-09-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악취제거구조의 컴팩트형 용존공기부상법 기반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4357B1 (ko) * | 2006-07-25 | 2008-03-18 | 심종섭 | 미반응 오존을 재사용하는 고압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
KR100901922B1 (ko) * | 2008-09-23 | 2009-06-10 | 주식회사 동아지질 | 해수 담수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형 전처리 장치 |
KR101085840B1 (ko) * | 2008-12-04 | 2011-11-24 | 주식회사환경과생명 |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 |
-
2012
- 2012-05-15 KR KR1020120051722A patent/KR10122054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4357B1 (ko) * | 2006-07-25 | 2008-03-18 | 심종섭 | 미반응 오존을 재사용하는 고압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
KR100901922B1 (ko) * | 2008-09-23 | 2009-06-10 | 주식회사 동아지질 | 해수 담수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형 전처리 장치 |
KR101085840B1 (ko) * | 2008-12-04 | 2011-11-24 | 주식회사환경과생명 |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상하수도학회지. 18권2호. pp215-221. 2004.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3210B1 (ko) * | 2021-11-12 | 2022-09-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악취제거구조의 컴팩트형 용존공기부상법 기반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0539B1 (ko) | 수처리장치 | |
KR100848117B1 (ko) | 복합 고도정수처리 장치 | |
KR101779748B1 (ko) | 수처리 시스템 | |
KR101758594B1 (ko) | 복합 및 선택 운전이 가능한 부상침전통합형 오폐수 처리 시스템 | |
KR101697526B1 (ko) | 고효율 마이크로오존버블반응기를 포함하는 오존수처리 시스템 | |
US2006017526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 |
KR101491001B1 (ko) | 다단 부상분리장치 | |
KR101835271B1 (ko) |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 |
KR101334995B1 (ko) | 나노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도 장치 | |
KR101818996B1 (ko) |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마이크로 버블, 저농도 오존과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고도처리 시스템 | |
US7481937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ozone activated flotation | |
KR101858028B1 (ko) |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 |
KR100694191B1 (ko) | 수 처리장치 | |
KR101210536B1 (ko)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
KR101742557B1 (ko) | 오존 반응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 |
WO1999033552A1 (fr) | Melangeur vapeur/liquide et appareil d'epuration des eaux polluees utilisant ce melangeur | |
KR101020238B1 (ko) |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 |
JP2002177990A (ja) | 浄水方法および浄水装置 | |
KR20150029938A (ko) | 수처리 장치 | |
KR101842450B1 (ko) | 가압식 세라믹막을 이용한 연속 순환식 중수처리 시스템 | |
KR100907905B1 (ko) | 연속 흐름식 복합 수처리 장치 | |
WO2006078797A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 |
KR101220540B1 (ko) | 수처리장치 | |
JP6164941B2 (ja) | 濁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濁水処理方法 | |
US20060157425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ultraviolet l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