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1113B1 -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 Google Patents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113B1
KR101211113B1 KR1020110082191A KR20110082191A KR101211113B1 KR 101211113 B1 KR101211113 B1 KR 101211113B1 KR 1020110082191 A KR1020110082191 A KR 1020110082191A KR 20110082191 A KR20110082191 A KR 20110082191A KR 101211113 B1 KR101211113 B1 KR 10121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lock
outputting
current
binary ph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진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1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04L7/0331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with a digital phase-locked loop [PLL] processing binary samples, e.g. add/subtract logic for correction of receiver clo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13/00Circuits for comparing the phase or frequency of two mutually-independent oscillations
    • H03D13/003Circuits for comparing the phase or frequency of two mutually-independent oscillations in which both oscillations are converted by logic means into pulses which are applied to filtering or integ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수신 데이터와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의 위상 차이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업/다운 신호들을 출력하는 2n+1(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신호들에 상응하는 업/다운 전류를 생성하는,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의 개수와 동수(同數)로 구성되는 챠지 펌프(charge pump); 상기 챠지 펌프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전류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 상기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변화된 주파수의 클럭을 출력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으로부터 상호 간 미세한 위상 차이(Dq)를 갖는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을 출력하는 다 위상 클럭 발생기; 및 수신 데이터를 상기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 중 어느 한 클럭으로 샘플링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INCLUDING BINARY PHASE DETECTOR}
본 발명은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직렬통신 등에서 NRZ (non return to zero) 형태의 비주기적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다시 데이터를 복원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는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와 선형 위상 검출기(linear phase detecto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계되었다. 특히 초고속 동작을 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는 속도, 전력 소모 및 구현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가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인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의 구성 및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사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일반적으로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 100), 챠지 펌프(charge pump, 200), 루프 필터(loop filter, 300),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 400) 및 D 플립플롭(D flipflop, 600)으로 구성된다.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에 따른 챠지 펌프의 출력 전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선형 특성을 갖는다. 즉, 수신 데이터가 복원된 클럭보다 위상이 빠를 경우 챠지 펌프의 전류는 +I0가 되고, 반대로 수신 데이터가 복원된 클럭보다 위상이 느릴 경우 챠지 펌프의 전류는 -I0가 된다. 이렇게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는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 중에서 어느 것이 위상이 더 빠른지 만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챠지 펌프의 전류(이 경우 +I0 또는 -I0)를 출력할 뿐,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의 크기를 검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의 비선형 특성은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가 수신 데이터의 지터를 트래킹(jitter tracking)할 때,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수신 데이터의 지터를 트래킹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터 트래킹 (jitter tracking) 시 슬루잉(slewing)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사용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지터 톨러런스(jitter tolerance) 성능이 제한되는 주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의 비선형 위상 검출기 이득(nonlinear phase detector gain)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신 데이터의 지터 트래킹 (jitter tracking) 시 슬루잉(slewing)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신 데이터와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의 위상 차이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업/다운 신호들을 출력하는 2n+1(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신호들에 상응하는 업/다운 전류를 생성하는,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의 개수와 동수(同數)로 구성되는 챠지 펌프(charge pump); 상기 챠지 펌프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전류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 상기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변화된 주파수의 클럭을 출력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으로부터 상호 간 미세한 위상 차이(Dq)를 갖는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을 출력하는 다 위상 클럭 발생기; 및 수신 데이터를 상기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 중 어느 한 클럭으로 샘플링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와 달리 새로이 제안하는 홀수 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들과 동수의 챠지 펌프들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 간의 위상 차이가 클 경우, 보다 큰 챠지 펌프 전류를 루프 필터에 흐르게 하여 지터 트래킹(jitter tracking) 시 슬루잉(slewing) 문제를 완화하고,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지터 톨러런스 (jitter tolerance)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를 사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종래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를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에 따른 챠지 펌프 출력 전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를 사용할 경우, 시간에 따라 복원된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을 트래킹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들을 사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서와 같이 3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들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에 따른 챠지 펌프 출력 전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5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들을 사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6에서와 같이 5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들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에 따른 챠지 펌프 출력 전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를 사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 100) 와 챠지 펌프(charge pump, 200)를 사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 추가적으로 두 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10, 120), 두 개의 챠지 펌프(210, 220) 및 상호 간 미세한 위상 차이(Dq)를 갖는 다 위상 클럭들을 출력하는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는 일례로 3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을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는,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다 위상 클럭들의 위상 차이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업/다운 신호들을 출력하는 3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00, 110, 120), 상기 3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00, 110, 120)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신호들에 상응하는 업/다운 전류를 생성하는 3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상기 3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전류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300), 상기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변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 400),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400)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으로부터 상호 미세한 위상 차이(Dq)를 갖는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을 출력하는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 및 수신 데이터를 상기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 중 어느 한 클럭으로 샘플링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6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00, 110, 120) 각각은,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를 비교하여, 수신 데이터의 위상이 복원된 클럭의 위상보다 앞서면(즉, 빠르면) 업 신호를 출력하고, 뒤지면(즉, 느리면) 다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는, 각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00, 110, 120)의 출력단과 연결된 챠지 펌프(200, 210, 220)로 입력된다.
