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16B1 -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9816B1 KR101209816B1 KR1020100031689A KR20100031689A KR101209816B1 KR 101209816 B1 KR101209816 B1 KR 101209816B1 KR 1020100031689 A KR1020100031689 A KR 1020100031689A KR 20100031689 A KR20100031689 A KR 20100031689A KR 101209816 B1 KR101209816 B1 KR 101209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mirror
- case
- storage case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의 거울케이스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의 거울케이스가 열린 상태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잠김 동작에 의해 거울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잠김 해제 동작에 의해 거울케이스가 열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의 수납케이스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의 수납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의 작동 단면도,
도 9는 수납케이스가 닫힘 상태에서 열리기 위해 잠김수단의 작동도를 나타낸 부분 작동 단면도이다.
도 10은 수납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기 위해 잠김수단의 작동도를 나타낸 부분 작동 단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은 램프(11) 및 램프 스위치(12)가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는 수납케이스(20)가 힌지 연결로 개폐되는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자동차의 사각지대를 확인할 수 있는 거울(33)이 부착된 거울케이스(30)를 형성하고, 상기 거울케이스(30)에서 수납케이스(20)가 개폐되도록 결합시켜 식별 기능과 수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콘솔(100)을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으로 장착홈(13)을 구성하는데, 이러한 장착홈(13)은 하우징(10)의 일부를 함몰시킨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형태는 사각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장착홈(13)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13)의 내부로 인출되게 하우징(10)의 타측에서 좌,우로 슬라이드되도록 걸림돌기(14)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14)는 가압시와 가압해제시 각각 장착홈(13)에서 인출/삽입되도록 걸림돌기(14)의 하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접촉되는 푸쉬스위치(15)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푸쉬스위치(15)는 하우징(10)의 겉 표면에 노출되고, 하우징(10)의 내부로는 푸쉬스위치(15)의 가압시 압축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a)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푸쉬스위치(15) 중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는 끝 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압시 경사면이 걸림돌기(14)에 접촉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푸쉬스위치(15) 중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는 끝 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압시 경사면(15b)에 걸림돌기(14)가 접촉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걸림돌기(14)는 하우징(10)의 장착홈(13)으로 삽입/인출되는 돌기단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단(14a)의 후방으로 푸쉬스위치(15)가 관통되며 푸쉬스위치(15)의 경사면(15b)에 접촉되는 접촉단(14b)이 하부로 개방된 디귿자 형태를 이루며 일체로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푸쉬스위치(15)를 가압하면 경사면(15b)에 접촉된 상태로 접촉단(14b)이 경사면(15b)을 따라 장착홈(13)의 반대편으로 밀려져 돌기단(14a)이 장착홈(13)을 벗어나 하우징(10)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4)는 장착홈(13)의 내부로 인출되고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디귿자 형태로 구성되어 중앙 부분이 푸쉬스위치(15)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푸쉬스위치(15)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걸림돌기(14)가 밀려져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푸쉬스위치(15)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걸림돌기(14)가 별도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져 장착홈(13)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있다.
