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0912B1 - 물분배기 - Google Patents

물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912B1
KR101210912B1 KR1020110005819A KR20110005819A KR101210912B1 KR 101210912 B1 KR101210912 B1 KR 101210912B1 KR 1020110005819 A KR1020110005819 A KR 1020110005819A KR 20110005819 A KR20110005819 A KR 20110005819A KR 101210912 B1 KR101210912 B1 KR 10121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water
refrigerator
cooling device
c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453A (ko
Inventor
문영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버
Priority to KR102011000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9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 물 저장공간이 형성된 냉수통과, 내통체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와, 냉수통 외측에 설치되어 냉수통 내부의 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와, 냉각장치를 외부의 대기와 차단하는 밀봉부와, 단열 외벽으로 이루어져 냉수통, 정수장치, 냉각장치, 밀봉부를 수납하는 냉장고를 포함하는 물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장치의 표면에 생기는 응결현상을 방지하여 냉장고 바닥에 물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분배기{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 물 저장공간이 형성된 냉수통과, 내통체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와, 냉수통 외측에 설치되어 냉수통 내부의 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와, 냉각장치를 외부의 대기와 차단하는 밀봉부와, 단열 외벽으로 이루어져 냉수통, 정수장치, 냉각장치, 밀봉부를 수납하는 냉장고를 포함하는 물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수도관의 노후 등으로 인하여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도관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는 수요자는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공급하는 물분배기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물분배기에는 정수장치와 냉수통, 온수통, 배출꼭지 등이 구비되는데, 정수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걸러서 세균이나 이물질, 중금속 등을 제거하며, 냉수통과 온수통은 정수된 물을 차갑게 또는 따뜻하게 만든 후, 배출꼭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그런데, 정수장치를 거쳐 정수된 물이 상온상태에서 저수통(특히 냉수통)에 오랜 시간 보관될 경우 미생물의 번식 등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수통은 공기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저수통으로 공기 중의 세균이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수통과 정수장치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수납 케이스 내부에 낭비되는 공간이 많아지고, 물분배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물분배기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출원되어 특허 제0900300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분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분배기의 냉수통과 정수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물분배기(100)는 냉수통(101), 정수장치(102), 냉장고(103), 출수관(106)을 포함한다.
상기 냉수통(101)은 냉각장치(104)를 구비하여 수도관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냉각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장치(102)는 상기 냉수통(101)과 연결되어 냉수통(101)의 냉수를 정수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10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냉수통(101) 및 정수장치(102)를 냉각보관한다. 여기서 냉장고(103)란 스티로폼이나 우레탄과 같이 열전달률이 낮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외벽을 가진 케이스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냉각된 상태의 정수장치(102)에서 정수된 물은 냉수밸브(105)와 출수관(106)을 통과하여 외부로 바로 배출된다.
한편, 물을 걸러주는 정수장치(102)는 냉수통(101)의 가운데에 형성된 공간에 장착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냉장고(103)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103) 내부의 수납공간에 냉수통(101)과 정수장치(102)가 들어가는데, 정수장치(102)는 냉수통(101) 가운데에 수납된다.
냉수통(101)은 내통체(101a)와 외통체(101b)로 이루어져 있다. 내통체(101a)의 가운데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외통체(101b)는 내통체(101a)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내통체(101a)와 외통체(101b) 사이는 일정한 크기의 물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내통체(101a)와 외통체(101b)로 이루어진 물 저장공간의 상하는 냉수통(101)의 천장과 바닥면에 의해 밀폐된다.
내통체(101a) 가운데의 수납공간에는 정수장치(102)가 설치되며, 내통체(101a)와 외통체(101b) 사이의 저장공간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냉각 및 정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원수)이 저장된다.
즉, 내통체(101a)와 외통체(101b)로 이루어진 이중관에서 가장 안쪽의 공간(내통체(101a)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정수장치(102)가, 그 다음 공간(내통체(101a)와 외통체(101b)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물이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장치(104)는 냉수통(101) 외벽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냉각장치(104)는 금속재질의 평판으로서 내부에 냉매가 흘러가는 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장치(104)는 냉수통(101)의 외표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양 끝단이 나사 등의 체결수단(120)에 의하여 냉수통(101) 외벽에 밀착 고정된다.
그런데, 냉각장치(104)는 0도에 가까울 정도로 차갑게 냉각되어 있어서 주위의 공기가 접촉하면 응결되어 냉각장치(104)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냉장고(103)가 밀폐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용중에 뚜껑을 열거나 표면에 균열 등이 생겨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 응결된 물방울이 흘러내려 냉장고(103) 바닥에 고이게 되고, 이에 따른 세균증식이나 물때 발생 등의 문제가 생긴다.
