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2385B1 - 전지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 및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 및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85B1
KR101212385B1 KR1020107027172A KR20107027172A KR101212385B1 KR 101212385 B1 KR101212385 B1 KR 101212385B1 KR 1020107027172 A KR1020107027172 A KR 1020107027172A KR 20107027172 A KR20107027172 A KR 20107027172A KR 101212385 B1 KR101212385 B1 KR 10121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de terminal
burring
container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947A (ko
Inventor
히로야스 가도
시게루 다까시로
시게따까 나가마쯔
게이고 야마다
가오리 우에다
다까히로 오오시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35Storage cell or battery
    • Y10T29/53139Storage cell or battery including deform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 구멍(33ㆍ33)을 갖는 용기(30)와, 일부를 용기(30)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관통 구멍(33ㆍ33)에 고정되는 전극 단자(40ㆍ40)와, 용기(30)와 전극 단자(40ㆍ40)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절연 부재(50ㆍ50)를 구비하는 전지(10)를 제조하는 제조 공정(S1)을 제안한다. 제조 공정(S1)에서는, 관통 구멍(33)의 주연에, 용기(3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버링부(34)를 설치하는 동시에, 버링부(34)의 외주에, 버링부(34)의 외주측으로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35)를 설치하고, 버링부(34)의 내측에 절연 부재(50)를 개재하여 전극 단자(40)를 삽입하고, 버링부(34)를 용기(30)의 외측으로부터 프레스하여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전극 단자(40)를 관통 구멍(33)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와 전극 단자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우수한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 및 전지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RESSING TOOL FOR USE THEREIN AND BATTERY}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를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극 단자를 고정하는 전지에 있어서, 용기와 전극 단자의 고정부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의 외장이 되는 용기는 수납부, 덮개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는 전지의 발전 요소가 되는 전극체를 수납하는 부재로, 일면이 개방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갖는다. 덮개부는 수납부의 개구면을 따른 형상을 갖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수납부의 개구면을 막는다.
덮개부에는 한 쌍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당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각각 전극 단자(정극 단자, 부극 단자)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전극 단자는 전극체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정극 및 부극의 외부 단자이다.
또한, 용기에는 두께 방향으로 연통 가능한 안전 밸브 등의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밸브는 내부 단락 등의 전지의 문제에 의해 전지 내부에서 대량의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하여, 전지 내외를 연통시킴으로써 내압 상승을 방지한다.
전지가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의 비수전해질 전지인 경우에는, 전지 내부에 수분이 혼입되면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지의 밀폐도를 충분히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지 내부의 불량 등에 의해 내압이 상승한 경우에, 상기 안전 장치가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다른 부위를 확실하게 시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지의 용기에 있어서, 수납부와 덮개부는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으므로, 전극 단자와 덮개부의 고정부에 있어서, 전극 단자가 전지로부터 빠지지 않기 위한 빠짐성, 전극 단자의 주위로부터 전지 내부의 전해액, 혹은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누출되지 않기 위한 시일성 및 전극 단자와 외장 용기의 절연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즉, 전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극 단자를 덮개부의 관통 구멍에 고정할 때에, 당해 고정부의 시일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전지의 덮개부로부터 전극 단자가 돌출되어 설치되는 전지에 있어서, 덮개부와 전극 단자 사이에 절연 부재를 개재 장착하고, 덮개부에 있어서의 절연 부재의 주변에 버링부를 설치하여, 덮개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버링부를 코킹함으로써, 덮개부와 전극 단자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지의 반복 사용에 수반하여 냉각ㆍ승온의 냉열 사이클이 반복되면, 코킹부가 서서히 코킹 전의 형상으로 복귀되려고 하는 작용이 작용하여 느슨해져, 그 시일 성능이 악화되므로, 전지의 시일성이 불충분한 점에서 불리하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02625호 공보
본 발명은 용기를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극 단자를 고정하는 전지에 있어서, 용기와 전극 단자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우수한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인 전지의 제조 방법은, 관통 구멍을 갖는 용기와, 일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에 고정되는 전극 단자와, 상기 용기와 상기 전극 단자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에,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버링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버링부의 외주에, 상기 버링부의 외주측으로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버링부의 내측에 상기 절연 부재를 통해 상기 전극 단자를 삽입하고, 상기 버링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프레스하여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전극 단자를 상기 관통 구멍에 고정한다.
