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2308B1 -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08B1
KR101212308B1 KR1020100039767A KR20100039767A KR101212308B1 KR 101212308 B1 KR101212308 B1 KR 101212308B1 KR 1020100039767 A KR1020100039767 A KR 1020100039767A KR 20100039767 A KR20100039767 A KR 20100039767A KR 101212308 B1 KR101212308 B1 KR 101212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itake
shiitake mushrooms
steaming
extract
dr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382A (ko
Inventor
윤용진
Original Assignee
윤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진 filed Critical 윤용진
Priority to KR102010003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3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제와 저온에서의 덖음을 반복하여 표고버섯이 가지는 특유의 향이 변질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향취를 개선시킨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은 건조된 표고버섯을 잘게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표고버섯을 수증기로 찌는 증제단계와,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표고버섯을 가열된 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덖음단계와, 덖음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는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entinus edodes beverage enhanced fragrance}
본 발명은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제와 저온에서의 덖음을 반복하여 표고버섯이 가지는 특유의 향이 변질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향취를 개선시킨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자균류 느타리과 잣버섯 속 혹은 송이과 표고 속으로 분류되는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먹는 식용버섯 중의 하나로 봄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나무토막과 그루터기 위에 단생 또는 군생하는 목재 백색부후균이며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및 뉴질랜드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표고버섯은 원래 오염되지 않는 청정지역에서 무농약, 무비료에 의해서만 재배가 가능한 순수한 자연무공해식품으로 우리나라의 여러 지역에서 재배 및 생산하고 있다.
표고는 향미가 좋고 음식의 맛을 좋게 해주는 천연조미료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질 외에 칼슘 등 많은 무기질과 비타민 B1, B2, C 및 에르고스테린 등 영양가가 풍부할 뿐 아니라 최근에는 렌티난(Lentinan)이라는 항암물질이 밝혀졌다.
본초강목에 따르면 표고버섯은 ‘기(氣)를 도와주고 허기를 느끼지 않게 하며, 풍(風)을 고치는가 하면 피를 잘 통하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혈장콜레스테롤 저하, 고혈압 예방 및 치료 효과 그리고 다당류에 의한 강한 항암효과 및 B형 간염의 치료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생표고와 건표고로 판매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에서는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를 이용하여 단순한 1차 가공 혹은 추출 건조물 활용 등으로 연구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섭취가 간편하고 용이한 음료를 제공하되 표고버섯의 향취가 변질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의 부패를 방지하여 장기 보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은 건조된 표고버섯을 잘게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표고버섯을 수증기로 찌는 증제단계와; 상기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표고버섯을 가열된 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덖음단계와; 상기 덖음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유기용매에 생강과 녹차를 더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표고버섯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을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50 내지 120℃에서 3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추출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단계 완료 후 상기 추출액에 축사밀 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사밀 추출물은 하방에서 열을 가할 수 있고 중간에 U자형 유리관이 연결된 두 개의 둥근 플라스크로 이루어지는 수증기 증류장치를 준비한 다음 한쪽의 둥근 플라스크에 잘게 분쇄한 축사밀의 종자 및 증류수를 동일 중량 비율로 넣어 120℃로 50분 동안 가열하고, 다른 쪽 둥근 플라스크에는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를 넣은 후 40℃로 50분 동안 가열한 후 U자형 유리관에 모인 증류된 액체를 여과지로 거르고 32℃에서 30분 동안 감압농축시켜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적인 증제와 덖음 과정을 통해 표고버섯을 건조시키므로 표고버섯 특유의 향이 변질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항균효과를 가지는 축사밀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켜 자체보존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단계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의 제조방법은 분쇄단계와, 증제단계와, 덖음단계와, 추출단계로 이루어진다.
1. 분쇄단계
채취된 표고버섯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한다. 이 경우 분쇄기 외에도 절구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분쇄할 수 있다.
분쇄된 표고버섯은 눈이 0.5 내지 1cm 크기의 망체를 이용하여 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망체를 통과하지 못한 1 내지 3cm의 크기로 분쇄된 표고버섯을 이용한다.
2. 증제단계
상기에서 분쇄된 표고버섯은 증제용 용기에 담아 수증기로 쪄서 증제시킨다. 가령, 찜기, 찜통, 시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증제시 온도는 통상적으로 100 내지 120℃에서 찔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영양분의 파괴 방지를 위해 80 내지 100℃에서 찐다. 증제시간은 표고버섯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시간은 30 내지 60분 정도 증제시킨다.
3. 덖음단계
상기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표고버섯은 가열된 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가령, 증제된 표고버섯을 가마솥에 넣고 가열하면서 골고루 교반시켜 준다. 이 경우 가열온도는 50 내지 70℃로 저온에서 수분이 제거될때까지 3 내지 5시간 동안 충분히 덖는다.