한편, 상기 거울케이스(30)는 양측 외벽면에 형성되는 회전축(31)에 탄성부재(32)가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축(31)은 원기둥 형태로써 거울케이스(30)의 양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32)는 양 끝단이 길게 형성된 비틀림 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일끝단은 장착홈(13)의 벽면에 걸림 지지되고 타측은 거울케이스(3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거울케이스(30)는 전방면에 거울(33)이 부착된 반대측 후방면에는 절개홈(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울(33)은 볼록거울로 구성하여 평면거울을 통해 시약성을 확보할 때 시각에 보여지지 않는 자동차 실내의 사각지대 까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울케이스(30)는 장착홈(13)의 양 내측면에 회전되는데, 상기 장착홈(13)의 양 내측면에 회전축(31)이 회전되게 끼움되어 걸림돌기(14)에 전방 양단이 걸림되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걸림돌기(14)에 의한 걸림된 상태에서 푸쉬스위치(15)의 가압으로 걸림돌기(14)가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림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2)는 비틀림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단은 하우징(10)의 장착홈(13)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거울케이스(30)에 지지되어 탄성력이 거울케이스(3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작용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거울케이스(30)의 전방면 양측에는 걸림돌기(14)가 삽입되는 돌기걸림홈(35)이 형성되고, 거울케이스(3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걸림돌기(14)가 돌기걸림홈(3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는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축(21)에 수납탄성부재(22)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걸림핀(23a)이 안내되는 가이드(23c)가 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3c)의 중앙에는 'V'형태의 걸림단(23d)이 형성된 수납케이스(20)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수납케이스(20)를 거울케이스(30)의 절개홈(34)에 힌지축(21)이 회전되도록 끼움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수납탄성부재(22)의 일 끝단은 절개홈(34)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수납케이스(20)에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수납탄성부재(22)는 비틀림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단은 거울케이스(30)의 절개홈(34)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수납케이스(20)에 지지되어 탄성력이 수납케이스(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작용력을 발생시켜, 상기 수납케이스(20)가 거울케이스(30)의 절개홈(34)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게이스(20)가 거울케이스(30)에서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개홈(34)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잠김부재(23)에 걸려 잠김되고, 재 가압하면 잠김부재(23)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잠김부재(23)는 절개홈(34)의 일 내측면에 걸림핀(23a)이 내측을 향해 돌출 결합된 걸림몸체(23b)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잠김부재(23)를 정면에서 투영하면 상부는 직경이 크고 하부는 걸림편(23a)에 연장되는 느낌표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를 개방하기 위해 닫힌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걸림단(23d)의 하부로 이격 형성된 이탈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걸림핀(23a)이 접촉되면 걸림몸체(23b)이 회전되면서 걸림핀(23a)이 가이드(23c)의 바닥면에 닿을때 까지 가압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23d)의 하부에 형성된 이탈돌기는 걸림핀(23a)이 걸림되는 걸림단(23d)의 중앙위치에서 일측으로 벗어나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수납게이스(2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을 위해 가압하면 수납케이스(20)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핀(23a)이 이탈돌기의 경사면에 접촉으로 인해 걸림몸체(23b)가 걸림핀(23a)이 걸림단(23d)에서 벗어도록 회전하게 되며 수납게이스(20)에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수납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빠르게 회전하면서 걸림핀(23a)이 가이드(23c)와 걸림단(23d)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걸림단(23d)에 걸림핀(23a)이 걸림되지 않고 개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가 거울케이스(30)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닫힘 작동은, 상기 걸림몸체(23b)는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수납케이스(20)를 닫기 위해 가압하면 걸림몸체(23b)에 형성된 걸림핀(23a)은 걸림단(23d)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걸림몸체(23b)가 걸림핀(23a)의 접촉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상기 걸림핀(23a)가 걸림단(23d)의 상부 경사면을 끝단을 지나는 동시에 걸림몸체(23b)가 원위치되도록 회전하게 되어 수납케이스(20)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걸림핀(23a)이 걸림단(23d)의 V형 홈(23d')에 걸림되어 수납게이스(20)를 닫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핀(23a)이 수납게이스(20)를 가압하는 가압력과 수납탄성부재(22)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는 걸림단(23d) 및 가이드(23c)에 