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2440B1 -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440B1
KR101212440B1 KR1020110073622A KR20110073622A KR101212440B1 KR 101212440 B1 KR101212440 B1 KR 101212440B1 KR 1020110073622 A KR1020110073622 A KR 1020110073622A KR 20110073622 A KR20110073622 A KR 20110073622A KR 101212440 B1 KR101212440 B1 KR 10121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knob
housing
cover
tr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7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0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with two stabl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림 장치의 크기와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트레이 커버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트레이본체(11)에 조립된 노브(30)의 회동으로 걸림 장치(20)를 조작하여 6 커버(12)가 개폐 가능하게 단속되는 자동차용 트레이(10)에 있어서,
상기 걸림 장치(20)는, 커버(12)의 폭을 따라 슬라이드홈(41)을 갖고, 몸체 전면으로 노브힌지(46)를 갖는 하우징커버(45)가 결합 구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커버(45)의 노브힌지(46)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단의 축으로 누름바(31)가 돌출되게 구비한 노브(30)와;
상기 하우징(40)의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몸체 전방을 향해 양단부로 고정핀(51)이 구비되고, 노브(30)의 누름바(31)와 맞닿는 누름돌기(52)가 몸체 일단에 형성된 콘넥터(50)와;
상기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사이에 설치되며, 몸체 양끝단이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몸체에 각각 결속되어 콘넥터(5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0)과;
상기 하우징(40)의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몸체 일단이 콘넥터(50)의 고정핀(51)에 결합되는 끼움홈(71)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으로 트레이본체(11)에 걸려지는 잠금턱(72)이 구비되어, 좌우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 쌍의 스트라이커(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넥터(50)는 코일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한쌍의 스트라이커(70)는 돌출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 연동된 노브(30)는 닫힘상태를 갖게 하고, 상기 노브(30)의 열림상태에 따라 누름바(31)가 콘넥터(50)의 누름돌기(52)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콘넥터(50)에 핀결합된 한쌍의 스트라이커(70)가 슬라이드홈(41)을 따라 커버(12)내부로 후퇴하여 걸림 장치(20)가 해제되어 달성한다.
또, 상기 노브(30)의 누름바(31)에는 러버(32)가 더 결합되어 구성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a tray cover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림 장치의 크기와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트레이 커버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각종 소품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가 설치되기 마련인 바, 자동차 충격시험(법규)에서는 이러한 트레이의 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열리지 않아야 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자동차용 트레이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마련된 함형의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록킹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글로브 박스용 걸림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A선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듀얼 록(DUAL LOCK) 회전 방식의 걸림 장치는 자동차 글로브 박스용으로만 개발된 상태이고, 부피가 커서 자동차 트레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듀얼 록 회전방식의 걸림 장치는 특허공개공보 제2004-41075호에서와 같이 콘테이너 부재를 지지부재에 개방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걸림 장치로서, 작동 핸들과, 상기 콘테이너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부재 상에 형성된 잠금홀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핀과, 상기 슬라이드 핀의 후방 단부가 끼워지며, 각각의 슬라이드 핀을 돌출 및 회수하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캠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핸들이 스윙 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각 슬라이드 핀의 전방 단부는 스프링의 압력에 대항하여 지지부재의 각 잠금홀로부터 회수되고, 원통형 부분을 갖는 캠 부재의 각 전방 단부의 대향면들 상에는 결합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핀의 각 후방 단부는 탄성편을 갖도록 갈라진 구조로 형성되고, 각각의 탄성편은 각각의 결합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걸림 장치는 작동핸들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핀을 통해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소요부품이 많을 뿐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자동차 트레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걸림 장치의 부피가 커 커버의 외부로 걸림 장치가 노출되어,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버튼 회전 방식으로 트레이와 듀얼 록킹되며, 몸체크기를 최소화하여 커버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콘넥터에 좌우 스트라이커가 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넥터는 노브와 캠접촉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으로 스트라이커가 돌출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브의 열림상태에 따라 콘넥터가 회전되면서 핀결합된 좌우 스트라이커가 커버 내부로 후퇴되도록 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레이본체(11)에 조립된 노브(30)의 회동으로 걸림 장치(20)를 조작하여 6 커버(12)가 개폐 가능하게 단속되는 자동차용 트레이(10)에 있어서,
상기 걸림 장치(20)는, 커버(12)의 폭을 따라 슬라이드홈(41)을 갖고, 몸체 전면으로 노브힌지(46)를 갖는 하우징커버(45)가 결합 구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커버(45)의 노브힌지(46)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단의 축으로 누름바(31)가 돌출되게 구비한 노브(30)와;
상기 하우징(40)의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몸체 전방을 향해 양단부로 고정핀(51)이 구비되고, 노브(30)의 누름바(31)와 맞닿는 누름돌기(52)가 몸체 일단에 형성된 콘넥터(50)와;
상기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사이에 설치되며, 몸체 양끝단이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몸체에 각각 결속되어 콘넥터(5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0)과;
상기 하우징(40)의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몸체 일단이 콘넥터(50)의 고정핀(51)에 결합되는 끼움홈(71)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으로 트레이본체(11)에 걸려지는 잠금턱(72)이 구비되어, 좌우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 쌍의 스트라이커(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넥터(50)는 코일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한쌍의 스트라이커(70)는 돌출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 연동된 노브(30)는 닫힘상태를 갖게 하고, 상기 노브(30)의 열림상태에 따라 누름바(31)가 콘넥터(50)의 누름돌기(52)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콘넥터(50)에 핀결합된 한쌍의 스트라이커(70)가 슬라이드홈(41)을 따라 커버(12)내부로 후퇴하여 걸림 장치(20)가 해제되어 달성한다.
