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0378B1 - 고강도 경량 블럭 - Google Patents

고강도 경량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378B1
KR101210378B1 KR1020120004924A KR20120004924A KR101210378B1 KR 101210378 B1 KR101210378 B1 KR 101210378B1 KR 1020120004924 A KR1020120004924 A KR 1020120004924A KR 20120004924 A KR20120004924 A KR 20120004924A KR 101210378 B1 KR101210378 B1 KR 10121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lock
present
c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이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영 filed Critical 이대영
Priority to KR102012000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7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를 줄이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며, 방수가 가능함과 동시에 이웃하는 블럭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고강도 경량 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은, 시멘트; 모래 및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골재; 플라스틱; 왕겨; 및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강도 경량 블럭{HIGH STRENGTH BLOCK WITH LIGHT WEIGHT}
본 발명은 고강도 경량 블럭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의 마감재 등으로 사용되는 고강도 경량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블록은 시멘트와 골재를 적정 비로 혼합하여 형틀에 채워 넣은 다음, 진동 가압하여 블록으로 성형하고 증기 보양 후 자연 건조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시멘트 블록은 지진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시멘트 블럭 및 시멘트 블럭 결합의 균열 및 파손이 발생하기 쉽고,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지 못하며, 방수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시멘트 블록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할 때, 블록을 절단하여 끼워 넣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파손된 절단면을 위한 보강공사가 필요하다.
또한, 건축물의 단열 및 방수를 위하여 단열재나 미장 부재 및 방수 부재 등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건축비 및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블록의 내측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단열재의 타 측면에 또 다른 벽돌이나 미장 부재 등을 설치해야 하며, 방수 처리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종래의 시멘트 블록은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고, 운반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건설한 건축물의 하중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건축물의 무거운 하중을 고려한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 완성 후에도 건축물의 피로가 심하여 피로 파괴 등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791960호(2007.12.28) : 적층형 블록과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무게를 줄이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고강도 경량 블럭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하는 블럭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고강도 경량 블럭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고, 방수가 가능한 고강도 경량 블럭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은, 시멘트; 모래 및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골재; 플라스틱; 왕겨; 및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멘트는 25 내지 35 중량부, 상기 골재는 40 내지 50 중량부, 상기 플라스틱은 15 내지 25 중량부, 상기 왕겨는 2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메틸셀룰로오스는 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나무 외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나무 외피는 0.5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나무 외피는 분쇄된 분말이고, 상기 플라스틱은 폐 플라스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멘트는 30 내지 32 중량부, 상기 골재는 44 내지 46 중량부, 상기 플라스틱은 19 내지 21 중량부, 상기 왕겨는 3 내지 3.5 중량부, 상기 소나무 외피는 1.5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메틸셀룰로오스는 0.35 내지 4 중량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면 이상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은, 무게를 줄이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웃하는 블럭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물이 가능하며,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고, 방수가 가능하므로, 시공 비용 절감 및 우수한 건축물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결합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기초 블럭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결합 블럭 및 기초 블럭의 시공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결합 블럭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결합 블럭의 사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기초 블럭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결합 블럭은, 상하면, 전후면, 및 좌우면을 가지고, 상부에 메인 결합부(10)가 단턱지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하부에 서브 결합부(11)가 단턱지도록 함몰 형성된다. 이때, 서브 결합부(11)는 메인 결합부(10)의 위치로부터 결합 블럭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위치에 형성되고, 서브 결합부(11)의 함몰 깊이는 메인 결합부(10)의 함몰 깊이보다 얕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결합부(10)와 서브 결합부(11)의 함몰 깊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기초 블럭은, 상하면, 전후면, 및 좌우면을 가지고, 상부에 기초 메인 결합부(20)가 단턱지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결합 블럭 및 기초 블럭의 시공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초 블럭이, 예컨대 지면에 위치하고, 결합 블럭이 기초 블럭에 결합되는데, 결합 블럭의 메인 결합부(10)가 형성되는 상부 측과, 기초 블럭의 기초 메인 결합부(20)가 형성되는 상부 측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또한, 결합 블럭은 적층되어 서로 결합되는데, 메인 결합부(10)가 형성되는 상부 측은 상부 측끼리 결합되고, 서브 결합부(11)가 형성되는 하부 측은 하부 측끼리 결합된다. 결합 블럭들의 사이 및 결합블럭과 기초 블럭의 사이에는 충진재에 의해 접착 고정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진재는 모르타르, 타일본드, 및 케미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럭의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즉, 단턱에 의해 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평면끼리 맞대어 결합되는 일반 블럭에 비하여 결합력이 우수하고 더욱 견고한 건축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은 조성물로서 시멘트, 골재, 폐플라스틱, 왕겨, 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나무 외피를 포함한다.
시멘트는 25 내지 3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고, 골재는 40 내지 50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골재는 모래, 자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30 중량부, 및 골재 4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폐플라스틱(폐합성수지)은 15 내지 25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폐플라스틱으로 인하여 블럭의 강도 향상과, 무게 감소가 가능하고, 폐기물인 폐플라스틱을 이용함으로써 블럭 제조 비용 감소, 및 자원 재활용에 의한 친환경 블럭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폐플라스틱은 분쇄되어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왕겨는 분리방지 안정제로서 2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3.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왕겨를 이용함으로써 블럭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우수한 단열성, 및 보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블럭을 통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음성을 가질 수 있으며, 농업 폐기물인 왕겨를 이용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블럭의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왕겨는 분쇄되어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나무 외피는, 소나무의 껍질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서, 0.5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7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블럭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소나무 외피에 함유되어 있는 송진(pine resin)은 천연수지로서 수지분(로진), 테레빈유, 레보피미르산, 네오아비에틴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천연 성분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단단하게 굳는 특성으로 인하여 블럭의 강도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메틸셀룰로오스는 접착제로서 0.1 내지 0.5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37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메틸셀룰로오스는 시멘트 등의 조성물 간의 공극을 조밀하게 하여 점착력을 증대시키고 수밀성을 향상시켜 블럭의 강도를 높이며 방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왕겨, 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나무 외피는 천연 소재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은, 화학 성분들이 포함되는 일반 블럭에 비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보다 무해한 웰빙 건축 자재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의 결합 블럭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은 다음의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시멘트 31 중량부, 모래 44 중량부, 폐플라스틱 19 중량부, 왕겨 3.3 중량부, 소나무 외피 1.7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37 중량부, 및 물을 믹서에 투입하고(S1), 상기 혼합된 콘크리트 조성물이 잘 섞일 수 있도록 혼합하며(S2), 상기 믹싱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형틀에 성형하여 가압 진동시키고(S3), 이를 10 시간 이상 양생하며(S4), 마지막으로 탈형(S5)하여 블럭을 완성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함량의 단위로 사용된 함량단위인 '중량부'는 상대적인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대적 중량부에 대한 별도의 기준 함량이 비록 명시적으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각 구성성분의 상대적인 함량을 결정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실시예1
시멘트 31 중량부, 모래 44 중량부, 폐플라스틱 19 중량부, 소나무 외피 1.7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37 중량부, 및 왕겨 1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된다.
상기 조성물을 믹서에서 10분간 혼합하고, 형틀에서 15시간 양생하여 탈형함으로써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시험체의 휨강도와 압축강도를 KS F 4004:2011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멘트
(중량부)
모래
(중량부)
폐플라스틱
(중량부)
왕겨
(중량부)
소나무외피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중량부)
압축강도
(N/㎟)
열전도율
(W/mK)
31