상기 전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 부재를, 상기 용기보다도 고강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지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 부재에, 상기 버링부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다른 부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두께가 다른 부위를 설치함으로써, 시일성에 추가한 효과, 예를 들어 회전 방향으로의 내 토크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지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할 때에, 상기 버링부의 변형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시일성에 추가한 효과, 예를 들어 회전 방향으로의 내토크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전극 단자가 원기둥 형상(원형의 단면을 갖는 단자) 이외의 경우에도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인 프레스 공구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전지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하는 성형날을 갖는 동시에, 상기 성형날의 돌출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스 공구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하는 성형날을 갖는 동시에, 상기 성형날의 압박 면적에 분포를 갖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인 전지는, 관통 구멍을 갖는 용기와, 일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에 고정되는 전극 단자와, 상기 용기와 상기 전극 단자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절연 부재와,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버링부와, 상기 버링부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버링부의 외주측으로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관통 구멍의 고정부는,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절연 부재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버링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프레스하여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용기보다도 고강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버링부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다른 부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극 단자를 고정하는 전지에 있어서, 용기의 덮개부와 전극 단자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우수한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용기와 전극 단자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전극 단자와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보강 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직경 방향 외측의 힘이 부여될 때의 보강 링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전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도 7은 삽입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코킹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코킹 공정에 사용하는 펀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보강 링 및 펀치를 사용한 경우의 코킹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펀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코킹 공정에 있어서의 버링부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펀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펀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단자 및 절연 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코킹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단자 및 절연 부재를 사용한 코킹 공정에 있어서의 버링부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전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지의 일 실시 형태인 전지(10)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지(10)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의 2차 전지로, 충방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10)는 발전 요소(20)를 용기(30) 내에 수납하여 이루어진다. 용기(30)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극 단자(40ㆍ40)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발전 요소(20)는 정극, 부극 및 세퍼레이터를 적층 또는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체에 전해액을 함침시킨 것이다. 전지(10)의 충방전 시에 발전 요소(20)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엄밀하게는, 정극과 부극 사이에서 전해액을 통한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는) 것에 의해, 전지(10)가 충방전 가능한 2차 전지로서 기능한다.
용기(30)는 수납부(31)와 덮개부(32)를 갖는 외장이다. 수납부(31)는 1면이 개방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발전 요소(20)를 수납한다. 덮개부(32)는 수납부(31)의 개구면을 따른 형상을 갖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수납부(31)의 개구면을 막은 상태로 수납부(31)와 접합된다.
전극 단자(40)는 정극 단자 또는 부극 단자로서 구성되는 집전 단자로, 용기(30)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용기(30)에 고정되어 있다. 전극 단자(40)는 적절한 리드 단자 등을 통해 발전 요소(20)의 정극 또는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극 단자(40ㆍ40)를 통해 전지(10) 내부와 외부의 전력의 전달이 행해진다. 즉, 전극 단자(40ㆍ40)는 외부와의 전기 접속의 경로로서 사용되는 외부 단자이다. 또한, 전극 단자(40)의 외주부의 일부에는 나사 전조에 의해 나사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용기(30)와 전극 단자(40)의 고정 형태에 대해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 단자(40ㆍ40)는 절연 부재(50ㆍ50)를 통해 용기(30)의 덮개부(32)에 고정되어 있고, 각 절연 부재(50)에 의해, 전극 단자(40)와 용기(30)의 절연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전극 단자(40)를 고정할 때에, 덮개부(32)의 일부를 코킹함으로써, 전극 단자(40) 및 절연 부재(50)를 압박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덮개부(32)와 전극 단자(40) 사이의 시일성이 확보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32)는 전극 단자(40ㆍ40)가 관통 가능한 한 쌍의 관통 구멍(33ㆍ33)을 갖는다.
관통 구멍(33ㆍ33)은 소정의 내경을 갖는 구멍으로, 덮개부(32)의 두께 방향(도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33)의 주연에는 버링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버링부(34)는 관통 구멍(33)의 주연에, 용기(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도시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부위이다. 즉, 버링부(34)는 덮개부(32)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는 돌출 부위로, 내주면에 의해 관통 구멍(33)을 형성하고 있다.
버링부(34)는 덮개부(32)의 일부[관통 구멍(33)이 형성되는 부위 주변]를 소성 가공하여 형성되고, 공지의 버링 처리, 딥드로잉법, 대밍법(damming) 등에 의해 적절하게 형성된다.
버링부(34)의 외주부에는 보강 링(35)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보강 링(35)은 용기(30)[특히 덮개부(32)]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고강도의 금속 재료로 성형된 링 형상의 부재이고, 버링부(34)의 직경 방향에 걸리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이다. 보강 링(35)의 내경은 버링부(34)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 링(35)의 축심 방향[버링부(34)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버링부(34)의 돌출량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링부(34)의 돌출량과 동일한 정도 또는 그것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강 링(35)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평판을 적절한 프레스 장치로 펀칭하는 펀치 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전지(10)를 리튬 이온 2차 전지로 한 경우, 용기(30)[수납부(31) 및 덮개부(32)]의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보강 링(35)의 재료는 알루미늄보다도 고강도의 재료인 철 또는 그 표면에 도금을 실시한 것 등, 충분한 강도를 갖고, 또한 적절한 연신 특성을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강도」라 함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특히 인장 강도, 연신 및 경도가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전극 단자(4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둥근 단자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1), 대경부(42), 고정부(43)를 갖는다.
돌출부(41)는 전극 단자(40)의 일단부[전지(10)의 외측의 단부이며, 도시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부위이고, 용기(30)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위이다. 돌출부(41)는 전지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전원, 전지(1)의 전력을 이용하는 장치, 다른 전지 등]와의 접속부로서 사용되고, 돌출부(41)에 상기 외부의 장치의 접속 단자 등이 접속ㆍ고정된다. 돌출부(41)는 외부와의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관점으로부터,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나사산 가공이 실시된다.