대한민국 특허 제0900300호 (2009년 6월 2일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정수장치와 냉수통, 냉각장치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밀폐시킴으로써 응결에 의한 물방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물분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을 냉각하고 정수하여 공급하는 물분배기로서, 가운데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를 감싸는 외통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정수되기 전의 물이 저장되는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의 가운데 수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와; 상기 냉수통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통 내부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걸림턱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장치의 외측을 감싸는 밀폐케이스와; 상기 밀폐케이스 하단의 플랜지 밑면에 결합되는 바닥판과; 고리 모양으로서, 윗면이 상기 걸림턱의 아래면에 밀착되며, 아래방향으로 절곡된 내측면은 상기 냉수통 외통체의 상단 측면부에 밀착 고정되는 상부밀폐링과; 대략 원통형인 단열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냉수통, 정수장치, 냉각장치, 밀폐케이스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와; 상기 냉장고의 바닥을 밀폐하는 바닥단열재와; 상기 냉장고의 윗면을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되어 정수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밸브와; 상기 냉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배출하는 출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의 가운데 표면에 설치되는 오링;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에 호스가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 상단에 형성된 출입턱에 삽입 고정되는 호스홀더;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장치의 표면에 생기는 응결현상을 방지하여 냉장고 바닥에 물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분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분배기의 냉수통과 정수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밀봉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분배기를 결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분배기를 결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수평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9는 호스홀더에 호스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밀봉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분배기를 결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분배기를 결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물분배기(200)는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물분배기(100)와 동일하게 정수장치(202), 냉수통(204), 냉각장치(206), 냉장고 몸체(214), 바닥단열재(216), 뚜껑(218)을 포함하며, 냉수통(204)이 외통체와 내통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가운데 수납공간에 정수장치(202)가 수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냉각장치(206)는 냉수통(204)의 외형과 유사한 형태로 절곡된 상태로서, 냉수통(204)의 외표면에 접촉하면서 설치된다. 따라서 냉수통(204) 내부의 물은 냉각장치(206)에 의해 냉각되어 저장된다.
냉수통(204)에 저장된 물은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정수장치(202)를 통과하면서 깨끗한 물로 정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냉각장치(206)와 냉장고 몸체(214) 사이에는 밀폐케이스(208)가 삽입된다. 밀폐케이스(208)는 냉각장치(206)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케이스(208), 바닥판(210), 상부밀폐링(212)에 의해 밀봉부가 구성된다.
밀폐케이스(208)는 냉각장치(206) 보다는 약간 크고, 냉장고 몸체(214) 보다는 약간 작은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이다. 밀폐케이스(208)의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08a)가 고리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밀폐케이스(208) 상단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걸림턱(208b)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된다.
밀폐케이스(208) 하단의 플랜지(208a)에는 바닥판(210)이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며, 상단의 걸림턱(208b) 아래면에는 상부밀폐링(212)이 밀착 고정된다.
바닥판(210)은 바닥단열재(216)와 거의 비슷한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지며, 플랜지(208a)의 밑면에 밀착 고정되어 바닥면을 통해 밀폐케이스(208) 내부로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바닥판(210)의 가운데 표면에는 냉수통(204)의 내통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오링(210a)이 설치되어 있어서 냉수통(204)의 바닥면과 밀착된다. 오링(210a)에 의해 바닥면을 통한 공기의 출입이 완벽하게 차단된다.
또한 바닥판(210)의 둘레에는 볼트를 관통하는 나사구멍(210b)이 형성되어 있어서 밀폐케이스(208)와의 고정에 사용된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냉수통(204)의 밑 바닥면과 접촉하는 오링(210a)의 구조와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밀폐케이스(208) 하단의 플랜지(208a)와 바닥판(210) 사이에 패킹을 삽입시켜 밀폐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패킹을 설치하면 특허 볼트 삽입구를 통해 새어들어오는 공기를 막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밀폐링(212)은 냉수통(204) 외통체의 상부 외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도록 단면이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윗면이 걸림턱(208b)의 아래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상부밀폐링(212)과 걸림턱(208b)이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밀폐링(212)의 상면에 고리모양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걸림턱(208b)을 위쪽 방향으로 압박하면서 밀착된다.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냉수통(204)의 윗면과 측면에 얹히면서 걸림턱(208b)의 밑면과 접촉하는 상부밀폐링(212)의 단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밀폐케이스(208)의 하단부에 바닥판(210)이 결합되면서 하부로부터의 공기 출입을 방지하고, 상부밀폐링(212)이 냉수통(204)의 상부 외측면과 걸림턱(208b)의 아래면과 접촉하면서 상부로부터의 출입을 막아준다. 따라서 냉각장치(206)가 저장된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면서 공기의 출입이 없어져서 냉각에 의한 결로와 응결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밀폐케이스(208), 바닥판(210), 상부밀폐링(212)으로 구성되는 밀봉부의 외곽에는 냉장고(214)와 바닥단열재(216), 뚜껑(218)이 설치되어 보온 및 보냉 효과를 낸다.
냉장고(214)와 바닥단열재(216), 뚜껑(218)는 모두 열전달율이 극히 낮은 단열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단열재(216)에도 역시 나사구멍(216a)이 형성되어 있어서 바닥판(210)의 고정에 사용된 볼트가 삽입 고정된다. 바닥단열재(216)에 형성된 나사구멍(216a)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볼트의 끝부분 또는 볼트머리를 수납하기만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냉장고(214)의 상단에는 정수 또는 원수가 통과하는 호스(222)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출입턱(214a)이 형성될 수 있다. 출입턱(214a)의 형상은 원형이나 사각형일 수 있으며, 출입턱(214a)을 드나드는 호스(222)를 고정시키기 위한 호스홀더(220)가 출입턱(214a)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호스홀더에 호스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호스홀더(220)의 넓이와 길이, 높이 등은 걸림턱(214a)과 동일하게 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202 : 정수장치 204 : 냉수통
206 : 냉각장치 208 : 밀폐케이스
210 : 바닥판 212 : 상부밀폐링
214 : 냉장고 216 : 바닥단열재
218 : 뚜껑 220 : 호스홀더
222 : 호스

