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9969B1 -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969B1
KR101209969B1 KR1020060041452A KR20060041452A KR101209969B1 KR 101209969 B1 KR101209969 B1 KR 101209969B1 KR 1020060041452 A KR1020060041452 A KR 1020060041452A KR 20060041452 A KR20060041452 A KR 20060041452A KR 101209969 B1 KR101209969 B1 KR 10120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ide wall
curved
wall portion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021A (ko
Inventor
토시오 우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텍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텍
Priority to KR102006004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96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9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압실의 실내압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기술에서 필요한 씰부재를 생략한다. 이 배압실 의 실내압의 유지구조로, 암컷형 돌조의 빠져나감 방지를 겸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서는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는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에 각각 밀착 접촉시켜서 끼워 맞추게 한다. 외측곡면오목부(29)와 내측곡면오목부(9)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11)을 형성한다. 배압실(11)의 실 하단부(11a)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배압실(11)의 실 상단부(11b)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주택, 건물, 지붕판, 지붕, 방수, 씰부재, 배압실, 끼움결합, 끼워 맞춤

Description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WATER-PROOF CONNECTION STRUCTURE FOR METAL SHINGLE}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주요부 취출 종단 사시도이고, 도 2의 A-A선 단면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B부의 확대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2는 금속제 지붕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건물 지붕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2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1(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1(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1(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속제 지붕판, 2… 지붕판 본체,
3… 수컷형 돌조(凸條), 4… 상승측벽부,
5… 상벽부(上壁部), 6… 하강측벽부,
7… 부착부, 8… 하위(下位)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
9… 내측곡면오목부, 10… 상위(上位)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
11… 배압실(背壓室), 11a… 실(室) 하단부,
11b… 실 상단부, 13…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
14… 내측곡면오목부, 15…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
19… 물차단 홈통, 21… 금속제 지붕판,
22… 지붕판 본체, 23… 암컷형 돌조,
24… 하강측벽부, 25… 상벽부,
26… 상승측벽부, 27… 물받이 홈통,
28…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
29… 외측곡면오목부, 30…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
33…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
34… 외측곡면오목부, 35…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
36… 배압실, 36a… 실 하단부,
36b… 실 상단부
L1… 상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
L2… 하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
H1… 상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
H2…하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
본 발명은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는 예컨대, 도 1(본 발명) 또는 도 5(종래기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전제(前提) 구성을 갖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낸다, 도 1(a)은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주요부 취출(取出) 종단 사시도이며, 도 2의 A-A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며, 도 1(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좌우로 병렬시킨 두 개의 금속제 지붕판(1)(21) 중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1)에는, 이것의 지붕판 본체(2)의 가로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에 방수겸 끼워 맞춤 연결용의 수컷형(雄形) 돌조(凸條, 3)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이에 대하여,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에는, 이것의 지붕판 본체(22)의 가로방향 안쪽 가장자리부분에 방수겸 끼워 맞춤 연결용의 암컷형(雌形) 돌조(23)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3)에 상기 암컷형 돌조(23)를 위로부터 씌워 붙여서 외부 에서 끼우게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금속제 지붕판(1)(21)끼리를 방수형상으로 끼워 맞춤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3)는 상기 지붕판 본체(2)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시켜, 상향(上向)으로 뻗는 상승측벽부(4),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상벽부(上壁部, 5) 및 하향으로 뻗는 하강측벽부(6)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 하강측벽부(6)로부터 가로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건물 지붕에 대한 부착부(7)를 연출(連出)시킨다.
상기 암컷형 돌조(23)는 상기 지붕판 본체(22)의 안쪽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시켜, 상향으로 뻗는 상승측벽부(26), 가로방향 안쪽으로 뻗는 상벽부(25) 및 하향으로 뻗는 하강측벽부(24)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제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구체적인 방수연결구조로서, 종래기술에서는 도 5에 나타낸 것이 있다(일본 특개평11-210177호 공보)
도 5는 종래기술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며, 도 1(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 및 하강측벽부(6)의 각 중간높이부에는 경사진 횡하향(橫下向)의 단차부(81)(82)가 형성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 및 하강측벽부(24)의 각 중간높이부에는 경사진 횡하향의 턱부(83)(84)가 형성된다.