이 경우, 챠지 펌프(200, 210, 220)는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00, 110, 120)로부터 각각 입력된 업/다운 신호에 상응하는 업/다운 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챠지 펌프(200, 210, 220) 각각에는 업 전류를 생성하는 업 전류원 및 다운 전류를 생성하는 다운 전류원이 포함될 수 있다.
루프 필터(300)는 챠지 펌프(200, 210, 220)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전류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루프 필터(300)는, 챠지 펌프(200, 210, 220)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R) 및 제1 캐패시터(C1)와, 챠지 펌프(200, 210, 220)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챠지 펌프(200, 210, 220)들로부터 출력된 업/다운 전류는 루프 필터(300)를 거치면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400)의 조정 전압으로 바뀌게 된다.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400)는, 상기 루프 필터(30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변화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클럭을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 피드백시킨다.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400)로부터 출력된 클럭을 입력받고, 상호 미세한 위상 차이(Dq)를 갖는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을 출력한다. 이러한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미세 지연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미세 지연셀은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00, 110, 120)의 개수와 동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지연셀은 복원된 클럭의 주파수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인버터(inverter)로 구현되거나, 저이득 차동 증폭기(low gain differential amplifier)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송선(transmission line)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D 플리플롭(600)은, 수신 데이터 및 상기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에 의해 복원된 클럭들 중 어느 한 클럭을 입력받고, 수신 데이터를 상기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 중 입력된 어느 한 클럭으로 샘플링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출력)한다.
이상에서는 도 4의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이하, 도 4의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서 종래의 챠지 펌프(200) 의 전류량을 I0라고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된 두 개의 챠지 펌프(210, 220)의 전류량을 I1이라 가정한다.
제1 케이스로서, 도 4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3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이 모두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릴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10) 의 전류는 I1, 두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그리고 세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이 되어 총 I0+2I1의 전류가 3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들로부터 출력된다.
제2 케이스로서, 도 4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3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 중 위상이 제일 빠른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르고, 나머지 두 클럭들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릴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두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그리고 세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이 되어 총 I0의 전류가 3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들로부터 출력된다.
제3 케이스로서, 도 4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3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 중 위상이 빠른 두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르고, 나머지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릴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두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그리고 세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이 되어 총 -I0의 전류가 3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들로부터 출력된다.
마지막 제4 케이스로서, 도 4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3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이 모두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를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두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그리고 세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이 되어 총 -I0-2I1의 전류가 3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들로부터 출력된다.
위와 같이 3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들의 출력 전류는,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도시하면 도 5와 같게 된다.
여기서,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 이득 곡선과 도 3의 종래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 이득 곡선을 상호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는,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위상 차이(q)가 클 경우, 보다 큰 챠지 펌프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지터 트래킹시 슬루잉(slewing) 문제를 완화하고, 따라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의 지터 톨러런스(jitter tolerance) 성능을 개선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 두 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30, 140)와 두 개의 챠지 펌프(230, 240)를 더 추가하고,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에서 5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을 출력함으로써, 도 6과 같이 5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100, 110, 120, 130, 140)와 5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230, 240)를 갖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5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들을 사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경우에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데이터와 복원된 클럭의 보다 세분화된 위상 차이(q)에 따라 챠지펌프 전류의 크기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에서, 종래의 챠지 펌프(200) 의 전류량을 I0라고 하고,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추가된 두 개의 챠지 펌프(210, 220)의 전류량을 I1이라 하고, 도 6의 실시예에서 새롭게 추가된 두 개의 차지 펌프(230, 240)의 전류량을 I2라 가정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앞선 도 4 및 도 5의 설명에서와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제1 케이스로서, 도 6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5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이 모두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릴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30) 의 전류는 I2, 두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세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네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 그리고 다섯 번째 챠지 펌프(240)의 전류는 I2가 되어 총 I0+2I1+2I2 의 전류가 5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230, 240)들로부터 출력된다.
제2 케이스로서, 도 6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5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 중 제일 빠른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르고, 나머지 4개의 클럭들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릴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30) 의 전류는 -I2, 두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세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네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 그리고 다섯 번째 챠지 펌프(240)의 전류는 I2가 되어 총 I0+2I1의 전류가 5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230, 240)들로부터 출력된다.
제3 케이스로서, 도 6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5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 중 빠른 순의 2개의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르고, 나머지 3개의 클럭들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릴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30) 의 전류는 -I2, 두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세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네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 그리고 다섯 번째 챠지 펌프(240)의 전류는 I2가 되어 총 I0의 전류가 5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230, 240)들로부터 출력된다.
제4 케이스로서, 도 6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5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 중 빠른 순의 3개의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르고, 나머지 2개의 클럭들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린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30) 의 전류는 -I2, 두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세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네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 그리고 다섯 번째 챠지 펌프(240)의 전류는 I2가 되어 총 -I0 의 전류가 5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230, 240)들로부터 출력된다.
