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798B1 - Connector having dual jointing means - Google Patents
Connector having dual jointing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9798B1 KR101209798B1 KR1020110055467A KR20110055467A KR101209798B1 KR 101209798 B1 KR101209798 B1 KR 101209798B1 KR 1020110055467 A KR1020110055467 A KR 1020110055467A KR 20110055467 A KR20110055467 A KR 20110055467A KR 101209798 B1 KR101209798 B1 KR 1012097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housing
- connector
- housing
- sliding plug
- main plu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숫커넥터를 2개로 분리하여 암커넥터에 대한 체결시 2번에 걸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암수 커넥터 조립시의 체결력을 분산시켜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숫커넥터를 제1숫커넥터(메인 플러그 하우징)와 제2숫커넥터(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로 분리하여 다극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제1숫커넥터에 대한 제2숫커넥터를 1차로 가조립한 다음, 가조립된 제1 및 제2숫커넥터를 암커넥터(캡 하우징)에 삽입시켜서, 제1 및 제2숫커넥터 간의 완전 조립이 이루어짐과 함께 완전 조립된 제1 및 제2숫커넥터와 암커넥터 간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암커넥터에 대한 숫커넥터 조립시 힘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숫커넥터의 삽입력을 감소시켜 커넥터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separate the male connector into two and to be assembled twice in the fastening to the female connector, dispersing the fastening force during assembly of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the assembly efficiency It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to improve th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male connector into a first male connector (main plug housing) and a second male connector (sliding plug housing) to realize multipola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preassembles a second male connector to the first male connector. Next, by inserting the preassembled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into the female connector (cap housing), a complete assembl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is achieved and between the fully assembled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and the female connecto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to improve the connector assembly efficiency by reducing the insertion force of the male connector at the same time to distribute the force when assembling the male connector to the female conn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숫커넥터를 2개로 분리하여 암커넥터에 대한 체결시 2번에 걸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암수 커넥터 조립시의 체결력을 분산시켜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separate the male connector into two and to be assembled twice in the fastening to the female connector, dispersing the fastening force during assembly of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the assembly efficiency It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to improve the.
일반적으로, 차량용 커넥터는 전장품과 전원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전장품과 제어기 간을 상호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며, 대개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로 나누어진다.In general, a vehicle connector is used as a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equipment and power, or inter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equipment and a controller, and is generally divided into a male connector and a female connector.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화 및 다기능화로 인하여, 많은 극수의 커넥터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극수를 증가시킨 다양한 구조의 커넥터가 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high-quality and multifunctional vehicle, a connector having a large number of poles has been rel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 large number of poles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극수가 증가된 커넥터도 마찬가지로 숫커넥터(플러그 하우징)과 암커넥터(캡 하우징)로 구성되는 바, 최종 커넥터 제품을 위하여 조립라인에서 숫커넥터를 암커넥터에 한 번에 끼워서 조립하는 공정이 진행된다.Similarly, the increased number of poles consists of a male connector (plug housing) and a female connector (cap housing), and the mal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connector at once in the assembly line for the final connector product.
숫커넥터를 암커넥터에 한 번에 삽입하여 체결해야 하므로, 암커넥터에 대한 숫커넥터의 삽입력이 증가될 수 밖에 없어 조립효율 및 조립작업성이 떨어지고, 삽입력 증가에 따른 충격으로 인하여 숫커넥터와 암커넥터 간의 체결 계면 등에 흡집과 같은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Since the male connector must be inserted into the female connector at one time and tightened, the insertion force of the male connector to the female connector can be increased, resulting in poor assembly efficiency and workability, and the impact of the insertion force increases the impact of the male connect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defect such as absorption occurs in the fastening interface between the female connecto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숫커넥터를 제1숫커넥터(메인 플러그 하우징)와 제2숫커넥터(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로 분리하여 다극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제1숫커넥터에 대한 제2숫커넥터를 1차로 가조립한 다음, 가조립된 제1 및 제2숫커넥터를 암커넥터(캡 하우징)에 삽입시켜서, 제1 및 제2숫커넥터 간의 완전 조립이 이루어짐과 함께 완전 조립된 제1 및 제2숫커넥터와 암커넥터 간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암커넥터에 대한 숫커넥터 조립시 힘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숫커넥터의 삽입력을 감소시켜 커넥터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the male connector is separated into a first male connector (main plug housing) and a second male connector (sliding plug housing) to realize multipola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first male connector. The second male connector is first assembled, and then the first assembled second and second male connectors are inserted into the female connector (cap housing)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ully assembled are fully assembled together. And a double fastening means for assembling between the second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thereby distributing the force when assembling the male connector to the female connector and reducing the insertion force of the male connector to improve the connector assembly efficienc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nnector hav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단부에 다수의 암단자가 형성되고, 각 암단자 사이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1차로 가조립되는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 및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메인 플러그 하우징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을 1차로 가조립시키는 가조립수단과; 상기 가조립수단에 의하여 가조립된 메인 플러그 하우징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구가 전단부에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메인 플러그 하우징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의 암단자에 끼워지는 숫단자 지지체가 형성되며, 체결구의 상하면에는 