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0722B1 -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722B1
KR101210722B1 KR1020100099193A KR20100099193A KR101210722B1 KR 101210722 B1 KR101210722 B1 KR 101210722B1 KR 1020100099193 A KR1020100099193 A KR 1020100099193A KR 20100099193 A KR20100099193 A KR 20100099193A KR 101210722 B1 KR101210722 B1 KR 10121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onnector
backpack
shoulder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624A (ko
Inventor
백지숙
Original Assignee
백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숙 filed Critical 백지숙
Priority to KR102010009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722B1/ko
Priority to US12/950,574 priority patent/US8544709B2/en
Priority to EP10191846A priority patent/EP2441345A2/en
Publication of KR2012003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7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00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 Y10T24/45079Belt, strap, harness, etc.
    • Y10T24/45084Belt, strap, harness, etc. for safety belt buckle, strap, harness, etc.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의 배면에 레일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레일프레임에 안내되어 어깨멜방이 상?하로 승강(乘降) 조절됨으로써 신체의 조건에 따라 어깨멜방을 조절하여 배낭을 짊어질 수 있도록 된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Backpackers's chest melbang elevators}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낭의 배면에 레일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레일프레임에 안내되어 어깨멜방이 상?하로 승강(乘降) 조절됨으로써 신체의 조건에 따라 어깨멜방을 조절하여 배낭을 짊어질 수 있도록 된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낭에는 일반적으로 배낭을 맬 때 사용되는 여러 형태의 멜방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낭(1)에는 어깨에 걸기 위한 기본적인 어깨멜방(2)과, 허리에 매기 위한 허리멜방(3) 및 가슴에 매도록 된 가슴멜방(4) 등이 설치되어 있다.
어깨멜방(2)은 기본적으로 배낭(1)을 짊어져서 지탱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허리멜방(3)과 가슴멜방(4)은 배낭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낭이 신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낭의 출렁거림을 없애고 안정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가슴멜방(4)은 그 양 단부가 어깨멜방(2)에 지지되면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낭의 착용자에 따른 체형에 맞도록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허리멜방(3)과 가슴멜방(4)의 중간은 분리되어 연결버클(6)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가슴멜방(4)의 양 단부에는 연결버클(6)이 설치되어 이 연결버클의 양 단으로 가슴멜방(4)의 단부가 어깨멜방(2)을 감싸면서 연결되어 있으며, 어깨멜방(2)의 외면에는 가슴멜방(4)의 승강을 안내하는 지지편(7)이 더 설치되어 상기 연결버클(6)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슴멜방(4)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부속물 외에도 배낭에는 스트랩들을 연결하거나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배낭(1)을 지탱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어깨멜방(2)은 자체적으로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었고, 단지 배낭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와 관계 없이 일률적인 형태로 되어 있었다.
즉, 어깨멜방(2)은 그 상단이 배낭(1)의 배면 상단에 봉제 처리되어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고, 어깨멜방(2)의 하단만이 스트랩(8)에 의해 조일 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배낭(1)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양이나 크기 또는 배낭(1) 자체의 크기에 관계 없이 사용자는 배낭(1)의 상단에 어깨멜방(2)의 상단부가 고정된 형태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어깨멜방(2)의 상단부가 단순하게 고정된 상태의 배낭을 착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배낭의 하단이 너무 처지거나 또는 반대로 너무 상측으로 올라간 형태가 되어 안정된 상태의 착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장시간의 사용이나 산행길에서는 이와 같은 불안정한 착용 상태가 사용자에게 상당한 피로와 불편을 주게 되는 것이다.