대경부(42)는 돌출부(41)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부위로, 직경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위이다. 대경부(42)는 돌출부(41) 및 고정부(43)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41)에 외부의 접속 단자가 접속될 때에, 당해 접속 단자와 면접촉시켜 접속 저항을 내리는 부분으로 된다. 대경부(42)는 전극 단자(40)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으로 되는 부위이고, 그 외경은 덮개부(32)의 관통 구멍(33)의 내경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경부(42)의 외경은 관통 구멍(33)의 내경과 동일한 정도, 또한 절연 부재(50)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이며, 최대한 대면적으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경부(42)의 하단부면에는 절연 부재(50)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43)는 전극 단자(40)의 타단부[전지(10)의 내측의 단부이며, 도시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부위이고, 덮개부(32)에 고정되는 동시에, 발전 요소(20)에 접속되는 상기 리드 단자에 접속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위이다. 고정부(43)의 축방향의 길이는 덮개부(32)의 두께[버링부(34)의 길이]보다도 충분히 크게 설정되는 동시에, 절연 부재(50)의 축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정도, 혹은 그것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고정부(43)의 외주에는 절연 부재(50)가 외주 전체 둘레(엄밀하게는, 외주의 축방향의 일부분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배치된다.
덮개부(32)의 버링부(34)와 전극 단자(40)의 고정부(43) 사이에는 용기(30)와 전극 단자(40)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 부재(50)가 개재 장착된다.
절연 부재(50)는 버링부(34) 및 고정부(43)의 형태에 따른 형상을 갖는 절연체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절연 부재(50)는 고정부(43)의 외주부에 권취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절연 부재(50)의 축방향의 길이는, 고정부(43)의 축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정도 또는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절연 부재(50)의 축방향의 길이는 전극 단자(40)를 덮개부(32)에 고정했을 때에, 전극 단자(40)의 외주부[특히 대경부(42) 및 고정부(43)]와 버링부(34) 사이에 절연을 위해 필요 충분한 간격이 비어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절연 부재(50)의 재료로서는, 고온 크리프 특성이 우수한 재료, 즉 전지(10)의 냉열 사이클에 대한 장기간의 내크리프성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절연 부재(50)는 상기 절연성에 추가하여, 전지(10) 내부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이기도 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부(34)의 돌출측 단부면의 내주부는 전지(10)의 외측(도 2에 있어서의 상방)으로부터 압박됨으로써 전체 둘레에 걸쳐서 코킹되어 있다(바꿔 말하면, 프레스에 의해 재료가 소성 유동하고 있음).
이와 같이 하여, 버링부(34)의 내주측에는 코킹부(34a)가 내측으로 팽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버링부(34)의 외주측에는 버링부(34)보다도 고강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링(35)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코킹 시의 압박력이 외측으로 완화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코킹부(34a)는 내측[전극 단자(40)측]을 향해 팽출되도록 형성된다.
내측으로 팽출된 코킹부(34a)는 절연 부재(50)를 압박하고, 이 압박력이 절연 부재(50)로의 면압으로서 부여된다. 절연 부재(50)에 있어서 코킹부(34a)에 의해 상기 면압이 부여되는 개소는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되고, 이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이 고정부(43)로의 면압으로서 부여된다.
이와 같이, 버링부(34)의 상단부면의 내주부를 상방으로부터 프레스하여, 코킹함으로써, 내측으로 팽출되는 코킹부(34a)가 형성되고, 코킹부(34a)로부터의 면압이 절연 부재(50)를 통해 고정부(43)로 전달된다. 이러한 면압에 의해 고정부(43)가 압박되어, 용기(30)의 덮개부(32)에 전극 단자(40)가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때, 코킹부(34a)의 소성 변형 및 절연 부재(5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버링부(34), 절연 부재(50) 및 고정부(43) 사이에 간극이 없어져, 이들 사이에 높은 밀착력이 발생하므로, 용기(30)와 전극 단자(40) 사이의 시일성이 확보되고, 전지(10) 내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코킹부(34a)는 프레스하는 방향과 팽출되는 방향이 약 90°의 각도를 이루고 코킹되어 있음으로써, 팽출부에 작용하는 강한 면압이나 마찰력에 의해 프레스된 면이 용이하게 복귀되는 경우는 없다[즉, 코킹부(34a)가 느슨해지지 않음].
이상과 같이, 보강 링(35)을 버링부(34)의 주위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전지(10)의 시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보강 링(35)은 전지(10)의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지(10)의 제품 수명을 길게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전지(10)의 내부 단락 등의 이상이 발생하여 용기(30) 내의 내압이 상승하여, 버링부(34) 근방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버링부(34)가 외측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그러나, 버링부(34)가 보강 링(35)에 달라붙음으로써, 버링부(34)의 외측으로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덮개부(32)의 관통 구멍(33) 근방의 내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전지(10)가 장기간에 걸쳐서 냉열 사이클을 반복한 경우라도, 전극 단자(40)가 고정되는 부위에 있어서의 용기(30)의 시일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전지(1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10)의 내부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용기(30)의 일부로부터 내부 가스가 누출되는 일 없이, 전지(10)에 구비되는 안전 밸브 등의 적절한 안전 장치를 통해 내부 가스가 개방되게 되어, 전지(10)의 설계상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버링부(34ㆍ34)는 덮개부(32)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부위, 즉 덮개부(32)와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전지(10)의 내부의 환경(전해액, 내부 가스 등)에 대해 부식되는 경우가 없어, 전지(10)의 수명을 짧게 하는 경우는 없다.
