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3094B1 - 증착 장치 - Google Patents

증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094B1
KR101213094B1 KR1020050062099A KR20050062099A KR101213094B1 KR 101213094 B1 KR101213094 B1 KR 101213094B1 KR 1020050062099 A KR1020050062099 A KR 1020050062099A KR 20050062099 A KR20050062099 A KR 20050062099A KR 101213094 B1 KR101213094 B1 KR 10121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ion
opening
adjustment means
vapor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463A (ko
Inventor
정광진
김민구
박세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0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착 재료의 종류 및 셀 캡의 개구 주변에 증착 재료 증기가 응고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증착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증착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 장치는 증착원을 구성하는 셀 캡의 개구 하부에 설치된 개구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이 개구 조절 수단은 구동부에 의하여 프레임을 따라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단위 부재들로 이루어져 중앙부의 개방 정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증착원의 일측에 설치된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 및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증착 속도를 계산하며, 계산된 증착 속도에 따라 개구 조절 수단 구동용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증착 장치, 증착원

Description

증착 장치{Depostion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포인트 증착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착 장치 내에 장착된 포인트 증착원의 단면도.
도 3은 개구 조정 수단의 저면도.
도 4는 개구 조정 수단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층의 형성을 위한 증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착 재료 증기가 배출되는 증착원의 개구의 면적을 조절하여 일정한 증착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증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적 물리적 기상 증착은 증착 재료(예를 들어, 유기물)의 증기로 기판 표면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증착원(deposition source) 내에 수용된 증착 재료는 기화 온도까지 가열되며, 증착 재료의 증기는 증착원 밖으로 이동한 후 코팅될 기판 상에서 응축된다. 이러한 증착 공정은 증착 재료를 수용하는 증착원 및 코팅될 기판을 구비한 10-7 내지 10-2 Torr 범위의 압력 상태의 진공 챔버 내에서 진행 된다.
일반적으로, 증착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인 증착원(deposition source)은 전류가 벽(부재)들을 통과할 때 온도가 증가하는 전기적 저항 재료로 만들어진다. 증착원에 전류가 인가되면, 그 내부의 증착 재료는 증착원의 벽으로부터의 방사열 및 벽과의 접촉으로부터의 전도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증착원의 상부 부재에는 기화된 재료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 배출 개구(vapor efflux aperture)가 형성되어 있다.
증착원은 그 형상에 따라 포인트 증착원(point source) 및 선형 증착원(linear source)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포인트 증착원의 단면도로서, 원통형의 측벽 부재(1B), 원판형의 바닥 부재(1C), 셀 캡(1A) 및 원통형 셀(1D)로 이루어진 포인트 증착원(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셀 캡(1A) 및 셀(1D)로 인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증착 재료(M)인 유기물이 수용되어 있다.
측벽 부재(1B) 내부, 즉 측벽 부재(1B)와 셀(1D) 사이에는 셀(1D)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증착 재료(M)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1B-1; 예를 들어, 전원에 연결된 발열 코일)이 위치하고 있다.
셀 캡(1A)의 중앙부에는 개구(1A-1)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 부재(1B)에 장착된 가열 수단(1B-1)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가열, 기화된 증착 재료(M)의 증기는 이 개구(1A-1)를 통하여 외부, 즉 기판(챔버 내부에 장착된 상태)을 향하여 배출된다.
미설명 부호 "11"은 셀 캡(1A)으로 전달된 열의 외부 발산을 막기 위하여 측 벽 부재(1B) 상단에 고정된 금속성 재질의 원판형 커버이며, "11-1"은 셀 캡(1A)의 개구(1A-1)와 대응하는, 커버(11)에 형성된 재료 증기 배출용 개구이다.
한편,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증착원 내에 수용된 증착 재료의 양이 적정량 이하로 줄어들며, 따라서 증착 재료가 충만되어 있는 새로운 증착원으로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의 내부 공간은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증착원을 교체할 때마다 챔버 내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며, 또한 새로운 증착원이 장착된 후에는 챔버 내부를 다시 진공 상태로 조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증착원들(약 6개)이 내부에 배치된 리볼버(revolver)를 이용하며, 이러한 리볼버를 진공 챔버 내에 장착함으로서 각 증착원 내에 담겨진 증착 재료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증착 공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증착원을 통하여 진행되는 증착 공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증착 재료의 종류에 따라 발생된 증착 재료 증기의 조건들이 다르게 나타나며, 따라서 증착원의 셀 내에 담겨져 있는 증착 재료(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증착 재료 증기가 배출되는 셀 캡(1A)의 개구(1A-1)의 직경을 달리 하여야 한다.