배낭의 착용시에는 배낭이 사용자의 등 부분에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도록 등에 밀착되는 형태로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키가 작은 사용자가 배낭을 착용하는 경우에 배낭은 허리의 아래쪽까지 처질 수도 있어서 보행시 배낭의 하단부에 의한 출렁임에 의한 신체와의 불쾌한 접촉감과 불편이 따르게 되고,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키가 큰 사용자가 배낭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배낭이 오히려 허리의 상측으로 올라가서 무게중심의 상향 이동에 의해 전체적인 불균형 상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역시 쉽게 피로감을 느끼거나 안정적인 보행을 방해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비록, 허리멜방(3)과 가슴멜방(4)이 배낭(1)을 신체와 밀착되도록 보조하고 있으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것은 아니므로 전체적인 불균형 상태를 해소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배낭에 있어서 어깨멜방의 위치는 전체적인 배낭과 신체의 접촉시 적절한 조절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배낭의 어깨멜방이 승강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낭의 어깨멜방이 승강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측과 하측으로의 이동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과 안정된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배낭의 배면에 설치되는 어깨멜방의 안정된 승강을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에 의해 배낭의 전체적인 틀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한편, 향상된 배낭의 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낭의 배면에 어깨멜방이 설치되어 짊어질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배면에서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어진 레일프레임과; 좌측멜방과 우측멜방의 각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승강부를 이루고, 이 승강부가 상기 레일프레임에 연결되어 레일프레임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어깨멜방과; 스트랩 연결용 바를 다수 갖는 스트랩 연결구와; 상기 어깨멜방의 승강부 일단과 상기 스트랩 연결구를 연결하는 제1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스트랩 연결구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배낭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2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배낭의 배면 하측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스트랩 연결구를 경유하여 상기 배낭의 하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3스트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깨멜방의 상단부는 레일프레임에 수직으로 안내되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스트랩과 제3스트랩을 상측과 하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레일프레임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깨멜방의 승강부 내측면 중간에는 승강고리가 형성되어 이 승강고리에 상기 레일프레임이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스트랩 연결구는, 상측에 입구를 형성하는 '凹'형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부터 양 측 내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연결 관통된 슬롯이 마주하는 슬롯프레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의 입구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단에는 상기 제1스트랩이 연결되는 제1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구와; 상측에는 상기 제2스트랩이 연결되는 제2스트랩 바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는 상기 제3스트랩이 연결되는 제3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구의 안내홈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된 제2연결구; 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구 몸체의 하단은 상기 안내판의 중간에서 단턱을 이루어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이 스토퍼가 상기 제1연결구의 슬롯을 형성하는 일측의 슬롯프레임의 상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 몸체의 하단은 상기 안내판의 중간에서 단턱을 이루어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이 스토퍼가 상기 제1연결구의 슬롯을 형성하는 일측의 슬롯프레임의 상단에 걸리도록 되고, 이 때, 다른 슬롯프레임의 상단은 상기 제3스트랩 바의 하단과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트랩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가 자유 상태로 놓이게 되면, 제1연결구 내에 제2연결구가 하측으로 밀려진 상태에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제3스트랩이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사이에 끼여진 상태로 되어 스트랩 연결구가 상측으로의 이동이 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어깨멜방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스트랩을 상측으로 당기거나, 어깨멜방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3스트랩을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제2연결구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사이에 끼여진 제3스트랩의 일단이 자유로워지게 되어 전체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동된 상태에서 그대로 제2스트랩 또는 제3스트랩을 놓으면 제2연결구는 자유낙하로 제1연결구와 원래의 상태로 결합되면서 제3스트랩을 고정시켜서 어깨멜방의 상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배낭의 배면에 어깨멜방이 설치되어 짊어질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배면에서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어진 레일프레임과; 좌측멜방과 우측멜방의 각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승강부를 이루고, 이 승강부가 상기 레일프레임에 연결되어 레일프레임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어깨멜방과; 상측에 입구를 형성하는 '凹'형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부터 양 측 내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연결 관통된 슬롯이 마주하는 슬롯프레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의 입구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단에는 상기 제1스트랩이 연결되는 제1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구와; 상측에는 상기 제2스트랩이 연결되는 제2스트랩 바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는 상기 제3스트랩이 연결되는 제3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구의 안내홈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된 제2연결구와; 상기 어깨멜방의 승강부 일단과 상기 제1스트랩 바를 연결하는 제1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제2스트랩 바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배낭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2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배낭의 배면 하측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제3스트랩 바를 경유하여 상기 배낭의 하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3스트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낭의 어깨멜방을 상?하 이동하여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어깨멜방을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임의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낭의 어깨멜방이 승강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측과 하측으로의 이동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과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낭의 배면에 설치되는 어깨멜방의 안정된 승강을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에 의해 배낭의 전체적인 틀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한편, 향상된 배낭의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배낭의 배면을 일례로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배낭의 배면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연결구의 일례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연결구의 스트랩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승강장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의 일부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의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의 일부측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배낭의 배면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낭(1)의 배면에 설치되는 어깨멜방(2)은 좌측어깨멜방(11)과 우측어깨멜방(12)의 각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승강부(13)를 이루고 있고, 또한 이 승강부(13)는 배낭(1)의 몸체와 분리되어 있으며, 승강부(13)의 내측면 중간에는 승강고리(14)가 형성되어 있다.