이 암컷형 돌조(23)를 수컷형 돌조(3)에 위로부터 외부에서 끼운 상태에서 는, 암컷형 돌조(23)의 상벽부(25)와 수컷형 돌조(3)의 상벽부(5)와의 사이에 씰(Seal)재료(85)를 협지(挾持) 고정한다. 암컷형 돌조(23)의 각 턱부(83)(84)를 수컷형 돌조(3)의 각 단차부(81)(82)에 결합시킨다. 이 턱부(83)(84)와 단차부(81)(82)와의 결합부보다 위쪽에서,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사이에, 모세관 현상에 의한 빗물의 침입을 생기게 하지 않는 틈(86)(87)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1. 강풍우(强風雨)시나 폭풍우시에는, 빗물은 강풍으로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1)의 지붕판 본체(2) 위로 흩날려,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와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의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와의 사이를 상향으로 흘러가게 한다.
따라서, 이 빗물이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끼워 맞춤면 사이를 통과하여 건물(41)의 지붕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씰부재(85)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씰부재(85)의 부품비용과 조립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씰부재(85)의 재질면에서의 경년(經年) 열화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해소할 수 없다.
2. 일반적으로, 강풍?폭풍하에서의 바람 통과시에 발생하는 부압(負壓)에 의해,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끌어 올려지려고 하였을 때에, 이 끌어 올리는 힘으로 암컷형 돌조(23)가 수컷형 돌조(3)로부터 빠져나가, 그 금속제 지붕판(21)이 지붕(42)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일이 있다.
암컷형 돌조(23)가 수컷형 돌조(3)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은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턱부(83)(84)가 단차부(81)(82)에 결합하는 힘에 따른다.
이에 대하여, 씰부재(85)는 수컷형 돌조(3)에 대하여 암컷형 돌조(23)를 밀어 올려서 빠져나가게 하는 힘으로서 마이너스(-)로 작용하는 만큼, 암컷형 돌조(23)가 빠져나가기 쉬워져, 강풍?폭풍하에서의 강풍 통과시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끌어 올려지고 하였을 때에, 암컷형 돌조(23)가 수컷형 돌조(3)로부터 빠져나가, 이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지붕(42)으로부터 벗겨져 버리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주로서 다음과 같이 하는데에 있다.
(1) 강하고 오래 계속되는 강풍우가 충격적으로 반복하여 세차게 불어 오는 악조건하에 있어도, 그 빗물이 수컷형 돌기와 암컷형 돌기와의 끼워 맞춤면을 통하여 건물의 지붕 내에 침입하는 것을 강력하게 방지한다.
(2) 종래기술에서의 씰부재를 생략하여, 이 씰부재 부품비용과 조립비용을 인하함과 아울러, 씰부재의 재질면에서의 경년 열화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해소한다.
(3) 강풍?폭풍하에서의 강풍 통과시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이 끌어 올려지려고 하였을 때에, 암컷형 돌기가 수컷형 돌기로부터 빠져나가, 이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이 지붕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강력하게 방지한다.
(4) 암컷형 돌기를 수컷형 돌기에 대하여, 위로부터 끼워 맞추는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5) 암컷형 돌기가 수컷형 돌기로부터의 빠져나가는 방지력을 더욱 강화한다.
(6) 수컷형 돌기와 암컷형 돌기와의 끼워 맞춤면 사이의 돌기끼리 틈 사이의 가장 안쪽부에 극히 소량의 빗물이 침입하는 것이 일어났다고 하더라도, 여기에서 효과적으로 밀봉함으로써, 이 빗물이 건물 지붕 내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는 상기 전제구성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구체적인 방수연결구조로서, 예컨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낸다, 도 1(a)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주요부 취출 종단 사시도이며, 도 2의 A-A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B부의 확대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C부의 확대도이다.
청구항1의 발명, 도 1 참조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는 적어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 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기(凸)형상으로 되는 하위(下位)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 오목(凹)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上位)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에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2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에 대하여, 각각 밀착 접촉시켜 끼워 맞추게 한다.
상기 외측곡면오목부(29)과 내측곡면오목부(9)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背壓室, 11)을 형성한다.