보강 링(35)은 덮개부(32)의 재료와 비교하여 고강도의 재료로 구성되므로, 버링부(34)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버링부(34)가 보강 링(35)보다 먼저 변형되어, 근원으로부터 보강 링(35)으로 파고들게 된다. 이에 의해, 버링부(34)가 보강 링(35)을 넘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버링부(34)의 전체적인 외경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지(10)의 내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43)는 홈(44)과 널링 패턴(45)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44)은 고정부(43)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는 오목부로, 적어도 전지(10)의 외측[홈(44)의 상부측]에 엣지(44a)를 갖는다. 홈(44)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홈 가공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홈 단면은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엣지(44a)는 홈(44)의 주연부로, 직각 혹은 둔각 등으로 형성되는 선단부 형상을 갖는다. 엣지(44a)는 코킹부(34a)의 내주 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주응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 참조). 즉, 코킹부(34a)에 부여되는 압박력이 가장 전달되기 쉬운 개소에 엣지(44a)가 존재하도록, 엣지(44a)의 형성 개소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43)에 엣지(44a)를 갖는 홈(44)을 형성함으로써, 코킹 시에 코킹부(34a)로부터의 압박력을 최대한으로 받는 절연 부재(50)의 일부가 엣지(44a)에 파고들어, 고정부(43)와 절연 부재(50) 사이의 밀착도가 향상된다. 나아가서는, 전지(10)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널링 패턴(45)은 고정부(4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결합 돌기이다. 널링 패턴(45)은 홈(44)보다도 전지(10)의 내측(하방측)이며, 고정부(43)에 있어서 코킹부(34a)가 받는 면압이 작용하는 범위 내에 설치된다. 널링 패턴(45)은 고정부(43)의 외주면을 널링 처리함으로써 형성되는 요철 형상으로, 공지의 널링 공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킹부(34a)로부터 받는 면압에 의해 절연 부재(50)가 널링 패턴(45)에 파고들어, 널링 패턴(45)에 의해 전극 단자(40)와 절연 부재(50) 사이의 마찰력이 향상되어, 토크 내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널링 처리는 전극 단자(40)에 대한 나사 전조 시에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링(35)에는 절결부(35aㆍ35a)가 형성된다.
절결부(35a)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 링(35)의 외주의 일부를 직선 형상으로 잘라낸 변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위이다. 즉, 보강 링(35)은 외주면에 있어서, 절결부(35aㆍ35a)에 의해, 버링부(34)의 외주를 따르는 내주면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부위를 갖게 되고, 보강 링(35)에는 버링부(34)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방향[보강 링(35)의 직경 방향]의 두께가 다른 개소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절결부(35aㆍ35a)는 대각 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부(35a)가 덮개부(32)의 폭이 좁은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보강 링(35)이 버링부(34)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이와 같이 덮개부(32)의 폭이 좁은 방향을 향해 절결부(35aㆍ35a)를 배치함으로써, 코킹 시의 버링부(34)의 변형에 의해 보강 링(35)이 변형될 때에, 보강 링(35)이 덮개부(32)의 테두리부에 간섭하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링(35)의 직경 방향의 두께에 차가 발생함으로써, 보강 링(35)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힘이 부여될 때[버링부(34)를 코킹할 때]에, 보강 링(35)에 발생하는 둘레 방향의 면압에 분포가 발생한다. 이러한 면압 분포에 따라서 보강 링(35)의 둘레 방향의 변형량에 차가 발생하여, 보강 링(35)이 진원 형상으로부터 비원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보강 링(35)의 변형에 추종하여, 버링부(34) 및 절연 부재(50)도 진원 형상으로부터 변형되므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전극 단자(40)에 대해 토크가 가해졌을 때에, 변형 후의 버링부(34) 및 절연 부재(50)의 형상이 회전을 억지하여, 전극 단자(40)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단자(40)의 빠짐성을 형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극 단자(40)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의 접속 단자를 전극 단자(40)의 돌출부(41)에 접속ㆍ고정할 때에 전극 단자(40)에 토크가 가해졌다고 해도, 전극 단자(40)가 회전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전극 단자(40)와 그 주위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10)의 시일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단자(40)와 절연 부재(50) 사이의 토크 내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단자(40)의 고정부(4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널링 패턴(45)에 의해서도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링(35)에 2개의 절결부(35aㆍ35a)를 형성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 링(35)에 2개의 변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즉, 보강 링(35)의 직경 방향의 두께에 변화를 갖게 하여, 코킹 시에 둘레 방향의 면압에 분포를 갖게 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어 절결부(35a)를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하는 구성, 혹은 보강 링(35)의 외주부의 일부를 곡선적으로 절결하는 구성 등이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지(10)를 제조하는 제조 공정 S1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공정 S1은 삽입 공정 S11, 코킹 공정 S12, 설치 공정 S13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삽입 공정 S11을 실시하기 전에, 덮개부(32)의 관통 구멍(33ㆍ33)에는 버링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각 관통 구멍(33)에는 버링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공정 S11에서는, 보강 링(35)을 버링부(34)의 외주에 끼워 넣어, 관통 구멍(33) 내에, 절연 부재(50)를 고정부(43)에 권취 장착한 전극 단자(40)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부재(50)의 상하 단부와 버링부(34)의 상하 단부 사이에 각각 충분한 간격이 비어 있도록 전극 단자(40) 및 절연 부재(50)가 삽입된다. 또한, 전극 단자(40)의 홈(44)에 있어서의 엣지(44a)가 소정 위치에 오도록 삽입된다. 즉, 후공정의 코킹 공정 S12에 의해 성형되는 코킹부(34a)의 내주측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약 45° 기울어진 직선 상에 엣지(44a)가 배치되도록 전극 단자(40)가 삽입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킹 공정 S12에서는 펀치(60)를 사용하여, 버링부(34)를 상방으로부터 코킹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60)는 성형측 단부면(도시에 있어서의 하면)에 개구(61) 및 성형날(62)을 갖는 프레스형이다. 개구(61)는 버링부(34)를 따른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개구(61)는 버링부(34)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동시에, 소정의 깊이(상하 길이)를 갖는 오목부이다. 또한, 개구(61)의 저부에는 전극 단자(40)가 관통 가능한 구멍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61)의 내주측에는 단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성형날(62)이 형성되어 있다. 성형날(62)은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동시에, 소정의 돌출 길이를 갖는 볼록부이다.