44





19





1 1.7





0.37





4.6 0.4
1.5 4.5 0.37
2 4.5 0.35
2.5 4.4 0.32
3 4.3 0.3
3.5 4.2 0.27
4 4.1 0.24
4.5 3.5 0.22
5 2.9 0.2
왕겨의 포함량이 많을수록 강도는 저하되나, 열전도율 또한 저하되어 단열성이 우수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강도, 및 단열성을 모두 만족하는 왕겨 3 내지 4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열전도율은 왕겨 3 중량부 내지 4 중량부에서 0.24W/mk 내지 0.3W/mk 로서,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럭(중량)의 열전도율이 1.0W/mk이고, 콘크리트 블럭(경량)의 열전도율이 0.7W/mk(에너지절약설계기준 해설서 2010년. 에너지관리공단. 참조) 인 것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단열성을 가진다.
실시예 2
시멘트 31 중량부, 모래 44 중량부, 폐플라스틱 19 중량부, 왕겨 3.5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0.37 중량부, 및 소나무 외피 0.5 내지 4 중량부가 첨가된다.
상기 조성물을 믹서에서 10분간 혼합하고, 형틀에서 15시간 양생하여 탈형함으로써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시험체의 휨강도와 압축강도를 KS F 4004:2011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멘트
(중량부)
모래
(중량부)
폐플라스틱
(중량부)
왕겨
(중량부)
소나무외피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중량부)
압축강도
(N/㎟)
31





