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4611B1 -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611B1
KR101214611B1 KR1020050013027A KR20050013027A KR101214611B1 KR 101214611 B1 KR101214611 B1 KR 101214611B1 KR 1020050013027 A KR1020050013027 A KR 1020050013027A KR 20050013027 A KR20050013027 A KR 20050013027A KR 101214611 B1 KR101214611 B1 KR 10121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cosmetic composition
grape seed
raw
sesame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333A (ko
Inventor
라정찬
이항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엘내츄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엘내츄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엘내츄럴
Priority to KR102005001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6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6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귀비과 식물로부터 추출한 생귀나린 및 포도씨 오일 및/또는 참깨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 생귀나린, 포도씨 오일, 참깨 오일의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원인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여드름의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귀나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항여드름균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뛰어난 보습 효과를 통하여 화장수로써의 상품적인 가치를 높힐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은 모두 천연 물질에서 유래한 성분이므로, 인공적인 또는 합성적인 화학제제에 비해 부작용이 없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생귀나린, 포도씨 오일, 참깨 오일

Description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 COMPRISING SANGUINARIN FOR PREVENTING ACNE}
도 1은 생귀나린 크림 및 로션을 도포한 환자들의 염증성 병변 계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생귀나린 크림 및 로션을 도포한 환자들의 GAGS 기술을 이용한 여드름 중증도 평가 변화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생귀나린 크림 및 로션을 도포한 환자들의 Leeds 기술을 이용한 여드름 중증도 평가 변화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생귀나린 크림 및 로션을 도포한 환자들에게서 채취한 여드름균 콜로니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귀비과 식물로부터 추출한 생귀나린 및 포도씨 오일 및/또는 참깨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사춘기에 접어든 10대의 피부에서 많이 생기는데, 10대 피부는 주로 중성이거나 지성이 많이 때문이다. 즉, 여드름은 지성피부에 많이 생기며, 이는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피지인 기름의 분비가 많으면 각질층의 세포에 기름이 많아져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또한 모공이 막혀도 피지 분비는 줄어들지 않아 축적된 피지에 세균이 엉겨붙어서 여드름이 생기게 된다. 또한, 남성 호르몬 생성이 왕성해짐에 따라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의 분비는 더욱 활발해지고, 모공의 입구는 점점 막히게 되는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 및 영양 상태 호전에 따라, 초경이 매우 빨라지게 되었으며, 이는 여드름 발생 연령이 더 앞당겨 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드름은 얼굴은 물론 목, 등, 가슴 등 3백만개 이상이나 되는 피지선이 밀집되어 있는 곳에 주로 생기며, 여드름의 형태로는 폐쇄성 면포인 백포, 개방성 면포인 흑포, 붉은색 여드름, 화농성 여드름으로 나뉘며 우선 폐쇄성 면포란 분비되지 못한 피지가 피부 표면 아래에 1 내지 2mm로 뭉쳐 있는 상태로 좁쌀처럼 오돌도돌한 피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고, 둘째로 개방성 면포인 흑포는 백포의 피지 덩어리가 모공을 막으면서 끝이 검은색으로 변해 생기는 것으로 흔히 점처럼 까맣게 보이는 여드름이 흑포이고 또 붉은색 여드름은 면포성 여드름이 세균에 감염된 상태로 빨갛게 주위가 부어오르고 통증이 오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화농성 여드름이란 여드름이 심하게 악화되어 노랗게 곪은 상태로 흉터를 남긴다.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아직도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못하며, 다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다면, 남성 호르몬의 작용에 기인한 피지의 과다 분비, 피지선의 각질세포 과각화 및 여드름균인 프로피온 박테리아(Propionibacterium acnes)의 관여라는 3가지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피지선 내에 여드름 균의 증식이 많아짐에 따라 여드름 균에 의해 피지를 구성하고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전화되어서 자극원으로 작용하거나, 면포 유발성(comedogenic) 물질로 작용하여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켜 준다. 