즉, 개구(61)의 저부까지 펀치(60)를 압입하여, 성형날(62)에 의해 버링부(34)의 내주부에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재료를 소성 유동시켜 코킹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펀치(60)를 사용하여, 버링부(34)의 내주부를 상방으로부터 프레스하여, 버링부(34)의 내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코킹부(34a)를 형성한다.
코킹부(3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 링(35)의 존재에 의해 외측[보강 링(35)측]을 향해 팽출되는 것이 저지되어, 내측[전극 단자(40)측]을 향해 팽출된다. 코킹부(34a)가 내측을 향해 팽출됨으로써, 절연 부재(50)를 통해 전극 단자(40)에 압박력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버링부(34)[코킹부(34a)]와 절연 부재(50) 사이, 절연 부재(50)와 전극 단자(40)[고정부(43)] 사이에 각각 압박력이 발생하여, 전극 단자(40)가 관통 구멍(33) 내에 고정된다.
이때, 버링부(34)의 외주에 설치되는 보강 링(35)에는 절결부(35aㆍ35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펀치(60)에 의해 프레스할 때에, 절결부(35aㆍ35a)가 형성되는 부위와 그 밖의 부위에 있어서, 보강 링(35)과 버링부(34) 사이에 발생하는 면압에 차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버링부(34)로부터 절연 부재(50)로 전달되는 압박력에도 차가 발생하여, 버링부(34) 및 절연 부재(50)의 단면 형상이 진원 형상으로부터 대략 타원 형상으로 변형된다(도 5 참조).
또한, 전극 단자(40)에는 엣지(44a)를 갖는 홈(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연 부재(50)에 있어서 코킹부(34a)로부터의 압박력을 최대로 받는 개소가 엣지(44a)에 파고들어, 절연 부재(50)와 전극 단자(4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코킹 공정 S12에 있어서, 펀치(60)를 사용하여 버링부(34)를 상방으로부터 코킹함으로써, 버링부(34) 내에 삽입되는 절연 부재(50)와 전극 단자(4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치 공정 S13에서는, 발전 요소(20)와 전극 단자(40ㆍ40)가 상기 리드 단자 등을 통해 설치된다. 이에 의해, 발전 요소(20), 덮개부(32) 및 전극 단자(40ㆍ40)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설치 공정 S13이 종료된 후에는, 덮개부(32)와 수납부(31)를 접합하는 공정, 용기(30) 내에 전해액을 주액하는 공정 등, 적절한 후속 공정을 거쳐서 전지(10)가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코킹 공정 S12에 따르면, 버링부(34), 절연 부재(50), 전극 단자(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코킹 공정 S12를 포함하는 제조 공정 S1에 따르면, 용기(30)의 내외를 연통하는 구멍인, 덮개부(32)의 관통 구멍(33ㆍ33)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우수한 전지(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관통 구멍(33)에 형성되는 버링부(34)의 외주부에, 버링부(34)로부터 고강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링(3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관통 구멍(33) 부근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보강 링(35)의 존재에 의해 관통 구멍(33)에 있어서의 내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링(35)에 절결부(35aㆍ35a)를 형성하여, 보강 링(35)의 직경 방향의 두께에 변화를 갖게 함으로써, 코킹 공정 S12에서의 코킹 시에, 버링부(34) 및 절연 부재(50)를 비원형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극 단자(40)의 토크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링(35)에 절결부(35aㆍ35a)를 형성함으로써, 보강 링(35)의 둘레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은 개소를 형성하여, 코킹 시에 발생하는 면압에 차를 마련하여, 버링부(34) 및 절연 부재(50)의 형상을 원형으로부터 비원형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전극 단자(40)의 회전 토크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원형 단면을 갖는 전극 단자(40)의 토크 내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공정 S11에 있어서 버링부(34)의 외주부에 둘레 방향의 두께가 균일한 보강 링(70)을 끼움 장착한 상태로, 펀치(80)를 사용하여, 코킹 공정 S12를 마찬가지로 실시함으로써도 실현 가능하다.
