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372B1 -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0372B1 KR101220372B1 KR1020100115632A KR20100115632A KR101220372B1 KR 101220372 B1 KR101220372 B1 KR 101220372B1 KR 1020100115632 A KR1020100115632 A KR 1020100115632A KR 20100115632 A KR20100115632 A KR 20100115632A KR 101220372 B1 KR101220372 B1 KR 1012203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stabilizer bar
- sub
- subframe
- control a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 프레임에 조립되는 다른 구성 부품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부품수 절감으로 중량 및 재료비 절감과 작업 공정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체의 전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에는 엔진과 변속기와 같은 파워 트레인(동력전달장치의 부품)이 탑재되고, 그 양측으로 현가장치의 구성품이 조립되면서 현가장치와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저 바와 로워 컨트롤 아암을 하나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일체형 고정 브라켓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일체로 형성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fix the other components assembled to the sub-frame in a simpler configur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reduce the weight and material costs and work proces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wer train (parts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such as the engine and transmission, and as the components of the suspension system is assembled to both sides to connect the suspension and the vehicle body In the subframe of the vehicle suspension system, the stabilizer bar and the lower control arm can be fixed by one integrated fixing bracket, and the vehicle suspension system in which the sub frame stay is integrally formed in front or rear of the integrated fixing bracket. Provide a sub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서브 프레임에 조립되는 다른 구성 부품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중량 및 재료비 절감과 작업 공정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frame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that can be fixed to a simpler configuration of other components assembled to the sub-frame constituting the vehicle suspension device to reduce weight and material costs and to reduce the work process .
자동차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은 자동차 전륜 현가장치의 일부 구성품으로써, 상측에 엔진과 변속기와 같은 파워 트레인(동력전달장치의 부품)이 탑재되고, 그 양측으로는 현가장치의 구성품이 조립되면서 차체의 전측 하부에 배치되어 현가장치와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subframe of the vehicle is a component of 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the vehicle, and a power train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is assembled on both sides thereof. It is arranged at the bottom to connect the suspension system and the vehicle body.
이러한 서브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어퍼 플레이트와 로워 플레이트를 각각 프레스 가공한 후 스포트 용접(Spot Welding) 수단에 의하여 폐단면 형상으로 결합시켜 구성된다.The sub-frame is typically formed by press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each of which is made of a steel plate, and then joining them in a closed cross-sectional shape by spot welding means.
그리고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현가장치의 구성품과 조향장치의 구성품 등이 탑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현가장치의 구성품을 탑재하는 구성에 관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bframe includes components of the suspension system, components of the steering apparatus, and the like, which is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suspension system are mounted.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레임에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로워 컨트롤 아암과 스테빌라이저 바가 조립되는데, 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서브 프레임(2)의 양측으로 로워 컨트롤 아암(4)이 조립되고, 상측에는 스테빌라이저 바(6)가 조립된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control arm and the stabilizer bar constituting the suspension device are assembled in the subframe. Looking at the prior art, the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4)에는 차체측 프론트 연결부(8)와 차체측 리어 연결부(10)가 구비되는 바, 차체측 프론트 연결부(8)는 서브 프레임(2)에 형성된 브라켓에 힌지 고정되고, 차체측 리어 연결부(10)는 별도의 브라켓(12)을 통해 서브 프레임(2)과 연결된다.The
물론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연결부(8)(10)에는 적정 탄성력을 보유하는 고무부시가 개재된다.Of course, the front and rear connecting portions (8, 10) is interposed with a rubber bush having an appropriate elastic force.
