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3767B1 - 조업용 양승기 - Google Patents

조업용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767B1
KR101213767B1 KR1020120100297A KR20120100297A KR101213767B1 KR 101213767 B1 KR101213767 B1 KR 101213767B1 KR 1020120100297 A KR1020120100297 A KR 1020120100297A KR 20120100297 A KR20120100297 A KR 20120100297A KR 101213767 B1 KR101213767 B1 KR 10121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tating shaft
shaft
fishing line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호
권정현
Original Assignee
문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9079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137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문용호 filed Critical 문용호
Priority to KR102012010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7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치 등을 조업하기 위해 바다에 투승된 낚싯줄을 감아 끌어올리는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싯줄을 바다에 투승할 낚싯줄이 감긴 드럼과 고기가 잡힌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드럼을 공회전용 고정축과 연동용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 조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업용 양승기{line hauler for fishing operation}
본 발명은 갈치 등을 조업하기 위해 바다에 투승된 낚싯줄을 감아 끌어올리는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싯줄을 바다에 투승할 낚싯줄이 감긴 드럼과 고기가 잡힌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드럼을 공회전용 고정축과 연동용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 조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양승기는 크게 외줄을 마찰 드럼을 이용하여 끌어올려서 선체 바닥에 늘어뜨리는 방식(특허문헌 1,2)과, 외줄을 릴처럼 드럼에 감고 푸는 방식(특허문헌 3)의 두 가지 타입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양승기로 예를 들면 갈치낚시를 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갈치낚시는 대나무 낚싯대를 선박 좌우(배 한 척에 6대 또는 8대 한 사람이 2대 사용)에 메달아 낚싯대 끝 클립에 걸려있는 한 틀은 바다에 담겨져 있고, 다른 한 틀은 미끼를 꿰어 멀리 던져(멀리 던져야 미끼가 배 밑으로 오는 중에 고기가 유인) 미끼가 배 밑에 다다르면 먼저 담겨져 있는 한 틀을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미끼가 번갈아 가며 수중에 계속 있는 상태로 작업한다.
이때, 미끼를 미리 던진 낚싯줄은 특허문헌들에 걸어서 마찰 또는 릴 방식으로 끌어올리는 방식의 수작업이다.
이러한 수작업은 1개의 마찰롤러부재 또는 1개의 회전 드럼이 사용되기 때문에, 먼저 투승한 낚싯줄은 동일한 마찰롤러부재 또는 동일한 회전 드럼에 계속 걸어서 끌어올려야 한다.
따라서, 두 대의 양승기를 낚싯대 한 개에 번갈아가며 1인이 두 대의 양승기를 조작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37921호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3010호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14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드럼을 고정축과 회전축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낚싯줄의 투승과 걷어올림의 두 가지를 조업을 반복하는데 유용한 조업용 양승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업용 양승기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축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드럼 및 제2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제1드럼과 제2드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1드럼과 제2드럼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축과 연동 가능하게 끼워지게 구성하여 있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에 끼워진 드럼을 회전시켜 투승되어진 낚싯줄을 감아 끌어올려 고기를 수거한 후 탈거한 드럼을 먼저 고정축에 끼워진 드럼에 감긴 낚싯줄은 공회전으로 바다 속으로 자연스럽게 투승한 드럼과 서로 바꿔 끼워 조업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조업용 양승기는,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축이 탑재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축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브래킷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한 스플라인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1드럼의 보스 및 상기 제2드럼의 보스에는 상기 스플라인축에 맞물려 끼워지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드럼의 착탈이 매우 쉬우면서도 확실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조업용 양승기는,
감아 올려지는 낚싯줄을 상기 회전축에 끼워진 제1드럼 또는 제2드럼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왕복운동시켜 상기 낚싯줄을 상기 제1드럼 또는 제2드럼의 축방향 전체를 따라 감기게 하는 정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하 수평 롤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좌우 수직 봉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캠 판과, 상기 캠 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하 수평 롤을 승강시키는 운동전환부를 포함한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회전축으로 드럼과 캠 판을 동시에 회전하면서도 낚싯줄의 엉킴과 한쪽으로 치우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조업용 양승기는,
상기 운동전환부는 상기 캠 판에 배치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와 상기 상하 수평 롤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체는 상기 요크에 일단이 연결되는 수평연결체와, 일단은 상기 수평연결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연결되는 수직연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브래킷에는 상기 좌우 수직 봉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조업용 양승기는,