이 배압실(11)의 실(室) 하단부(11a)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배압실(11)의 실 상단부(11b)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청구항 2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에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오목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1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에는 적어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3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에 각각 밀착 접촉시킨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외측곡면오목부(34)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내측곡면오목부(14)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36)를 형성한다. 이 배압실(36)의 실 하단부(36a)는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배압실(36)의 실 상단부(36b)는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 측끼움결합부(33)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그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2)는 그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 그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와의 사이의 상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1)보다 넓어지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청구항 4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 또는 3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3) 및 암컷형 돌조(23)의 각 상승측벽부(4)(26) 및 각 하강 하강측벽부(6)(24)의 각각에 형성한, 각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13) 및 각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0)(33)로부터, 이것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까지의 사이의 상위결합부 -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1)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로부터, 상기 각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15) 및 각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35)까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 (H2)보다 낮아지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청구항 5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2, 3 또는 4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단부(27)은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보다 하측으로 연출시키고 나서 내측 방향으로 U턴시킴으로써 물받이 홈통(27)으로서 형성한다.
이 물받이 홈통(27)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 대하여 접근 또는 접촉시킨다.
청구항 6의 발명, 도 1?도 4 참조
이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2, 3, 4 또는 5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 특징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 하강측벽부(6)의 하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출하고 있는 부착부(7)의 유단부(遊端部, 19)는 위쪽 주위로 U턴시킴으로써 가로방향 안쪽을 향하여 개구하는 물차단 홈통(19)으로서 형성한다. 이 물차단 홈통(19)은 상기 암컷형 돌조(23)를 연속 형성한 상기 지붕판 본체(22)에 밀착 접촉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청구항 1?2?3?4?5?6 , 도 1 ?도 2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낸다, 도 1(a)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주요부 취출 종단 사시도이고, 도 2의 A-A선 단면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B부의 확대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2은 금속제 지붕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건물 지붕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41은 체육관, 공장, 또는 가옥 등의 건물, 42는 이 건물 지붕이다. 1, 21은 금속제 지붕판, 2, 22는 지붕판 본체, 3은 수컷형 돌기, 23은 암컷형 돌조이다.
이 금속제 지붕판(1)(21)끼리간의 방수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금속성지붕판(1)(21)에는 각각, 그 지붕판 본체(2)(22)의 가로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우측 가장자리부분)에 수컷형 돌조(3)(3)가 형성되고, 그 가로방향 안쪽 가장자리부분(좌측 가장자리부분)에 암컷형 돌조(23)(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로 병렬시킨 두 개의 금속제 지붕판(1)(21) 중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1)에는, 이것의 지붕판 본체(2)의 가로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에 방수겸 끼워 맞춤 연결용의 수컷형 돌조(3)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이에 대하여,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에는 이것의 지붕판 본체(22)의 가로방향 안쪽 가장자리부분에 방수겸 끼워 맞춤 연결용의 암컷형 돌조(23)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3)에 상기 암컷형 돌조(23)를 위에서 덮어 씌워서 바깥쪽 에서 끼우게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금속제 지붕판(1)(21)끼리를 방수형상으로 끼워 맞춤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컷형 돌조(3)는 상기 지붕판 본체(2)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상향으로 뻗는 상승측벽부(4),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상벽부(5) 및 하향으로 뻗는 하강측벽부(6)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 하강측벽부(6)로부터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건물(41)의 지붕(44)으로의 부착부(7)를 연출시킨다. 이 부착부(7)는 건물(41)의 지붕(42)에 나사 못(3)으로 부착 고정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는 상기 지붕판 본체(22)의 안쪽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상향으로 뻗는 상승측벽부(26), 가로방향 안쪽으로 뻗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상벽부(25) 및 하향으로 뻗는 하강측벽부(24)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 오목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에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2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에 대하여, 각각 밀착 접촉시켜서 끼워 맞추게 한다.
상기 외측곡면오목부(29)과 내측곡면오목부(9)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11)을 형성한다.
이 배압실(11)의 실 하단부(11a)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배압실(11)의 실 상단부(11b)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에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오목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1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에는 적어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3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에 각각 밀착 접촉시킨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외측곡면오목부(34)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내측곡면오목부(14)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36)를 형성한다. 이 배압실(36)의 실 하단부(36a)은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배압실(36)의 실 상단부(36b)는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그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2)는 그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 그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와의 사이의 상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1)보다 넓어지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수컷형 돌조(3) 및 암컷형 돌조(23)의 각 상승측벽부(4)(26) 및 각 하강측벽부(6)(24)의 각각에 형성하였다, 각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13) 및 각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0)(33)로부터, 이것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까지의 사이의 상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1)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로부터, 상기 각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15) 및 각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35)까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2)보다 낮아지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단부(27)은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보다 하측으로 연출시키고 나서 안쪽 방향으로 U턴시킴으로써 물받이 홈통(27)으로서 형성한다. 이 물받이 홈통(27)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 대하여 접근 또는 접촉시킨다.