그리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6)는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브 프레임(2)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브라켓(14)에 의하여 조립되며, 스테빌라이저 바(6)의 양단은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는 컨트롤 링크(16)를 통해 로워 컨트롤 아암(4)과 연결되어 선회 또는 거친 노면의 주행시 차체의 롤 모션(roll motion)을 억제하여 차체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또한 서브 프레임(2)의 후부 양측단에는 그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 강도를 보강하여 줄 수 있는 서브 프레임 스테이(18)가 배치되어 이의 서브 프레임 스테이(18)를 통해 차체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at both rear ends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서브 프레임 상에 로워 컨트롤 아암과 스테빌라이저 바, 그리고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각각 별도의 브라켓 즉, 로워 컨트롤 아암 리어 연결부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과, 스테빌라이저 바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과, 서브 프레임 스테이 자체가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적용하여야만 한다.However, when arranging the lower control arm, stabilizer bar, and subframe stay on the subframe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for fixing the lower control arm rear connection part and the stabilizer bar The brackets and the sub frame stays themselves must be manufactured and applied separately.
이에 따라 구성 부품수가 증대되고, 그에 따른 재료비 및 중량이 증대되며, 조립을 위한 작업 공정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components increases, the material cost and weight thereof increase, and the work process for assembly is lengthen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 프레임에 조립되는 다른 구성 부품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부품수 절감으로 중량 및 재료비 절감과 작업 공정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fix the other components assembled in the sub-frame in a simpler configur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weight and material cost and work process It is to provide a sub-frame of the vehicle suspension so that can be reduced.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전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에는 엔진과 변속기와 같은 파워 트레인(동력전달장치의 부품)이 탑재되고, 그 양측으로 현가장치의 구성품이 조립되면서 현가장치와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저 바와 로워 컨트롤 아암을 하나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일체형 고정 브라켓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일체로 형성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을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upper side is equipped with a power train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suspension device are assembled on both sides thereof. In a subframe of an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for connecting a vehicle body, a stabilizer bar and a lower control arm can be fixed by a single fixed bracket, and a subframe stay is integrally form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integrated fixed bracket. Provides a subframe of a vehicle suspension.
상기에서 일체형 고정 브라켓은 전방 또는 후방에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로워 컨트롤 아암의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컨트롤 아암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 아암 고정부에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itary fixing bracket is formed a stabilizer bar fixing portion in the front or rear, and a control arm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nection of the lower control arm in front or rear of the stabilizer bar fixing portion, the control A subframe stay is formed in the arm fixing portion.
상기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는 상측방향에 대하여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구로 이루어져 내측에 고무부시를 개재시켜 스테빌라이저 바를 서브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bilizer bar fixing part is formed of a stabilizer bar fixing member that protrudes in a semicircular shape with respect to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stabilizer bar can be fixed to the subframe by interposing a rubber bush therein.
상기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고정력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구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고정볼트가 서브 프레임에 체결되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force of the stabilizer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while the fixing bolt is fastened to the sub-fram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tabilizer bar fixture.
상기에서 컨트롤 아암 고정부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의 전후 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하향 절곡되는 고정벽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벽과 서브 프레임 사이에 로워 컨트롤 아암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arm fixing portion is formed by a fixing wall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tabilizer bar fix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of the lower control arm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xing wall and the sub-frame. do.
상기에서 서브 프레임 스테이는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고정벽의 하단 부분을 절곡시켜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frame stay is a means for reinforcing the mounting of the sub-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be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wall.
상기에서 일체형 고정 브라켓은 강성 증대를 위하여 가장자리의 가능한 곳에 하향 절곡되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mentioned fixed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where possible to increase the rigidit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로워 컨트롤 아암의 연결부 고정을 위한 브라켓과, 스테빌라이저 바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과,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하나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으로 형성함으로써, 3개의 부품을 하나의 부품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bracket for fix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wer control arm, the bracket for fixing the stabilizer bar, and the sub-frame stay as one integral fixing bracket, three parts are formed in one It is possible to save on parts.
그리고 부품수의 절감으로 재료비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조립 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weigh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in particular by minimizing the 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thereby reduce the production cost.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 서브 프레임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브 프레임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체형 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Ⅰ - Ⅰ선 단면도이다.These drawings are for reference in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ub-frame.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grated brack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함을 전제한다.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브 프레임의 일부 발췌 사시도로서, 부호 100은 서브 프레임을 지칭한다.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denotes a sub-frame.