제5 케이스로서, 도 6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5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 중 빠른 순의 4개의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르고, 나머지 1개의 클럭(즉, 가장 느린 클럭)의 위상이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느린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30) 의 전류는 -I2, 두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세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네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 그리고 다섯 번째 챠지 펌프(240)의 전류는 I2가 되어 총 -I0-2I1 의 전류가 5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230, 240)들로부터 출력된다.
마지막 제6 케이스로서, 도 6의 다 위상 클럭 발생기(500)로부터 출력된 5개의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위상이 모두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다 빠른 경우, 첫 번째 챠지 펌프(230) 의 전류는 -I2, 두 번째 챠지 펌프(210)의 전류는 -I1, 세 번째 챠지 펌프(200)의 전류는 -I0, 네 번째 챠지 펌프(220)의 전류는 -I1, 그리고 다섯 번째 챠지 펌프(240)의 전류는 -I2가 되어 총 -I0-2I1-2I2 의 전류가 5개의 챠지 펌프(200, 210, 220, 230, 240)들로부터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에서, 사용하는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의 개수는 반드시 도 4 및 도 6과 같이 3개 또는 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 이득은 사용되는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의 개수가 일곱 개, 아홉 개로 증가할수록 점점 더 선형적인 특성을 갖게 되고, 따라서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의 지터 톨러런스 성능이 보다 더 개선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되는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 소모 및 회로 면적이 커지고, 구현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정한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의 개수는 사용하는 공정, 설계자의 취향 및 경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종래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 (binary phase detector)
110, 120, 130, 140 : 본 발명에서 추가된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 (binary phase detector)
200 : 종래의 챠지펌프 (charge pump) 회로
210, 220, 230, 240 : 본 발명에서 추가된 챠지 펌프 (charge pump) 회로
300 : 루프 필터 (loop filter)
400 :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500 : 다 위상 클럭 발생기
600 : D 플립플롭 (D flipflop)

Claims (5)

  1. 수신 데이터와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의 위상 차이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업/다운 신호들을 출력하는 2n+1(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의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binary phase detector);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신호들에 상응하는 업/다운 전류를 생성하는,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의 개수와 동수(同數)로 구성되는 챠지 펌프(charge pump);
    상기 챠지 펌프들로부터 입력되는 업/다운 전류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 필터;
    상기 아날로그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변화된 주파수의 클럭을 출력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으로부터 상호 간 미세한 위상 차이(Dq)를 갖는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을 출력하는 다 위상 클럭 발생기; 및
    수신 데이터를 상기 다 위상 복원된 클럭들 중 어느 한 클럭으로 샘플링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
    을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 위상 클럭 발생기는 미세한 위상 차이(Dq)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을 갖는 미세 지연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지연셀들은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의 개수와 동수(同數)로 구성되고, 상기 미세 지연셀들 각각은 상호간 동일한 위상 차이(Dq) 만큼씩 쉬프트된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지연셀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복원 클럭은, 상기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들로 1 대 1로 매칭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필터는, 상기 챠지 펌프들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R) 및 제1 캐패시터(C1)와, 상기 챠지 펌프들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KR1020110082191A 2011-08-18 2011-08-18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Active KR10121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191A KR101211113B1 (ko) 2011-08-18 2011-08-18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191A KR101211113B1 (ko) 2011-08-18 2011-08-18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113B1 true KR101211113B1 (ko) 2012-12-11

Family

ID=4790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191A Active KR101211113B1 (ko) 2011-08-18 2011-08-18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1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090A (en) 1995-08-09 2000-03-21 Lsi Logic Corporation Data sampling and recover in a phase-locked loop (PLL)
KR100989848B1 (ko) 2009-08-31 2010-10-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090A (en) 1995-08-09 2000-03-21 Lsi Logic Corporation Data sampling and recover in a phase-locked loop (PLL)
KR100989848B1 (ko) 2009-08-31 2010-10-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114B2 (en) Data-driven phase detector element for phase locked loops
US11804845B2 (en) Multi-modal data-driven clock recovery circuit
US10686584B2 (en) Quadrature and duty cycle error correction in matrix phase lock loop
US9520883B2 (en) Frequency detection circuit and reception circuit
US201803517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ackground calibration of multi-phase parallel receivers
CN103684438A (zh) 延迟锁相环
US10608847B2 (en) Multi-stage sampler with increased gain
US8406271B2 (en)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ing circuit
CN109478890B (zh) 用于时钟相位生成的方法和装置
CN113841103A (zh) 电路系统
JP4992947B2 (ja) 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器及びパラレルデータ出力器
KR102476654B1 (ko) 클럭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9059837B1 (en) Clock data recovery circuit and clock data recovery method
KR101211113B1 (ko) 바이너리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클럭 및 데이터 복원 회로
CN115643137B (zh) 具有更大增益的多级采样器的装置及方法
CN113141181B (zh) 时钟数据恢复电路的数字控制电路及时钟数据恢复电路
US9887552B2 (en) Fine timing adjustment method
TW201911755A (zh) 鑒相器及時鐘與數據回復裝置
CN105634474A (zh) 多相位延迟锁定回路
KR101295900B1 (ko) 위상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 고정 루프
JPH06164374A (ja) 位相検波用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