상기 수컷형 돌조 하강측벽부(6)의 하단부에서 다른 쪽을 향하여 연출하여 있는 부착부(7)의 유단부(19)는 위쪽 주위로 U턴시킴으로써 가로방향 안쪽을 향하여 개구하는 물차단 홈통(19)로서 형성한다. 이 물차단 홈통(19)은 상기 암컷형 돌조(23)를 연속 형성한 상기 지붕판 본체(22)에 밀착 접촉시킨다.
실시형태 2, 청구항 1?2?3?4?5?6, 도 3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2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며, 도 1(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2는 상기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그 구성의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벽부(5) 및 암컷형 돌조(23)의 상벽부(25)의 각각 절곡 단면형상은 도 1(b)에 나타내는 단면 상향 돌출 원호형상으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단면 문형(門形) 형상으로 변경한 것이다.
실시형태 3, 청구항 1?2?3?4?5?6, 도 4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며, 도 1(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3은 상기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그 구성의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벽부(5) 및 암컷형 돌조(23)의 상벽부(25)의 각 절곡 단면형상은 도 1(b)에 나타내는 단면 상향 돌출 원호형상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단면 산형(山形) 형상으로 변경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는 예컨대, 체육관, 공장, 또는 주택 등의 건물에 사용되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의 발명, 도 1 참조
(효과 1) 강하고 오래 계속되는 강풍우가 충격적으로 반복하여 세차게 불어 오는 악조건하에 있어서도, 배압실(11) 안의 실내압(P1)은 극히 소량의 빗물의 침입에 의해 급속히 압력 상승하여, 하위 밀착접촉부위(37)로부터 배압실(11)로의 그 이상의 빗물의 침입을 강력하게 방지하므로, 그 빗물이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끼워 맞춤면 사이를 통과하여 건물(41)의 지붕(42) 안에 침입하는 것 을 강력하게 방지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는, 적어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 오목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에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2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lO)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에 대하여, 각각 밀착 접촉시켜서 끼워 맞추게 한다.
상기 외측곡면오목부(29)과 내측곡면오목부(9)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11)을 형성한다.
이 배압실(11)의 실 하단부(11a)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배압실(11)의 실 상단부(11b)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강풍우시나 폭풍우시는 빗물은 강풍으로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1)의 지붕판 본체(2) 위로 흩날려,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와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의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와의 사이를 상향으로 흘러가게 되려고 한다.
이 상향으로 흘러가게 되려고 하는 빗물은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이 하위 밀착접촉부위(37)로 거의 차단된다.
강풍우가 강하고 오래 계속될 경우에는, 그 비바람의 강한 충격적인 휘몰아침이 반복됨으로써, 이 빗물이 그 하위 밀착접촉부위(37)의 밀봉부를 찢어, 배압실(11)로 침입하여 오는 일이 있다.
그러나, 비교적 좁게 형성된 배압실(11)은 극히 소량의 빗물의 침입량에 비하여 실내 공기층이 압축되고, 이 실내공기가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이 상위 밀착접촉부위(38)로 거의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배압실(11)의 실내압(Pl)이 급속히 압력 상승한다.
이 급속히 압력 상승한 실내압(P1)은 배압실(11)에 침입한 빗물을 하위 밀착 접촉부위(37)로부터 대기(大氣)측으로 밀어내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하위 밀착접촉부위(37)로부터 배압실(11)로 빗물이 더 침입하는 것을 강력하게 방지한다.
이상에 의해, 강하고 오래 계속되는 강풍우가 충격적으로 반복하여 세차게 불어 오는 악조건하에 있어도, 배압실(11) 안의 실내압(P1)은 극히 소량의 빗물의 침입에 의해 급속히 압력 상승하여, 하위 밀착접촉부위(37)로부터 배압실(11)로의 그 이상의 빗물의 침입을 강력하게 방지하므로, 그 빗물이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끼워 맞춤면 사이를 통과하여 건물(41)의 지붕(42)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다.
