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5470B1 -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 Google Patents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70B1
KR101215470B1 KR1020120072673A KR20120072673A KR101215470B1 KR 101215470 B1 KR101215470 B1 KR 101215470B1 KR 1020120072673 A KR1020120072673 A KR 1020120072673A KR 20120072673 A KR20120072673 A KR 20120072673A KR 101215470 B1 KR101215470 B1 KR 10121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rt
slider
water purifier
concea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Priority to KR102012007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출입구이 형성된 프런트; 상부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스크루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방으로부터 하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취수구가 형성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스크루관과 치합되는 스크루가 구동축에 결합된 전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취수구가 은폐된 상태에서 출입을 통해 물을 받도록 형성하여 취수구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세균에 의해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는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Function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시키는 취수구가 은폐되도록 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정화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인데, 이렇게 정화된 물은 정수 저장조에 담은 상태에서 냉수와 온수로 제공된다.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온수로 공급하기 위한 가열수단은 통상 상기 저장조로부터 받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온수 저장조; 상기 온수 저장조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1 히터; 상기 온수 저장조로부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을 통과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2 히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 저장조와 배출관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어 있거나 통과하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물때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세척해야 하는데, 상기 온수 저장조와 배출관이 정수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바닥에 전원수급단자가 형성된 전기 포트; 상기 전기 포트를 밀어넣어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이 형성된 포트 포켓; 및 상기 포트 포켓의 바닥 내부에 전원공급단자가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 정수기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전기 포트의 청결상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더욱 넓은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정수기는 보통 냉온수를 따르기 위한 두 개의 취수구가 물받이 통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취수구 하부에는 푸시 버트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냉온수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취수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수기는 물을 따르기 위한 취수구가 항상 노출되어 있어서 세균이나 이물질에 의해 쉽게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취수구는 컵을 대기 쉽도록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따르고 난 물의 잔여분이 남아 있기 때문에 공기 중에 떠다니는 이물질이나 세균이 달라붙기 쉽다. 더구나, 상기 물받이 통에는 컵을 헹구거나 먹고 난 물을 버리기 때문에 항상 오염되어 있는데, 상기 물받이 통에 물을 버리는 과정에서 상기 오염된 물이 취수구로 튀어 취수구를 오염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은 취수구가 은폐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가 사용할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어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은폐된 취수구를 살균하기 위한 은폐형 정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화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에 있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된 통로 형태의 출입구가 형성된 프런트; 상기 출입구 내부에서 전후로 출입하도록 하되, 상부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스크루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방으로부터 하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취수구가 형성된 슬라이더; 및 상기 출입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관과 치합되는 스크루가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정역 회전하는 전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 내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진 시 접촉하여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취수구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전방에 주둥이가 형성된 주전자 형태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하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로 형성하되, 상기 저장부의 하부 전방에는 개폐를 통해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밸브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의 바닥에는 전원수급단자가 요입 형성된 전기 포트; 상기 프런트 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기 포트를 밀어넣어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부의 주둥이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밸브 유닛을 개방하여 상기 취수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밸브 유닛이 형성된 포트 포켓; 및 상기 포트 포켓의 바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전기 포트가 안착되면 상기 전원수급단자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가 상승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에 의하면 취수구가 은폐된 상태에서 출입을 통해 물을 받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세균에 의해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에 의하면 은폐된 취수구를 밀폐된 공간에서 열이나 자외선으로 살균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더욱 위생적이고 청결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의 다른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10)이 형성된 프런트(100), 상부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스크루관(2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방으로부터 하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취수구(220)가 형성된 슬라이더(200) 및 상기 스크루관과 치합되는 스크루(310)가 구동축에 결합되고 정역 회전하는 전동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런트(100)는 정수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수구(220)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된 통로 형태의 출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구(110) 내부의 전방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걸려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20)을 형성한다.