배낭(1)의 배면 중앙에는 상?하로 길게 레일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레일프레임(20)은 상기 어깨멜방(2)의 승강고리(14)를 통과하면서 상단과 하단이 배낭(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20)은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서 신체와의 접촉시 밀착을 유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멜방(2)을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스트랩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각 스트랩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스트랩 연결구(100)가 필요하게 되는데, 각 스트랩을 연결하는 스트랩 연결구(100)와 이 스트랩 연결구(100)에 각 스트랩이 연결되는 상태가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연결구(100)는 제1연결구(101)와 제2연결구(102)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연결구(101)는 제2연결구(102)를 수용하고 있으며, 제2연결구(102)는 제1연결구(101) 내에서 자유 이동을 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1연결구(101)는 상측에 입구를 형성하는 '凹'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측으로부터 양 측 내측면에는 안내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안내홈(111)으로부터 연결 관통되는 슬롯(112)이 마주하는 슬롯프레임(113,11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12)은 상기 안내홈(111)의 연속된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주하는 슬롯프레임(113,114) 중 어느 하나의 슬롯프레임(113)은 다른 하나의 슬롯프레임(114)보다 상단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구(101)의 상단에는 안내홈(111)의 입구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1스트랩 바(121)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스트랩 바(121)에는 제1스트랩(131)이 연결되어 상기 어깨멜방(2)의 승강부(13) 일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연결구(101)는 제1스트랩 바(121)에 의해 일측면에 관통된 스트랩 유입로(115)를 형성하는 사각 형태를 갖추게 된다.
제2연결구(102)는 상측에 제2스트랩 바(122)가 형성되어 제2스트랩(132)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중간에는 제3스트랩 바(123)가 가로질러 형성되어서 제3스트랩(133)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양 측으로부터 확장된 형태의 안내판(124)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어서 이 안내판(124)이 제1연결구(101)의 안내홈(111)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제2연결구(102)의 안내판(124)은 제1연결구(101)에서 완전히 하측으로 끼워지게 되면 슬롯(112)을 통과하여 그 하측으로 인출되는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연결구(102) 몸체의 하단은 상기 안내판(124)의 중간에서 단턱을 이루어 스토퍼(125)를 형성함으로써 이 스토퍼(125)가 상기 제1연결구(101)의 일측의 슬롯프레임(114)의 상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25)는 제3스트랩 바(123)의 양 외측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스토퍼(125)가 일측의 슬롯프레임(114)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슬롯프레임(113)은 그 상단이 상기 제3스트랩 바(123)의 하단과 접하는 위치에 있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125)에 접하는 슬롯프레임(114)은 높이가 낮은 슬롯프레임이고, 제3스트랩 바(123)에 접하는 위치의 슬롯프레임(113)은 높이가 높은 슬롯프레임으로 되어서 제1연결구(101)에 제2연결구(102)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스토퍼(125)가 위치하는 쪽의 낮은 슬롯프레임(114)의 상단과 제3스트랩 바(123)의 하단에는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게 되고, 다른 쪽 면의 높은 슬롯프레임(113)의 상단은 제3스트랩 바(123)의 하단과 접하는 상태로 된다.