보강 링(70)은 둘레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의 부재로, 절결부(35aㆍ35a)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 보강 링(35)과 동일한 형태의 부재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80)는 성형측 단부면(도시에 있어서의 하면)에 개구(81) 및 성형날(82)을 갖는 프레스형이다. 개구(81)는 펀치(60)의 개구(61)와 대략 동일 형태의 오목부이다. 성형날(82)은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볼록부이다.
성형날(82)은 성형 방향으로 소정의 돌출량으로 돌출되는 제1 날부(83ㆍ83)와, 제1 날부(83)의 돌출량보다도 큰 돌출량을 갖는 제2 날부(84ㆍ84)를 갖는다. 제2 날부(84)는 성형 방향에 대해 일정한 돌출량으로 형성되는 단차부로, 제2 날부(84ㆍ84)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펀치(80)를 사용하여, 코킹 공정 S12를 실시할 때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날부(84ㆍ84)에 의한 압입량이, 제1 날부(83ㆍ83)에 의한 압입량보다도 커지므로, 제2 날부(84ㆍ84)에 의해 압박되는 개소에서의 버링부(34)의 변형량(코킹 시의 소성 유동량)이 커진다. 즉, 펀치(80)를 사용하여 버링부(34)를 코킹한 경우, 버링부(34)의 진원 형상이 비원형 형상으로 변형되게 된다.
이에 의해, 버링부(34) 및 절연 부재(50)를 비원형 형상으로 변형시키게 되므로, 보강 링(35)을 끼움 장착시킨 버링부(34)에 대해 펀치(60)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코킹 공정 S12에 있어서, 성형날(82)의 돌출량에 차를 마련한 펀치(80)를 사용함으로써,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전극 단자(40)의 회전 토크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날부(84)를 단차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성형날(82)에 있어서 다른 부위보다도 돌출량이 큰 부위를 형성하는 형상이면 좋고, 예를 들어 제2 날부(84)를 테이퍼 형상[도 13의 (a) 참조], 또는 파형 형상[도 13의 (b) 참조]으로 하는 것 등이라도 좋다.
또한, 펀치(80)와 같이, 성형날의 돌출량에 차를 마련함으로써 압입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구성이 아니라, 성형날의 압입 면적(접촉 면적)에 차를 마련함으로써 압입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펀치(90)를 사용해도 좋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90)는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날부(93ㆍ93)와, 제1 날부(93)의 두께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제2 날부(94ㆍ94)를 갖는 프레스형이다. 즉, 제2 날부(94)는 광폭 부위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1 날부(93)에 있어서의 압박 면적에 비해 큰 압박 면적을 갖는 부위이다.
이에 의해, 펀치(90)를 사용하여, 코킹 공정 S12를 실시할 때에는, 제2 날부(94ㆍ94)에 의한 압입량이, 제1 날부(93ㆍ93)에 의한 압입량보다도 커지므로, 버링부(34)의 변형량(코킹 시의 소성 유동량)이 커진다. 즉, 펀치(90)를 사용하여 버링부(34)를 코킹한 경우에도, 펀치(80)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버링부(34)의 진원 형상이 비원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전극 단자(40)를 용기(30)에 고정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극 단자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략 직사각형 단면(타원 단면)을 갖는 전극 단자(140)를 용기(30)[덮개부(32)]에 고정하는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전극 단자(140)는 전극 단자(4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전극 부재이다. 전극 단자(140)는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평형 단자이다. 바꿔 말하면, 전극 단자(140)에는 적어도 일부에 직선적인 위상을 갖는 평면부(141ㆍ1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단자(140)는 절연 부재(150)를 통해 덮개부(32)에 고정되어 있다. 절연 부재(15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동시에, 전극 단자(140)가 관통 가능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구멍부(151)를 갖는다.
코킹 공정 S12에서는, 전극 단자(140)를 절연 부재(150)의 구멍부(151)에 삽입 관통한 상태로 버링부(34)를 코킹한다. 즉, 절연 부재(150)의 외주부와 구멍부(151)의 거리에 차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로 코킹하여 전극 단자(140)를 고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거리가 긴 부위에 대해 거리가 짧은 부위에 대한 면압보다 큰 면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코킹 공정 S12에 있어서, (1) 버링부(34)의 외주에 보강 링(35)을 끼움 장착한 형태에 대해 펀치(60)를 사용하여 코킹하는 방법, 혹은, (2) 버링부(34)의 외주에 보강 링(70)을 끼움 장착한 형태에 대해 펀치(80) 또는 펀치(90)를 사용하여 코킹하는 방법 등을 채용함으로써, 절연 부재(150)와 전극 단자(140) 사이에 적정한 면압을 발생시켜, 덮개부(32)에 전극 단자(140)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상기 (1)의 방법에 대해, 보강 링(35)의 절결부(35aㆍ35a)가 형성되는 개소의 변형량이 커지므로, 절결부(35aㆍ35a)가 전극 단자(140)의 평면부(141ㆍ141)와 대향하도록 보강 링(35)을 끼움 장착한 상태로, 펀치(60)에 의해 버링부(34)를 코킹함으로써, 절연 부재(150)와 전극 단자(140) 사이에 적정한 면압을 발생시킨다(도 16 참조).
