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8592B1 -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92B1
KR101218592B1 KR1020110085151A KR20110085151A KR101218592B1 KR 101218592 B1 KR101218592 B1 KR 101218592B1 KR 1020110085151 A KR1020110085151 A KR 1020110085151A KR 20110085151 A KR20110085151 A KR 20110085151A KR 101218592 B1 KR101218592 B1 KR 10121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water tank
vertical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승
이홍석
박준혁
Original Assignee
이수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인 (주) filed Critical 이수인 (주)
Priority to KR102011008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06Cisterns with tube siphons
    • E03D1/12Siphon action initiated by outlet of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물탱크에 담긴 세정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양변기 물탱크의 잔수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양변기 물탱크의 잔수조절장치는 양변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배수구와 배수구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넘침관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하며, 연결줄과 연결된 핸드레버에 의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넘침관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안내판; 및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서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하단부에 누름판을 구비하는 수직거치대; 및 상기 수직거치대와 일체로 결합하며 상부에 세정수를 담을 수 있는 무게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대소변 구분할 수 있는 절수형 장치와 같이 사용하여, 기존과 동일한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세정수의 양을 줄이면서도 배출되는 유속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대변 소변 기능별 배수량 조절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REMAINING WATER CONTROLLING DEVICE FOR SAVING WATER VOLUME IN TOILET TANK}
본 발명은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에 담긴 세정수의 배수 후 잔량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볼탭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탱크와 물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변기본체로 이루어지며, 세정수는 물탱크에 설치된 핸드레버의 작동에 의해 물덮개가 열리게 되면 변기본체측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변기에서 오물의 배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세정수의 양은 상당히 많은 양으로서 절수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양변기의 절수기술 개발에 있어서,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속(V)은 배출 효율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세정수의 유속은 물의 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중요 성분이기 때문에 양변기 본체에서 사이펀 작용, 표면 세척, 오물의 밀어냄 등의 세척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양변기의 절수를 위해서 세정수의 양을 줄일 때, 세정수의 유속은 감소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양변기 본체의 세척력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조건이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양변기 물탱크의 세척수 배출방식에서는, 세정수의 양을 줄이게 되면 물탱크에서 세정수의 정상수위가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세정수의 배출 유속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속(V)은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하며, V=
Figure 112011066175595-pat00001
로써, 정상수위의 높이(h)의
Figure 112011066175595-pat00002
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각각 다른 정상수위에 의한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물탱크에서 이상적인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양변기 세정수 배출방식으로서, 현재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일반적인 세정수의 양인 약 9 L의 세정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정상수위(h1)'는 배출시킬 세정수 총량(약 9 L)을 물탱크에 채웠을 때의 수위이다.
'잔수수위(h0)'는 세정수가 배출된 후에 물탱크에 남은 물의 수위이다. 잔수는 세정수 개폐밸브인 플러시 밸브(Flush Valve)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물탱크와 동일한 물탱크에서 절수형 양변기를 위해 세정수를 6 L 배출시킬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정상수위(h1')'는 배출시킬 세정수 총량(약 6 L)을 물탱크에 채웠을 때의 수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탱크의 물덮개를 개방하였을 때, 도 2의 정상수위가 도 1의 정상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속이 도 2의 유속(V2)이 도 1의 유속(V1)에 비하여 작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물탱크와 동일한 양의 세정수(약 6 L)를 배출하지만, 정상수위는 도 1과 동일한 정상수위(h1)를 유지하는 반면에, 잔수수위(h0')는 높은 경우로서 잔수를 많이 남기는 개념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이 지향하는 방안으로서, 양변기의 절수를 위해서 세정수의 양을 줄일 때, 세정수의 유속(V3)은 감소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잔수를 많이 남길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을 가져야 한다.