상기 서브 프레임(10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어퍼 플레이트와 로워 플레이트를 각각 프레스 가공한 후 스포트 용접(Spot Welding) 수단에 의하여 폐단면 형상으로 결합시켜 구성된다.The
그리고 차체의 전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에는 미도시한 엔진과 변속기와 같은 파워 트레인(동력전달장치의 부품)이 탑재되고, 그 양측으로 현가장치의 구성품이 조립되면서 현가장치와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 power train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not shown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uspen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by assembling the components of the suspension system on both sides thereof. Will be performed.
이러한 서브 프레임(100)은 양측에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로워 컨트롤 아암(102)이 배치되고, 상측에 스테빌라이저 바(104)가 조립된다.The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102)은 전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 후 컨트롤 아암(106)(108)으로 이루어지며, 차체측 연결부(110)(112)가 상기 서브 프레임(100)에 힌지 고정된다.The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4)는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 부분이 상기 서브 프레임(100)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4)의 양단은 미도시한 컨트롤 링크를 개재시켜 상기 후측 컨트롤 아암(108) 또는 미도시한 조향 너클과 연결되어 선회 또는 거친 노면의 주행시 차체의 롤 모션(roll motion)을 억제하여 차체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서브 프레임(100)에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102)(104)을 고정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나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116)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xing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일체형 고정 브라켓(116)은 전측에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118)를 형성하고, 그 후측에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후측 연결부(11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컨트롤 아암 고정부(120)를 형성하고, 그 후측에 서브 프레임 스테이(122)를 형성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일체형 고정 브라켓(116)은 하나의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118)는 상측방향에 대하여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구(124)로 이루어지며, 도 4에서와 같이 고무부시(126)를 개재시켜 스테빌라이저 바(104)를 서브 프레임(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The integrated
상기에서 스테빌라이저 바(104)의 고정력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구(124)의 전후측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고정볼트(128)가 서브 프레임(100)에 체결되면서 발생되는 것이며, 이의 고정력은 일체형 고정 브라켓(116)이 서브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above, the fixing force of the
상기 컨트롤 아암 고정부(120)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118)의 후측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하향 절곡되는 고정벽(13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벽(130)과 서브 프레임(100) 사이에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후측 연결부(112)가 삽입되어 고정볼트(132)로 고정되는 것이다.The control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후측 연결부(112)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고무부시(134)가 개재됨은 물론이며, 상기 구성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수평형 고무부시가 적용된다.In fixing the rear connecting
상기 서브 프레임 스테이(122)는 서브 프레임(100)의 마운팅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고정벽(130)의 하단 부분을 후측으로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부(1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 아암 고정부(120)의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공(138)을 통해 체결되는 미도시한 고정볼트에 의하여 차체(142)와 연결된다.The
상기에서 서브 프레임 스테이(122)는 마운팅 보강용이며, 메인 마운팅은 서브 프레임의 다수 곳에 형성되는 미도시한 마운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The sub-frame stay 122 is for mounting reinforcement, and the main mounting is made by an unillustrated mount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sub-frame.
또한, 상기 일체형 고정 브라켓(116)은 가장자리의 가능한 곳은 모두 하향 절곡되는 플랜지(144)를 형성하여 강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로워 컨트롤 아암의 후측 연결부 고정을 위한 브라켓과, 스테빌라이저 바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과,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하나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으로 형성함으로써, 3개의 부품을 하나의 부품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ree parts as one part by forming a bracket for fixing the rear connection part of the lower control arm, a bracket for fixing the stabilizer bar, and a sub-frame stay as one integral fixing bracket. It will be possible to save.
그리고 부품수의 절감으로 재료비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조립 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weigh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in particular by minimizing the 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thereby reduce the production cost.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서브 프레임 102...로워 컨트롤 아암
104...스테빌라이저 바 116...일체형 고정 브라켓
118...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 120...로워 컨트롤 아암 고정부
122...서브 프레임 스테이 142...차체100
104 ... Stabilizer
118 ...
