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764B1 -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9764B1 KR101209764B1 KR1020110082547A KR20110082547A KR101209764B1 KR 101209764 B1 KR101209764 B1 KR 101209764B1 KR 1020110082547 A KR1020110082547 A KR 1020110082547A KR 20110082547 A KR20110082547 A KR 20110082547A KR 101209764 B1 KR101209764 B1 KR 101209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foot
- elevator
- button device
- foot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호출입력버튼과 인접한 지점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풋 버튼 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풋 버튼 장치는, 상기 풋 버튼이 설치된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바닥면을 향해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직접 반사식 센서광을 조사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센서광이 조사되는 지점을 바닥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부와, 상기 호출입력버튼과 풋 버튼 상호간에 신호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출력접점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소정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접점을 통해 호출버튼 등록을 위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풋 버튼 장치의 설정 및 동작을 비롯한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의 동작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의 바닥면 거리 설정 및 부저음 온.오프 설정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22: 센서부, 24: 조명부,
26: 출력접점, 28: 설정부,
30: 메모리부, 32: 부저음 발생부,
34: 제어부.
Claims (5)
-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호출입력버튼과 인접한 지점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풋 버튼 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풋 버튼 장치는,
상기 풋 버튼이 설치된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바닥면을 향해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직접 반사식 센서광을 조사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센서광이 조사되는 지점을 바닥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부와,
상기 호출입력버튼과 풋 버튼 상호간에 신호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출력접점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소정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접점을 통해 호출버튼 등록을 위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풋 버튼 장치의 설정 및 동작을 비롯한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풋 버튼 장치에는,
Initial 버튼으로 이루어진 설정부와,
상기 Initial 버튼의 조작에 따라 측정된 풋 버튼 장치와 바닥면까지의 거리 정보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설정부의 조작 및 센서부의 동작 시 그에 따른 특정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음 발생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의 동작은,
승강장 벽면에 설치된 풋 버튼 장치의 센서부 및 조명부가 동작되면서 바닥면 일정 지점에 센서광 및 조명이 조사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소정 물체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감지시간이 카운트 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시간의 카운트 결과가 1초 이하인 경우에는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한편, 카운트 결과가 1초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부저음 발생부가 물체의 감지상태를 알리는 해당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저음이 발생된 후, 제어부가 호출입력버튼의 등록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호출입력버튼이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물체 감지의 해제여부에 따라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한편, 호출입력버튼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호출입력버튼의 등록을 위한 해당 신호가 출력접점을 통해 호출입력버튼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의 과정을 통해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제어방법. -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의 바닥면 거리설정 및 부저음 온.오프 설정은,
승강장 벽면에 설치된 풋 버튼 장치의 센서부가 동작되면서 그 동작시간이 카운트 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의 동작시간이 3분 이하인 경우에는 Initial 버튼의 조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저 모드를 온.오프 시키는 한편, 상기 동작시간이 3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풋 버튼 장치와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자동으로 재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풋 버튼 장치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재측정한 결과에 따라 바닥면 위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의 과정을 통해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제어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동작시간이 3분 이하인 경우, Initial 버튼의 조작 여부에 따라 부저 모드가 온.오프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센서부의 동작시간이 3분 이하인 상태에서 Initial 버튼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Initial 버튼의 조작이 있는 경우, 그 입력시간을 카운트 하는 단계와;
상기 Initial 버튼의 조작시간이 3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닥면까지의 거리 측정을 알리는 해당 부저음이 발생된 후 바닥면까지의 거리 측정이 진행되는 한편, 상기 Initial 버튼의 조작시간이 3초 이하인 경우에는 부저 모드의 전환을 알리는 해당 부저음이 발생된 후, 온 상태에서는 오프로, 오프 상태에서는 온으로 부저 모드가 전환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2547A KR101209764B1 (ko) | 2011-08-19 | 2011-08-19 |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2547A KR101209764B1 (ko) | 2011-08-19 | 2011-08-19 |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9764B1 true KR101209764B1 (ko) | 2012-12-11 |
Family
ID=4790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2547A Active KR101209764B1 (ko) | 2011-08-19 | 2011-08-19 |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976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19275A (zh) * | 2021-01-26 | 2021-06-08 | 江苏威尔曼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激光测距的脚踢外呼装置 |
CN114436080A (zh) * | 2020-11-03 | 2022-05-06 | 奥的斯电梯公司 | 控制装置、控制装置触发判定方法和电梯系统 |
TWI769026B (zh) * | 2020-10-14 | 2022-06-21 | 宏匠實業股份有限公司 | 電梯按鈕及其免觸碰式感應方法 |
US11828718B2 (en) | 2020-05-07 | 2023-11-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Humidity sensor and button device including the same |
WO2025095181A1 (ko) * | 2023-11-02 | 2025-05-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6018A (ja) | 1996-07-22 | 1998-02-10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
KR200343077Y1 (ko) | 2003-12-09 | 2004-02-25 | 박준석 |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 |
-
2011
- 2011-08-19 KR KR1020110082547A patent/KR10120976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6018A (ja) | 1996-07-22 | 1998-02-10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
KR200343077Y1 (ko) | 2003-12-09 | 2004-02-25 | 박준석 |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28718B2 (en) | 2020-05-07 | 2023-11-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Humidity sensor and button device including the same |
TWI769026B (zh) * | 2020-10-14 | 2022-06-21 | 宏匠實業股份有限公司 | 電梯按鈕及其免觸碰式感應方法 |
CN114436080A (zh) * | 2020-11-03 | 2022-05-06 | 奥的斯电梯公司 | 控制装置、控制装置触发判定方法和电梯系统 |
CN112919275A (zh) * | 2021-01-26 | 2021-06-08 | 江苏威尔曼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激光测距的脚踢外呼装置 |
WO2025095181A1 (ko) * | 2023-11-02 | 2025-05-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9764B1 (ko) | 엘리베이터의 터치리스 풋 버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13124166A (ja) | エレベータ | |
WO2022034776A1 (ja) | エレベータ | |
KR20160064522A (ko) | 손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장호출버튼 및 그 제어방법 | |
US20110073416A1 (en) | Elevator Security System | |
JP4124053B2 (ja) | 自律移動ロボット及び自律移動ロボット用のエレベータ乗降システム | |
JP2011063354A (ja)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JP2015107852A (ja) |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 |
CN101920898B (zh) | 电梯门装置 | |
KR20180115437A (ko) | 센서 제어가 가능한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승강장 호출입력버튼 | |
CN103006143A (zh) | 卫生间装置 | |
KR100616332B1 (ko) | 안전기능이 구비된 리프트 장치 | |
JP4869785B2 (ja) |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 |
JP5518915B2 (ja) | エレベータのかご移動制御装置及びかご移動制御方法 | |
KR101300930B1 (ko)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
JP7307136B2 (ja) | エレベータ | |
JP2023036070A (ja) | エレベータ | |
CN107304016B (zh) | 电梯照明系统以及电梯装置 | |
JP2010030776A (ja)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JP7176577B2 (ja) | エレベータ | |
JP5353074B2 (ja) |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 |
JP2022165180A (ja) | エレベータ | |
JP2017193419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893220B1 (ko) | 엘리베이터 | |
JP2011213477A (ja)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