또한 더욱 진행되어 염증 반응까지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까지 여드름 치료 연구는, 항남성 호르몬제를 사용한 피지분비 조절, 살리실산이나 비타민A 유도체인 레티노익산 제제를 이용한 모공의 각질 제거 그리고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과 크린다마이신(clindamycin) 등의 항생제를 사용한 여드름 균에 대한 살균력 증강 등에 집중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에 어느 정도 효과적이지만, 항호르몬제의 사용은 표피의 생장 억제 기타 호르몬 남용에 의한 부작용이, 살리실산 제제의 경우 피부 발적, 부종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레티노익산 제제의 경우, 과각화 억제를 통한 효과는 있으나, 접촉성 피부염, 홍반, 피부건조 및 인설 등의 부작용이, 에리스로마이신과 크린다마이신 등의 항생제의 경우 내성균의 출혈 및 광과민 작용의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에리스로마이신의 경우, 50S 리보좀 서브유닛 23S rRNA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균 단백질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뛰어난 정균 효과를 보여 여드름 치료제로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최근 리보좀 RNA의 메틸레이션을 통해 매개되는 내성이 치료 환자의 거의 50%에서 발견되어, 새로운 여드름 치료제의 출연이 시급한 현실이었다.
상기와 같은 부작용을 완화 시키기 위하여, 한국특허출원 제10-1998-0007651호는 방균 기능이 우수하고, 곰팡이에 대한 MIC가 낮으며, 일반적으로 피부자극성이 작은 3-요오드-2-프로피닐부틸카바마이트(3-Iodo-2-propynylbutylcabamate)와 생귀나리아 카나덴시스(Sanguinaria canadensis) 식물 유래의 벤조페난트리딘 알카로이드(benzophenanthridine alkaloids)를 필수 구성요소로 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3-요오드-2-프로피닐부틸카바마이트(3-Iodo-2-propynylbutylcabamate)의 경우, 일반적으로 피부 자극성은 거의 없으나, 원제의 경우 눈에 약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고, 경시적으로 황변이 유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 여드름 치료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있어 왔으며, 지금까지 여러 가지 화합물들이 여드름 치료제로 개발되었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여드름 치료제는 부작용의 문제가 있었고, 소기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했으므로 당업계에서는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제품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드름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장시간 사용해도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천연 물질인 양귀비과 식 물로부터 추출한 생귀나린 및 포도씨 오일 및 참깨 오일이 여드름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귀비과 식물로부터 추출한 생귀나린 및 포도씨 오일 및/또는 참깨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귀나린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포도씨 오일 또는 참깨 오일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0.001 내지 0.5중량%의 생귀나린 추출물, 1 내지 50중량%의 포도씨 오일 또는 1 내지 30중량%의 참깨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는 폴록사머 188 (POLOXARMER 188) 또는 디아세틸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존제는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C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로션, 스킨로션, 팩, 파운데이션, 액상비누, 고형비누 또는 세안 폼(foam)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생귀나린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포도씨 오일 또는 참깨 오일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으로 사용되는 생귀나린(Sanguinarin; 13-메틸[1,3]벤조디옥소로[5,6-c]-1,3-디옥소로[4-5-i]펜안트리디움)은 양귀비과에 속하는 여러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에 존재하는 벤조페난트리딘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에리스로마이신의 효과가 정균 작용 밖에 미치지 못하는데 반해,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곰팡이류, 효모 등에 대하여 광범위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며, (미국특허 제 4,406,881호), 인체에 무해하여 치약(미국특허 제 4,415,412호), 껌(미국특허 제 4,908,211호) 등의 첨가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이움 아크네균에 항균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한국특허출원 제10-1998-0007651호).