상기 지지브래킷에는 상기 하측 수평 롤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는 센서가 더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낚싯줄을 가이드 하면서도 감긴 줄의 량을 감지하여 소정의 설정값에 이르면 드럼의 회전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회전축에 끼워진 드럼을 회전시켜 바다 속에 투승되어진 낚싯줄을 감아 끌어올려 고기를 수거한 후 탈거한 드럼은 먼저 고정축에 끼워진 드럼에 감진 낚싯줄을 공회전으로 바다 속으로 자연스럽게 투승한 드럼과 서로 바꿔 끼워 조업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회전축에는 스플라인축이 형성되고, 드럼의 보스에는 상기 스플라인축에 맞물려 끼워지는 스플라인이 형성됨으로써, 드럼의 착탈이 매우 쉬우면서도 확실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상하 수평 롤과 좌우 수직 봉 사이로 낚싯줄을 가이드 하면서 감아 올리기 때문에 서로 엉키지 않고 드럼에 감기게 된다.
또한, 상하 수평 롤을 상하로 승강시키면서 가이드 하기 때문에, 드럼의 축방향 전체를 따라 분포되면서 감겨 한쪽으로 치우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한다.
하나의 회전축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하 수평 롤을 승강시켜 부품이 간소화된다.
하측 수평 롤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는 근접센서가 더 설치됨으로써, 낚싯줄을 가이드 하면서도 감긴 줄의 량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입력된 값에 이르면 드럼의 회전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를 정면에서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상측 수평 롤을 하측 수평 롤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켜 낚싯줄을 걸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제1드럼과 제2드럼을 고정축과 회전축에 탈거한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인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갖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업용 양승기를 정면에서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상측 수평 롤을 하측 수평 롤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켜 낚싯줄을 걸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1드럼과 제2드럼을 고정축과 회전축에 탈거한 상태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인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갖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업용 양승기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고정축(30), 고정축(3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회전축(50), 회전축(5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70), 고정축(30)과 회전축(50)에 각각 끼워지는 제1드럼(D1) 및 제2드럼(D2)으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회전축(50)과 모터(70)는 하우징(10)에 탑재되거나 장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정축(30)은 하우징(10)에 설치된 후술된 브래킷(11)(13)에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박스 형상으로서, 선체의 바닥 등에 체결 고정되는 구성이다.
고정축(3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브래킷(11)(13)에 의해 하우징(10)에 외팔보 형태로 수직하게 배치 지지되어 있다.
즉, 고정축(30)은 상하 브래킷(11)(13)에 의해 지지되는 제1고정축(30a)과, 제1드럼(D1) 또는 제2드럼(D2)이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고정축(30b)으로 구획되어 있다.
회전축(50)은 고정축(30)과 평행하게 배치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50)은 하우징(10)에 고정된 상하 베어링(15)(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회전축(30)은 상하 베어링(15)(17)에 의해 지지되는 제1회전축(50a)과, 제2드럼(D2) 또는 제1드럼(D1)을 강제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회전축(50b)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2회전축(50b)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바깥쪽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는 스플라인축(5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되는 제1드럼(D1)의 보스(B1) 및 제2드럼(D2)의 보스(B2)에는 도 4와 같이 스플라인축(50b)에 맞물려 끼워지는 스플라인(S1)(S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드럼(D1) 및 제2드럼(D2)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사출 성형하여 스플라인(S1)(S2)을 간단히 성형하면서도 부력에도 좋다.
이와 같은 스플라인축(50b)과 스플라인(S1)(S2)의 구성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확실한 드럼(D1 또는 D2)의 착탈이 가능하면서 동력전달이 확실하여 조업이 대단히 편리하다.
따라서, 고정축(30)과 회전축(50)에 드럼(D1) 또는 드럼(D2)을 번갈아 가며 설치하여 반복 조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즉, 고정축(30)에 공회전하면서 최초 던져 넣은 어구(낚싯줄)의 드럼을 배에 가까이 이르면(어장 수심 대략 겨울에는 200미터 여름에는 50미터) 드럼을 회전축(50)에 걸어 고기를 유인하는 동안 다른 드럼의 어구를 멀리 던져 고정축(30)에 걸어놓고 봉돌이 자연스럽게 가라앉는 동안 회전축(50)에 걸어두었던 드럼을 동력을 이용해 목줄까지 감고 나머지 아랫줄에 있는 고기는 수작업으로 끌어 털어내 미끼를 매달아 고정축(30)에 있는 드럼과 바꿔 다시 어구를 던지고 회전축에 있는 드럼을 다시 끌어올리는 방법을 반복한다.
또한, 수작업에서는 드럼(틀) 2개가 던지고 걷어올리는 반복 작업이어서 드럼 간에 줄이 꼬이게 되는데 사람이 풀 수밖에 없으므로 고정된 드럼으로는 1인이 1드럼 작업만이 가능하므로 능률이 반으로 줄어듭니다.
드럼(D1) 또는 드럼(D2)이 고정축(30) 또는 회전축(50)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이탈방지핀(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핀(40)은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축(30)과 회전축(50)에 동일하게 구현되어 있어, 고정축(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탈방지핀(40)은 도 1과 같이 고정축(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면 드럼(D1 또는 D2)이 장착된 상태이고, 도 4와 같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드럼(D1 또는 D2)을 탈거하는 상태이다.
즉, 이탈방지핀(40)은 핀(41)과, 핀(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43)과, 고정축(30)의 상단에 양측에서 돌출하여 중심에 선회 공간(46)을 만드는 지지편(45)과, 장공(43)에 끼워져 지지편(45)에 선회 가능하게 핀(41)을 지지하는 힌지축(47)으로 구성하여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핀(40)은 지지편(45)에 대해서 탈거하지 않고 잠금/해제 상태를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분실 위험이 없다.
이러한 이탈방지핀(40)은 고정축(30)과 회전축(50)에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어느 하나에 구현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반적인 착탈형 핀으로 구현하여도 좋다.