접촉으로 인해 걸림몸체(23b)는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20)는 거울케이스(3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 열림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콘솔(100)의 하우징(10)은 자동차의 천정에 겉 표면이 노출되도록 매립설치하며 램프(11)가 자동차의 베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와 거울케이스(30)는 하우징(10)에 결합한 상태로 콘솔(100)을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콘솔(100)은 자동차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테 자동차의 뒷자석은 물론 자동차에 설치된 룸 밀러를 통해 확인이 불가능한 사각지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거울케이스(30)를 개방시켜 확인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거울케이스(30)는 하우징(10)에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수납케이스(20)은 거울케이스(30)에 닫혀진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울케이스(30)는 걸림돌기(14)의 돌기단(14a)가 걸림돌기홈(35)에 삽입되어 거울케이스(30)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울케이스(30)를 개방하기 위한 작동은 사용자가 콘솔(10)의 하우징(10)에 설치된 푸쉬스위치(15)를 가압하면 스프링(15a)이 함께 가압되는 동시에 푸쉬스위치(15)의 경사면(15b)에 걸림돌기(14)의 접촉단(14b)이 접촉되면서 경사면(15b)에 의해 밀려져 하우징(10)의 돌기단(14a)과 접촉단(14b)이 함께 내부로 이동하여 돌기단(14a)가 돌기걸림홈(35)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4)의 돌기단(14a)이 거울케이스(30)의 걸림돌기홈(35)에서 인출되면서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거울케이스(30)는 회전축(3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거울(33)이 자동차의 실내로 노출되고, 푸쉬스위치(15)에 가압력을 해제하면 걸림돌기(14)는 별도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여 원위치로 전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거울케이스(30)를 열림 작동시킨 상태에서도 수납케이스(20)의 걸림단(23d)이 잠김부재(23)의 걸림핀(23a)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납케이스(2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거울케이스(30)를 닫기 위한 작동은 거울케이스(30)가 장착홈(1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거울케이스(30)의 하부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32)가 압축되고, 상기 거울케이스(30)의 전방면에 걸림돌기(14)가 접촉하면서 하우징(10)의 내부로 밀린 후 걸림돌기홈(35)과 일치하면 돌기단(14a)가 걸림돌기홈(35)의 내부로 삽입되어 거울케이스(30)가 잠금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의 개방을 위한 작동은 거울케이스(30)가 열림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게이스(20)를 하부면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면 잠김부재(23)가 회전되면서 걸림핀(23a)이 걸림단(23d)에서 걸림 해제되어 단독으로 열림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납케이스(20)의 개방 작동은 수납케이스(20)를 개방하기 위해 닫힌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걸림단(23d)의 하부로 이격 형성된 이탈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걸림핀(23a)이 접촉되면 걸림몸체(23b)이 회전되면서 걸림핀(23a)이 가이드(23c)의 바닥면에 닿을때 까지 가압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23d)의 하부에 형성된 이탈돌기는 걸림핀(23a)이 걸림되는 걸림단(23d)의 중앙위치에서 일측으로 벗어나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수납게이스(2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을 위해 가압하면 수납케이스(20)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핀(23a)이 이탈돌기의 경사면에 접촉으로 인해 걸림몸체(23b)가 걸림핀(23a)이 걸림단(23d)에서 벗어도록 회전하게 되며 수납게이스(20)에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수납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빠르게 회전하면서 걸림핀(23a)이 가이드(23c)와 걸림단(23d)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걸림단(23d)에 걸림핀(23a)이 걸림되지 않고 개방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를 거울케이스(30)의 절개홈(34)의 내부로 삽입시켜 닫힘하기 위한 작동은, 상기 수납케이스(20)에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수납한 후 수납케이스(20)가 거울케이스(30)에서 개방된 상태에서는 걸림몸체(23b)는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수납케이스(20)를 닫기 위해 가압하면 걸림몸체(23b)에 형성된 걸림핀(23a)은 걸림단(23d)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걸림몸체(23b)가 걸림핀(23a)의 접촉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상기 걸림핀(23a)가 걸림단(23d)의 상부 경사면을 끝단을 지나는 동시에 걸림몸체(23b)가 원위치되도록 회전하게 되어 수납케이스(20)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걸림핀(23a)이 걸림단(23d)의 V형 홈(23d')에 걸림되어 수납게이스(20)를 닫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2 : 스위치 13 : 장착홈
14 : 걸림돌기 15 : 푸쉬스위치
20 : 수납케이스 21 : 힌지축
22 : 수납탄성부재 23 : 잠김부재
23a : 걸림핀 23b : 걸림몸체
23c : 가이드 23d : 걸림단
23d' : 홈 30 : 거울케이스
31 : 힌지축 32 : 탄성부재
33 : 거울 34 : 절개홈
35 : 걸림돌기홈 100 : 콘솔
Claims (4)