가조립수단을 완전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조립 해제수단이 형성된 캡 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are formed at both ends, a main plug housing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between each female terminal; A sliding plug hous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ug housing and preliminarily assembled; Provisional assembly means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plug housing and the sliding plug housing to temporarily preassemble the main plug housing and the sliding plug housing; A fastener for inserting and fastening the main plug housing and the sliding plug housing temporarily assembled by the temporary assembly means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male terminal supporter fitted to the female terminal of the main plug housing and the sliding plug housing. A cap housing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astener formed therein with temporary disassembly means for moving the temporary assembly means to a fully assembled position; It provides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가조립수단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의 상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스톱레버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홀에 삽입될 때, 스톱레버의 후단이 걸리도록 메인 플러그 하우징의 상하면 앞쪽에 형성되는 1차 잠금걸림턱과; 1차 잠금걸림턱의 바로 뒤쪽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의 후진시 스톱 레버의 후단이 재차 걸리도록 한 2차 잠금걸림턱;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visional assembly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 lever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plug housing and extending rearward to have an elastic force; When the sliding plug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ug housing, the first locking locking jaw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of the main plug housing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top lever is caught; A secondary locking catching jaw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ing directly behind the primary locking catching jaw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top lever is caught again when the sliding plug housing is retracted; .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가조립 해제수단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삽입될 때, 스톱레버를 눌러주어 1차 잠금걸림턱에 잠금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캡 하우징의 체결구내 상하면에 잠금해제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assembled release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the sliding plug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e fastener of the cap housing to release the locked state to the primary locking locking jaw by pressing the stop le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integrally release the locking projections.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의 후단부 모서리 위치에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홀 말단부에는 스토퍼가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stopper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corner of the sliding plug housing, and a locking jaw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ug housing.
또한,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의 양측 외면에는 끼움조립단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캡 하우징의 양측 내면에는 끼움조립단이 끼워지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tting assembly end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main plug housing, the slide groove to which the fitting assembly end is fitted is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cap housing.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숫커넥터를 제1숫커넥터(메인 플러그 하우징)와 제2숫커넥터(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로 분리하여 다극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제1숫커넥터에 대한 제2숫커넥터를 1차로 가조립한 다음, 가조립된 제1 및 제2숫커넥터를 암커넥터(캡 하우징)에 삽입 체결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숫커넥터 간의 완전 조립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완전 조립된 제1 및 제2숫커넥터와 암커넥터 간의 조립이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e connector is separated into a first male connector (main plug housing) and a second male connector (sliding plug housing) to realize multipola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male connector to the first male connector is preliminarily assembled. Next, by inserting and tightening the preassembled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to the female connector (cap housing), a complete assembl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fully assembled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and the female connector. Assembly can be done easily with little force.
즉, 암커넥터에 대한 제1 및 제2숫커넥터의 삽입 조립시, 삽입을 위한 힘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제1 및 제2숫커넥터의 삽입력을 감소시켜 커넥터 조립 효율 및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during insertion assembly of the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to the female connector, the force for insertion can be dissipated and the insertion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can be reduced to improve connector assembly efficiency and assembly workability. hav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의 구성중 메인 플러그 하우징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이 가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의 조립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의 구간별 삽입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의 구간별 삽입력 변화를 기존의 일반 커넥터와 비교한 그래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in plug housing and a sliding plug housing are assembled in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ssembling step of the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5 is a graph showing the insertion force change for each section of the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graph comparing the insertion force change for each section of the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eneral connec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조립된 커넥터로서, 숫커넥터를 제1숫커넥터(메인 플러그 하우징)와 제2숫커넥터(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로 분리하여 제1숫커넥터에 제2숫커넥터를 1차로 가조립한 다음, 가조립된 제1 및 제2숫커넥터를 암커넥터(캡 하우징)에 삽입 체결시킴으로써, 암수 커넥터 간의 삽입 체결력이 1차 및 2차에 걸쳐 분산되면서 작은 힘으로도 암수 커넥터 간의 체결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assembled, and the male connector is separated into a first male connector (main plug housing) and a second male connector (sliding plug housing) so that the second mal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male connector. After pre-assembling by car, the pre-assembled first and second male connectors ar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emale connector (cap housing). The point is to make it smooth.