모터(70)는 하우징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어 회전축(50)에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동력 전달은 모터(70)와 회전축(50)의 직접전동방식(기어 등) 또는 간접전동방식(벨트나 체인 등) 어느 것으로 구현하여도 좋다.
이것은 하나의 장치에 2개의 드럼(D1)(D2)을 각각 공회전과 강제 회전을 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클러치 타입으로 구현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하나의 드럼만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이 경우는 하나의 드럼으로 고기를 끌어올리고 던져지는 것으로, 낚싯줄을 바다 속으로 투승할 때 자연스럽게 내려가야 하는데 이때 모터는 끌어올리는 것과 반대로 역회전해야 하는데 통상 감속기어 등이 있어 무리가 와서 단속을 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클러치 방식으로 동력을 단속시킨다)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력 전달 방식이 클러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재(9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7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91), 회전축(50)에 설치되는 피동풀리(93), 구동풀리(91)와 피동풀리(93)에 걸친 벨트(95)와, 벨트(95)를 피동풀리(93)에 대해 단속시키는 클러치(97)로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9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풀리(91)에 걸린 부분의 벨트(95)를 감싸는 커버(97a)와, 하우징(10)에 탑재되는 지지축(97b)과, 모터(70)와 지지축(97b)을 연결하는 힌지축(97c)과, 모터(70)를 선회시켜 벨트(95)의 단속을 행하는 수동레버(97d)로 구성하여 있다.
커버(97a), 힌지축(97c)과 수동레버(97d)는 구동풀리(91)와 모터(70) 사이에 개재되는 개재판(97e)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의 (a) 상태에서는 동력이 전달된 상태이고, 도 7의 (b) 상태에서는 수동레버(97d)가 회전되어 벨트(95)를 앞으로 밀고 가서 피동풀리(93)의 밀착된 부분을 떨어트려 동력을 끊게 된다.
또한, 모터(70)가 임의로 선회되어 동력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에 대해 모터(70)를 잡아주는 걸림쇠(미도시)와 걸림고리(미도시)를 설치하여도 좋다.
한편, 감아 올려지는 낚싯줄(S)을 회전축(50)에 끼워진 제1드럼(D1) 또는 제2드럼(D2)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8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80)는 상하 수평 롤(81)(83)과, 하우징(10)에 고정된 좌우 수직 봉(85)(8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수평 롤(81)(83)은 도 5와 같이 낚싯줄(S)이 감아 올리는 마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브래킷(8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측 수평 롤(81)은 지지브래킷(82)에 일단만 지지되고, 하측 수평 롤(81)(83)은 지지브래킷(82)에 양단 지지되는 것이 좋다.
상측 수평 롤(81)은 일단에 대해 타단이 위로 선회되게 하여, 낚싯줄을 수평 롤(81)(83) 사이에 끼우기 편리하다.
다른 한편, 가이드 부재(80)를 왕복운동시켜 낚싯줄(S)을 제1드럼(D1) 또는 제2드럼(D)의 축방향 전체를 따라 감기게 하는 정렬부재(6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부재(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50)에 설치되는 캠 판(61)과, 캠 판(61)의 회전에 따라 상하 수평 롤(81)(83)을 승강시키는 운동전환부(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 판(61)은 회전축(50)의 하단에 판을 경사지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높낮이의 차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운동을 제공한다.
운동전환부(63)는 캠 판(61)에 배치되는 요크(64)와, 요크(64)와 지지브래킷(82)을 연결하는 연결체(67)로 이루어진다.
요크(64)는 캠 판(61)의 회전 둘레에 배치되어, 캠 판(61)의 높낮이를 상하로 승강하는 기구로 바꾸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체(67)는 요크(64)에 일단이 연결되는 수평연결체(65)와, 일단은 수평연결체(65)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브래킷(82)의 밑면에 연결되는 수직연결체(66)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에는 수직연결체(66)의 상단과 지지브래킷(82)의 밑면이 연결되는 연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브래킷(82)에는 좌우 수직 봉(85)(87)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홀(8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연결체(65)는 연결공(미도시)과 가이드 홀(86)을 따라 상하로 승강을 안내받는다.
이러한 정렬부재(60)는 감기는 낚싯줄(S)이 드럼(D1 또는 D2)의 감기는 보빈의 폭 전체에 대해 골고루 감기게 된다.
또한, 1개의 회전축(50)으로 드럼(D1 또는 D2)에 동력을 전달하면서 수평 롤(81)(83)의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레이아웃이 형성되어, 장치의 콤팩트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지지브래킷(82)에는 하측 수평 롤(83)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모터(7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는 센서(2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20)는 하측 수평 롤(83)의 일단에 설치하여, 하측 수평 롤(83)의 회전량을 감지하는데,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있지만 자기력으로 회전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미리 제어부(미도시)에 감아 올리는 낚싯줄의 길이를 설정하면, 센서(20)로부터 회전량을 전달받아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모터(70)의 전원을 차단하여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드럼(D1')(D2')에서 보스와 림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에 빈 공간인 공기 주머니(AP)를 형성하여, 매우 우수한 부력을 제공하여 바다에서 분실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하우징 11,13 : 상하 브래킷
15,17 : 상하 베어링 20 : 센서
30 : 고정축 30a : 제1고정축
30b : 제2고정축(공회전축) 40 : 이탈방지핀
41 : 핀 43 : 장공
45 : 지지편 46 : 선회 공간
47 : 힌지축 50 : 회전축
50a : 제1회정축 50b : 제2고정축(스플라인축)
60 : 정렬부재 61 : 캠 판
63 : 운동전환부 64 : 요크
65 : 수평연결체 66 : 수직연결체
67 : 연결체 70 : 모터
80 : 가이드 부재 81,83 : 상하 수평 롤
82 : 지지브래킷 85,87 : 좌우 수직 봉
86 : 가이드 홀 90 : 동력전달부재
91 : 구동풀리 93 : 피동풀리
95 : 벨트 97 : 클러치
97a : 커버 97b : 지지축
97c : 힌지축 97d : 수동레버
97e : 개재판 AP : 공기주머니
B1,B2 : 보스 D1,D2;D1'D2' : 드럼
S : 낚싯줄 S1,S2 : 스플라인