생귀나린은 세포벽 생성을 저해하고, 세포 분열시 격막 형성을 저해함으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광범위한 살균효과로 치과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내성 발생에 대한 보고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생귀나린을 본 발명자들의 출원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05-0012957호의 생귀나린의 증식 및 추출 공정에 따라 추출하였다. 즉, 양귀비과 식 물의 캘러스를 고농도로 생산한 다음, 이 배양액을 건조하고, 인체에 무해한 유기산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생귀하린 추출액을 만들고, 이에 염을 첨가하여 생귀나린을 추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생귀나린을 0.001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으로 사용되는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은 포도의 종자로부터 나오는 오일로, 비타민, 무기염류, 철분을 풍부하게 포함해 피부에 자극이 적은 무취의 오일이다. 포도씨 오일의 경우, 엷은 초록색을 띠며 마사지와 얼굴관리에 많이 사용된다. 특히, 비타민 E가 풍부하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있고 피부세포를 보호해 주며 보습효과가 있다. 또한 염증성 피부, 갈라짐, 통증, 건조한 피부 등에 효과적이며 피부 흡수력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포도씨 오일을 5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으로 사용되는 참깨씨오일(Sesame oil)은 참깨로 짠 오일을 말하며, 성상은 비중 0.917 내지 0.924%, 비누화값 187 내지 194%, 옥소가 103 내지 116%, 불비누화물 0.9%이다. 불비누화물로는 화이트스테롤?세자민?세자몰?세자모린이 있고, 지방산 조성은 올레산 48.1%, 팔미트산 9.7%, 스테아르산 4.6%, 리놀레산 36.8%, 알라긴산 0.4%이다. 리놀레산?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의 이중결합부분에서는 산화나 중합이 일어나기 쉽고 세자몰과 비타민 E는 산패를 막아준다.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참깨 오일의 경우는, 주방용 참깨 오일과 달리 차가운 온도에서 단순 압착으로 인해 얻어 지므로, 식용 참깨 오일이 고소한 냄새를 내는 것과 달리, 냄새가 거의 없으며, 영양분이 열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오일은 피부에 침투가 용이하며 마사지에 많이 사용되는 캐리어 오일이며, 올리브 오일과 성질이 유사하게 보습성이 뛰어나고, 비타민E(토코페롤)가 풍부하여 산화방지제 역할을 해 준다.
본 발명에서는 참깨 오일을 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 생귀나린과 생귀나린,포도씨 오일 및 참깨 오일 혼합물의 항균효과 비교
여드름 피부용 조성물에 사용한 생귀나린과 포도씨 오일, 참깨 오일의 여드름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이하여, 하기 표1에 기재된 시료 즉, 에리스로마이 신(erythromycin), 클린다마이신(dlindamycin), 생귀나린, 생귀나린과 포도씨 오일 및 참깨 오일의 혼합물을 5~200ppm이 되도록 브레인 하트 인퓨젼 배지에 첨가한 후, 이 배지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P. acne)을 105마리/g의 양으로 접종한 후, 37˚ C에서 48시간 배양 후 균의 성장이 확인되지 않은 최소농도(MIC)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시료명 항여드름균효과(MIC, ppm)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20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30
생귀나린 7
생귀나린, 포도씨 오일 5
생귀나린, 참깨 오일 6
생귀나린, 포도씨 오일, 참깨 오일 4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귀나린은 여드름 치료 조성물에 빈번히 사용되는 항생 물질인 에리스로마이신 및 클린다마이신에 비에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고, 생귀나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포도씨 오일 및 참깨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한 시료의 항여드름균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 각 성분 농도 결정
생귀나린의 최종 농도는 삼성병원 피부과에서 실시한 in vitro 테스트 상에서 시험한 결과인 6.5ppm의 농도 보다 과량인 400ppm의 생귀나린류를 첨가하였는데 피부에 고농도로 도포하여도 피부에 흡수되는 양이 미량이기 때문에 생귀나린을 400ppm으로 하여 제형을 개발하게 되었다.