이를 위해, 첨부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1숫커넥터인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제2숫커넥터인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과, 암커넥터인 캡 하우징(40) 등으로 크게 나누어져 구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1 and 2,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은 양측단부에 다수의 암단자(12)가 내장되고, 각 암단자(12) 사이에 전후로 관통된 삽입홀(1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The
상기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은 다수의 암단자(12)가 내장된 블럭 타입으로서,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내에 삽입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The sliding
또한, 상기 캡 하우징(40)은 가조립된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구(42)가 전단부에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다수의 숫단자(43)가 내장된 숫단자 지지체(44)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1차로 가조립시키기 위한 가조립수단(30)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상하면 및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상하면에 일체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temporary assembly means 30 for preliminarily assembling the
상기 가조립수단(30)은 메인 플러그 하우징(10) 및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상면에 형성되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내에 전진 삽입되는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1차로 가조립시키는 수단으로서,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상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스톱레버(32)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에 삽입될 때 스톱레버(32)의 후단이 걸리도록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상하면 앞쪽에 형성되는 1차 잠금걸림턱(34)과, 1차 잠금걸림턱(34)의 바로 뒤쪽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후진시 스톱레버(32)의 후단이 재차 걸리도록 한 2차 잠금걸림턱(36)으로 구성된다.The temporary assembly means 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가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내에 삽입되어 전진하는 거리를 한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첨부한 도 3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후단부 모서리 위치에는 스토퍼(22)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의 말단부에는 스토퍼(22)가 걸리게 되는 걸림턱(16)이 일체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lid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완전조립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캡 하우징(40)의 체결구(42)의 상하면에는 가조립수단(30)의 잠금 해제를 유도하는 가조립 해제수단이 일체로 형성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ve the sliding
보다 상세하게는, 첨부한 4a 내지 도 4e에서 보듯이 상기 가조립 해제수단은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에 가조립된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캡 하우징(40)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상하면에 형성된 스톱레버(32)를 눌러주어 스톱레버(32)가 1차 잠금걸림턱(34)에 잠금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수단으로서, 캡 하우징(40)의 체결구(42)내 상하면에 잠금해제돌기(46)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attached 4a to 4e, the pre-assembled release means is a sliding
한편,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양측 외면에는 끼움조립단(18)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캡 하우징(40)의 양측 내면에는 끼움조립단(18)이 끼워지는 슬라이드홈(48)이 형성되는 바, 끼움조립단(18) 및 슬라이드홈(48)이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이 캡 하우징(40)내에 정확하게 위치 배열되며 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조립 과정을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with reference to Figures 4a to 4e attached to the assembly process f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내에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삽입하여 1차 가조립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First, the first preliminary assembly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sliding
즉,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내에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전진 삽입하면,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후단부 모서리 위치에 형성된 스토퍼(22)가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의 말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6)에 걸리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전진 삽입이 완료되고, 가조립수단(30)에 의하여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에 1차로 가조립되는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sliding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내에 전진 삽입 완료되는 순간,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상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레버(32)의 후단부가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1차 잠금걸림턱(34)에 걸리면서 잠금되어,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에 1차로 가조립되는 상태가 된다.More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이어서,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후면을 밀어주게 되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끼움조립단(18)이 캡 하우징(40)의 슬라이드홈(48)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조립된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도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함께 전진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이때, 캡 하우징(40)의 숫단자(43)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암단자(12)에 삽입 체결되는 동시에 캡 하우징(40)의 체결구(42) 상하면에 형성된 잠금해제돌기(46)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스톱레버(32)를 눌러주게 됨으로써, 1차 잠금걸림턱(34)에 걸려 잠금되어 있던 스톱레버(32)의 잠금이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연이어,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후면을 캡 하우징(40)의 체결구(42)쪽으로 계속 가압하게 되면, 캡 하우징(40)의 숫단자(43)가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암단자(12)에 삽입 체결되고, 이때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은 캡 하우징(40)에 이미 삽입 체결된 상태이고, 또한 스톱레버(32)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을 가압하는 힘에 반하여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은 자동으로 후진을 하게 된다.Subsequently, if the rear surface of the
이렇게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후진함에 따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스톱레버(32)가 1차 잠금걸림턱(34)의 바로 뒤쪽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 2차 잠금걸림턱(36)에 재차 걸리게 되면서 잠금되어, 결국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에 대하여 완전 조립되는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메인 플러그 하우징(10) 및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캡 하우징(40)의 체결구(42)내에 완전 삽입 체결된 상태가 된다.As the sliding
한편,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e에 나타낸 커넥터 체결 과정시, 가조립된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캡 하우징(40)내에 삽입할 때의 삽입력은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구간(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의 가조립 잠금 해제 구간) 및 5번 구간(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이 2차 잠금턱에 걸리며 체결되는 구간)으로 분산됨을 알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nnector fastening process shown in FIGS. 4A to 4E, the insertion force when inserting the preassembled
또한, 첨부한 도 6에서 보듯이, 기존에 1개의 숫커넥터를 1개의 암커넥터에 삽입 체결할 때의 삽입력에 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시 삽입력이 분산되어 작은 힘으로도 조립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compared to the insertion force when inserting and tightening one male connector to a conventional female connector, the insertion force is dispersed during assembly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with a small force It can be seen.