한편, 현재 일반적인 양변기에서는, 양변기 본체의 절수를 위한 별도의 기술개발이 없는 상태에서, 대변에서는 많은 양의 세정수(약 9 L)를 배출하고, 소변에서는 작은 양(약 6 L)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출량의 구분을 통해 절수를 하는 배수량 조절형 절수방법이 많이 보편화되어 있다. 예컨대, 물덮개를 상향 당김력에 의해 배수관을 개방한 물덮개를, 별도의 추가 당김력에 의해 물덮개의 부력공간을 개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는 물덮개의 부력을 상실시켜 빨리 물덮개가 닫히게 하여 소변시에는 작은 양의 세정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대소변 구분형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물탱크에서 이상적인 대소변 구분형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1과 같은 물탱크에서 대변에서는 많은 양의 세정수(약 9 L)의 세정수를 배출하고, 소변시에는 적은 양의 세정수(약 6 L)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서의 소변시의 적은 양의 세정수(약 6 L)를 배출한 상태는 도 3의 이상적인 절수형 양변기를 위하여 적은 양의 세정수(약 6 L)를 배출하는 것과 동일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세정수 배출방식은 도 4에 나타낸 소변시의 적은 양의 세정수(약 6 L)를 배출하도록 하는 현존하는 선행기술로 충분히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263368호인 "양변기 배수량 조절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64180호인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742589호인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132388호인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절수형 양변기 기술개발에 있어서는, 기존보다 적은 양의 세정수로 대소변의 배수량 조절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도 1과 같이 9 L의 세정수 배출방식과 동일한 정상수위(h1)를 유지하여, 세정수의 유속(V)을 빠르게 유지하게 하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수 개폐밸브의 배출관을 물탱크 내부로 연장하여 잔수 수위(h2)를 높이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세정수가 연장된 배출관을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배출 유속의 손실이 발생하여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다. 즉, 이때의 배출 유속은 아래의 식과 같다.
V=
Figure 112011066175595-pat00003
*Cv (Cv: 속도 계수)
Cv는 오리피스의 속도계수로서 연장된 배출관이 두꺼운 두께를 갖는 오리피스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속도 저하는 반영하는 계수이다.
Cv의 문헌상의 참조 값은 보통 0.86 정도인데, 실제 물탱크 세정수 개페밸브에 연장관을 접속시켜 배수시험을 한 결과 Cv= 0.77 정도로 확인되었으며, 연장관을 통한 잔수 수위를 높이는 효과는 속도 손실에 의해 거의 상실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방식으로 잔수 수위를 높이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도 6은 물탱크에서 이상적인 세정수 배출방식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대변시에는 많은 양의 세정수(약 6 L)를 배출하고, 소변시에는 적은 양의 세정수(약 4 L)의 세정수를 배출하여 절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물탱크의 정상수위는 도 1과 같이 종래의 9 L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물탱크의 정상수위(h1)를 유지하여 배출 세정수의 유속(V)이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잔수 수위(h2, h3)는 도 5와 대비하여 개폐밸브의 연장관이 존재하지 않으면서도, 절수를 위하여 잔수 수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인데, 이를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제263368호 대한민국 특허 제742589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6418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6666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정적으로 대소변 구분하여 절수에 기여함과 동시에, 양변기 물탱크에서 이상적인 잔수 수위를 가져 배출 유속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변기 물탱크의 잔수조절장치는 양변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배수구와 배수구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넘침관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하며, 연결줄과 연결된 핸드레버에 의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넘침관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안내판; 및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서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하단부에 누름판을 구비하는 수직거치대; 및 상기 수직거치대와 일체로 결합하며 상부에 세정수를 담을 수 있는 무게통을 포함한다. 상기 무게통과 결합하는 상기 수직거치대는 상기 무게통이 수면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무게통 내부의 용기에 담겨진 물의 무게에 의해 수면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누름판에 의하여 상기 물덮개를 닫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거치대에는 측면에 상부 가이드봉 및 하부 가이드봉을 구비하여 상기 안내판의 가이드홀과 결합하여 넘침관의 벽면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일정량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거치대와 결합하는 상기 무게통은 상기 수직거치대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량씩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잔수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수직거치대와 무게통은 전체적으로 비중이 1 이하로서 수중에서는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덮개와 연결되는 연결줄에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보조부구를 더 설치하여, 대소변 배수량 조절 기능을 갖는 양변기에서 소변의 잔수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 물탱크의 잔수 수위를 높게 유지함으로써 배출 유속을 높게 유지하여 적은 양의 세정수로도 양변기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대소변 구분할 수 있는 절수형 장치와 같이 사용하여, 기존과 동일한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세정수의 양을 줄이면서도 배출되는 유속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대변 소변 기능별 배수량 조절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각각 다른 정상수위에 의한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물탱크에서 이상적인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대소변 구분형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물탱크에서 이상적인 대소변 구분형 세정수 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많은 양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은 양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수구(11)를 갖는 몸체(10)에는 배수구(11)와 연결되는 넘침관(12)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넘침관(12)의 중간 부위에는 한 쌍의 안내판(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판(20)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판(20)의 가이드홀(21)에는 수직거치대(30)의 가이드봉(31)이 결합하여, 수직거치대(30)는 안내판(20)에 의하여 넘침관의 벽면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일정량 이동할 있다. 가이드봉(31)은 수직거치대(30)의 측면에서 각각 한 쌍의 상부 가이드봉(31a)과 하부 하이드봉(31b)으로 구성되며, 상부 가이드봉(31a)이 가이드홀(21)의 상단에 접촉할 때 수직거치대(30)의 상한을 결정하게 되며, 하부 가이드봉(31b)이 가이드홀(21)의 하단에 접촉할 때 수직거치대의 하한을 결정하게 된다.