1-1. 로션타입 조성물 농도
본 발명자들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생귀나린을 0.04중량%, 포도씨 오일을 5.0중량%, 참깨 오일을 10.0중량%를 첨가하여, 로션타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2. 크림타입 조성물 농도
본 발명자들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생귀나린을 0.04중량%, 포도씨 오일을 30.0중량%, 참깨 오일을 10.0중량%를 첨가하여, 크림타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생귀나린 화장품 제형 개발
본 발명자들은 한국 콜마의 기술진과 협의를 하여 생귀나린 화장품에 적합한 제형을 하기한 표 1 및 표 2와 같이 개발하였다.
제형예 : 1 로션
성분 함량비(%)
74.55
POLOXAMER 188 8.0
디아세틸 포스페이트(DEA-CETYL PHOSPHATE) 0.2
포도씨 오일 5.0
참깨 오일 10.0
CEICEPT 0.75
생귀나린 용액(생귀나린-400ppm) 1.0
트리에탄올아민(T.E.A) 0.5
제형예 : 2 크림
성분 함량비(%)
39.55
POLOXAMER 188 8.0
디아세틸 포스페이트(DEA-CETYL PHOSPHATE) 10
포도씨 오일 30
참깨 오일 10.0
CEICEPT 0.75
생귀나린 용액(생귀나린-400ppm) 1.0
트리에탄올아민(T.E.A) 0.7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화장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3 : 여드름에 대한 개선 정도 측정
상귀나린의 임상시험을 위하여 20명의 자원자를 확보하고, 이들의 여드름에 대하여 임상적인 고찰을 하였다. 또한 이들의 혈청 샘플(serum sample)을 분석하여, 상위나린에 의하여 항염증 작용이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상귀나린의 유효성을 분석하였으며, P. acne의 성장 억제의 효과를 집락수(colony coun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3-1 : 환자선별
본 연구는 20-38세의 경증의 여드름을 앓고 있는 30명의 한국인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래 중의 하나라도 해당되는 환자는 배제하였다.
1) 얼굴에 다른 피부 질환이 존재할 경우
2) 연구 시행전, 14일 내 피부 외용제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
3) 연구 시행전, 30일 내 전신적 항생제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
4) 연구 시행전 6개월 내 전신적 레티노이드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
5)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경우
6) 안드로겐 초과와 같은 피지선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 있는 경우
7) 여드름 유발 약물 복용시
3-2 : 치료제 및 사용방법
실시예 1의 제형으로 제조된 0.04% 생귀나린 크림과 로션을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환자들은 무작위로 0.04% 생귀나린 크림 또는 로션을 배정받았으며, 환자들은 부여받은 제제의 성분을 알지 못하였다. 이 환자들에게 12주 동안 잠들기전 하루에 한번 치료 약제를 얼굴 전체에 얇은 층으로 도포하도록 하였다.
3-3 : 효능평가
환자는 초기 치료시 그리고 치료 후 2, 4, 8, 12 주에 즉 총 5번 내원하였으며 효능, 안정성, 치료 효과에 대한 판정 및 순응도 평가는 매 방문시 마다 이루어 졌다. 임상적 효능 평가는 매 방문시 마다, 염증성 변변 및 비염증 병변 계수, GAGS 와 Leeds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증등도를 평가를 포함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피부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전신적 부작용 평가를 위한 검사실 검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피부 부작용은 홍반, 인설, 피부 건조, 작열감, 가려움 등을 4-point scale로 평가하였으며(0, none; 1, mile; 2, moderate; 3, severe). 전신적 부작용을 보기 위한 검사실 검사는 일반 혈액 검사, 간기능 검사, 신장 기능 검사, 지질 검사, 요검사를 포함하였다.