이와 같이, 숫커넥터를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으로 분리하여 구비한 후,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가조립수단(30)으로 1차 가조립시킨 다음, 암커넥터인 캡 하우징(40)에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삽입 체결하여 최종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플러그 하우징(10) 및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삽입시키는 힘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고, 결국 커넥터 조립 효율 및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male connecto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10 : 메인 플러그 하우징 12 : 암단자
14 : 삽입홀 16 : 걸림턱
18 : 끼움조립단 20 :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
22 : 스토퍼 30 : 가조립수단
32 : 스톱레버 34 : 1차 잠금걸림턱
36 : 2차 잠금걸림턱 40 : 캡 하우징
42 : 체결구 43 : 숫단자
44 : 숫단자 지지체 46 : 잠금해제돌기
48 : 슬라이드홈10
14: insertion hole 16: locking jaw
18: fitting assembly 20: sliding plug housing
22: stopper 30: temporary assembly means
32: stop lever 34: 1st locking locking jaw
36: secondary locking locking jaw 40: cap housing
42: fastener 43: male terminal
44: male terminal support 46: unlocking projection
48: slide groove
Claims (5)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내에 삽입되어 1차로 가조립되는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과;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 및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을 1차로 가조립시키는 가조립수단(30)과;
상기 가조립수단(30)에 의하여 가조립된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구(42)가 전단부에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메인 플러그 하우징(10)과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암단자(12)에 끼워지는 숫단자 지지체(44)가 형성되며, 체결구(42)의 상하면에는 가조립수단(30)을 완전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조립 해제수단이 형성된 캡 하우징(4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12 formed at both ends, and a main plug housing 10 having an insertion hole 14 formed between the female terminals 12;
A sliding plug housing 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 of the main plug housing 10 and preliminarily assembled;
Provisional assembly means 3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plug housing 10 and the sliding plug housing 20, the primary assembly of the main plug housing 10 and the sliding plug housing 20;
A fastener 42 into which the main plug housing 10 preassembled by the temporary assembly means 30 and the sliding plug housing 20 is inserted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thereof is slid with the main plug housing 10. A male terminal support 44 fitted to the female terminal 12 of the plug housing 20 is formed, an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astener 42, a cap having provisional release means for moving the provisional assembly means 30 to a fully assembled position is formed. A housing 40;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가조립수단(30)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상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스톱레버(32)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14)에 삽입될 때, 스톱레버(32)의 후단이 걸리도록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상하면 앞쪽에 형성되는 1차 잠금걸림턱(34)과;
1차 잠금걸림턱(34)의 바로 뒤쪽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후진시 스톱레버(32)의 후단이 재차 걸리도록 한 2차 잠금걸림턱(3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orary assembly means 30 is:
A stop lever 32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plug housing 20 and extended rearward to have an elastic force;
When the sliding plug housing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 of the main plug housing 10, the primary locking latch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plug housing 10 so as to catch the rear end of the stop lever 32. Jaw 34;
A secondary locking locking jaw 36 formed to be opened immediately behind the primary locking locking jaw 34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top lever 32 is caught again when the sliding plug housing 20 moves backward;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가조립 해제수단은: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이 캡 하우징(40)에 삽입될 때, 스톱레버(32)를 눌러주어 1차 잠금걸림턱(34)에 잠금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캡 하우징(40)의 체결구(42)내 상하면에 잠금해제돌기(46)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assembly release means is:
When the sliding plug housing 20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40, the fastener of the cap housing 40 can be released by pressing the stop lever 32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primary locking locking jaw 34. (42)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nlocking projection (46) integrally.