제2연결구(102)는 제1연결구(101)의 내측에서 자유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헐겁게 결합되어 있어서, 결국 배낭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2연결구(102)가 항상 제1연결구(101)의 내측에서 하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제1스트랩(131)과 제2스트랩(132) 및 제3스트랩(133)이 스트랩 연결구(100)와의 연결 상태를 살펴보면, 제1스트랩(131)은 제1연결구(101)의 제1스트랩 바(121)에 연결되어 어깨멜방(2)의 승강부(13) 일단에 봉제되어 고정되어 있고, 제2스트랩(132)은 일단이 제2연결구(102)의 상측 제2스트랩 바(12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배낭(1)의 상측으로 인출되어 있으며, 제3스트랩(133)은 일단이 배낭(1)의 하측 일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연결구(102)의 제3스트랩 바(123)를 경유하고, 다른 쪽 단부는 자유 단으로 되어 배낭(1)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진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스트랩(131)은 결국, 어깨멜방(2)의 승강부(13)와 스트랩 연결구(10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제1연결구(101)를 어깨멜방(2)의 승강부(13)에 매달은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즉, 제2연결구(102)를 수납하는 제1연결구(101)를 승강부(13)에 현가하여 연결함으로써 승강부(1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스트랩 연결구(100)가 항상 매달린 형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스트랩(132)은 하측 단부가 제2연결구(102)의 상단 즉, 제2스트랩 바(122)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측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배낭(1)의 상측으로 인출되어 있어서, 이 제2스트랩(132)의 자유단을 상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어깨멜방(2)의 승강부(13)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낭(1)의 상측 일단에는 상기 제2스트랩(132)이 통과하는 고리(1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스트랩(132)의 단부에는 링(143)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링(143)이 상기 고리(142)의 내측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져서 제2스트랩(132)의 단부가 상기 고리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스트랩(132)의 자유단은 배낭(1)의 상측에서 머무는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스트랩(133)은 일단이 배낭(1)의 배면 하측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면서 자유단은 상측에 위치하는 스트랩 연결구(100)를 경유하여 다시 하측으로 늘어뜨려지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스트랩 연결구(100)를 경유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단으로부터 연결되는 제3스트랩(133)은 제1연결구(101)의 스트랩 유입로(115)를 통해 제2연결구(102)의 제3스트랩 바(123)를 상측으로부터 감아들어가서 하측으로 돌아나와 다시 스트랩 유입로(115)를 통해 인출되어 배낭(1)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3스트랩(133)은 스트랩 연결구(100)에 연결된 상태가 한번 뒤틀린 듯한 형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스트랩이 스트랩 연결구(100)에 연결된 상태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렇게 연결된 상태는 결국, 제1스트랩(131)에 의해 제1연결구(101)가 어깨멜방(2)의 승강부(13)에 매달린 형태가 되고, 제2연결구(102)는 자유낙하 상태가 되어 제1연결구(101)의 내부에서 하향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어깨멜방(2)이 이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인데, 즉, 제3스트랩(133)의 일단이 제3스트랩 바(123)에 연결된 부분은 제2연결구(102)의 하향 이동된 상태에 의해 슬롯프레임(113,114)과 제3스트랩 바(123)의 사이에 끼여진 상태가 되어 전체적인 이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어깨멜방(2)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로 되며, 비록, 어깨멜방(2)의 상단부의 무게로 인하여 어깨멜방(2)과 스트랩 연결구(100) 등이 하측으로 자유 이동된다 하여도 배낭의 사용시에는 어깨멜방(2)을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들어 올리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어깨멜방이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은 아무 지장이 없는 것이다.