44





19





3.3





0.5 0.37





3.8
1 4
1.5 4.3
2 4.3
2.5 4
3 3.6
3.5 3.2
4 3
소나무 외피는 1 내지 2.5 중량부에서 강도가 우수하였으나, 1.5 내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에 따르면, 무게를 줄이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며, 방수가 가능하여 시공 비용 절감 및 우수한 건축물의 시공이 가능하다.
즉, 분리방지 안정제로서 왕겨를 이용하고, 소나무 외피를 첨가함으로써 블럭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단열성, 보온성, 방음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블럭의 강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경량 블럭은, 천연 소재인 왕겨, 및 소나무 외피를 이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보다 무해한 웰빙 건축 자재이다.
또한, 농업 폐기물인 왕겨, 및 폐기물인 폐플라스틱을 이용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블럭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원 재활용에 의한 친환경 블럭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시멘트 및 골재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블럭 제조가 가능하다.
더하여, 이웃하는 블럭이, 단턱지는 메인 결합부(10), 및 서브 결합부(11)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물의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감소된 블럭의 중량으로 인하여 시공된 건축물 등에 가해지는 자중에 의해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자체 단열성 및 방음성이 있으므로 별도의 단열 수단 및 스티로폼 등이 불필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연료비, 및 시공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메인 결합부 11: 서브 결합부
20: 기초 메인 결합부

Claims (7)

  1. 시멘트;
    모래 및 자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골재;
    플라스틱;
    왕겨;
    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나무 외피
    를 포함하고,
    상기 소나무 외피는 0.5 내지 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경량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25 내지 35 중량부, 상기 골재는 40 내지 50 중량부, 상기 플라스틱은 15 내지 25 중량부, 상기 왕겨는 2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메틸셀룰로오스는 0.1 내지 0.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경량 블럭.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외피는 분쇄된 분말이고, 상기 플라스틱은 폐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경량 블럭.
  6. 삭제
  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면 이상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경량 블럭.
KR1020120004924A 2012-01-16 2012-01-16 고강도 경량 블럭 Expired - Fee Related KR10121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24A KR101210378B1 (ko) 2012-01-16 2012-01-16 고강도 경량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24A KR101210378B1 (ko) 2012-01-16 2012-01-16 고강도 경량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378B1 true KR101210378B1 (ko) 2012-12-11

Family

ID=4790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9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0378B1 (ko) 2012-01-16 2012-01-16 고강도 경량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3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664A (ja) * 2000-10-04 2004-09-09 ジェイムズ ハーディー リサーチ 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サイジング済みセルロース繊維を使用する繊維セメント複合材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664A (ja) * 2000-10-04 2004-09-09 ジェイムズ ハーディー リサーチ 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サイジング済みセルロース繊維を使用する繊維セメント複合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7472A1 (en) Building block and system for manufacture
CN105669101A (zh) 气凝胶复合材料及其制造和使用方法
KR100991196B1 (ko)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US20210252832A1 (en)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building material
KR101814653B1 (ko) 단열 방음용 초경량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EP3568273B1 (en) Plant and method for producing pumice blocks having cavities filled with insulation material
KR102229817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토목 및 건축 벽체 건설용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KR20110065829A (ko) 마이크로 섬유와 매크로 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체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체 및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WO2015170960A1 (en) Lightweight concrete composite from renewable resources
KR20220091026A (ko) 하드필 재료에 시멘트 그라우트액을 혼합하여 보호·차수 콘크리트, 보호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댐
CN1429698A (zh) 一种发泡水泥复合板及其生产制造方法
KR101365606B1 (ko) 방수 및 방청성능이 향상된 친환경 폴리머 모르타르
KR102123226B1 (ko) 무기질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0378B1 (ko) 고강도 경량 블럭
CN109372252B (zh) 一种建筑模板
CN102433957A (zh) 一种新型复合隔墙板及其生产工艺
KR20110095999A (ko)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EP3568275A2 (en) Building bri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710662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고강도 모르타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6709A (ko) 흙다짐 시공용 흙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흙다짐 성형체
KR20110052305A (ko) 재활용자원을 활용한 인터로킹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223928B1 (ko) 압출심재를 이용한 고강도 흙패널의 제조방법
CN112659354A (zh) 一种结构机电保温一体化墙体的加工方法
KR20220059044A (ko) 경석 골재와 3d프린터를 활용한 블록식 옹벽 제작 방법
KR102343104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고강도 모르타르 패널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