설정된 시간에 기판 표면에 설정된 두께의 증착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증착 속도가 일정해야 하며, 따라서 증착 재료의 종류에 따라 셀 캡(1A)의 개구(1A-1)의 직경은 달라져야 한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증착 재료에 맞추어 다양한 개구 직경 을 갖는 셀 캡들을 제조하고 구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증착원을 이용하여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증착 재료 증기가 통과하는 셀 캡(1A)의 개구(1A-1) 주변 표면에 증착 재료 증기가 응고된다.
셀 캡(1A)의 개구(1A-1) 주변에 증착 재료 증기가 응고됨에 따라 개구(1A-1)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따라서 증착원으로부터 단위 시간당 배출되는 증착 재료 증기의 양 역시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기판 표면에 설정된 두께의 증착막이 형성되는 시간이 증가, 즉 증착 속도가 현저히 감소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증착 공정에서 나타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착 재료의 종류 및 셀 캡의 개구 주변에 증착 재료 증기가 응고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증착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증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착 장치는 증착원을 구성하는 셀 캡의 개구 하부에 설치된 개구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이 개구 조절 수단은 구동부에 의하여 프레임을 따라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단위 부재들로 이루어져 중앙부의 개방 정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증착원의 일측에 설치된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 및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증착 속도를 계산하며, 계산된 증착 속도에 따라 개구 조절 수단 구동용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착 장치 내에 장착된 포인트 증착원의 단면도, 도 도 3은 개구 조정 수단의 저면도로서, 셀 캡 및 개구에 장착된 개구 조정 수단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 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증착원의 셀 캡에 개구 조정 수단을 장착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조정 수단은 셀 캡의 개구 하부에 장착되며,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 및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단위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구 조정 수단은 이동 정도에 따라 중앙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개구 조정 수단은 카메라를 구성하는 한 장치인 셔터 장치의 구성과 작동 원리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개구 조정 수단은 구동부의 가동에 따라 단위 부재들이 회전하여 중앙부의 개방 정도가 조절된다. 개구 조정 수단(S)의 제어를 위한 주변 구성을 도 4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개구 조정 수단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편의상 증착원(1)을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다.
증착원(1)의 상부 일측, 즉 증착 재료 증기가 공급되는 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일측에는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R; quartz crystal sensor; 이하, 편의상 "센서"라 칭함)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센서(R)는 제어부(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C)는 개구 조정 수단(S)의 각 단위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D)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 센서(R)의 표면에도 증착막이 형성된다. 증착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센서(R)의 표면에 형성된 증착막의 두께 및 질량이 증가하게 되며, 질량의 증가에 따라서 센서(R)의 진동 주파수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C)는 센서(R)의 진동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증착막의 질량을 하기 식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5037301834-pat00001
여기서, ω는 진동 주파수, k는 스프링 상수, m은 증착막의 질량을 각각 나타낸다.
위의 식에 따르면, 센서(R)의 표면에 형성되는 증착막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센서의 진동 주파수는 작아지며, 따라서 센서(R)에 의하여 감지된 진동 주파수 데이터를 통하여 제어부(C)는 증착막의 형성 속도(증착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어떠한 이유, 예를 들어 개구 조정 수단(S)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방부 주변에 증착 재료 증기가 응고(즉, 직경 감소)되어 증착 속도가 설정 값 이하임을 판 단하면, 제어부(C)는 구동부(D)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D)를 가동시키며, 따라서 개구 조정 수단(S)의 단위 부재들이 이동하여 그 중앙부의 개방 정도가 증가된다. 이 결과, 증착 재료의 배출 속도, 즉 증착 속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개구 조정 수단(S)의 작동에 따라 증착 속도가 설정된 값과 동일하게 나타날 때, 제어부(C)는 구동부(D)로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D) 및 개구 조정 수단(S)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 실시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증착 장치는 설정된 증착 속도로 증착 공정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증착 재료 증기가 배출되는 개구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서 항상 일정한 증착 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판 표면에 균일한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잇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과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2)