(효과 2) 배압실(11)의 높아진 실내압(P1)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종래기술에서의 씰부재(85)를 생략하고, 이 씰부재(85)의 부품비용과 조립비용을 인하함과 아울러, 씰부재(85)의 재질면에서의 경년 열화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해소한다.
상기 배압실(11)의 실내압(P1)이 빗물의 소량의 침입에 의해 급속히 압력 상승한 경우에 있어서, 이 실내공기를 밀봉하여 압력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 절곡 형성된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에 절곡 형성된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8)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구성하므로, 도 5에 도시하는 종래기술에서의 씰부재(85)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씰부재(85)의 부품비용과 조립비용을 인하할 수 있다. 또한, 씰부재(85)의 재질면에서의 경년 열화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해소할 수도 있다.
(효과 3)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의 끼움결합력은 「수컷형 돌조(3)에 대하여 암컷형 돌조(2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끼움결합 걸림힘」으로서 여분으로 플러스(Plus)로 작용하는 만큼, 강풍?폭풍하에서의 강풍 통과시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끌어 올려지려고 하였을 때에, 암컷형 돌조(23)가 수컷형 돌조(3)로부터 빠져나가, 이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지붕(42)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풍?폭풍하에서의 바람 통과시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끌어 올려지려고 하였을 때에, 이 끌어 올리는 힘으로 암컷형 돌조(23)가 수컷형 돌조(3)로부터 빠져나가, 그 금속제 지붕판(21)이 지붕(42)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일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암컷형 돌조(23)가 수컷형 돌조(3)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은 다음의 [돌출형상 빠짐금지구조 1]에 덧붙여 [돌출형상 빠짐금지구조 2]가 여분으로 작용하는 만큼, 암컷형 돌조(23)의 빠져나감 방지력이 강화되어, 그 빠져나감을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돌출형상 빠짐금지구조 1]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는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에 대하여 밀착 접촉시켜서 끼워 맞추게 한다.
[돌출형상 빠짐금지구조 2]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 출 외측끼움결합부(30)는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에 대하여 밀착 접촉시켜서 끼워 맞추게 한다.
이 [돌출형상 빠짐금지구조 2]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의 끼움결합력은 상기 (효과 1)에서 설명한 「배압실(11)을 밀봉하여, 압력 상승한 그 실내압(P1)의 압력 유지를 하는」작용에 머무르지 않고, 이에 덧붙여, 「수컷형 돌조(3)에 대하여 암컷형 돌조(2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끼움결합 걸림힘」으로서 여분으로 플러스로 작용한다.즉, 도 5에 도시하는 종래기술의 씰부재(85)가 수컷형 돌조(3)에 대하여 암컷형 돌조(23)를 밀어 올려 빠져나가게 하는 힘으로서 마이너스로 작용하는 경우와는 정반대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의 끼움결합력은 「수컷형 돌조(3)에 대하여 암컷형 돌조(2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끼움결합 걸림힘」으로서 여분으로 플러스로 작용하는 만큼, 강풍?폭풍하에서의 강풍 통과시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끌어 올려지려고 하였을 때에, 암컷형 돌조(23)가 수컷형 돌조(3)로부터 빠져나가, 이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이 지붕(42)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1), (효과 2) 및 (효과 3)에 덧붙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4)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1) 빗물의 건물 지붕으로의 침입을 강력하게 방지하는 것, (효과 2) 종래기술의 씰부재(85)를 생략할 수 있는 것 및 (효과 3) 암컷형 돌조(23)의 수컷형 돌조(3)로부터의 빠져나감 방지력을 강화하는 것을 더욱 강화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에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오목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1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에는, 적어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3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에 각각 밀착 접촉시킨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외측곡면오목부(34)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내측곡면오목부(14)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36)를 형성한다. 이 배압실(36)의 실 하단부(36a)는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 벽부(26)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배압실(36)의 실 상단부(36b)는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이 청구항 2의 발명 중,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 및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36)의 구성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 중,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 및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11)의 구성과 비교하여,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어,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1) 빗물의 건물 지붕으로의 침입을 강력하게 방지하는 것, (효과 2) 종래기술의 씰부재(85)를 생략할 수 있는 것, 및 (효과 3) 암컷형 돌조(23)의 수컷형 돌조(3)로부터의 빠져나감 방지력을 강화하는 것을 이 청구항 2의 발명은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1), (효과 2), (효과 3) 및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 4)에 덧붙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4) 하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2)가 상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1)보다 넓은 만큼, 암컷형 돌조(23)의 양쪽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35) 및 양쪽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33)를, 수컷형 돌조(3)의 