본원발명이 첨부한 도면에는 상기 출입구(110)가 냉수공급 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출입구(110)는 냉수공급 측뿐만 아니라, 온수공급 측에도 동일한 양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출입구(110) 내부에서 전후로 출입하도록 형성되면서 상부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스크루관(2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방으로부터 하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절곡된 취수구(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루관(210)과 취수구(220)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형성하되, 상기 취수구(22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더(200)의 양측에는 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0)가 후진하여 출입구(110)에 삽입되면 상기 취수구(220)가 은폐되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더(200)가 전진하여 출입구(110)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취수구(220)가 노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취수구(220)의 후단에는 냉수 또는 온수가 저장된 저장조와 연결되는데, 상기 슬라이더(200)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벨로즈 관이나 연성의 튜브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출입구(110)에 형성된 걸림턱(120)에 걸려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230)을 형성한다. 다만,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방에 형성된 단턱(230)은 슬라이더(200) 전면의 커버에 의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00)를 출입구(110)에 끼운 후 커버를 조립하도록 한다.
상기 전동기(300)는 상기 출입구(1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관(210)과 치합되는 스크루(310)가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정역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기(3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스크루(310)와 스크루관(210)의 치합을 통해 슬라이더(2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취수구(220)를 은폐 또는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전동기(300)의 작동은 예를 들어 프런트(100) 하부에 설치되는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푸시버튼을 누르면 전동기(30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슬라이더(200)를 전진시키고, 푸시버튼을 놓으면 전동기(30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슬라이더(200)를 후진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출입구(110)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후진 시 접촉하여 전동기(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400)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400)는 상기 출입구(100) 상부에 결합되는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취수구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수단(500)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수단(500)은 예를 들어 열이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취수구에 묻은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전원수급단자(630)가 형성된 전기 포트(600), 상기 전기 포트를 밀어넣어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이 형성된 포트 포켓(700) 및 상기 포트 포켓의 바닥 내부에 전원공급단자가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전원공급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포트의 청결상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기 포트(600)는 상부 전방에 주둥이(610)가 형성된 주전자 형태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하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로 형성하되, 상기 저장부의 하부 전방에는 개폐를 통해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밸브유닛(620)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의 바닥에는 전원수급단자(630)가 요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밸브 유닛(620)은 실시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결합구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구 주변으로 물이 빠져나가도록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내부에 설치하되 상기 결합구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진 하면서 물이 외곽으로 빠져나가도록 형성된 피스톤 및 상기 배출구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밀착되면 닫히고 상기 피스톤이 이격되면 열리도록 중앙이 관통된 보조 배출구로 구성된다.
상기 포트 포켓(700)은 상기 프런트(100) 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기 포트(600)를 밀어넣어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부의 주둥이(610)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구(71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밸브 유닛(620)을 개방하여 상기 취수구(220)를 통해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밸브 유닛(7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밸브 유닛(720)은 실시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온수 밸브와 연결하도록 절곡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보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을 밀어 상기 보조 배출구로부터 상기 피스톤을 이격시키기 위한 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포트(600)를 포트 포켓(700)에 안착시켜 제1 밸브 유닛(620)이 제2 밸브 유닛(720)에 끼워지면 상기 핀이 상기 피스톤을 밀어 전기 포트(600)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되는 물은 취수구(220)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800)는 상기 포트 포켓(700)의 바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전기 포트(600)가 안착되면 상기 전원수급단자(630)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810)가 상승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단자(810)를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 회전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 및 상기 스크루에 체결되어 스크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고, 상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결합하는 승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취수구(220)가 은폐된 상태에서 출입을 통해 물을 받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세균에 의해 전염되는 것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은폐된 취수구(220)를 밀폐된 공간에서 열이나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이고 청결하다.