Claims (5)

  1.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축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드럼 및 제2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제1드럼과 제2드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1드럼과 제2드럼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축과 연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업용 양승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축이 탑재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축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브래킷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한 스플라인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1드럼의 보스 및 상기 제2드럼의 보스에는 상기 스플라인축에 맞물려 끼워지는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조업용 양승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감아 올려지는 낚싯줄을 상기 회전축에 끼워진 제1드럼 또는 제2드럼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왕복운동시켜 상기 낚싯줄을 상기 제1드럼 또는 제2드럼의 축방향 전체를 따라 감기게 하는 정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하 수평 롤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좌우 수직 봉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캠 판과, 상기 캠 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하 수평 롤을 승강시키는 운동전환부를 포함하는 조업용 양승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환부는 상기 캠 판에 배치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와 상기 상하 수평 롤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체는 상기 요크에 일단이 연결되는 수평연결체와, 일단은 상기 수평연결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연결되는 수직연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브래킷에는 상기 좌우 수직 봉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조업용 양승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에는 상기 하측 수평 롤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는 센서가 더 설치되는 조업용 양승기.
KR1020120100297A 2012-09-11 2012-09-11 조업용 양승기 Active KR10121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97A KR101213767B1 (ko) 2012-09-11 2012-09-11 조업용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97A KR101213767B1 (ko) 2012-09-11 2012-09-11 조업용 양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767B1 true KR101213767B1 (ko) 2012-12-18