즉, 배낭(1)의 사용시에는 어깨멜방(2)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이 어깨멜방(2)이 자유로 상측으로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만 방지하면 되며, 이렇게 어깨멜방이 상측으로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이 상기 스트랩 연결구(100)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3스트랩(133)이 제1연결구(101)와 제2연결구(102)에 끼여진 고정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제2스트랩(132)을 상측으로 당겨서 어깨멜방(2)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그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트랩(132)의 상단을 당기게 되면 제2스트랩(132)의 하단에 연결된 제2연결구(102)가 들어올려지면서 제1연결구(101)로부터 제2연결구(102)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슬롯프레임(113,114)과 제3스트랩 바(123)에 의해 끼여져 있던 제3스트랩(133)이 자유상태로 되면서 전체적인 스트랩 연결구(100)와 어깨멜방(2)의 승강부(13)가 레일프레임(20)에 안내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원하는 위치에서 제2스트랩(132)을 놓으면 제2연결구(102)는 다시 자유낙하하여 제1연결구(101)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제3스트랩(133)을 고정시키게 되고, 어깨멜방(2)은 이 지점까지의 상한선을 갖게 된다.
즉, 이 상태에서 어깨멜방(2)을 들어올리면 어깨멜방(2)에 현가된 제1연결구(101)가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제2연결구(102)와의 결속이 더욱 단속되어 정해진 지점의 상측으로는 더 이상 이동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도 12는 제3스트랩(133)을 하측으로 당겨서 어깨멜방(2)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스트랩(133)의 자유단을 당기게 되면, 제3스트랩(133)이 높은 높이를 갖는 슬롯프레임(113,114)을 지렛대 삼아 제3스트랩 바(123)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제2연결구(102)가 제1연결구(101)에 대해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상태는 제3스트랩(133)을 당기는 동안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며, 계속된 당김에 의해 어깨멜방(2)은 스트랩 연결구(10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3스트랩(133)을 놓게 되면, 제2연결구(102)는 제1연결구(101)와 원래의 상태대로 하향 결합되어 해당 지점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2스트랩(132) 및 제3스트랩(133)의 당김 조작에 의해 어깨멜방(2)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1연결구(101)와 제2연결구(102)의 상호 결합 작용에 의해 어깨멜방(2)의 상한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스트랩 연결구의 형태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설계적인 변경이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고, 각 스트랩의 연결 부위나 고정 위치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 배낭 2 : 어깨멜방
3 : 허리멜방 4 : 가슴멜방
11 : 좌측어깨멜방 12 : 우측어깨멜방
13 : 승강부 14 : 승강고리
20 : 레일프레임 100 : 스트랩 연결구
101 : 제1연결구 102 : 제2연결구
111 : 안내홈 112 : 슬롯
113, 114 : 슬롯프레임 115 : 스트랩 유입로
121 : 제1스트랩 바 122 : 제2스트랩 바
123 : 제3스트랩 바 124 : 안내판
125 : 스토퍼 131 : 제1스트랩
132 : 제2스트랩 133 : 제3스트랩
142 : 고리 143 : 링

Claims (12)

  1. 배낭의 배면에 어깨멜방이 설치되어 짊어질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배면에서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어진 레일프레임과;
    좌측멜방과 우측멜방의 각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승강부를 이루고, 이 승강부가 상기 레일프레임에 연결되어 레일프레임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어깨멜방과;
    스트랩 연결용 바를 다수 갖는 스트랩 연결구와;
    상기 어깨멜방의 승강부 일단과 상기 스트랩 연결구를 연결하는 제1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스트랩 연결구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배낭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2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배낭의 배면 하측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스트랩 연결구를 경유하여 상기 배낭의 하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3스트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멜방의 승강부 내측면 중간에는 승강고리가 형성되어 이 승강고리에 상기 레일프레임이 통과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상측 일단에는 상기 제2스트랩이 통과하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스트랩의 단부에는 링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링이 상기 고리의 내측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져서 제2스트랩의 단부가 상기 고리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구는,
    상측에 입구를 형성하는 '凹'형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부터 양 측 내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연결 관통된 슬롯이 마주하는 슬롯프레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의 입구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단에는 상기 제1스트랩이 연결되는 제1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구와;