수직거치대(30)의 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상호 돌기와 홈(32)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호 돌기와 홈(32)이 형성된 가장자리에는 수직거치대(30)를 관통하는 끼움 홀(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거치대(30)의 하단에는 누름판(37)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거치대(30)의 끼움 홀(35)에는 무게통(40)의 끼움돌기(45)가 관통하여 수직거치대(30)와 무게통(40)을 일체로 결합한다. 또한, 무게통(40)에는 수직거치대(30)의 상호 돌기와 홈(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돌기가 형성되어, 무게통(40)은 수직거치대(30)를 따라서 수직으로 일정량씩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무게통(40)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세정수를 일정량 담을 수 있는 무게 용기(41)를 구비한다.
무게통(40)은 비중이 1보다 작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수지로 제작하여 물속에 잠기면 부력을 가져 수면으로 떠오르도록 한다.
수직 거치대(30)도 비중이 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비중이 작은 수지는 기계적 성질이 좋지 못하므로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할 수가 있다. 따라서 비중이 1에 가까운 에이비에스(ABS) 수지로 제작하여 물속에서 하중이 거의 작용하지 않도록 하면, 세정수 내에서 무게통(40)의 부력에 의해 함께 떠오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무게통(40)과 수직거치대(30)는 세정수에 잠기면 무게통(40)의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부력을 갖게 되어 수직거치대(30)와 함께 상승하여 수직거치대(30)의 상부 가이드홈(31a)이 안내판(20)의 안내홈(21) 상단 끝에 닿을 때까지 상승한다.
물덮개(50)는 패킹을 개재한 상태에서 덮개(51)와 반구형의 하부캡(52)이 조립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부력공간이 형성된다.
물덮개(50)의 일측으로는 연결줄 홈을 통하여 연결줄(60)과 연결되며, 타측으로는 한 쌍의 걸고리(5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걸고리(53)는 넘침관(10)에 형성된 힌지돌기(13)에 힌지결합한다.