Claims (3)

  1. 물을 냉각하고 정수하여 공급하는 물분배기로서,
    가운데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를 감싸는 외통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정수되기 전의 물이 저장되는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의 가운데 수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와;
    상기 냉수통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통 내부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걸림턱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장치의 외측을 감싸는 밀폐케이스와;
    상기 밀폐케이스 하단의 플랜지 밑면에 결합되는 바닥판과;
    고리 모양으로서, 윗면이 상기 걸림턱의 아래면에 밀착되며, 아래방향으로 절곡된 내측면은 상기 냉수통 외통체의 상단 측면부에 밀착 고정되는 상부밀폐링과;
    원통형인 단열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냉수통, 정수장치, 냉각장치, 밀폐케이스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와;
    상기 냉장고의 바닥을 밀폐하는 바닥단열재와;
    상기 냉장고의 윗면을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되어 정수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밸브와;
    상기 냉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배출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물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가운데 표면에 설치되는 오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오링은 고리 모양으로서, 상기 내통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바닥판의 표면과 상기 냉수통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통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배기.
  3. 삭제
KR1020110005819A 2011-01-20 2011-01-20 물분배기 Active KR10121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19A KR101210912B1 (ko) 2011-01-20 2011-01-20 물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19A KR101210912B1 (ko) 2011-01-20 2011-01-20 물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53A KR20120084453A (ko) 2012-07-30
KR101210912B1 true KR101210912B1 (ko) 2012-12-11

Family

ID=4671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819A Active KR101210912B1 (ko) 2011-01-20 2011-01-20 물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9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168Y1 (ko) 2006-03-22 2006-07-13 임채경 보냉 겸용 휴대용 냉각용기
KR100621058B1 (ko) 2005-02-18 2006-09-14 주식회사 지엠에스 정수기
KR100900300B1 (ko) 2009-02-23 2009-06-02 주식회사 크로버 물분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058B1 (ko) 2005-02-18 2006-09-14 주식회사 지엠에스 정수기
KR200421168Y1 (ko) 2006-03-22 2006-07-13 임채경 보냉 겸용 휴대용 냉각용기
KR100900300B1 (ko) 2009-02-23 2009-06-02 주식회사 크로버 물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53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0B1 (ko) 물분배기
US4779426A (en) Water cooler with one-piece removable well
US6648180B2 (en) Duplex stopper-type water dispensing and water bottle supporting apparatus
TWI513946B (zh) 冷熱水飲水機
KR19990030252A (ko) 액체 특히 음료 분배용 장치
KR102111172B1 (ko) 알콜 음료 양조기
US3824801A (en) Water cooler
KR101210912B1 (ko) 물분배기
KR101006860B1 (ko) 냉온 정수기
JP2008056325A (ja) 飲料水供給機
CA2983105C (en) Portable water cooler
JP5745170B2 (ja) 冷温水器のウォーターガード
KR200491690Y1 (ko) 음료 냉각기
US868439A (en) Water-cooling apparatus.
KR101510701B1 (ko) 정수기
ES2864094T3 (es) Detector de espuma en la cerveza enfriado
US7299948B2 (en) Reservoirs for bottled liquid dispensers
KR20120082971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RU2555577C2 (ru) Бочонок с функцией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и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розлива жидкостей
KR101155660B1 (ko) 직수형 순간냉각식 급수장치
US655613A (en) Beer-cooler.
KR200275515Y1 (ko) 냉온 정수기 구조
KR101935833B1 (ko) 냉각 테이블
CA1289760C (en) Water cooler with one-piece removable well
US736221A (en) Liquid-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