3-4 : 샘플링과 여드름균 배양
샘플은 매 방문시 마다 가장 뚜렷한 병변에서 Williamson and Kligman의 detergent scrub technique을 이용하여 취하였다. 위에서 언급했던 방법으로 얻어진 시료들은 0.1% trition X-100이 함유된 Hank's balance solution으로 희석 후, Schaedler anaerobic agar plate (Difco BRL, USA)에 도포하였다. 플레이트는 95% N2 and 5% CO2 조건의 혐기조에서 37oC, 48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48시간 배양 후 콜로니 수를 계수함으로써 P. acnes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P. acnes의 규명은 그 형태학적 특징과 그람 염색 방법에 의해 이루어 졌다.
3-5 : 통계분석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peated measures ANOVA)법을 통해 개개 피부 병변 수 변화 , 여드름 중증도 지수 변화, 배양상 P. acnes의 수 변화에 대한 치료 그룹들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P-value <0.05 를 통계적으로 유효한것으로 간주했다.
3-5-1 : 환자에 대한 기초 자료
환자들은 20~38세의 연령대이고 평균 나이는 26세였다. 성별 및 인종은 동일하였으며 연령에 대해 그룹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초기 치료시 두그룹 간의 병변 수 및 여드름 중증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20명의 환자 모두가 성공적으로 연구를 종료하였으며, 0.04% 생귀나린 크림 그룹 10명, 0.04% 생귀나린 로션 그룹 10명 이었다.
3-5-2 : 효능 결과 - 병변 계수
매 방문시 마다 염증성 및 비 염증성 병변을 계수 하였으며 두그룹 모두, 염증성 변변 수는 치료 후 4주 동안 죽 감소하였고, 8주에 다소 증가하였다가 12주에 다시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도 1). 두 그룹 모두 염증성 병변수의 감소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으며(P=0.0006) 0.04% 생귀나린 크림과 0.04% 생귀나린 로션 그룹의 염증성 병변 % 감소는 12주 후에 각각 42%, 35%로 나타났다.
3-5-3 : 효능 결과 - 중증도 평가
여드름 중증도 평가 결과도 개개 병변 수 계수시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도 2와 3은 GAGS 과 Leeds 법을 이용한 여드름 중증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두그룹 모두 초기 치료와 비교 시 분명한 중증도 지수 감소가 나타났으나(P<0.0001 for GAGS, P=0.0001 for Leeds technique), 그룹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7646 for GAGS, P=0.292 for Leeds technique). 도 2는 GAGS 기술을 이용한 중증도 평가 변화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Leeds 기술을 이용한 중증도 평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3-5-4 : 효능 결과 - in vitro 분석
두개의 제재가 P. acnes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방문 때마다 채취한 콜로니 수를 체크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가지 제재 모두 P. acne에 대하여 항균성 효과를 보였고, 이러한 항균 효과는 치료가 종료되는 12주까지 지속되었다. In vitiro 연구 상에서 두 그룹간 치료효과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7536).