상기 덖음단계가 완료되면 다시 표고버섯을 증기로 쪄서 상술한 증제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그리고 증제된 표고버섯을 상기 덖음과정을 통해 다시 덖는다. 이러한 증제와 덖음을 2회 내지 4회정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복적인 증제와 덖음과정을 통해 표고버섯이 가지고 있는 향이 변질되지 않고 고유의 향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도록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덖음단계가 완료된 표고버섯은 양지에서 자연건조시킨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표고버섯의 수분함량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 추출단계
상기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은 추출용매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추출액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표고버섯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다. 일 예로 표고버섯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10배를 가한 후60~120 ℃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40℃에서 2 내지 10시간 침적시켜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32℃에서 30분 동안 감압농축시켜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한다. 따라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은 잔류용매 등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물을 이용하여 열수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그리고 상기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방식 등을 통해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출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고형물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음료가 제조된다. 상기의 추출액은 가열살균하고 용기에 담아 진공포장하여 본 발명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상기 추출단계에서 유기용매에 표고버섯과 함께생강과 녹차를 더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생강은 건조된 생강형태로 투입하고, 녹차는 통상적인 덖음공정을 거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표고버섯 추출액에 축사밀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이는 축사밀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음료는 유해한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여 장기 보존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축사밀(Amomum xanthoides)은 생강과의 풀로서, 높이는 1m 정도이며, 잎은 가늘고 길다. 꽃은 봄과 여름 사이에 피며, 열매는 황적색이고 껍질은 두껍고 쭈글쭈글하다. 열매 속에 수십 개의 종자가 있는 데, 한약재로 사용된다. 종자의 주성분은 캠포(d-Camphor), 보르네올(d-Borneol), 보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네로리돌(Nerolidol)이고, 약리학적 작용으로는 위장의 운동을 활성화하여 소화를 돕고 진경작용이 있다. 축사밀이 종자는 검은 회갈색이고 다면체이며 정유가 들어 있어 특유한 향기와 맛이 있다.
따라서 축사밀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물의 일 예로서 축사밀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축사밀의 종자로부터 정유(精油)를 얻기 위한 추출방법으로 하방에서 열을 가할 수 있고 중간에 U자형 유리관이 연결된 두 개의 둥근 플라스크로 이루어지는 수증기 증류장치를 준비한 다음 한쪽의 둥근 플라스크에 잘게 분쇄한 축사밀의 종자 및 증류수를 동일 중량 비율로 넣어 120℃로 50분 동안 가열하고, 다른 쪽 둥근 플라스크에는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를 넣은 후 40℃로 50분 동안 가열한 후 U자형 유리관에 모인 증류된 액체를 여과지로 거르고 32℃에서 30분 동안 감압농축시켜 수득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외에도 통상의 정유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축사밀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정유는 방향성을 가져 항균, 소취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축사밀 종자의 정유를 함유한 본 발명은 산패를 방지하여 장기 보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음료에는 포장 전에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부원료를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부원료로 타우린(taurine), 구연산, 비타민 C, 안식향산나트륨, 정백과당 등을 소량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채취된 표고버섯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절구에서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표고버섯은 눈의 크기가 1cm인 망체를 이용하여 대략 1 내지 3cm의 크기로 분쇄된 표고버섯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표고버섯은 찜통에 담아 약 90℃에서 40분 정도 수증기로 쪄서 증제시킨 후 가마솥에 넣어 60℃의 저온에서 4시간 동안 덖음질하였다. 이러한 증제와 덖음을 2차례 더 반복하였고, 마지막 덖음 후 양지에서 자연건조시켜 수분함량은 4%의 건조된 표고버섯을 얻었다.
건조된 표고버섯에 80℃로 가열된 식수를 중량비로 약 5배를 가한 후 6분 정도 지나서 표고버섯을 건져내어 수득한 추출액을 거름망을 이용하여 고형물을 최종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표고버섯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고버섯 음료를 제조하되, 상기 추출액100중량부에 대하여 축사밀 추출물 1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축사밀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하방에서 열을 가할 수 있고 중간에 U자형 유리관이 연결된 두개의 둥근 플라스크로 이루어지는 수증기 증류장치를 준비한 다음, 한쪽의 둥근 플라스크에 잘게 분쇄한 축사밀의 종자 및 증류수를 동일 중량 비율로 넣어 120℃로 가열하였다. 그리고 다른 쪽 둥근 플라스크에는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를 넣은 후 온도를 40℃로 가열하였다. 약 50분 동안 가열상태를 유지한 후 U자형 유리관에 증류된 액체가 모이면 액체를 여과지로 거르고 32℃에서 30분 동안 감압농축시켜 디에틸에테르를 제거하여 정유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채취된 표고버섯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절구에서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표고버섯은 눈의 크기가 1cm인 망체를 이용하여 대략 1 내지 3cm의 크기로 분쇄된 표고버섯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표고버섯은 양지에서 자연건조시켜 수분함량 약 4%의 건조시켰다. 건조된 표고버섯을 80℃로 가열된 식수 100부피부에 대하여 15부피부를 혼합한 후 6분 정도 후에 표고버섯을 건져낸 다음 거름망을 이용하여 고형물을 최종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표고버섯 음료를 제조하였다.