양쪽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15) 및 양쪽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13)에 대하여, 위에서 끼워 맞추는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청구항 3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그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2)는 그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 그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어느 사이의 상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1)보다 넓어지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하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H2)가 상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H1)보다 넓은 값으로 되므로, 암컷형 돌조(23)의 양쪽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35)가 수컷형 돌조(3)의 양쪽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13)를 가벼운 힘으로 신속하게 통과하기 쉬운 만큼, 암컷형 돌조(23)의 양쪽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35) 및 양쪽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33)를, 수컷형 돌조(3)의 양쪽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15) 및 양쪽 상위곡면돌출 내측끼 움결합부(10)(13)에 대하여, 위에서 끼워 맞추는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1), (효과 2), (효과 3) 및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 4)에 덧붙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5) 암컷형 돌조(23)의 양쪽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33)의 하측경사벽(30a)(33a)의 경사각도(θ1)을 작게 하여, 암컷형 돌조(23)의 수컷형 돌조(3)로부터의 빠져나감 방지력을 더욱 강화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상기 수컷형 돌조(3) 및 암컷형 돌조(23)의 각 상승측벽부(4)(26) 및 각 하강측벽부(6)(24)의 각각에 형성한, 각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13) 및 각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0)(33)로부터, 이것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까지의 사이의 상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1)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로부터, 상기 각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15) 및 각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35)까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2)보다 낮아지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상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1)는 하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2)보다 낮아지는 값으로 설정한 만큼, 암컷형 돌조(23)의 양쪽 상위곡면 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33)의 하측경사벽(30a)(33a)의 경사각도(θ1)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양쪽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33)가 양쪽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13)에 대하여 빠짐금지력이 강해져, 암컷형 돌조(23)의 수컷형 돌조(3)로부터의 빠져나감 방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1), (효과 2) 및 (효과 3)에 덧붙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6) 물받이 홈통(27)에 받아진 빗물은 다시 솟아오르는 일이 없이 대기중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가는 만큼, 하위 밀착접촉부위(37)에서의 물차단성능이 향상하여, 건물(41)의 지붕(42)으로의 빗물의 침입을 더욱 강고하게 방지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단부(27)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보다 하측으로 연출시키고 나서 안쪽 방향으로 U턴시킴으로써 물받이 홈통(27)으로서 형성한다. 이 물받이 홈통(27)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 대하여 접근 또는 접촉시킨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강풍에 의해 빗물이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1)으로부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와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와의 사이로 불어닥치려고 하였 때에, 이 상승측벽부(4)와 물받이 홈통(27)과의 접근 또는 접촉 부위로 그 빗물의 대부분이 차단되어, 빗물의 극히 일부만 통과하지 않는다.
이 통과 후의 극히 일부의 빗물은 수컷형 돌조(3)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암컷형 돌조(23)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의 밀착접촉부위(37)로 차단되어 낙하하여, 물받이 홈통(27)에 받아지게 되어 이 홈통의 경사에 따라 흘러, 홈통경사 하단부로부터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 물받이 홈통(27)에 받아진 빗물은 이 물받이 홈통(27)과 상승측벽부(4)와의 사이로 솟아오르는 빗물로부터 구분되어, 이 솟아오르는 빗물에 말려들어가서 다시 솟아오르는 일이 없이, 대기 중으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에 의해,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의 하위 밀착접촉부위(37)는 여기에 도달하는 빗물의 기세가 약해지는 높은 양도 적어지는 만큼, 물차단 성능력이 향상하여, 건물(41)의 지붕(42)으로의 빗물의 침입을 더욱 강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 도 1 참조
이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1), (효과 2) 및 (효과 3)에 덧붙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7) 만약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끼워 맞춤면 사이의 돌기끼리 틈 사이의 가장 안쪽부(39)에 극히 소량의 빗물이 침입하는 일이 일어났다고 하더라도, 이 빗물은 물차단 홈통(19)과 지붕판 본체(22)와의 홈통 밀착접촉부위(40)로 밀봉되므로, 건물(41)의 지붕(42) 안으로 침입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다음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상기 수컷형 돌조 하강측벽부(6)의 하단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출하고 있는 부착부(7)의 유단부(19)는 위쪽 주위로 U턴시킴으로써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물차단 홈통(19)으로서 형성한다. 이 물차단 홈통(19)은 상기 암컷형 돌조(23)를 연속 형성한 상기 지붕판 본체(22)에 밀착 접촉시킨다.