또, 상기 노브(30)의 누름바(31)에는 러버(32)가 더 결합되어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트레이의 커버 내부에 적은수의 부품과 간단한 구조를 갖고 수납 조립되어 원가절감 및 소형화에 따라 트레이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커버 전방의 노브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커버 내부로 이동시켜 트레이본체와의 잠금 및 해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동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커버 양측으로 걸림 장치에 의해 트레이 본체에 닫혀져, 충격 발생 시에도 커버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해 관련법규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글로브 박스용 걸림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중 걸림 장치가 적용된 트레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중 걸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는, 걸림 장치의 크기와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트레이 커버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트레이(1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0)는, 커버(12) 몸체에 노브(30)가 조립되어, 이 노브(30)의 회동으로 걸림 장치(20)를 조작하여, 트레이본체(11)에서 커버(12)가 개폐 가능하게 단속되어 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 장치(20)는 커버(12)의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걸림 장치(20)와 연결구성된 노브(30)만이 커버(12)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걸림 장치(20)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커버(12)내부에 수납가능하게 가늘고 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 적용 가능한 하우징(40)과, 이 하우징(40)에 결합되어 탄력회동하는 콘넥터(50)와, 커버(12) 전면에 노출되게 조립된 노브(30)의 회전으로 콘넥터(50)를 회전시켜 하우징(4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커버(12)와 트레이본체(11)의 잠금상태를 단속하는 스트라이커(7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하우징(40)은, 몸체 일단이 커버(12)의 폭을 따라 슬라이드홈(41)을 갖도록 가늘고 긴 사각형상의 몸체를 갖고 커버(12) 내벽에 체결 고정되며, 몸체 전면으로 노브힌지(46)를 갖는 하우징커버(45)가 결합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45)의 전면에는 노브(30)가 위치되며, 이 노브(30)의 몸체 양측으로 힌지축이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커버(45)의 노브힌지(46)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조립한다.
또, 상기 노브(30)의 일측 힌지축에는 돌출 형성된 누름바(31)가 더 구비되도록 하며, 이 누름바(31)는 힌지축과 일체로 고정되어져 노브(30)와 같이 동시에 회전되게 하였다.
이때, 다른 실시예로 상기 노브(30)의 누름바(31)에는 고무재질의 러버(32)를 더 결합시켜, 마찰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노브(30)는 커버(12)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조립되고, 노브(30) 회전 시 하우징커버(45)의 노브힌지(46)를 중심으로 누름바(31)도 커버(12)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의 몸체 일측으로, 콘넥터(50)를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고, 이때 하우징(40)과 콘넥터(50) 사이에 코일스프링(6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조립한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60)은,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사이의 축에 설치되며, 몸체 양끝단이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몸체에 각각 결속되어 콘넥터(50)를 탄성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콘넥터(50)는 원형의 몸체 양단부로, 몸체 전방을 향해 고정핀(51)이 구비되고, 노브(30)의 누름바(31)와 맞닿는 위치에 누름돌기(52)가 돌출형성 된다.