물덮개(50)는 연결줄(60)에 의해 핸드레버(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줄(60)의 소정 부위에는 보조부구(70) 지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물덮개(50)의 부력공간은 소변시와 같이 적은 양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연결줄(60)에 의해 부력공간의 공기를 배기시키고 세정수를 유입시켜 부력을 제거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의 상세한 구성은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132388호인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를 참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물탱크의 잔수조절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많은 양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대변과 같이 많은 양의 세정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세정 완료 후에 물탱크의 잔수 수위는 종래기술보다 더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무게통(40)과 수직거치대(30)는 세정수 속에 잠기면 무게통(40)의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부력을 갖게 되어 수직거치대(30)와 함께 상승하여 수직거치대(30)의 상부 가이드봉(31a)이 안내판(20)의 안내홈(21) 상단 끝에 닿을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동 손잡이에 의하여 연결줄(60)이 들려지면 물덮개(50)가 따라 들리면서 배수구(11)가 개방되어 물탱크(100) 내의 세정수는 배출이 시작된다. 물덮개(50) 하부의 부력공간에는 공기가 들어 있어 부력을 갖기 때문에 한번 들려진 물덮개(50)는 계속 들려있어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배수구(11)로 배출되게 된다. 이어서, 보조부구(70)가 수면에 노출되고 수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서 연결줄(60)이 느슨해지면서 보조부구(70)의 부력이 물덮개(50)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물덮개(50)는 자체 부력공간의 부력으로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게통(40)이 수면에 노출되고 무게통(40) 내부의 용기(41)에 담겨진 물의 무게에 의해 수면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계속 수면을 따라 무게통(40)과 수직거치대(30)가 내려오면 수직거치대(30)의 하단 누름판(37)이 물덮개(50)를 누르게 된다. 이때는 물덮개(50)는 자체부력에 의한 개방력(열림방향 모멘트)이 무게통(40) 용기(41)에 담겨진 물의 무게에 의한 닫힘력(닫힘방향 모멘트)보다 커서 잠시 무게통(40)과 수직거치대(30)의 하강이 저지되지만, 수면이 더 하강하면 무게통(40)의 수면 노출 높이가 증가하면서 담겨진 물에 의한 무게가 중가하여 닫힘력이 커지게 되어 바로 물덮개(50)는 닫히기 시작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물덮개(50)가 서서히 닫히기 시작하여 일정 각도 이상 닫히면 배출되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한 영향과 물탱크(100) 내부와 배출구(11) 하부의 압력차 등에 의해 물덮개(50)는 급격한 닫힘력을 받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물덮개(50)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서, 무게통(40)과 수직거치대(30)의 하부 가이드봉(31b)이 수직거치대 안내판(20)의 안내홈(21) 하단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여 멈추게 된다.
물덮개(50)가 급격히 닫힘으로써 물탱크(100) 내부에는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물덮개(50)보다 휠씬 높은 위치에 잔수수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배출된 세정수의 양(QL)은 정상수위(H1)와 대변 잔수수위(H2) 사이의 세정수로써 약 6 L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은 양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소변과 같이 많은 양의 세정수가 필요한 경우로서 세정 완료 후에 물탱크의 소변 잔수수위(H3)는 대변 잔수수위(H2)보다 더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작동 손잡이에 의하여 연결줄(60)이 들려지면 물덮개(50)가 따라 들리면서 배수구(11)가 개방되어 물탱크(100) 내의 세정수는 배출이 시작된다. 여기에서, 작동 손잡이는 소변용으로 연결줄(60)이 더 들려지게 되고, 물덮개(50) 내부의 배기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어, 부력 공간 내부의 공기는 빠져나가게 되며, 동시에 부력 공간 내부로 세정수가 침투하게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세정수가 배수구(11)를 통하여 계속 배출되면서, 수위가 하강하면 보조부구(70)가 수면에 노출되고 수면을 따라서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때 물덮개(50)는 부력공간으로 세정수가 유입되어 부력을 상실하였기 때문에 보조부구(70)가 하강하는 만큼 닫히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보조부구(70)가 계속 수면을 따라 하강하고, 그만큼 물덮개(50)도 서서히 닫히다가, 일정 각도 이상 닫히면 배출되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한 영향과 물탱크(100) 내부와 배출구(11) 하부의 압력차 등에 의하여 물덮개(50)가 급격히 닫힘력을 받게 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물덮개(50)는 배출되는 세정수의 흐름과 물탱크 내부와 배출구 하부의 압력차 등에 의한 닫힘력으로 급격히 닫힌다. 이 순간은 보조부구(70)의 설치 높이까지 잔수수위(H3)를 형성하게 된다. 물덮개(50)가 닫히면, 물덮개의 부력공간에 침투한 세정수는 배수구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세정수의 양(QS)은 정상수위(H1)와 소변 잔수수위(H2) 사이의 세정수로써 약 4 L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로 설정된 배출된 세정수의 양(QL, QS)인 6 L 및 4 L는 필요에 따라서 변경가능한 것은 자명한다.