Family

ID=4790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297A Active KR101213767B1 (ko) 2012-09-11 2012-09-11 조업용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7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14B1 (ko) 2013-02-13 2014-08-06 이승호 갈치 양승기
KR101919884B1 (ko) 2017-08-01 2018-11-19 유인섭 막대 걸레 세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297U (ko) 1976-07-07 1978-01-2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297U (ko) 1976-07-07 1978-01-2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14B1 (ko) 2013-02-13 2014-08-06 이승호 갈치 양승기
KR101919884B1 (ko) 2017-08-01 2018-11-19 유인섭 막대 걸레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544B2 (en) Automatic coiling machine
CN100581356C (zh) 使用钓钩的捕鱼装置
WO2011035388A1 (en) Improved level wind arm for a winch assembly
KR101817901B1 (ko) 갈치 끌낚시용 양승기
KR101213767B1 (ko) 조업용 양승기
KR200454855Y1 (ko) 양식 수산물용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채취선
KR101261502B1 (ko) 통발인양장치
KR20130066220A (ko) 장력감소식 윈치
KR102053939B1 (ko) 체인 스토퍼
KR101263131B1 (ko) 끌낚시용 양승기
KR101477668B1 (ko) 조업용 양승기
JP2000004726A (ja) ワカサギ釣り用電動リール
KR200459629Y1 (ko) 수산물용 로프 인양장치
CN217051030U (zh) 一种纺织用纱线收卷装置
KR101213297B1 (ko) 반자동 오징어 조상기
KR101235904B1 (ko) 낚싯줄 감김 양승기
JP2003292290A (ja) ウインチ
DK180660B1 (en) Cage with a track for a tool carrier
CN211470212U (zh) 火焰复合机的面料暂存装置
CN110731315B (zh) 诱捕式刺网捕捞装置
KR101311804B1 (ko) 주낙인양장치
KR101165774B1 (ko) 오징어 채낚기 자동 리프팅장치
KR20100100166A (ko) 다목적 외줄 감김 양승기
KR102487039B1 (ko)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KR101952350B1 (ko) 염전용 소금 채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212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200810

Appeal identifier: 202010000241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41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810

Effective date: 202106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2106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200810

Decision date: 20210625

Appeal identifier: 20201000024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