Claims (7)
스테빌라이저 바와 로워 컨트롤 아암을 하나의 일체형 고정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일체형 고정 브라켓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 고정 브라켓은 전방 또는 후방에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로워 컨트롤 아암의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컨트롤 아암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 아암 고정부에 서브 프레임 스테이를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 아암 고정부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부의 전후 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하향 절곡되는 고정벽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벽과 서브 프레임 사이에 로워 컨트롤 아암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 스테이는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고정벽의 하단 부분을 절곡시켜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Sub-car suspension that is arranged under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has a power train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on the upper side, and the suspension component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while the suspension components are assembled. In the frame,
To stabilize the stabilizer bar and the lower control arm by a single fixed bracket, and integrally form a sub-frame stay in front or rear of the integrated fixed bracket,
The unitary fixing bracket forms a stabilizer bar fixing portion at the front or rear, and forms a control arm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wer control arm at the front or rear portion of the stabilizer bar fixing portion, and the control arm. Form a sub-frame stay on the fixing part,
The control arm fixing portion is formed by a fixing wall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tabilizer bar fixing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wer control arm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xing wall and the sub-frame,
The sub frame stay is a means for reinforcing the mounting of the sub-frame subframe of the vehicle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xtension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be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5632A KR101220372B1 (en) | 2010-11-19 | 2010-11-19 |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5632A KR101220372B1 (en) | 2010-11-19 | 2010-11-19 |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4312A KR20120054312A (en) | 2012-05-30 |
KR101220372B1 true KR101220372B1 (en) | 2013-01-09 |
Family
ID=4627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5632A Active KR101220372B1 (en) | 2010-11-19 | 2010-11-19 |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037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9711B1 (en) * | 2020-06-10 | 2022-03-02 | 주식회사 동희산업 | Sub frame apparatus for vehicle |
KR102453129B1 (en) * | 2020-07-09 | 2022-10-13 | 주식회사 동희산업 | Sub frame for electiric vehicle |
CN113978556A (en) * | 2021-09-24 | 2022-01-28 | 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 Novel mounting bracket for control arm of platform-based auxiliary fr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2574A (en) * | 2004-09-14 | 2006-03-30 | Daihatsu Motor Co Ltd | Suspension arm supporting structure for vehicle |
JP2007182116A (en) * | 2006-01-05 | 2007-07-19 |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 Vehicle stabilizer mounting structure |
-
2010
- 2010-11-19 KR KR1020100115632A patent/KR1012203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2574A (en) * | 2004-09-14 | 2006-03-30 | Daihatsu Motor Co Ltd | Suspension arm supporting structure for vehicle |
JP2007182116A (en) * | 2006-01-05 | 2007-07-19 |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 Vehicle stabilizer mount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4312A (en) | 2012-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10849B2 (en) | Front subframe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 |
CN108349536B (en) | Rear auxiliary frame structure | |
WO2017065086A1 (en) | Structure for side part of body of vehicle | |
CN110949523B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US20150353136A1 (en) | Auxiliary frame for a motor vehicle | |
CN110949524B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JP3809583B2 (en) | Front wheel suspension using steering gear frame | |
EP3395655A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KR100599263B1 (en) | Mounting structure of the vehicle front suspension | |
JP5637478B2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JP5942811B2 (en) | Undercarriage of the vehicle | |
KR101220372B1 (en) |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US20100066048A1 (en) | Axle bracket for motor vehicle | |
KR101856240B1 (en) | Shock absorber housing and fixing structure thereof | |
JP2010111154A (en) | Supporting structure of suspension arm | |
KR20160039087A (en) | Lower arm for vehicle | |
KR101682810B1 (en) | Half type sub frame for automobile | |
KR20080110219A (en) | Steering gear integrated subframe of car | |
JP7083035B2 (en) | Subframe structure | |
JP2013241041A (en) |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 |
KR101352808B1 (en) |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 |
JP2017190124A (en) | Rear trailing arm support structure | |
JP5044288B2 (en) | Mount bracket connection structure | |
KR20160139859A (en) | Halftype sub frame for automobile | |
KR101189353B1 (en) | A rear suspension arm mounting membe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