상기 (2)의 방법에 대해, 펀치(80)의 성형날(82)에 있어서, 제2 날부(84ㆍ84)가 형성되는 개소의 변형량이 커지므로, 제2 날부(84ㆍ84)에 의한 성형 개소가 전극 단자(140)의 평면부(141ㆍ141)와 대향하도록 하고, 펀치(80)에 의해 버링부(34)를 코킹함으로써, 절연 부재(150)와 전극 단자(140) 사이에 적정한 면압을 발생시킨다(도 16 참조).
또한, 펀치(90)를 사용하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일반적인 둥근 단자[원형의 단면을 갖는 전극 단자(40)] 이외의 이형 단면을 갖는 전극 단자(140)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관한 코킹 공정 S12를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제조 공정 S1로 제조되는 전지의 전극 단자의 형태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진 형상의 용기(30)를 구비하고, 그 일면으로부터 2개의 전극 단자(40ㆍ40)[또는 전극 단자(140ㆍ140)]를 외측을 향해 돌출시키는 전지(10)의 제조 공정 S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용기(230)를 구비하고, 그 일면으로부터 하나의 전극 단자(240)를 외측을 향해 돌출시키는 전지(21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지(210)는 공지의 원통형 전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극 단자를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지에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전극 단자가 용기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에 적합하다.
10 : 전지
30 : 용기
32 : 덮개부
33 : 관통 구멍
34 : 버링부
35 : 보강 링(보강 부재)
40 : 전극 단자
50 : 절연 부재

Claims (12)

  1. 관통 구멍을 갖는 용기와,
    일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에 고정되는 전극 단자와,
    상기 용기와 상기 전극 단자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에,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버링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버링부의 외주에, 상기 버링부의 외주측으로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버링부의 내측에 상기 절연 부재를 통해 상기 전극 단자를 삽입하고,
    상기 버링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프레스하여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전극 단자를 상기 관통 구멍에 고정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를, 상기 용기보다도 고강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에, 상기 버링부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다른 부위를 설치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할 때에,
    상기 버링부의 변형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기재된 전지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이며,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하는 성형날을 갖는 동시에,
    상기 성형날의 돌출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프레스 공구.
  6. 제4항에 기재된 전지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이며,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하는 성형날을 갖는 동시에,
    상기 성형날의 압박 면적에 분포를 갖게 하는, 프레스 공구.
  7. 관통 구멍을 갖는 용기와,
    일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에 고정되는 전극 단자와,
    상기 용기와 상기 전극 단자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절연 부재와,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버링부와,
    상기 버링부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버링부의 외주측으로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이며,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관통 구멍의 고정부는,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절연 부재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버링부를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프레스하여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용기보다도 고강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전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버링부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다른 부위를 갖는, 전지.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할 때에,
    상기 버링부의 변형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기재된 전지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이며,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하는 성형날을 갖는 동시에,
    상기 성형날의 돌출량에 분포를 갖게 하는, 프레스 공구.
  12. 제10항에 기재된 전지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이며,
    상기 버링부를 프레스하는 성형날을 갖는 동시에,
    상기 성형날의 압박 면적에 분포를 갖게 하는, 프레스 공구.
KR1020107027172A 2009-07-24 2009-07-24 전지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 및 전지 Active KR101212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3493 WO2011010350A1 (ja) 2009-07-24 2009-07-24 電池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プレス工具、並びに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947A KR20110037947A (ko) 2011-04-13
KR101212385B1 true KR101212385B1 (ko) 2012-12-13

Family

ID=4349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172A Active KR101212385B1 (ko) 2009-07-24 2009-07-24 전지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 및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8600B2 (ko)
EP (1) EP2458658B1 (ko)
JP (1) JP5287978B2 (ko)
KR (1) KR101212385B1 (ko)
CN (1) CN102057517B (ko)
WO (1) WO2011010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7978B2 (ja) 2009-07-24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プレス工具、並びに電池
CN102656716B (zh) * 2010-01-12 2014-12-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的制造方法以及电池
JP2012150985A (ja) * 2011-01-19 2012-08-09 Toyoda Gosei Co Ltd 電池蓋部材
JP6327857B2 (ja) * 2011-02-18 2018-05-23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Schott AG 特にはバッテリー用の貫通部および超音波溶接によってハウジングに該貫通部を導入する方法
JP5614342B2 (ja) * 2011-03-16 2014-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KR101336444B1 (ko) * 2011-06-16 2013-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8945763B2 (en) * 2012-01-31 2015-02-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s
US9023517B2 (en) 2012-03-21 2015-05-0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JP5692173B2 (ja) * 2012-06-27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US9502710B2 (en) 2012-09-06 2016-11-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Cell terminal seal system and method