    상측에는 상기 제2스트랩이 연결되는 제2스트랩 바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는 상기 제3스트랩이 연결되는 제3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구의 안내홈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된 제2연결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의 슬롯을 형성하도록 마주하는 슬롯프레임 중 하나의 슬롯프레임은 다른 하나의 슬롯프레임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 몸체의 하단은 상기 안내판의 중간에서 단턱을 이루어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이 스토퍼가 상기 제1연결구의 슬롯을 형성하는 일측의 슬롯프레임의 상단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제3스트랩 바의 양 외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 몸체의 하단은 상기 안내판의 중간에서 단턱을 이루어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이 스토퍼가 상기 제1연결구의 슬롯을 형성하는 일측의 슬롯프레임의 상단에 걸리도록 되고, 이 때, 다른 슬롯프레임의 상단은 상기 제3스트랩 바의 하단과 접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연결구의 안내홈에서 자유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헐겁게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11. 배낭의 배면에 어깨멜방이 설치되어 짊어질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배면에서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어진 레일프레임과;
    좌측멜방과 우측멜방의 각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승강부를 이루고, 이 승강부가 상기 레일프레임에 연결되어 레일프레임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어깨멜방과;
    상측에 입구를 형성하는 '凹'형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부터 양 측 내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연결 관통된 슬롯이 마주하는 슬롯프레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의 입구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단에는 제1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됨으로써 측면에 스트랩 유입로를 형성하고 있는 제1연결구와;
    상측에는 제2스트랩 바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는 제3스트랩 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구의 안내홈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된 제2연결구와;
    상기 어깨멜방의 승강부 일단과 상기 제1스트랩 바를 연결하는 제1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제2스트랩 바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배낭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2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배낭의 배면 하측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상기 제3스트랩 바를 경유하여 배낭의 하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제3스트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배낭의 하측 일단에 고정된 고정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제3스트랩은 제1연결구의 스트랩 유입로를 통해 제2연결구의 제3스트랩 바를 상측으로부터 감아들어가서 하측으로 돌아나와 다시 스트랩 유입로를 통해 인출되어 배낭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KR1020100099193A 2010-10-12 2010-10-12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Active KR10121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193A KR101210722B1 (ko) 2010-10-12 2010-10-12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US12/950,574 US8544709B2 (en) 2010-10-12 2010-11-19 Backpack with shoulder strap height adjustment unit
EP10191846A EP2441345A2 (en) 2010-10-12 2010-11-19 Backpack with shoulder strap height adjustmen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193A KR101210722B1 (ko) 2010-10-12 2010-10-12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624A KR20120037624A (ko) 2012-04-20
KR101210722B1 true KR101210722B1 (ko) 2012-12-10

Family

ID=4550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193A Active KR101210722B1 (ko) 2010-10-12 2010-10-12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44709B2 (ko)
EP (1) EP2441345A2 (ko)
KR (1) KR101210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2318B2 (en) * 2015-06-25 2019-07-09 Starry Limited Backpack with adjustable shoulder straps
US9848687B2 (en) * 2015-12-31 2017-12-26 Joseph Ethan Valesko Adjustable strap height mechanism
DE202017101329U1 (de) * 2017-03-08 2018-06-13 Deuter Sport Gmbh Rucksack mit stufenloser Rückenlängenv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3201A (en) * 1976-01-26 1977-03-22 Glenn James Potter Fatigue reducing backpack harness
FR2507877A1 (fr) * 1981-06-22 1982-12-24 Millet Sacs Sac a dos
US4860936A (en) * 1984-01-13 1989-08-29 Lowe Greg E Method and structure for attaching adjustable backpack straps
CH667195A5 (en) * 1985-09-13 1988-09-30 Fuerst Ag Waedenswil Rucksack with stepless positional adjustment - incorporates straps with hooked pile fastening system
JPH0540734Y2 (ko) * 1987-10-06 1993-10-15
JPH0626168Y2 (ja) * 1988-06-28 1994-07-20 吉田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
FR2633812B1 (fr) * 1988-07-11 1991-05-24 Millet Armature de sac a dos
FR2677235B1 (fr) * 1991-06-06 1993-09-03 Decathlon Production Dispositif pour le reglage du positionnement de sacs a dos.