이 특징 구성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여기에서는 만약,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끼워 맞춤면 사이의 돌기끼리 틈 사이의 가장 안쪽부(39)에 극히 소량의 빗물이 침입하는 일이 일어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돌기끼리 틈 사이의 가장 안쪽부(39)에 침입한 빗물은 물차단 홈통(19)과 지붕판 본체(22)와의 홈통 밀착접촉부위(40)로 밀봉되어, 물차단 홈통(19) 또는 돌기끼리 틈 사이 가장 안쪽부(39)의 경사를 따라 흘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만약 수컷형 돌조(3)와 암컷형 돌조(23)와의 끼워 맞춤면 사이의 돌기끼리 틈 사이의 가장 안쪽부(39)에 극히 소량의 빗물이 침입하는 일이 일어났다고 하더라도, 이 빗물은 물차단 홈통(19)과 지붕판 본체(22)와의 홈통 밀착접촉부위(40)로 밀봉되므로, 건물(41)의 지붕(42) 안에 침입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Claims (6)

  1. 좌우로 병렬시킨 두 개의 금속제 지붕판(1)(21) 중 한 쪽의 금속제 지붕판(1)에는 이것의 지붕판 본체(2)의 가로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에 방수겸 끼워 맞춤 연결용의 수컷형 돌조(3)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고, 이에 대하여, 다른 쪽의 금속제 지붕판(21)에는 이것의 지붕판 본체(22)의 가로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에 방수겸 끼워 맞춤 연결용의 암컷형 돌조(凸條, 23)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고,
    상기 수컷형 돌조(3)에 상기 암컷형 돌조(23)를 위에서 씌워서 바깥쪽에서 끼우게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금속제 지붕판(1)(21)끼리를 방수형상으로 끼워 맞춤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컷형 돌조(3)는 상기 지붕판 본체(2)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상향으로 뻗는 상승측벽부(4),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상벽부(5) 및 하향으로 뻗는 하강측벽부(6)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이 하강측벽부(6)로부터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건물 지붕에 대한 부착부(7)를 연출(連出)시키고,
    상기 암컷형 돌조(23)는 상기 지붕판 본체(22)의 일측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상향으로 뻗는 상승측벽부(26), 가로방향 안쪽으로 뻗는 상벽부(25) 및 하향으로 뻗는 하강측벽부(24)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는 적어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下位)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 오목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上位)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고,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에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29)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고,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에 대하여, 각각 밀착 접촉시켜 끼워 맞추고,
    상기 외측곡면오목부(29)과 내측곡면오목부(9)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背壓室, 11)을 형성하고,
    이 배압실(11)의 실(室) 하단부(11a)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고, 이 배압실(11)의 실 상단부(11b)는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0)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 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에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오목형상으로 되는 내측곡면오목부(1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고,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에는 적어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순서대로 연속시켜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상으로 되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 오목형상으로 되는 외측곡면오목부(34) 및 돌출형상으로 되는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고,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 및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는 상기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 및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에 각각 밀착 접촉시키고,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외측곡면오목부(34)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내측곡면오목부(14)와의 사이에 빗물침입방지용의 배압실(36)를 형성하고, 이 배압실(36)의 실 하단부(36a)은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5)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고, 이 배압실(36) 의 실 상단부(36b)는 암컷형 돌조(23)의 상승측벽부(26)의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33)와 수컷형 돌조(3)의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와의 밀착 접촉에 의해 폐쇄되어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와 그 하강측벽부(6)의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5)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끼리 간 가로폭 치수(L2)는 그 상승측벽부(4)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와 