US9167938B2 (en) 2013-03-15 2015-10-27 Whirlpool Corporation Food processor mixer attachment
US9675101B2 (en) 2013-03-15 2017-06-13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US9337451B2 (en) 2013-07-30 2016-05-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oller interconnection of battery cells
CN104752674B (zh) * 2013-12-31 2017-02-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极端子、具有其的电池盖板组件、电池和电池组
DE102014200812A1 (de) 2014-01-17 2015-07-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nergiespeichers mit verbesserter Abdichtung
KR102102455B1 (ko) * 2015-10-22 2020-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접속부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5633309A (zh) * 2016-02-03 2016-06-01 深圳市三讯电子有限公司 电极端子、动力电池盖板组件和动力电池
CN108604650B (zh) * 2016-02-09 2021-05-04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元件的制造方法以及蓄电元件
CN105977408B (zh) * 2016-07-07 2019-02-19 丁振荣 电池外壳、电池电芯、电池及其装配方法
JP6460417B2 (ja) * 2016-10-05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KR102335021B1 (ko) 2016-10-21 2021-1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EP4156216A4 (en) * 2020-06-16 2025-06-04 GS Yuasa International Ltd. ELECTRIC STORAGE ELEMENT
CN112054155A (zh) * 2020-09-30 2020-12-08 中航锂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电池盖板组件及其的制备方法和电极端子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359A (ja) 2003-11-28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角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6019292A (ja) 2004-06-29 2006-01-19 Samsung Sdi Co Ltd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7179803A (ja) 2005-12-27 2007-07-12 Denso Corp 電池容器用封口板および非水電解液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26321A (en) * 1961-11-14 1966-04-20 Varta Ag Packings for the terminal posts of all casings,and a method of sealing such cell casings
US3800401A (en) * 1971-04-05 1974-04-02 American Flange & Mfg Method of making container closure construction
JPS5466122U (ko) 1977-10-19 1979-05-10
JPS58112245A (ja) 1982-12-14 1983-07-04 Yuasa Battery Co Ltd 蓄電池の製造方法
US4559283A (en) * 1984-08-21 1985-12-17 Raychem Corporation Battery casing
US4879191A (en) * 1989-03-23 1989-11-07 Globe-Union Inc. Crimp terminal for a battery
JPH06180264A (ja) 1992-06-05 1994-06-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導線引出し部の封止構造及びこの封止構造を有するプラグ
JPH0622933A (ja) 1992-07-06 1994-02-01 Toshiba Corp Mri装置及びmriにおける撮影計画方法
JPH0753422A (ja) 1993-08-18 1995-02-28 Chiyoda Corp 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触媒
JP2888410B2 (ja) 1994-02-25 1999-05-10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ねじ穴の加工方法
JP3418283B2 (ja) * 1995-10-20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形二次電池
JP2001127464A (ja) 1999-10-26 2001-05-11 Hitachi Ltd 自動車用電子回路装置
JP3812329B2 (ja) 2000-03-14 2006-08-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塑性加工方法
JP3746002B2 (ja) 2001-12-25 2006-02-15 Necトーキン栃木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206786C (zh) 2002-05-31 2005-06-1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高速感应电动机的转子
JP4590911B2 (ja) 2004-04-15 2010-1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JP2005339990A (ja) 2004-05-27 2005-12-08 Toyota Motor Corp 密閉型電池及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CN1594892A (zh) 2004-07-01 2005-03-16 宜兴市张泽化工设备厂 离心泵用双端面机械密封
US7892674B2 (en) * 2005-09-09 2011-02-22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JP5040142B2 (ja) 2006-03-31 2012-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ケースの蓋体
CN200954758Y (zh) * 2006-09-19 2007-10-03 重庆川渝精工机械配件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车后桥的桥壳组件装置
JP5287978B2 (ja) 2009-07-24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プレス工具、並びに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359A (ja) 2003-11-28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角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6019292A (ja) 2004-06-29 2006-01-19 Samsung Sdi Co Ltd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7179803A (ja) 2005-12-27 2007-07-12 Denso Corp 電池容器用封口板および非水電解液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10350A1 (ja) 2012-12-27
KR20110037947A (ko) 2011-04-13
US8828600B2 (en) 2014-09-09
EP2458658A4 (en) 2013-01-16
EP2458658A1 (en) 2012-05-30
WO2011010350A1 (ja) 2011-01-27
CN102057517A (zh) 2011-05-11
JP5287978B2 (ja) 2013-09-11
CN102057517B (zh) 2014-03-12
US20120115022A1 (en) 2012-05-10
EP2458658B1 (en)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385B1 (ko) 전지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프레스 공구 및 전지
KR101921157B1 (ko) 축전 소자, 및 단자의 제조 방법
EP2782691B1 (en) Sealing arrangement of a battery filling port using a rivet
JP5772769B2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20120065256A (ko) 전지
JP5494794B2 (ja) 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
KR101432461B1 (ko) 전지
KR101355341B1 (ko)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
JP2012226836A (ja) 電池の製造方法
EP3182486B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12226834A (ja) 電池
JP2011243381A (ja) 電池の製造方法
JP2012138202A (ja)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2012234677A (ja)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6413976B2 (ja) 電池
JP2012221897A (ja) 端子構造、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2012119223A (ja)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