따라서, 노브(30)를 가압해 회전시키면, 누름바(31)가 콘넥터(50)의 누름돌기(52)를 밀어올리면 콘넥터(50)는 축 회전되면서 내부의 코일스프링(60)이 압축되고, 노브(3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코일스프링(60)의 탄성력에 따라 콘넥터(50)가 원위치 복귀하면서, 누름바(31)를 내려 노브(30)가 초기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12)와 트레이본체(11)의 잠금상태를 단속하는 스트라이커(70)는, 한쌍의 몸체를 갖고, 하우징(40)의 슬라이드홈(41)에 몸체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하며, 몸체 일단이 콘넥터(50)의 고정핀(51)에 결합되는 끼움홈(71)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으로 트레이본체(11)에 걸려지는 잠금턱(72)이 구비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70)의 하나는 콘넥터(50)가 커버(12)의 일측으로 치우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길이가 다른 하나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타라이커(70) 끝단의 잠금턱(72)의 경사지게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걸림 장치(20)를 이용해 트레이본체(11)의 전방에서 개폐되는 커버(12)를 단속하는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에 있어서, 노브(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6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콘넥터(50)가 정위치하고, 스트라이커(70)의 잠금턱(72)이 커버(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트레이본체(11)의 내부턱에 걸려짐으로써, 커버(12)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의 잠금 상태에서 노브(3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노브(3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바(31)가 콘넥터(50)의 누름돌기(52)를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스트라이커(70)가 하우징(40) 안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트레이본체(11)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12)를 열 수 있게 되며, 트레이(10)의 사용을 마친 후 커버(12)를 닫게 되면 스트라이커(70)가 다시 트레이본체(11)의 내부턱에 걸려져 커버(12)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라이커(70)의 양끝단에 형성된 잠금턱(72)은, 커버(12)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트레이본체(11)에 닫혀질 때 자동 후퇴하여 수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스트라이커(70)의 후퇴에 따라 콘넥터(50)가 역회전하지만, 코일스프링(60)의 탄성으로 다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70)를 돌출시켜 트레이본체(11)에 잠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트레이 11 - 트레이본체
12 - 커버 20 - 걸림 장치
30 - 노브 31 - 누름바
40 - 하우징 45 - 하우징커버
46 - 노브힌지 50 - 콘넥터
51 - 고정핀 52 - 누름돌기
60 - 코일스프링 70 - 스트라이커
71 - 끼움홈 72 - 잠금턱

Claims (4)

  1. 트레이본체(11)에 조립된 노브(30)의 회동으로 걸림 장치(20)를 조작하여 커버(12)가 개폐 가능하게 단속되는 자동차용 트레이(10)에 있어서,
    상기 걸림 장치(20)는, 커버(12)의 폭을 따라 슬라이드홈(41)을 갖고, 몸체 전면으로 노브힌지(46)를 갖는 하우징커버(45)가 결합 구성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커버(45)의 노브힌지(46)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단의 축으로 누름바(31)가 돌출되게 구비한 노브(30)와;
    상기 하우징(40)의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몸체 전방을 향해 양단부로 고정핀(51)이 구비되고, 노브(30)의 누름바(31)와 맞닿는 누름돌기(52)가 몸체 일단에 형성된 콘넥터(50)와;
    상기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사이에 설치되며, 몸체 양끝단이 하우징(40)과 콘넥터(50)의 몸체에 각각 결속되어 콘넥터(5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0)과;
    상기 하우징(40)의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몸체 일단이 콘넥터(50)의 고정핀(51)에 결합되는 끼움홈(71)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으로 트레이본체(11)에 걸려지는 잠금턱(72)이 구비되어, 좌우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 쌍의 스트라이커(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50)는 코일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한쌍의 스트라이커(70)는 돌출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 연동된 노브(30)는 닫힘상태를 갖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30)의 열림상태에 따라 누름바(31)가 콘넥터(50)의 누름돌기(52)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콘넥터(50)에 핀결합된 한쌍의 스트라이커(70)가 슬라이드홈(41)을 따라 커버(12)내부로 후퇴하여 걸림 장치(20)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30)의 누름바(31)에는 러버(32)가 더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20110073622A 2011-07-25 2011-07-25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1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22A KR101212440B1 (ko) 2011-07-25 2011-07-25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22A KR101212440B1 (ko) 2011-07-25 2011-07-25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440B1 true KR101212440B1 (ko) 2012-12-13

Family

ID=4790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6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2440B1 (ko) 2011-07-25 2011-07-25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771A (ko) * 2014-02-21 2016-10-28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잠금 장치
US20210317690A1 (en) * 2018-10-18 2021-10-14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58B1 (ko) 2002-12-18 2007-04-18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글로브 박스용 리드 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58B1 (ko) 2002-12-18 2007-04-18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글로브 박스용 리드 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771A (ko) * 2014-02-21 2016-10-28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잠금 장치
KR102154721B1 (ko) * 2014-02-21 2020-09-10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잠금 장치
US20210317690A1 (en) * 2018-10-18 2021-10-14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US11821244B2 (en) * 2018-10-18 2023-11-21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9799B2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JP5627055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KR102228984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1583952B1 (ko)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WO2014030531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9752356B2 (en) Lock release apparatus and lock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50008680A1 (en) Interior apparatus of a vehicle
JP5367281B2 (ja) 開閉ロック装置
US9926728B2 (en) System for opening a door, in particular for the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JP2020519797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解錠装置
CN115103613A (zh) 行李箱型箱包制品
US11913263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KR10149131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20140054997A (ko) 차량용 수납박스의 잠금장치
KR101212440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JP5896707B2 (ja) 棒状物用保持装置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CN115023161B (zh) 行李箱型箱包制品
JP6754256B2 (ja) ヒンジ
KR101273132B1 (ko) 노브 잠금장치
JP2018204319A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