US5284279A (en) * 1992-02-13 1994-02-08 Modan Industries (1983) Ltd. Backpack
US5361955A (en) * 1992-12-21 1994-11-08 Bianchi International Modular backpack
IL105983A (en) * 1993-06-10 1997-04-15 Modan Ind 1983 Ltd Backpack
FR2723522B3 (fr) * 1994-08-09 1996-09-27 Millet Soc Nouv Dispositif d'ancrage pour bretelles de sac a dos
FR2733129B1 (fr) * 1995-04-20 1997-05-30 Decathlon Sa Dispositif de reglage et de blocage des bretelles de portage d'un sac a dos
FR2744891B1 (fr) * 1996-02-20 1998-03-13 Lafuma Sa Sac a dos
EP0821895B1 (de) * 1996-07-30 2001-10-31 Big Pack GmbH Rucksack
WO2000074517A1 (en) * 1999-06-07 2000-12-14 Gleason Dana W Backpack having a modular frame
FR2837078B1 (fr) * 2002-03-15 2005-12-02 Lafuma Sa Dispositf de reglage en position de portage d'un sac a dos
FR2852210B1 (fr) * 2003-03-12 2005-04-15 Lafuma Sa Dispositif de portage a dos d'une charge et de reglage de sa position
KR101162591B1 (ko) * 2003-03-14 2012-07-04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배낭 서스펜션 시스템 및 배낭
GB2413947A (en) * 2004-05-11 2005-11-16 Lowe Alpine Holdings Ltd adjustable rucksack harness
FR2919987B1 (fr) * 2007-08-13 2009-12-18 Promiles Sac a dos a suspension
DE202008017464U1 (de) * 2008-05-29 2009-12-24 Vaude Sport Gmbh & Co. Kg Rucks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1345A2 (en) 2012-04-18
KR20120037624A (ko) 2012-04-20
US20120085803A1 (en) 2012-04-12
US8544709B2 (en)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722B1 (ko)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US5950897A (en) Storage box
KR20090008143U (ko) 택배용 지게
KR101824384B1 (ko) 탈부착 가능한 사다리형 안전로프가 구비된 추락방지용 안전대
ES2977192T3 (es) Sistema de correas autoajustables de una mochila, maleta o maletín
KR100547406B1 (ko)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US20140263498A1 (en) Backpack carrier strap system
JP6426049B2 (ja) 背負バッグ
CN214509991U (zh) 一种背包
KR20120004449U (ko) 벨트 연결구
CN208875516U (zh) 一种抽拉式办公午休桌
KR200462740Y1 (ko) 어린이 의류에서부터 성인 의류까지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상하의 옷걸이
KR101307517B1 (ko) 등산용 배낭을 위한 스틱 고정 장치
CN211407957U (zh) 一种高度调节背包
CN215382071U (zh) 一种背包
CN217139023U (zh) 一种新型缓冲式双大钩安全带
JP2009011625A (ja) 背負い具用ひも及び背負い具
JP6997487B1 (ja) スキー板担持具及びスキー板担持方法
CN211535837U (zh) 引流袋悬挂带
CN219182883U (zh) 一种口罩辅助佩戴装置
KR101138435B1 (ko)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CN222091202U (zh) 一种可调试座椅
CN207591219U (zh) 下肢力量锻炼架
JP4394731B1 (ja) 携帯品の携行具
KR20190099368A (ko) 등산용 허리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