  1. 기판 표면으로의 증착막 형성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 및 챔버 내부에 설치된 증착원을 포함하는 증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착원을 구성하는 셀 캡의 개구 하부에 설치되고, 개구 조절 수단 구동용 구동부의 가동에 따라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단위 부재들을 포함하여 자신의 중앙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구 조절 수단;
    상기 증착원의 일측에 설치된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 및
    상기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증착막의 증착 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증착 속도에 따라 상기 개구 조절 수단 구동용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의 표면에 형성되는 증착막의 질량에 따라 상기 증착막 두께 감지 센서의 진동 주파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진동 주파수를 기반으로 상기 증착 속도를 판단하는 증착 장치.
  2. 삭제
KR1020050062099A 2005-07-11 2005-07-11 증착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121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099A KR101213094B1 (ko) 2005-07-11 2005-07-11 증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099A KR101213094B1 (ko) 2005-07-11 2005-07-11 증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463A KR20070007463A (ko) 2007-01-16
KR101213094B1 true KR101213094B1 (ko) 2012-12-18

Family

ID=3801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099A Expired - Lifetime KR101213094B1 (ko) 2005-07-11 2005-07-11 증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471B1 (ko) 2012-06-15 2019-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10551980B (zh) * 2019-10-18 2024-05-28 东莞市能特自动化科技有限公司 可变孔径坩埚和oled成膜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28A (ja) 1998-10-08 2000-04-18 Koonan:Kk 眼科装置およびその開口開閉手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28A (ja) 1998-10-08 2000-04-18 Koonan:Kk 眼科装置およびその開口開閉手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463A (ko)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4751B2 (ja) 有機電界発光膜蒸着用蒸着源
JP2008261056A (ja) 有機電界発光層の蒸着源
JP4001296B2 (ja) 有機材料の真空蒸着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656845B1 (ko) 유기 전계 발광층 증착용 증착원
JP2014012892A (ja) 真空蒸着装置のための蒸発デバイス及びこのような蒸発デバイスを備える真空蒸着装置
KR100974041B1 (ko) 막 증착 장치와 막 두께 측정 방법
KR101213094B1 (ko) 증착 장치
JP6291696B2 (ja) 蒸着装置および蒸発源
KR20110024223A (ko) 증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증착 장치
JP5180469B2 (ja) 真空蒸着装置
JP2014065958A (ja) 成膜装置
KR100656820B1 (ko) 유기 전계 발광층 증착용 증착원
JP2006111961A (ja) 蒸着源装置
KR100637191B1 (ko) 증착 장치
JP4902123B2 (ja) 有機材料用蒸発源及び有機蒸着装置
KR100656851B1 (ko) 유기 전계 발광층 증착용 증착원
KR100777723B1 (ko) 유기박막 형성장치의 가열용기
TWI720651B (zh) 成膜裝置
KR101194851B1 (ko) 증착원
KR100653372B1 (ko) 유기 전계 발광층 증착용 증착원
KR100596131B1 (ko) 유기 전계 발광층 증착용 증착원
KR100623374B1 (ko) 유기 전계 발광층 증착용 증착원
KR20060118848A (ko) 증착 장치
KR20060060126A (ko) 증착 장치
KR20070020909A (ko) 증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7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