그 하강측벽부(6)의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3)와의 사이의 상위결합부끼리간 가로폭 치수(L1)보다 넓어지는 값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형 돌조(3) 및 암컷형 돌조(23)의 각 상승측벽부(4)(26) 및 각 하강측벽부(6)(24)의 각각에 형성한, 각 상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10)(13) 및 각 상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0)(33)로부터, 이것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까지의 사이의 상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1)는 상기 각 내측곡면오목부(9)(14) 및 각 외측곡면오목부(29)(34)로부터, 상기 각 하위곡면돌출 내측끼움결합부(8)(15) 및 각 하위곡면돌 출 외측끼움결합부(28)(35)까지의 사이의 하위결합부-곡면오목부간 높이 치수(H2)보다 낮아지는 값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컷형 돌조(23)의 하강측벽부(24)의 하단부(27)는 하위곡면돌출 외측끼움결합부(28)보다 아래쪽으로 연출하고 나서 안쪽 방향으로 U턴시킴으로써 물받이 홈통(27)로서 형성하고, 이 물받이 홈통(27)은 수컷형 돌조(3)의 상승측벽부(4)에 대하여 접근 또는 접촉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형 돌조 하강측벽부(6)의 하단부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연출하고 있는 부착부(7)의 유단부(19)는 위쪽 주위로 U턴시킴으로써 가로방향 안쪽을 향하여 개구하는 물차단 홈통(19)로서 형성하고, 이 물차단 홈통(19)은 상기 암컷형 돌조(23)를 연속 형성한 상기 지붕판 본체(22)에 밀착 접촉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KR1020060041452A 2006-05-09 2006-05-09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209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52A KR101209969B1 (ko) 2006-05-09 2006-05-09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52A KR101209969B1 (ko) 2006-05-09 2006-05-09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21A KR20070109021A (ko) 2007-11-15
KR101209969B1 true KR101209969B1 (ko) 2012-12-07

Family

ID=3906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9969B1 (ko) 2006-05-09 2006-05-09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4031B2 (ja) * 2009-04-22 2013-06-05 Jfe鋼板株式会社 嵌合式折板屋根材
ITBO20130222A1 (it) 2013-05-14 2014-11-15 Tecnocoperture Tangorra S R L Dispositivo di copertura senza fissaggi esposti
CN209244060U (zh) * 2018-08-24 2019-08-13 四川佳科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屋面系统
EP3819440B1 (en) * 2019-11-11 2022-04-27 Sandrini Metalli S.p.A. Structure for surface covering
CN115126291B (zh) * 2021-03-26 2025-03-14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库板、库板组合单元及换电站或储能站
CN115126293B (zh) * 2021-03-26 2025-03-14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库板、库板组合单元及换电站或储能站
CN115126294B (zh) * 2021-03-26 2025-03-14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库板、库板组合单元及换电站或储能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0120U (ja) 1984-01-23 1985-08-14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面構造体
JP2004143814A (ja) 2002-10-24 2004-05-20 Sanko Metal Ind Co Ltd 建設用外囲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0120U (ja) 1984-01-23 1985-08-14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面構造体
JP2004143814A (ja) 2002-10-24 2004-05-20 Sanko Metal Ind Co Ltd 建設用外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21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969B1 (ko) 금속제 지붕판의 방수연결구조
US6311442B1 (en) External corner formative member
CN102677831A (zh) 屋顶上的支承结构
JP3962741B2 (ja) 金属製屋根板の防水連結構造
KR102447640B1 (ko) 지붕구조물의 방수구조
JP5457862B2 (ja) 通気見切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JP3835808B1 (ja) 平板スレート瓦改修用金属屋根材
JP4703988B2 (ja) 筋葺き防災瓦
JP4969898B2 (ja) 建物用換気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US20070256371A1 (en) Parapet wall closure
JP2694056B2 (ja) 建築用外装構造
JP3423671B2 (ja) 縦葺き型金属屋根板同士間の連結構造
JP4602525B2 (ja) 外壁目地の止水構造
JP3924117B2 (ja) 屋根瓦
JP2007308917A (ja) 笠木装置
KR200227262Y1 (ko)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JP2781957B2 (ja) 内部連結型の縦葺き屋根
JP3746444B2 (ja) 平板瓦
JP2002004513A (ja) 縦葺き型金属屋根板同士間の連結構造
JP3706088B2 (ja) 屋根用桟瓦
US346394A (en) Brick for window-sills
JP4136993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目地のシール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押出成形セメント板用キャッチパン
JP2516343B2 (ja) 耐風厚形平瓦
JP2003027673A (ja) 板葺き屋根のルーフ材接続部構造
JP3528706B2 (ja) 屋根の止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