상기 슬라이딩 플러그 하우징(20)의 후단부 모서리 위치에는 스토퍼(22)가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삽입홀 말단부에는 스토퍼(22)가 걸리게 되는 걸림턱(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22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corner position of the sliding plug housing 20, and the locking jaw 16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plug housing 10 to catch the stopper 22.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상기 메인 플러그 하우징(10)의 양측 외면에는 끼움조립단(18)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캡 하우징(40)의 양측 내면에는 끼움조립단(18)이 끼워지는 슬라이드홈(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체결수단을 갖는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tting assembly end 18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main plug housing 10 and the slide groove 48 to which the fitting assembly end 18 is fitted to both inner surfaces of the cap housing 40 is formed. A connector having a double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5467A KR101209798B1 (en) | 2011-06-09 | 2011-06-09 | Connector having dual jointing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5467A KR101209798B1 (en) | 2011-06-09 | 2011-06-09 | Connector having dual jointing mea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9798B1 true KR101209798B1 (en) | 2012-12-10 |
Family
ID=4790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54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9798B1 (en) | 2011-06-09 | 2011-06-09 | Connector having dual jointing me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9798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458B1 (en) | 2013-12-30 | 2014-10-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having interlock function |
KR20150027406A (en) * | 2013-09-02 | 2015-03-12 | 타이코에이엠피(유) | A connector assembly |
KR101500214B1 (en) | 2013-12-06 | 2015-03-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for vehicle |
KR20150097721A (en) * | 2012-12-21 | 2015-08-26 |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Electrical plug-in connector |
KR101636502B1 (en) * | 2015-05-08 | 2016-07-06 | 케이유엠 유한회사 | Anti vibration type connector |
KR101850442B1 (en) * | 2016-10-25 | 2018-04-20 | 주식회사 경신 | Multi-box for vehicle |
CN110854620A (en) * | 2019-12-30 | 2020-02-28 | 东莞市林积为实业投资有限公司 | Vehicle-mounted Ethernet connector |
-
2011
- 2011-06-09 KR KR1020110055467A patent/KR10120979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7721A (en) * | 2012-12-21 | 2015-08-26 |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Electrical plug-in connector |
KR102133836B1 (en) * | 2012-12-21 | 2020-07-15 |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Electrical plug―in connector |
KR20150027406A (en) * | 2013-09-02 | 2015-03-12 | 타이코에이엠피(유) | A connector assembly |
KR102023204B1 (en) | 2013-09-02 | 2019-09-20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A connector assembly |
KR101500214B1 (en) | 2013-12-06 | 2015-03-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for vehicle |
KR101452458B1 (en) | 2013-12-30 | 2014-10-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having interlock function |
KR101636502B1 (en) * | 2015-05-08 | 2016-07-06 | 케이유엠 유한회사 | Anti vibration type connector |
KR101850442B1 (en) * | 2016-10-25 | 2018-04-20 | 주식회사 경신 | Multi-box for vehicle |
CN110854620A (en) * | 2019-12-30 | 2020-02-28 | 东莞市林积为实业投资有限公司 | Vehicle-mounted Ethernet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9798B1 (en) | Connector having dual jointing means | |
JP6246219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 |
JP5370767B2 (en) |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 |
US8137142B1 (en) | Connector assembly | |
US9570899B2 (en) | Connector with rubber plug, retainer for retaining rubber plug and a guide formed on a rear part of the retainer for accommodating bending of wires | |
DE102007051147B4 (en) | Lever-type connector | |
KR20080035199A (en) | Cable connection connector for vehicle door | |
JP2011103192A (en) |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 |
US9356398B2 (en) | Lock mechanism of shield connector | |
US20160285193A1 (en) | Laminated connector | |
JP2004192882A (en) | Ground joint connector | |
JP2011018579A (en) | Connector | |
CN109314336A (en) | Connector | |
WO2017138347A1 (en) |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 |
DE102008034345A1 (en) |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for | |
WO2016059947A1 (en) | Connector | |
KR101626937B1 (en)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assembly | |
JP597034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8435068B2 (en) | Connector | |
KR20130037753A (en) | Lever type of connector | |
US10033129B2 (en) | Connector | |
JP2011001994A (en) | Unlocking structure | |
CN209001225U (en) | Wiring harness connector | |
JP3687537B2 (en) | Split connector | |
CN105210242B (en) | Latch link devic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