- 램프(11) 및 램프 스위치(12)가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는 수납케이스(20)가 힌지 연결로 개폐되는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장착홈(13)을 구성하고, 상기 장착홈(13)의 내부로 삽입, 인출되게 하우징(10)의 타측에 걸림돌기(14)를 구성하며, 상부 이동으로 가압시와 하부 이동으로 가압해제시 각각 장착홈(13)으로 삽입/인출되도록 걸림돌기(14)와 접촉되는 푸쉬스위치(15)를 하우징(10)의 하부면에 구성하고,
양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축(31)이 장착홈(13)의 양 내벽면에 회전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1)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2)의 일단은 장착홈(13)의 벽면에 걸림 지지되고 타측은 전방면에는 거울(33)이 부착되고 반대측 후방면에는 절개홈(34)이 형성된 거울케이스(30)에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거울케이스(30)의 거울(33)이 부착된 양측 전방면이 걸림돌기(14)에 의한 걸림된 상태에서 푸쉬스위치(15)의 가압으로 걸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하여 열림되도록 구성하고,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축(21)에 결합되는 수납탄성부재(22)의 일 끝단은 절개홈(34)의 벽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수납케이스(20)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납탄성부재(22)의 일측 외벽면에는 가이드(23c)의 중앙에 'V'형태의 걸림단(23d)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납케이스(20)를 구성하며,
상기 수납케이스(20)의 가이드(23c)를 따라 이동하여 걸림단(23d)에 걸림/걸림 해제 걸림핀(23a)이 가이드(23c)에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몸체(23b)가 절개홈(34)의 내측 벽면에 회전되게 설치된 잠김부재(23)를 구성하여,
상기 수납게이스(20)를 상부로 가압하면 잠김부재(23)가 회전되면서 걸림핀(23a)이 걸림단(23d)에서 걸림 해제되고, 열려진 수납케이스(20)를 가압하면 잠김부재(23)가 회전되면서 걸림핀(23a)이 걸림단(23d)에 걸림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33)은 볼록거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20)는 거울케이스(30)의 열림/닫힘의 작동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20)는 거울케이스(3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독으로 열림/닫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1689A KR101209816B1 (ko) | 2010-04-07 | 2010-04-07 |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1689A KR101209816B1 (ko) | 2010-04-07 | 2010-04-07 |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2540A KR20110112540A (ko) | 2011-10-13 |
KR101209816B1 true KR101209816B1 (ko) | 2012-12-10 |
Family
ID=4502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1689A Active KR101209816B1 (ko) | 2010-04-07 | 2010-04-07 |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981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23002B (zh) * | 2013-11-29 | 2016-04-27 |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 遮阳板化妆镜盖开关装置 |
JP6843167B2 (ja) | 2019-02-26 | 2021-03-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ルーフコンソール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78654A (ja) | 2003-12-22 | 2005-07-07 | Naigai:Kk | ストッパ付きキャスター |
-
2010
- 2010-04-07 KR KR1020100031689A patent/KR10120981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78654A (ja) | 2003-12-22 | 2005-07-07 | Naigai:Kk | ストッパ付きキャスタ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2540A (ko) | 2011-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94623B2 (ja) | 車両用収納装置 | |
KR20130049595A (ko) |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 | |
WO2014103672A1 (ja) | ロック部構造 | |
KR101209816B1 (ko) |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 |
US9370987B2 (en) | Rotatable sun visor mirror of vehicle | |
EP3072745B1 (en) | Vehicle storage assembly | |
US4655498A (en) | Sun visor for automotive vehicles | |
CN102605992A (zh) | 车辆门把手装置及车辆 | |
CN103670083A (zh) | 一种用于机动车辆中能够被翻板闭合的隔室的闭合装置 | |
CN111071014B (zh) | 交通工具用遮阳板装置 | |
KR20130053307A (ko) |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 | |
US20140021734A1 (en) | Moveme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terior trim part, and interior trim part | |
JP2016078836A (ja) | 自動車用パワーアウトレットトレイ | |
JP2016211205A (ja) |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 |
JP2024053964A (ja) |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 |
WO2020195100A1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4573744B2 (ja) |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 |
KR100937266B1 (ko) | 자동차 실내 글러브박스의 회전식 조명장치 | |
JP5989551B2 (ja) | 収納装置 | |
KR100831031B1 (ko) | 대화형 미러를 구비한 선글라스 홀더 | |
CN213007899U (zh) | 车门储物结构及车辆 | |
KR100472660B1 (ko) | 자동차의 컵 홀더 | |
JP4176440B2 (ja) | 車両用サンバイザ | |
JP4232611B2 (ja) |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 |
JP4906533B2 (ja) |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