10: 몸체 11: 배수구
12: 넘침관 13: 힌지돌기
20: 안내판 21: 안내홈
30: 수직거치대 31: 가이드봉
32: 상호 돌기와 홈 35: 끼움 홀
37: 누름판 40: 무게통
41: 용기 50: 물덮개
51: 덮개 52: 하부캡
53: 걸고리 60: 연결줄
70: 보조 부구

Claims (5)

  1. 양변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배수구와 배수구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넘침관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하며, 연결줄과 연결된 핸드레버에 의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물덮개;
    상기 넘침관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안내판; 및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서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하단부에 누름판을 구비하는 수직거치대; 및
    상기 수직거치대와 일체로 결합하며 상부에 세정수를 담을 수 있는 무게통을 포함하며, 상기 무게통과 결합하는 상기 수직거치대는 상기 무게통이 수면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무게통 내부의 용기에 담겨진 물의 무게에 의해 수면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누름판에 의하여 상기 물덮개를 닫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거치대에는 측면에 상부 가이드봉 및 하부 가이드봉을 구비하여 상기 안내판의 가이드홀과 결합하여 넘침관의 벽면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일정량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거치대와과 결합하는 상기 무게통은 상기 수직거치대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량씩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잔수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수직거치대와 무게통은 전체적으로 비중이 1 이하로서 수중에서는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덮개는 부력공간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되는 연결줄에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보조부구를 더 설치하여, 대소변 배수량 조절 기능을 갖는 양변기에서 소변의 잔수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KR1020110085151A 2011-08-25 2011-08-25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Active KR10121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151A KR101218592B1 (ko) 2011-08-25 2011-08-25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151A KR101218592B1 (ko) 2011-08-25 2011-08-25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592B1 true KR101218592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151A Active KR101218592B1 (ko) 2011-08-25 2011-08-25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339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KR102035340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KR20200076813A (ko) * 2018-12-19 2020-06-30 한국토지주택공사 변기용수배출장치
KR20200091187A (ko) 2019-01-22 2020-07-30 진명홈바스(주) 잔수공급장치
KR20220033687A (ko) * 2020-09-10 2022-03-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후레쉬밸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368B1 (ko) 1998-02-12 2000-08-01 송공석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100742589B1 (ko) 2007-04-30 2007-07-25 이수인 (주)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100035985A (ko) * 2008-09-29 2010-04-0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101009369B1 (ko) 2008-11-03 2011-01-19 정상구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368B1 (ko) 1998-02-12 2000-08-01 송공석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KR100742589B1 (ko) 2007-04-30 2007-07-25 이수인 (주)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100035985A (ko) * 2008-09-29 2010-04-0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101009369B1 (ko) 2008-11-03 2011-01-19 정상구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13A (ko) * 2018-12-19 2020-06-30 한국토지주택공사 변기용수배출장치
KR102186897B1 (ko) * 2018-12-19 2020-12-07 진명홈바스(주) 변기용수배출장치
KR20200091187A (ko) 2019-01-22 2020-07-30 진명홈바스(주) 잔수공급장치
KR102035339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KR102035340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WO2021006481A1 (ko) * 2019-07-08 2021-01-14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KR20220033687A (ko) * 2020-09-10 2022-03-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후레쉬밸브 장치
KR102417103B1 (ko) 2020-09-10 2022-07-0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후레쉬밸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592B1 (ko)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JP2015063808A (ja) 洗浄水量調整装置、この洗浄水量調整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20150046978A (ko) 양변기 물 내림 장치
JP3142779U (ja) 水洗トイレ用貯水タンクの節水装置
KR100742589B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101085211B1 (ko) 부력으로 승강하는 트랩을 구비한 양변기
CN113216337B (zh) 浮筒装置及控制浮筒及时下落的方法和进水阀、排水阀
CN100529283C (zh) 抽水马桶节水冲便给水装置
EP20327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liquid storage vessel
CN108442475B (zh) 连动机构、控制开关以及坐便器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090026007A (ko) 좌변기 절수용 배수 개폐밸브
KR200237149Y1 (ko) 수세식 변기
KR100523950B1 (ko)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US20090139018A1 (en) Toilet flushing water controlling device
KR20100019096A (ko) 절수형 양변기
CN220336030U (zh) 一种马桶清洁剂供给装置
KR102754603B1 (ko) 변기의 정량 물내림 장치
KR200243351Y1 (ko) 자연배출식 수세식 변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JP3104018U (ja) トイレタンクの検出式注水装置
KR200335749Y1 (ko) 변기용 절수기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