100: 프런트 110: 출입구
120: 걸림턱
200: 슬라이더 210: 스크루관
220: 취수구 230: 단턱
300: 전동기 310: 스크루
400: 리미트 스위치
500: 살균수단
600: 전기 포트
700: 포트 포켓
800: 전원공급장치

Claims (5)

  1. 정화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에 있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된 통로 형태의 출입구(110)가 형성된 프런트(100);
    상기 출입구(110) 내부에서 전후로 출입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출입구 내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걸림턱(120)과,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230)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스크루관(2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방으로부터 하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취수구(220)가 형성된 슬라이더(200); 및
    상기 출입구(1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관(210)과 치합되는 스크루(310)가 구동축에 결합된 전동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10)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200)의 후진 시 접촉하여 전동기(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1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취수구(220)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전방에 주둥이(610)가 형성된 주전자 형태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하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로 형성하되, 상기 저장부의 하부 전방에는 개폐를 통해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밸브유닛(620)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의 바닥에는 전원수급단자가 요입 형성된 전기 포트(600);
    상기 프런트(100) 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기 포트(600)를 밀어넣어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부의 주둥이(610)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밸브 유닛(620)을 개방하여 상기 취수구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밸브 유닛(720)이 형성된 포트 포켓(700); 및
    상기 포트 포켓(700)의 바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전기 포트(600)가 안착되면 상기 전원수급단자(630)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810)가 상승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KR1020120072673A 2012-07-04 2012-07-04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21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73A KR101215470B1 (ko) 2012-07-04 2012-07-04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73A KR101215470B1 (ko) 2012-07-04 2012-07-04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470B1 true KR101215470B1 (ko) 2012-12-26

Family

ID=4790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6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5470B1 (ko) 2012-07-04 2012-07-04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15B1 (ko) 2012-12-27 2014-05-27 윤석신 포트 가열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KR20180024297A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57852A (ko) * 2017-11-21 2019-05-29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00128837A (ko) *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68Y1 (ko) 2004-12-02 2005-03-11 김명철 정수기용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100650666B1 (ko) 2005-12-27 2006-11-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68Y1 (ko) 2004-12-02 2005-03-11 김명철 정수기용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100650666B1 (ko) 2005-12-27 2006-11-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오염 방지용 코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15B1 (ko) 2012-12-27 2014-05-27 윤석신 포트 가열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KR20180024297A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640866B1 (ko) * 2016-08-29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57852A (ko) * 2017-11-21 2019-05-29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92240B1 (ko) * 2017-11-21 2019-06-25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00128837A (ko) * 2019-05-07 2020-11-17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KR102210383B1 (ko) * 2019-05-07 2021-02-01 (주)원봉 급수전 수납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98182B (zh) 对内窥镜的通道反复填充和吹扫的设备和方法
JP6117586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215470B1 (ko)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JP2023060135A (ja) 医療機器を再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3463030B1 (en) Motor driven in-door dishwasher washing aid dispenser
KR20170094511A (ko) 펌프, 이 펌프를 가진 가전 제품 및 이러한 가전 제품을 작동시키는 방법
EP2457595A1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US10905321B2 (en) Multi-port cap for reagent container
KR101818711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20110004202A (ko)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US20180035880A1 (en) Feature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endoscope from reprocessing system
CN109715109A (zh) 医疗或牙科清洁和/或护理装置
JP6209739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519095B1 (ko)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KR20110115673A (ko) 전면 개폐형 정수기
JP6402361B2 (ja) 衛生洗浄装置
KR100625190B1 (ko) 냉온수기
JP2021085310A (ja) 衛生洗浄装置
JP4489613B2 (ja) 食器洗浄機
KR102187887B1 (ko) 음식물 가열 포트
JPS62170631A (ja) 衛生洗浄装置
BR102023012699A2 (pt) Máquina automática de lavar copos e método automático de lavagem de copos
ITBO20010413A1 (it) Unita' per l'erog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liquidi
JP6314317B2 (ja) 衛生洗浄装置
CZ4733U1 (cs) Zařízení pro proplachování a desinfekcl dojicích zaříze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72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8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