<관능실험>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의 표고버섯 음료를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패널은 적절한 훈련과정을 거친 성인(남 10명, 여 6명)16명, 청소년 8명(남 4명, 여 4명) 총 24명을 선정하여 외관, 향, 맛, 전체적기호도를 다음과 같은 5점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구분 외관 전체적기호도
실시예1 3.8 4.3 4.7 4.3
실시예2 3.7 4.1 4.6 4.2
비교예 3.8 3.6 3.1 3.5
(1:매우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매우 좋음)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외관에 있어서는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맛과 향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가 비교예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실시 예들의 경우 증제와 덖음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표고버섯 특유의 향이 변질되지 않고 그대로 살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하게 자연건조시킨 표고버섯을 이용한 비교예와 비교할 경우 그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항균시험>
본 발명의 표고버섯 음료의 장기 보존성을 살펴보기 위해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균주로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를 사용하였다.
실험시료로 상기 실시 예 2에서 사용된 축사밀 종자의 정유를, 대조시료로 증류수를 이용하여 10일간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균주를 식염수에 접종한 후 시료를 각각 가하였고, 균검사는 선택배지에 도말 후 24시간 동안 35℃에서 배양시킨 후에 각 균주의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 구분 2일 경과후 감소율 10일 경과후 / 감소율
살모넬라(SE)
실험시료 43% 65%
대조시료 10% - (20% 증가)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시료의 경우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는 최초 2일 경과 후에 약간 균주수가 감소하다가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주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험시료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균주 수가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축사밀 추출물의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건조된 표고버섯을 잘게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표고버섯을 수증기로 찌는 증제단계와;
    상기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표고버섯을 가열된 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덖음단계와;
    상기 덖음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을 추출용매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는 추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추출용매에 생강과 녹차를 더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3. 삭제
  4. 건조된 표고버섯을 잘게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표고버섯을 수증기로 찌는 증제단계와;
    상기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표고버섯을 가열된 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덖음단계와;
    상기 덖음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을 추출용매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는 추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단계 완료 후 상기 추출액에 축사밀 종자로부터 추출한 축사밀 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사밀 추출물은 하방에서 열을 가할 수 있고 중간에 U자형 유리관이 연결된 두 개의 둥근 플라스크로 이루어지는 수증기 증류장치를 준비한 다음 한쪽의 둥근 플라스크에 잘게 분쇄한 축사밀의 종자 및 증류수를 동일 중량 비율로 넣어 120℃로 50분 동안 가열하고, 다른 쪽 둥근 플라스크에는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를 넣은 후 40℃로 50분 동안 가열한 후 U자형 유리관에 모인 증류된 액체를 여과지로 거르고 32℃에서 30분 동안 감압농축시켜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00039767A 2010-04-29 2010-04-29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1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67A KR101212308B1 (ko) 2010-04-29 2010-04-29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67A KR101212308B1 (ko) 2010-04-29 2010-04-29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82A KR20110120382A (ko) 2011-11-04
KR101212308B1 true KR101212308B1 (ko) 2012-12-13

Family

ID=4539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7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2308B1 (ko) 2010-04-29 2010-04-29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49B1 (ko) * 2013-06-28 2014-12-10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표고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573B1 (ko) * 2015-12-17 2016-11-07 마성심 표고버섯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표고버섯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49B1 (ko) * 2013-06-28 2014-12-10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표고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82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0470A (ko) 홍삼 추출물 및 약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591708B1 (ko) 곰팡이를 이용한 천연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0058A (ko) 인삼 재료로부터 부터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강화된 식품 원료 제조방법 및 그 식품 원료를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CN103315255A (zh) 一种茶酱野菜的制作方法
KR101895521B1 (ko) 꾸지뽕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1239887B1 (ko) 막장의 제조방법
KR101282587B1 (ko) 죽순 청국장의 제조 방법
KR101537581B1 (ko) 숙성된 오가피를 이용한 침출 차의 제조방법
KR101904042B1 (ko) 기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흑천마 차의 제조방법
KR101212308B1 (ko) 향취가 개선된 표고버섯 음료의 제조방법
KR101853416B1 (ko) 더치커피를 이용한 인스턴트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9162B1 (ko) 죽력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00047992A (ko) 잔대녹차의 제조방법
KR20160007884A (ko) 고구마와 산야초 추출액이 함유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1183247B1 (ko) 마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796674B1 (ko)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JP5220075B2 (ja) 高圧熱水抽出アッケシソウ粉末および味噌の製造方法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KR102557899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파프리카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20160007882A (ko) 고구마와 산야초 추출액이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90066269A (ko) 비린내를 제거한 홍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353423B1 (ko) 과일 효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