실시예 4 : 안정성 테스트-임상시험 결과
치료 부작용으로 연구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홍반, 인설, 피부 건조, 작열감, 가려움과 같은 피부 부작용은 모든 경우에서 경미했다(표 4). 그리고, 이러한 과민증 증상은 연구 초기 몇주에 만 나타났고, 그 후에는 감소되었으며, 결국 사라졌다. 또한, 혈액검사 및 요 검사상 전신적인 부작용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치료 그룹
생귀나린 크림 n(%) 생귀나린 로션 n(%)
Erythema(홍반) 1(10)
Dryness(피부건조) 1(10)
Scaling(인설) 1(10)
Burning(작열감) 1(10) 2(20)
Pruritus(가려움) 1(10)
총계 n(%) 2(20) 5(5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귀나린 제제에 대한 피부 부작용은 경미한 수준에 그쳤으며, 이는 에리스로마이신 등의 항생물질의 내성 등의 부작용을 고려할 때, 항생물질의 내성 환자 군에 대한 일차 치료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 생귀나린, 포도씨 오일, 참깨 오일의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원인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여드름의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 성물은 생귀나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항여드름균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뛰어난 보습 효과를 통하여 화장수로써의 상품적인 가치를 높힐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은 모두 천연 물질에서 유래한 성분이므로, 인공적인 또는 합성적인 화학제제에 비해 부작용이 없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생귀나린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포도씨 오일 또는 참깨 오일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포도씨 오일과 참깨 오일을 모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0.001 내지 0.5중량%의 생귀나린 추출물, 1 내지 50중량%의 포도씨 오일 또는 1 내지 30중량%의 참깨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유화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록사머 188 또는 디아세틸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보존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화장수, 크림, 로션, 스킨로션, 팩, 파운데이션, 액상비누, 고형비누 및 세안 폼(foam)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0. 생귀나린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포도씨 오일 또는 참깨 오일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50013027A 2005-02-17 2005-02-17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121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027A KR101214611B1 (ko) 2005-02-17 2005-02-17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027A KR101214611B1 (ko) 2005-02-17 2005-02-17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333A KR20060092333A (ko) 2006-08-23
KR101214611B1 true KR101214611B1 (ko) 2012-12-21

Family

ID=3759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027A Expired - Lifetime KR101214611B1 (ko) 2005-02-17 2005-02-17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72A (ko) 2019-03-04 2020-09-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126763A (ko) 2022-02-23 2023-08-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1419B2 (en) * 2007-12-20 2010-04-06 Dileva Rose Mari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in mammals
EP2179739A1 (en) * 2008-10-23 2010-04-28 Matteo Tutino Compositions comprising vitamins
KR102133268B1 (ko) 2020-04-10 2020-07-13 (주)세림바이오테크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259B1 (ko) 1998-05-20 2002-04-12 조지안느 플로 안정한 수/유/수 에멀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로써 그것의 용도
KR100327290B1 (ko) 1995-11-06 2002-10-25 로레알 경질겔의화장품적용도및이를사용한화장품또는피부병리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290B1 (ko) 1995-11-06 2002-10-25 로레알 경질겔의화장품적용도및이를사용한화장품또는피부병리학조성물
KR100332259B1 (ko) 1998-05-20 2002-04-12 조지안느 플로 안정한 수/유/수 에멀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로써 그것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72A (ko) 2019-03-04 2020-09-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126763A (ko) 2022-02-23 2023-08-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333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iuddin „Skin care creams: formulation and use.”
KR101965482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3171327A (zh) 控油祛痘组合物及其应用
CN111773272A (zh) 一种治疗痤疮的外用复合配方及其制备方法
CN111743830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其应用
CN117045523A (zh) 一种高含量壬二酸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848517A (zh) 一种保湿控油消炎抑菌祛痘组合物和包含该组合物的祛痘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090038648A (ko) 편백 오일를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774B1 (ko) 블랙커민씨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용 조성물
CN115670952B (zh) 一种控油抗痘的组合物、护肤品及制备方法
JP3590369B2 (ja) クリプトタンシノンを含むニキビ予防及び治療用化粧料組成物
CN112915055A (zh) 一种舒缓多效除螨组合物及其应用
KR20120058850A (ko)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Sharm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cold cream
KR101214611B1 (ko)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065004A (ja) 皮膚常在細菌叢改善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969455A (zh) 一种含紫花地丁的祛痘保湿组合物及其应用
KR100371028B1 (ko) 피부안전성이 우수하면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있는 단삼추출물 및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함유 화장료조성물
CN108158938A (zh) 一种含美洲大蠊成分的祛痘面霜及其制备方法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337211A (zh) 一种温和低敏性保湿祛痘凝胶及其制备方法
KR100570847B1 (ko) 여드름 피부용 조성물
KR20000065305A (ko) 안정화시킨 레티놀, 파이토스핑고신 및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Patent event code: PN23012R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